윗분은 너무 환산을 많이 하시네.. 더 헷갈리는 듯합니다 860Ptn=McT (P:전력, t:시간(h단위), n:효율, Mc:물의양, T:T2-T1(T2는 도착온도, T1은 시작 온도, 즉 올라가는 온도의 높이) P=McT/860×t×n P=100×20/(860×2×0.6) P=1.9379=1.938[kW] 책들은 이런식으로 나왔음..! [해설작성자 : 전기기능사 필기 85점으로 합격, 추가 공부위해 더 보는중]
14.
다음 중 전력량 1[J]과 같은 것은?
가.
1[cal]
나.
1[W ㆍs]
다.
1[kgㆍm]
라.
1[Nㆍm]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전력랑=전력×시간 이므로 단위로 나타내면 W.sec가 된다
[추가 해설]
전력량은 와트시(W.h) 로 나타내는 문제가 많습니다. 암기합시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박수훈]
15.
전지(battery)에 관한 사항이다. 감극제(depolarizer)는 어떤 작용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가?
가.
분극작용
나.
방전
다.
순환전류
라.
전기분해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분극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감극제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곽간지]
16.
0.25[H]와 0.23[H]의 자체 인덕턴스를 직렬로 접속할 때 합성 인덕턴스의 최대값은 약 몇 [H] 인가?
가.
0.48[H]
나.
0.96[H]
다.
4.8[H]
라.
9.6[H]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자체 인덕턴스의 최대값은 상호인덕턴스의 결합계수 K=1일때 입니다. 따라서 가동접속 L1+L2+2M 에서 상호인덕턴스 M=k루트L1xL2 에서 K=1 이므로 M=루트L1xL2 가 된다 이 값을 가동접속 L1+L2+2M에 대입하면 L1+L2+2x루트L1xL2
0.25 + 0.23 + [2 x 루트(0.25x0.23)]=0.96[H]
참고로, 최소값은 차동접속으로 구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고혁재(므깃도)]
17.
두 코일이 있다. 한 코일에 매초 전류가 150[A]의 비율로 변할 때 다른 코일에 60[V]의 기전력이 발생하였다면,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는 몇 [H] 인가?
분권발전기는 잔류 자속에 의해서 잔류 전압을 만들고 이때 여자 전류가 전류 자속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흐르면, 여자 전류가 점차 증가하면서 단자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자기 포화
나.
여자 조절
다.
보상 전압
라.
전압 확립
정답 : [
4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여자전류가 전류 자속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흐르면 여자전류가 점차 증가하면서 단자 전압이 상승하는 현상을 전압 확립이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난 한남이 아니다 정윤아]
28.
직류 발전기가 있다. 자극 수는 6, 전기자 총 도체수 400 매극 당 자속 0.01[Wb], 회전수는 600[rpm]일 때 전기자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몇 [V] 인가?(단, 전기자 권선은 파권이다.)
가.
40[V]
나.
120[V]
다.
160[V]
라.
180[V]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파권은 항상 병렬회로수와 극수가 같습니다. 병렬 회로수 2 (항상 무조건) 6*400*0.01*600/60*2 [해설작성자 : 설명충]
위의 해설 보충하겠습니다.
이 문제의 공식은 P*Z*파이*N/60*a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전기교육원]
간혹 병렬회로수를 중권/파권 으로 물어보지않고 병렬 /직렬로 문제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땐 병(렬),중(권)/직(렬),파(권) 으로 앞글자만 따서 병중직파로 외우시면 쉽게 생각이 나실겁니다. [해설작성자 : 심심한곰탱]
29.
다음 중 2대의 동기발전기가 병렬운전하고 있을 때 무효횡류(무효순환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가.
부하 분담에 차가 있을 때
나.
기전력의 주파수에 차가 있을 때
다.
기전력의 위상에 차가 있을 때
라.
기전력의 크기에 차가 있을 때
정답 : [
4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1. 유도 기전력의 주파수 같게 2. 유도 기전력의 크기 같게 3. 유도 기전력의 위상 같게 - 다르면 동기화 전류(유효순환전류)가 흐름. 4. 유도 기전력의 파형 같게 5. 유도 기전력의 전압 같게 - 다르면 무효순환전류가 흐름. [해설작성자 : 한국전기교육원]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다를 경우 무효 순환전류가 흐른다)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다를 경우 유효 순환전류가 흐른다)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다를 경우 난조 발생)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다를 경우 동 손실을 증가시키고 과열의 원인) [해설작성자 : 2019년 전기 가즈아]
30.
1차 전압 3300[V], 2차 전압 220[V]인 변압기의 권수비(turnratio)는 얼마인가?
가.
15
나.
220
다.
3300
라.
7260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권수비 a = v1/v2 = n1/n2 = i2/i1 [해설작성자 : 세상에서 최고 멋쟁이]
31.
그림과 같은 접속은 어떤 직류전동기의 접속인가?
가.
타여자전동기
나.
분권전동기
다.
직권전동기
라.
복권전동기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회로도가 떨어져있어서 타여자 [해설작성자 : UTP케이블제작15초]
32.
변압기를 △ - Y 결선(delta-star connection)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1차 선간전압 및 2차 선간전압의 위상차는 60˚ 이다.
나.
제3조파에 의한 장해가 적다.
다.
1차 변전소의 승압용으로 사용된다.
라.
Y결선의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위상차는 30도 입니다. [해설작성자 : GW.J]
33.
회전자 입력 10[kW], 슬립 4[%]인 3상 유도 전동기의 2차 동손은 몇 [kW] 인가?
변압기 외함 내에 들어 있는 기름을 펌프를 이용하여 외부에 이는 냉각 장치로 보내서 냉각 시킨 다음, 냉각된 기름을 다시 외함으로 내부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냉각효과가 크기 때문에 30000[kVA] 이상의 대용량의 변압기에서 사용하는 냉각 방식은?
가.
건식풍냉식
나.
유입자냉식
다.
유입풍냉식
라.
유입송유식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유입 송유식(oil immersed forced oil circulating type):FOA,FOW 외함 내에있는 가열된 기름을 순환펌프에 의해 외부의 수냉식 냉각기 및 풍냉식 냉각기에 의해 냉각시켜 다시 외함 내에 유입시키는 방식. [해설작성자 : 원주폴리텍대학 의료공학과 1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 가요전선관 및 부속품은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3종 접지공사
라.
특별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종 접지공사 : 피뢰기, 특고 계기용 변성기 2차 및 외함 2종 접지공사 : 주상 변압기 2차측 3종 접지공사 : 400V 미만의 저압 기계 기구, 네온 변압기 외함 특 3종 접지공사 : 400V 이상의 저압 기계 기구의 외함, 풀용 수중조명등 등 [해설작성자 : 손인성]
사용전압에 400V 가 적혀있다면 3가지만 생각하자 400이하면 3종 / 400이상이면 특3/ 400이상이나 사람이 함부로 만질수없는 경우는 3종 다른 접지공사 외울필요 없이 400 나오면 무조건 이하/이상/이상+접근금지 만 생각해서 분류하면 됨 [해설작성자 : 설명충]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54.
금속덕트 공사에 관한사항이다. 다음 중 금속 덕트의 시설로서 옳지 않는 것은?
가.
덕트의 끝부분은 열어 놓을 것
나.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3m 이하로 견고하게 시설할 것
다.
덕트의 뚜껑은 쉽게 열리지 않도록 시설할 것
라.
덕트 상호간은 견고하게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덕트의 끝부분을 열어 놓으면 쥐가 전선을 갉아먹을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밀폐시켜야 함 [해설작성자 : 먹는소]
55.
애자사용공사를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고자 한다. 사용 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 몇[㎝]이상이어야 하는가?
가.
2.5[㎝] 이상
나.
4.5[㎝] 이상
다.
6.0[㎝] 이상
라.
12[㎝]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00V미만 400V이상 전선 상호 간의 거리 6cm이상 6cm이상 전선과 조영재 거리 2.5cm이상 4.5cm이상 외우셔야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전기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