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회로에서 코일과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주파수가 증가하면 어느 쪽이 전류가 잘 흐르는가?
가.
코일
나.
콘덴서
다.
코일과 콘덴서에 같이 흐른다.
라.
모두 흐르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코일의 리액턴스 = 2πfL --> 주파수에 비례 콘덴서의 리액턴스 = 1/2πfC --> 주파수에 반비례 리액턴스가 커지면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므로, 주파수가 증가하면 리액턴스값이 작아지는 콘덴서가 전류가 잘 흐르게 된다. [해설작성자 : 먹는소]
여기서는 병렬이어서 전압이 모두 같읍니다.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전압/유도리엑턴스이고 콘덴서의 전류는 전압/용량리엑턴스인데 유도리엑터스는 WL=2πfL이고 용량리엑턴스는 1/WC=1/2πfC이어서 IL=V/2πfL이 되고 IC=V/1/2πfC=V.2πfC가 되어 주파수가 증가하면 전압도 증가 하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조금 아는 사람]
9.
어떤 회로에 50[V]의 전압을 가하니 8+j6[A]의 전류가 흘렀다면 이 회로의 임피던스[Ω]는?
<문제 해설> *자기포화: 자화력을 증가해도 자속밀도는 거의 증가하지 않게 되는 것 *옴의 법칙: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 *히스테리시스: 자계 세기를 증가시킬 때의 자속밀도 변화 곡선과 감소시킬 때의 자속밀도 변화 곡선이 다를 것(자성재료와 종류에 따라 다름) *전기자 반작용: 발전기, 전동기에서 전기차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속이 주계자 자속에 미치는 반작용, 전동기 속도 및 발전기의 저납 변동률 등에 영향 [해설작성자 : 평범한 기계과 학생]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30~50%입니다 에듀윌책에는 [해설작성자 : 인간의 한계를 보여주지]
36.
유도 전동기 권선법 중 맞지 않는 것은?
가.
고정자 권선은 단층 파권이다.
나.
고정자 권선은 3상 권선이 쓰인다.
다.
소형 전동기는 보통 4극이다.
라.
홈 수는 24개 또는 36개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고정자 권선은 2층중권 입니다 [해설작성자 : jiye]
37.
3상 동기기의 제동 권선의 역할은?
가.
난조방지
나.
효율증가
다.
출력증가
라.
역률개선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제동권선-난조방지 제난으로 암기 [해설작성자 : 노승준짱찡]
38.
60[Hz], 20000[kVA]의 발전기의 회전수가 900[rpm]이라면 이 발전기의 극수는 얼마인가?
가.
8극
나.
12극
다.
14극
라.
16극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회전수[rpm] = 120*주파수/극수
따라서, 이 발전기의 극수 = 120*주파수/회전수 = 120*60/900 = 8극 [해설작성자 : 먹는소]
60 Hz 라면 극수와 회전수를 곱해서 무조건 7200 이 나오는걸 고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GLaDOS]
회전수 구하는 식으로 문제를 하나씩 대입해보면됨. [rpm] = 120*60 / 8극 / 12극 ....900rpm이 나오는게 정답 [해설작성자 : 낼모레 셤]
39.
일반적으로 반도체의 저항값과 온도와의 관계가 바른것은?
가.
저항값은 온도에 비례한다.
나.
저항값은 온도에 반비례한다.
다.
저항값은 온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라.
저항값은 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반도체는 보통 도체와는 달리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값이 내려가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멘탈갑]
도체 : 온도가 높아질수록 저항 증가 반도체,전해질,방전관 : 온도가 높아질수록 저항감소 [해설작성자 : 재후나놀자]
40.
출력에 대한 전부하 동손이 2[%], 철손이 1[%]인 변압기의 전부하 효율[%]은?
가.
95
나.
96
다.
97
라.
98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1=3 100-3=97 [해설작성자 : 윤희재]
41.
정션 박스내에서 절연 전선을 쥐꼬리 접속한 후 접속과 절연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가.
링형 슬리브
나.
S형 슬리브
다.
와이어 커넥터
라.
터미널 러그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와이어 커넥터는 절연전선을 쥐꼬리 접속 후 절연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ttouch85]
쥐꼬리가 길다란게 와이어 로프처럼 생겼다 - 라고 외우시는거도 좋을듯합니다. [해설작성자 : 1달로 전기 합격하려나,,,]
42.
케이블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 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
가.
0.5
나.
1
다.
1.5
라.
2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면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내선규정 제2275절) 케이블을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지지점간 거리는 2M 이하, 수직으로 시설시 6M이하 새들 또는 스텝플로 지지.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1M이하마다 새들 또는 스템플로 지지. [해설작성자 : 도우밍]
케이블 지지점 간의 거리는 조영재의 수직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2[m] 이하 (단, 캡타이어 케이블 1[m]) 조영재의 수평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1[m] 이하 출처 - 전기기술이론1 영남검정연구회 p294 (5번) 문항 참조
전기설비 기술기준 213조에 의하면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 것.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도우밍님이 하신 내용도 약간 부족한게 있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 틀려서 작성함 필기 또 떨어지면 우짜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4번이라고 나와 있는데 답은 2번 입니다.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데 어느 수업듣는 분이 교수님께 이 문제에 대해 교수님 답이 틀린 거 아니냐고 물어봐서 답을 주셨는데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이런말이 문제에 나와있다면 수직 6m,수평 2m가 맞는데 문제에 그런말 자체가 안나와 있다면 수직 2m, 수평 1m가 맞다고 합니다 그러니 답은 2번 1m가 맞다고 합니다. 4번의 2m는 틀린 거라고 알려주셨습니다 교수님의 답을 듣고 정답이 잘못된 거 같아 제보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학교선생님이 1m라고하십니다 [해설작성자 : 허민균]
[오류신고 반론] 하면, 측면 수평배선시 1m인데 수평배선이라는 말이 안나왔으니 2m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추가 오류 신고] 1m가 답인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추가 오류 신고] 합격하자 님, 그렇게 치면 수직배선 이라는 말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 이라고 써있으니 수평과 수직 둘 다 말하는게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문제 잘 읽으세요]
[오류신고 반론] 케이블 공사 - 케이블의 지지 (가) 케이블을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따라 지지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2M 이하로 하면서 클리트, 새들, 스테이플 등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단 케이블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는 6M 이하로 할 수 있다.) (나)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을 노출장소에서 조영재에 따라 시설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다음사항에 의한다. -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시설하는것 : 1m이하 -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 : 1m이하 - 케이블 상호 및 박스, 기구와의 접속개소 : 접속개소에서 0.3m이하 - 기타의 장소 : 2m이하
문제에서는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이라는 말이 안나와있으므로 (가)에 해당하는 2m이하가 정답입니다.
문제집- 20년최신판 전기기능사 필기 최근7년간 기출문제 참고.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오류신고 반론]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것 그래서 정답은 4번 2m 이다 어떤 교수고 선생님께서 잘 못알고 가르치셨네요 [해설작성자 : 삐삐]
43.
분전반 및 배전반은 어떤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가.
전기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
나.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없는 장소
다.
은폐된 장소
라.
이동이 심한 장소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분전반 및 배전반은 사람이 쉽게 조작해야 함으로 은폐된장소, 사람손이 닿지 않는 곳은 지양해야 합니다. (쉽게생각해서 집에 두꺼비집이나 누전차단기 위치를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혀니닌은 코뿔소]
44.
합성수지 몰드 공사는 사용전압이 몇 [V] 미만의 배선을 사용하는가?
가.
200[V]
나.
400[V]
다.
600[V]
라.
800[V]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사용전압 나오면 거의 대부분 400v 대지전압 나오면 300v [해설작성자 : 경북기계금속고]
45.
천장에 작은 구멍을 뚫어 그 속에 등기구를 매입시키는 방식으로 건축의 공간을 유효하게 하는 조명방식은?
가.
코브방식
나.
코퍼방식
다.
밸런스방식
라.
다운라이트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다운라이트 방식 : 문제에 나온 설명 그대로... 코퍼방식 : 일명 코퍼조명 이라고 함. 천장면을 여러형태로하여(대부분 원형)구멍을 내서 다양한 조명기구를 매입하여 실내의 단조로움을 피하는 방법..(흔히 예식장이나 피로연장 천장에서 많이 볼수있죠..) 코브라이트 : 간접조명중에 하나이지만 간접 조명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벽이나 천장의 구조로서 만들어내는 건축 조명기구.. [해설작성자 : 고박사]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0-659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4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667호, 2019. 11. 21)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합니다.
2020년 12월 3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조(시행일) 이 공고는 공고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54조제1항제7호[공고 제2019-195호(2019. 3. 25.) 포함]의 규정은 2021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대한전기협회 [해설작성자 : 수하텍 5.113]
52.
접지를 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가.
이상 전압의 발생
나.
전로의 대지전압의 저하
다.
보호 계전기의 동작 확보
라.
감전의 방지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접지는 좋은 목적에서 하는겁니다. 즉 좀 이상한거 찾으면 됩니다. 접지를 했는데 이상전압이 발생하면 안되겠죠?? [해설작성자 : 멘탈갑]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3에듀윌 전기기능사책 204쪽에 접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전로의 대지전압의 저하이다 라고 나와있어요 [해설작성자 : 신민철]
53.
가요 전선관 공사에 다음의 전선을 사용 하였다. 맞게 사용 한 것은?
가.
알루미늄 35[mm2]의 단선
나.
절연전선 16[mm2]의 단선
다.
절연전선 10[mm2]의 연선
라.
알루미늄 25[mm2]의 단선
정답 : [
3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절연전선 10mm2 초과 시 연선을 사용한다. 알루미늄 16mm2 초과 시 연선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1111]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