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으로 대전된 용량 C1의 콘덴서에 용량 C2를 병렬 연결할 경우 C2가 분배 받는 전기량은?
가.
나.
다.
라.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용량 C_1의 콘덴서만 있는 경우 Q_1 = C_1*V를 만족한다. 그런데 용량 C_2의 콘덴서를 여기에 병렬 연결하면 전기량은 Q_1을 일정한데 합성정전용량(그릇)만 C_1+C_2(병렬연결)로 늘어난다. 따라서 Q_1=(C_1+C_2)*V를 만족한다. 여기서 V = Q_1/(C_1+C_2)이 되고 C_2로 분배받는 전기량을 Q_2라고 하면 Q_2=C_2*V = C_2*(Q_1/(C_1+C_2))가 된다. [해설작성자 : 난221]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정격전류 구하는 식은 p/루트3*v - 즉 66000*10^3/루트3*22900 입니다. [해설작성자 : 설명충]
29.
변압기의 권선 배치에서 저압 권선을 철심에 가까운 쪽에 배치하는 이유는?
가.
전류 용량
나.
절연 문제
다.
냉각 문제
라.
구조상 편의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이 두개임:절연문제.냉각문제 [해설작성자 : 책에 나옴]
[관리자의 말 : 2013년 2회 전기기능사 확정답안에 의하면 2번만 확정답안으로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2.3번 둘다 정답인듯한데요?....
[오류신고 반론] 왜 냉각이라는 거죠? 책에도 절연을 위해 저•고압권선을 사용한다고 나와있는데요.. [해설작성자 : 책에 안나옴]
[오류신고 반론] 권선 감는 방법 - 직권 : 철심 쪽에 저압 권선을 감고 절연한 뒤 그 위에 고압 권선을 감는다(절연처리) 라고 Win-Q 책에 나옵니다. 냉각에 관한 내용도 없을뿐더러 답안도 2번으로 처리됐으니 복수 정답은 아닌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60.00]
[추가 해설] 직류전동기 분권전동기 : 토크와 속도가 반비례 직권전동기 : 토크와 속도의 제곱이 반비례 교류전동기 동기전동기 : 토크와 속도가 반비례 유도전동기 : 토크와 속도의 제곱이 반비례 [해설작성자 : 차니]
36.
변압기 절연내력 시험 중 권선의 층간 절연시험은?
가.
충격전압 시험
나.
무부하 시험
다.
가압 시험
라.
유도 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변압기는 유도 시험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캠프로육군으로]
변압기의 층간 절연을 시험하기 위하여 권선의 단자 사이에 정상 유도전압의 2배의 전압을 유도시키기 때문에 '유도절연시험'임
추가로 시험 시간은 (정격주파수/시험주파수)x120 임. [해설작성자 : 현재]
37.
직류발전기에서 전압 정류의 역할을 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보극
나.
탄소브러시
다.
전기자
라.
리액턴스 코일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직류 발전기의 이론중의 정류작용 양호한 정류대책 1) 평균리액턴스 전압은 작게 할 것 : 보극설치(전압 정류) 2) 인덕턴스를 작게 할 것 : 단절권, 분포권 채용 3) 정류주기를 크게 할 것 4) 브러시의 접촉저항을 크게 하여 정류 할 것 : 탄소질 브러시 설치 (저항 정류)
문제에서 전압 정류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물어봤으니 보극이 정답입니다. 답은 1번! 문제집:전기기능사 최근7년간 기출문제 (필기) 84p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