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건조하 경우 공기중의 전기절연율이 높아 마찰에 의해 생성되 전위차가 공기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물체에 접촉한 경우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이것을 정전기라하는데 습한 경우 전위차가 발생해도 빨리 공기중으로 빠져나감으로 우리가 정전기를 잘 느끼지못한다. 그러므로 4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신공전기과탑]
대지 습도 20% [해설작성자 : 설명충]
간단하게 이런 문제는 겨울에 옷에서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는걸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한국의 겨울이 건조하다는건 다들 아시죠?ㅋㅋ
4.
다음 중 강자성체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가.
철
나.
코발드
다.
니켈
라.
텅스텐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신고로 인하여 문제를 강자성체인것은에서 강자성체가 아닌것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문제가 요구 하는것은 강자성체가 아니라 상자성체를 물어 보는것 아닌가요? .강자성체:철, 니켈, 코발트, 망간 .상자성체:알루미늄산소, 백금, 텅스텐 .반자성체:은, 구리, 아연, 비스무트, 납 ● 정답이 4번으로는 상자성체 입니다 [해설작성자 : 0000]
[추가 해설] 강자성체가 아닌 것을 물어보았으니 텅스텐이 맞습니다. 위의 보기에 틀린 건 없지만 작성자께서 문제를 제대로 안 읽으신 모양입니다. [해설작성자 : 주현돈 주휘돈 브라더스]
<문제 해설> 3로 스위치에 관련된 문제이다. 전원 단상 +,- 두가닥이고 부하한개를 동작하므로 두스위치를 연결하는 연락선 한가닥을 스위치 양쪽에넣어준다 전원에서 다이렉트로 오는 +선 한개와 부하에서 오는선 한개 그러므로 양쪽 스위치는 각각 3가닥이된다 [해설작성자 : 대원전기교육원 B반 앙기모찌]
접지 및 중성선에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면 이상전압이 흐를때 과전류차단기가 대지로 향하는 통로를 끊어버리니 이상전압 억제를 하지 못하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전선의 공칭단면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가.
소선 수와 소선의 지름으로 나타낸다.
나.
단위는 [mm2]로 표시한다.
다.
전선의 실제단면적과 같다.
라.
연선의 굵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단선과 연선 모두 전선의 굵기를 공칭단면적으로 나타내며 단위는[mm^2]로 표시한다. 그리고 전선의 공칭단면적은 전선의 실제단면적과는 같지 않고 근삿값이다.
50.
코드 상호간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 상호간을 접속하는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구는?
가.
T형 접속기
나.
코드 접속기
다.
와이어 커넥터
라.
박스용 커넥터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와이어 커넥터 : 주로 단선의 종단접속시 사용 2.코드 접속기 : 코드 상호,캡타이어 케이블 상호,케이블 상호 접속시 사용 3.케이블 타이 : 케이블을 고정시키거나 정리할 때 사용 4.테이블 탭 : 코드의 길이가 짧을 때 연장하기 위해 사용 [해설작성자 : 차민주]
51.
저압 가공인입선이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되는 경우 노면상 몇 [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는가?
가.
3
나.
4
다.
5
라.
6
정답 : [
1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저압인입선의 설치높이는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는 5m 이상, 철도나 궤도 횡단은 6.5m 이상, 횡단보도교는 3m 이상, 기타의 장소는 4.0m 이상이어야 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 록너트는 볼트/넛트 체결시 하중을 이용해서 스프링와셔처럼 체결을 도와주는것입니다. 4번 앵글커넥터 는 금속관을 보일러등의 본체 및 박스에 연결하는것이고 의미상으로 보면 4번은 금속관을 연결하여 금속관에 연관이 있지만 1번은 록너트는 금속관과 전혀상관없는 부품조립시 사용하는 볼트/넛트 개념입니다. 답은 1번이 맞을듯 [해설작성자 : 고박사]
제가 산 일진사 전기기능사 2016년 책에 의하여 쓴 결과를 말하자면
1. 록 너트(lock nut)[제 책에서는 로크너트로 되어있네요 같은말입니다] : 금속 전선관을 박스에 고정시킬 때 사용된다. 2. 노멀 밴드(normal band) : 배관의 직각 굴곡 부분에 사용되며, 특히 금속 전선관의 콘크리트 매입 배관에 사용된다. 2-1 (합성수지관 부속품에는 합성수지제 노말 밴드가 따로 있다) 3. 커플링(coupling) : 전선관 상호 접속에 사용된다 4. 앵글 커넥터(angle connector) : "가요" 전선관을 박스에 접속시 사용한다. 즉, 윗분의 설명이 잘못되었고 답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 6번 떨어진 저력을 보여주지]
제가 잘못알았네요. 다시 정리할께요. 4.번 앵글커넥터는 금속 가요전선관 전용입니다. 그리고 1번 록너트는 금속전선관 새들등 고정시 사용합니다. 그래서 답은 4번이 맞습니다. 금속가요전선관도 금속관에 일부이지만 출제자의 의도는 다르게 구분한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고박사]
<금속관에 사용하는 부품> -로크 너트(Lock Nut):관과 박스를 접속할 경우 파이프 나사를 죄어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며 6각형과 기어형이 있다. -부싱(Bushing):전선 관단에 끼우고 전선을 넣거나 빼는데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여 전선이 손상되지 않게 한다(금속제와 합성수지 제2종류). -커플링(Coupling):금속관 상호 접속 또는 관과 노멀 밴드와의 접속에 사용되고 내면에 나사가 나 있으면 관의 양측을 돌려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유니온 커플링을 사용한다. -새들(Saddle):노출 배관에서 금속관을 조영재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며 합성수지관,가요관,케이블공사에도 사용된다. -노멀 밴드(Normal Band):배관의 직각 굴곡에 사용하며 양단에 나사가 나 있어 관과의 접속에는 커플링을 사용한다. -링 리듀서(Ring Reducer):금속을 아웃렛 박스의 녹아웃에 취부할 때 녹아웃의 구멍이 관의 구멍보다 클 때 링 리듀서를 사용, 로크 너트로 죄면 된다. -스위치 박스(Switch Box):매입형의 스위치나 콘센트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며 1개용,2개용,3개용 등이 있다. -아웃렛 박스(Outlet Box):전선관공사에 있어 전등기구나 점멸기 또는 콘센트의 고정,접속함으로 사용되며 4각 및 8각이 있다.
54.
저압 옥내전로에서 전동기의 정격전류가 60A인 경우 전선의 허용전류[A]는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가.
66
나.
75
다.
78
라.
90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전동기 허용전류 ①. 50[A] 이하일 경우 -> 1.25배 ②. 50[A] 초과일 경우 -> 1.1배
60x1.1=66[A] [해설작성자 : 상산전자 김윤섭]
55.
저압옥내 분기회로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분기점에서 몇[m] 이하에 시설하여야 하는가?
가.
3
나.
5
다.
8
라.
12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원칙적으로 3m 이하에서만 생략 [해설작성자 : 전기쟁이]
56.
주로 저압 가공전선로 또는 인입선에 사용되는 애자로서 주로 앵글베이스 스트랩과 스트랩볼트 인류바인드선(비닐절연 바인드선)과 함께 사용하는 애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