묽은 황산(H2SO4)용액에 구리(Cu)와 아연(Zn)판을 넣으면 전지가 된다. 이때 양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구리판이며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나.
구리판이며 산소 기체가 발생한다.
다.
아연판이며 산소 기체가 발생한다.
라.
아연판이며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볼타 전지의 원리는 묽은 황산 용액에 이온화 경향이 다른 구리판과 아연판을 넣어서 도선으로 연결하였을 때 두 금속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이용한다. -극인 아연판은 아연이온으로 되어 황산 속으로 녹아 들어간다. 또 +극인 구리판에서는 수소 이온이 이동한 전자를 받아 수소를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꺅]
삼각함수공식 cos제곱세타 + sin제곱세타 = 1 에서 sin세타 = 루트(1-cos제곱세타) 여기서 sin세타 = 0.6 이 계산됩니다. [해설작성자 : 토마토]
직각삼각형 특수각이라는게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3, 4, 5), (5,12,13) 이 있고 이는 2배(정수배)도 적용가능합니다.(6, 8, 10), (10, 24, 26) 역률=cos세타=0.8=(8/10) 이므로 직각삼각형의 빗변=10, 가로=8, 세로=6 으로 가정가능합니다. 따라서 sin세타=(세로/빗변)=(6/10)=0.6으로도 계산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대원전기 외선3기 육인철]
원하는 역률 값으로 만들기 위한 커패시터 용량값은?
1.공식 -> Q = P x {√1-cos1θ^2} / cos1θ - {√1-cos2θ^2} / cos2θ.
> 여기서, {√ 숫자} 표현한 것은 루트로 묶여있다는 뜻이고, 숫자^2는 2제곱 옛날 말로 2승이라는 뜻입니다. cos1θ 는 현재 역률, cos2θ는 만들고 싶은 역률 값입니다.
2. 사용 -> Q = P x {√1-0.8^2} / 0.8 - {√1-1^2} / 1 = 3000k.
> 현재 만들고 싶은 역률 값이 100%이니 cos2θ에 1을 넣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전병칠 최고]
5.
i = Imsin ωt(A)인 정현파 교류에서 ωt가 몇 ° 일 때 순시값과 실효값이 같게 되는가?
가.
90°
나.
60°
다.
45°
라.
0°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Im=루트2 I 이기 때문에 Im 과 I가 같게 되려면 sin wt가 루트2분의1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sin 45가 되어야 하니 wt는 45가 되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강동진]
Im 1 I=-----------. I=Im을 만들려면 sin wt=-------. 그래서 wt=45 루트2 루트2 [해설작성자 : 아마도]
6.
다음 중 가장 무거운 것은?
가.
양성자의 질량과 중성자의 질량의 합
나.
양성자의 질량과 전자의 질량의 합
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질량의 합
라.
중성자의 질량과 전자의 질량의 합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양성자의 질량 m =1,673×10^-27 [kg] 중성자의 질량 m =1,673×10^-27 [kg] 전자의 질량 m =9,109×10^-3 [kg] 원자핵=양성자+중성자 [해설작성자 : 꿀꿀이]
전자의 질량은 9.10956×10^-31 중성자, 양성자는 전자의 1840배 [해설작성자 : D-2]
1. 전기력선은 등전위면과 직교한다. 2. 전기력선은 양(+)전하에서 음(-)전하로 들어간다. 3. 두 전기력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4. 전기력선의 접선 방향은 그 점에서의 전기장과 방향이 일치하다. 5. 전기력선의 밀도는 그 점에서의 전기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6. 전기력선은 도체의 표면에 수직으로 출입하며 도체 내부에는 전기력선이 없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이수윤]
15.
10 ℃, 5000 g의 물을 40 ℃ 로 올리기 위하여 1kW의 전열기를 쓰면 몇 분이 걸리게 되는가?(단. 여기서 효율은 80%라고 한다.)
가.
약 13분
나.
약 15분
다.
약 25분
라.
약 50분
정답 : [
1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열량 구하는 공식 H=0.24I^2Rt=0.24Pt[cal]에서 H=0.24*1000*t 인데 여기서 효율이 80%이니까 0.8을 곱해준다. 즉, H=0.24*1000*t*0.8=192t
또다른 열량 구하는 공식 H=cm(T-T0)-> (여기서 C:비열인데 물의 비열은 1, m:질량, T0:처음온도, T:나중온도) H=1*5000(40-10)=150000
위 두가지 공식을 = 하면 192t=150000, t=781.5[sec]=13.02[min]입니다. [해설작성자 : sakaiik2]
파고율 = 최대값/실효값 (고대효)(파고율의 고, 최대값의 대, 실효값의 효, 이렇게 해서 고대효) 파형률 = 실효값/평균값 (형효균)(파형률의 형, 실효값의 효, 평균값의 균, 이렇게 해서 형효균)
[해설작성자 : 핑크샹어]
17.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전류계와 병렬로 접속하는 것은?
가.
분류기
나.
배율기
다.
검류기
라.
전위차계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전류계 : 분류기 전압계 : 배율기 [해설작성자 : 디디]
전(류)계:분(류)기 => 산악회 회원중에 (루루)라는 닉이 있는데 전(압)계:배(율)기 =>세금 안낼때 (압류) 하러 다니는 직업이다 [해설작성자 : 엉뚱이]
팁! 배율기는 전압계와 직렬 [직배압(직접배를압박한다) 팁! 분류기는 전류계와 병렬 [병분류(병분류..분리수거 잘합시다)....ㅎㅎ [해설작성자 : 노오력=합격]
18.
대칭 3상 전압에 △결선으로 부하가 구성되어 있다. 3상중 한 선이 단선되는 경우, 소비되는 전력은 끊어지기 전과 비교하여 어떻게 되는가?
가.
3/2으로 증가한다.
나.
2/3로 줄어 든다.
다.
1/3로 줄어든다.
라.
1/2로 줄어든다.
정답 : [
4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결선에서 한 선이 단락되는 경우는 V결선으로 운전 이때 V결선의 출력비는 △결선 1대 * 0.577 0.577 ≒ 1/2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
[추가해설] 1. △결선 P = 3P = 3 x (V제곱/Z) 입니다. (P=V제곱/R인용)
2. △결선일때의 세변이 한선이 단선되면(회로를 보시면 이해가 빠름) 임피던스 Z가 Z+Z,Z의 병렬회로가 되면서 합분의 곱을 인용해 2/3xZ가 되므로 V결선 P = V제곱/(2/3xZ)가 되고 범분수로 계산하면 최종값이 P = 3/2 x (V제곱/Z) = 1.5 x V제곱/Z 가 됩니다
3. △결선 P = 3 x (V제곱/Z) V결선 P = 1.5 x (V제곱/Z)
정답 : 1/2로 줄어든다 (출력비가 57.7%여서 약 1/2이 아닌 정확히 1/2 하지만 기능사준비할때는 그냥 출력비 57.7%를 생각하시는게 효율적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해설작성자 : 예찬맘]
19.
전선의 길이를 4배로 늘렸을 때, 처음의 저항값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선의 반지름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가.
1/4로 줄인다.
나.
1/2로 줄인다.
다.
2배로 늘인다.
라.
4배로 늘인다.
정답 : [
3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반지름이 핵심
저항 R=로*(길이/단면적) =로*(길이/파이*반지름^2) 따라서, 길이가 4배 늘어났으면 반지름은 2배만 늘어나면 됨! [해설작성자 : 상산전자 김윤섭]
저같은 실수를 하시는 분들 계실거 같아 남기는 TIP
rho*l/A 에서 길이를 4배 늘렸다고 했으므로 4/1, 처음의 저항값을 유지한다 해서 단면적(A)에 4배를 해주어 4/1 해서
[오류신고 반론] s=Pc2/P2 여기서 Pc2는 2차전체저항손, P2는 2차전체입력. 문제에서는 P2를 구한다 했으니 P2=Pc2/s 공식을 이용하면 되겠네요. 위 해설들은 전부 한글로 설명해서 무슨 기호였는지 기억 안나시는 분들을 위해 책에 나온 공식 그대로 남겨봅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박수훈]
<문제 해설> 공극이 넓다는 것은 단락비가 큰 기계를 의미하며, 단락비가 큰 기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동기임피던스(리액턴스)가 작다. 2.전압강하 및 전압강하율, 전압변동률이 작다. 3.안정도가 좋다. 4.철이 많이 사용되어 철기계라 불린다. 5.공극이 크고, 기계 형태 중량이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발전소 ㄱㄱ]
단락비가 크다는것은 전기적으로는 좋고 기계적으로는 나쁘다. 전기적으로 좋은 얘기와 기계적으로 나쁜 얘기가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낼모래시험]
41.
단선의 직선접속 방법 중에서 트위스트 직선접속을 할 수 있는 최대 단면적은 몇 [mm2] 이하인가?
[추가 오류 신고] 같은굵기 32 다른굵기 48 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도 직녀]
[오류신고 반론] 같은굵기 48 다른굵기 32 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도 허니]
[오류신고 반론] 의견이 갈려서 책에 있는데로 씁니다 동일굵기는 48 다른 굵기는 32 제발 풀이 쓸때는 책임감 가지고 써요 확실하지 않은거 쓰면 사람들 시험 치는데 그거 때문에 떨어질수도 있어요 제발 부탁하는데 자기 생각말고 책에 있거나 확실한거만 쓰세요 제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동일 48 다른 굵기 32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능사 합격 마렵다]
[오류신고 반론] 같은 굵기 : 48% 다른 굵기 : 32% 일반적 : 20% 제어회로 : 50% [해설작성자 : 구전공]
[추가 오류 신고] 현재 kec규정에서 같은굵기 역시 3분의1(32%)로 개정되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2023년판 예담사는 금속관내 절연전선을 넣을때 전선관 단면적의 1/3을 초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33% [해설작성자 : 서남]
[추가 오류 신고] <2024년판 다산에튜 전기기능사> 금속관의 굵기는 전선 및 케이블의 피복절연물 등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 합계가 관의 내 단면적의 1/3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KS C IEC/TS 61200-52의 521.6 준용) [해설작성자 : 전병치ㄹ]
[관리자 입니다. kec 규정이 개정된것 같기는 한데요. 일단 다른 출판사 몇개더 확인해보겠습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4.
석유류를 저장하는 장소의 공사 방법 중 틀린 것은?
가.
케이블 공사
나.
애자사용 공사
다.
금속관 공사
라.
합성수지관 공사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석유류를 저장하는 장소의 공사 방법은 금속관 공사, 합성수지관 공사, 케이블 공사만 된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합금케로 외워주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오한결]
합.금.케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 오한길]
55.
다음 중 가요전선관 공사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가.
옥내의 천장 은폐배선으로 8각 박스에서 형광등기구에 이르는 짧은 부분의 전선관공사
나.
프레스 공작기계 등의 굴곡개소가 많아 금속관 공사가 어려운 부분의 전선관공사
다.
금속관에서 전동기부하에 이르는 짧은 부분의 전선관공사
라.
수변전실에서 배전반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관공사
정답 : [
4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가요전선관 공사는 제1종금속관 가요전선관 또는 제2종금속제 가요전선관 사용 공사이다. 굴곡 개소가 많고 금속관 공사를 하기 어려운 경우나 전동기와 옥내배선 결합하는 경우 등에 사용한다. 큰 전류의 저압 배전반에서는 버스덕트공사로 한다. [해설작성자 : 남도일]
56.
무대ㆍ무대밑ㆍ오케스트라 박스ㆍ영사실 기타 사람이나 무대 도구가 접촉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저압 옥내배선ㆍ전구선 또는 이동전선은 사용전압이 몇[V] 미만 이어야하는가?
가.
400
나.
500
다.
600
라.
700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흥행장의 사용전압은 400v 미만이어야 한다.
57.
전주의 길이가 16[m]인 지지물을 건주하는 경우에 땅에 묻히는 최소 깊이는 몇 [m] 인가?(단, 설계하중이 6.8[kN] 이하이다.)
가.
1.5
나.
2.0
다.
2.5
라.
3.5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주의 길이가 15m 이하면 1/6 이상 매설하고 전주의 길이가 15m 초과이면 2.5m 이상 매설한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