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회로의 소자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으로 주파수를 2배로 증가시켰더니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1/2로 되었다. 이 소자의 종류는?
가.
저항
나.
코일
다.
콘덴서
라.
다이오드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주파수를 2배로하면 전류의 크기가 1/2로 되는 소자는 코일이다. 반대로 주파수를 2배로하면 전류의 크기가 2배로 되는 소자는 콘덴서이다.
[추가해설] 코일은 철조망, 콘덴서는 도랑에 비유하면 이해하시기 쉽습니다 철조망(코일)을 통과 하려면 천천히 가야하고(저주파 통과), 빨리 가면 힘들겠죠 (고주파 차단) 반대로 도랑(콘덴서)을 건너려면 빠르게 뛰어야(고주파 통과) 건널 수 있고, 천천히 가면 중간에 빠지겠죠? (저주파 차단) [해설작성자 : GLaDOS]
[추가 해설]
공식으로는, XL=ωL=2πfL로 I=V/2πfL이 되므로 코일이 정답입니다. 반대로 콘덴서는 XC=1/2πfC이므로 I=V2πfC가 되겠죠. [해설작성자 : 징징이]
2.
어떤 콘덴서에 V(V)의 전압을 가해서 Q(C)의 전하를 충전할 때 저장되는 에너지(J)는?
가.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2 cv제곱 을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원래 공식은 1/2 QV 이지만 Q=CxV 이므로 V가 2개 들어가서 CV제곱이 된겁니다. 차분히 풀으시면 헷갈리지 않으실 겁니다. [해설작성자 : 캠프로육군으로]
공식이 없어서 공식 추가 해서 작성하겠습니다. P=VI=V2/R=I2R P를 구하는 공식 3개중에 전류와 저항이 주어졌으니 P-I2R 공식 사용하면 P=I2*R P=102*4*3(각상의 저항이 4옴인데 3상이니 전체 저항을 구하기위해 3곱해줌) =1200[w] [해설작성자 : 박한전]
말없이 주면 다 상전압 상전류생각하시고 푸셈요~ 이런 비슷한문제 많은데 상전압인지 선간전압인지 그런거 고민하시더라고요~ [해설작성자 : ㅈ문가]
<문제 해설> 회로의 모양을 변형시켜줍시다 1 4 aㅡ <l> ㅡb l는 2 1 4 1과 4, 1과 4는 서로 동전위이니 2는 무효, (1+4)×(1+4) 25 R = ------------ = ---- = 2.5 1+4+1+4 10 [해설작성자 : 노원]
1옴과 1옴을 잡고 4옴과 4옴을 잡고 쭉 당기면 휘스톤 브리지 회로로 변경돈다 2옴은 전류가 흐르지 않음=2옴은 무시한다 합성 저항은 5옴이 병렬 회로가 된다 병렬 계산 5*5/5+5 2.5 [해설작성자 : 5대중반 ]
11.
동일 전압의 전지 3개를 접속하여 각각 다른 전압을 얻고자 한다. 접속방법에 따라 몇 가지의 전압을 얻을 수 있는가? (단, 극성은 같은 방향으로 설정한다.)
가.
1가지 전압
나.
2가지 전압
다.
3가지 전압
라.
4가지 전압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모두 직렬접속 3E 모두 병렬접속 E 직●병렬접속 2E [해설작성자 : 경공전자과파이팅]
12.
그림의 브리지 회로에서 평형이 되었을 때의 Cx는?
가.
0.1 μF
나.
0.2 μF
다.
0.3 μF
라.
0.4 μF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R2*Cx = R1*C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Xc=1/w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비례 식으로 R2(200)*CX( ) = R1(50)*Cs(0.1) Cx = 200 x 0.1/50 =0.4 [해설작성자 : 열공]
13.
그림에서 폐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가.
1
나.
1.25
다.
2
라.
2.5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5/8 - 5/8 = 10/8 = 1.25 [해설작성자 : 기학]
그냥 서로 반대방향 전압 여러개 있으면 큰거에서 작은거 빼서 15-5= 10V로 전압두고 계산하면 편합니다 (15-5)V / (5+3)R = I = 10/8= 1.25I [해설작성자 : 백만불짜리다리]
14.
비사인파 교류회로의 전력성분과 거리가 먼 것은?
가.
맥류성분과 사인파와의 곱
나.
직류성분과 사인파와의 곱
다.
직류성분
라.
주파수가 같은 두 사인파의 곱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비사인파는 직류분 기본파 고조파가 있습니다 파는 일정한 주기가있기 때문에 주파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없는건 맥류분이기 때문에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뭐지]
푸리에급수에 의하면 비정현파= 직류성분+기본파성분+다수의 고조파성분으로 표현된다 전력은 각각의 성분끼리의 곱만 존재합니다. 즉, 소비전력은 직류전압x직류전류 + 기본파전압x기본파전류 + 2고조파전압x2고조파 전류 + .... 직류성분과 사인파(기본파+고조파)와의 곱은 전력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맥류 성분이라는 것은 없지만 맥류는 비정현파이므로 "직류성분+기본파 성분 + 고조파성분"으로 구성이 됩니다. 따라서 맥류에 포함되어 있는 고조파와 사인파의 조파가 맞으면 전력값이 존재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서로 다른 종류의 안티몬과 비스무트의 두 금속을 접속하여 여기에 전류를 통하면, 그 접점에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난다. 줄열과 달리 전류의 방향에 따라 열의 흡수와 발생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 현상은?
가.
펠티에 효과
나.
제벡 효과
다.
제3금속의 법칙
라.
열전 효과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 펠티에 효과는 열전대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줄열 외에도 열전대의 각 접점에서 발열 혹은 흡열 작용이 일어난 현상을 말한다. 이렇게 두 금속의 접합점에서 한 쪽은 열이 발생하고, 다른 쪽은 열을 빼앗기는 현상을 이용하여 냉각도 할 수 있고, 가열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냉동기나 항온조 제작에 사용된다.
펠티에가 1834년 발견한 것으로, 최근에는 도체에 사용하는 열전소자의 연구가 진행되어 전자 냉동 등에서 이용하고 있다. =>그냥 간단히 말하자면... 직류를 흐르게 하면 한 쪽은 발열, 반대 쪽은 냉각이 되는 온도차를 가져옴.
제벡 효과[Seebeck effect] 금속 또는 반도체의 양 끝을 접합하여 거기에 온도 차를 주면 회로에 열기전력을 일으킨다. 이것을 제벡효과라 한다. 이 현상은 1821년에 T. Seebeck이 Cu와 Bi 또는 Sb에 대하여 발견했다. 열기전력을 측정하여 온도로 환산하는 열전대식 온도계는 공업적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고, 고온에서 극저온까지 각종 열전대이 개발되어 있다. 온도계측용의 열전대에는 은-금(철 첨가), 크로멜-금(철 첨가), 구리-콘스탄탄, 크로멜-콘스탄탄, 크로멜-알루멜, 백금ㆍ로듐-백금, 텅스텐-텅스텐 레늄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한편 반도체는 금속에 비해서 열전능(제벡 계수)이 1000배나 크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한 열전기 발전기가 개발되어 극지의 무인관측소나 등대, 해저 비콘용 전원 등에 이용되고 있다. =>더 간단히 얘기하자면 펠티어와 반대로 양면에 온도차를 주면 전기가 생성됨. 차세대 에너지 중의 하나. [해설작성자 : 한전가고싶은 고등학생]
제벡- 두 금속에 열을 가했더니(온도변화) 기전력이(전류)가 발생 (두 금속 > 온도변화(열) > 기전력) 펠티에- 두 금속에 전류를 흘리니 열이 발생,흡수 (두 금속 > 기전력(전류) > 온도변화(흡수,발생)) [해설작성자 : ㅡㅡ]
그냥 간단하게 열첨제 : 열이 처음이면 제백효과 이것만 입에달고 그 반대는 펠티에라고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 김진환]
16.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10개가 있다. 이것을 직렬 접속할 때의 값은 병렬 접속할 때의 값보다 어떻게 되는가?
<문제 해설> SCR turn off 조건 1. Anode의 극성을 부(-)로 한다. 2. SCR에 흐르는 전류를 유지 전류 이하로 한다. [해설작성자 : 전기 A반]
22.
직류발전기에서 급전선의 전압강하 보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은?(문제 오류로 2, 3번이 정답 처리된것 같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분권기
나.
직권기
다.
과복권기
라.
차동복권기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과복권발전기는 직류복권발전기의 일종으로 전부하에서의 단자전압이 무부하 전압보다도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있다 [해설작성자 : 조현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과복권기도 정답이지만 직권기도 정답입니다. 과복권 발전기는 부하와 발전기 사이가 멀어서 배전선의 저항에 의한 큰 전압강하가 생기는 경우에 쓰입니다. 직권 발전기는 부하와 계자, 전기자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부하변화에 기전력의 변화가 심하지만,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선로중간에 넣어서 승압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3번 모두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도전기공고 가고 싶다 ㄹㅇ..]
과복권 발전기 급전선의 전압강하 보상용으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거제공고 좋다♥♥♥♥♥♥♥♥]
정답이 두개입니다. 직권 발전기도 승압용으로 사용가능
[추가 오류 신고] 2,3번 모두 정답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2,3번 모두 정답입니다
23.
3상 동기 발전기 병렬운전 조건이 아닌 것은?
가.
전압의 크기가 같을 것
나.
회전수가 같을 것
다.
주파수가 같을 것
라.
전압 위상이 같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전압의 크기가 같을 것 -위상이 같을 것 -주파수가 같을 것 -파형이 같을 것 -상회전 방향이 같을 것 [해설작성자 : 손인성]
손인성님의 내용으로 추가의견
동기발전기 병령운전 조건 나만의 암기 크(기).위(상).주(파수).파(형).상(회전방향) 발음이 뭔가 찰져서요ㅎㅎ
24.
동기발전기에서 비돌극기의 출력이 최대가 되는 부하각(power angle)은?
가.
0°
나.
45°
다.
90°
라.
180°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비돌극형 발전기는 부하각 90도에서 최대출력 발생시킴 [해설작성자 : 꺅]
P=(EV/Xs)sinθ [해설작성자 : 5ㅇ]
25.
3상 유도전동기의 1차 입력 60kW, 1차 손실 1kW, 슬립 3 %일 때 기계적 출력은 약 몇 kW인가?
기동 시(정지상태) = 1 동기속도로 회전 = N = Ns -> s = 0 정격부하 운전 : 0 < s < 1 [해설작성자 : 전기 6번 떨어진 저력을 보여주지]
31.
그림의 전동기 제어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다.
나.
사이리스터 위상제어 회로이다.
다.
전파 정류회로이다.
라.
주파수를 변환하는 회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사이리스터 위상제어를 이용한 전파 정류회로 [해설작성자 : 치치포]
전파 정류회로, 즉 브리지 정류는 전압을 안정시키기 위한 회로입니다. 주파수를 변환하는 회로는 RF회로 중의 Mixer라고 하네용 [해설작성자 : 전기 6번 떨어진 저력을 보여주지]
32.
다음 사이리스터 중 3단자 형식이 아닌 것은?
가.
SCR
나.
GTO
다.
DIAC
라.
TRIAC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DIAC는 2단자 소자이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SCR은 3단자 [해설작성자 : 수도]
SCS 4단자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
33.
다음 중 정속도 전동기에 속하는 것은?
가.
유도 전동기
나.
직권 전동기
다.
교류 정류자 전동기
라.
분권 전동기
정답 : [
4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도전동기도 정속도운전합니다 [해설작성자 : 조재혁]
동기 전동기도 정속도 전동기 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능장 합격~!]
정속도 전동기(Constant-speed Motor)란, 공급 전압,주파수 또는 그 쌍방이 일정한 경우에는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 또는 거의 일정한 회전 속도로 동작하는 전동기를 이른다.직류 분권 전동기,유도 전동기, 동기 전동기 등이 있다. ※문제의 조건이 정확하지 않아 혼동의 우려가 있으나,일반적으로 부하변화에 따라 정속도 운전을 하는 것은 직류분권전동기가 가장 정속도에 가깝다.
[추가해설]
동기 전동기 특징 -정속도(속도가 일정불변) -항상 역율이 1 이다(즉 효율이 좋다) -진상전류(앞선전류)를 흘릴수 있다
[해설작성자 : 대머리]
[관리자 입니다. 논란이 많은 문제인데.. 확정답안은 4번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이정도에서 오류신고를 그만 받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시험에 똑같이 나왔을때 정답은 여러분들 선택에 맡깁니다.]
34.
직류 전동기의 출력이 50kW, 회전수가 1800rpm일 때 토크는 약 몇 kg·m 인가?
<문제 해설> 콘센트에 구멍이 2개 있으니까 구멍이 2개 있는 1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 6번 떨어진 저력을 보여주지]
49.
폭연성 분진이 존재하는 곳의 금속관 공사에 있어서 관 상호 및 관과 박스의 접속은 몇 턱 이상의 죔 나사로 시공하여야 하는가?
가.
6턱
나.
5턱
다.
4턱
라.
3턱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관 상호 및 관과 박스와의 접속은 5턱 이상의 죔 나사로 시공 하여야 한다.
50.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ㄱ) 3.5, (ㄴ) 1
나.
(ㄱ) 5, (ㄴ) 1
다.
(ㄱ) 3.5, (ㄴ) 2
라.
(ㄱ) 5, (ㄴ) 2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합성수지제 몰드의 두께는 2mm 이상입니다 참고로 지지점간의 거리는 1.5m 이하이구요 [해설작성자 : 전능한 전능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에 오류가 있습니다 사람 접촉 우려가 있을 경우엔 폭 5cm 이하 두께 1mm 이상으로 시설 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대산 전기직업 전문학교]
[오류 반론] 해설 오류 지적 )) 사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폭5cm이하 두께 1mm이상이 맞습니다.. 답오류 없어요 [해설작성자 : 확실한것만 적읍시다]
오류 반론이 이상해서 신고합니다.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을 경우나 접촉할 우려를 없도록 하는 것이나 같은 말 아닌가요.
그게 아니라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을 경우"에 5cm 이하, 두께 1mm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반론을 오류 신고]
[추가 오류 신고] 보통의 경우: 폭 3.5cm이하 두께는 2mm이상 사람의 접촉 우려가 있을경우: 폭 5cm이하 두께는 1mm이상 그 이유는 문제를 보시면 "사람의 접촉 우려가 있는" 이라고 써있습니다. 사람의 접촉의 우려가 있으니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해야하므로 @폭 5cm이하 두께는 1mm이상으로 시설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인천기계공고 전기과 1-2]
[오류신고 반론] 사람의 접촉 우려가 없을 경우 폭 5cm이하 두께 2mm이상 입니다. 헷갈리게 막적지마세요; [해설작성자 : 짜증남]
[추가 오류 신고] 합성수지 몰드 배선 시공 내선규정 2215 일반적으로 홈의 폭과 깊이 3.5cm이하, 두께 2mm이상.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폭 5cm이하, 두께 1mm 이상인 것을 사용. [해설작성자 : 니가더짜증남]
[추가 오류 신고] 문제에 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사람의 접촉 우려가 있다고 꼭 접촉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다는건 정해지지 않았잖아요? 그러니까 문제가 "사람의 접촉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경우" 로 바뀌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11111]
[오류신고 반론] 합성수지 몰드 공사 홈의 폭 길이 3.5cm 이하 두께 2mm 이상 접촉 우려가 없을 시 5cm 이하 1mm 이상 [해설작성자 : 박이현]
[오류신고 반론] 일진사 합성수지공사 본문 내용의 경우 기본 두께 2mm 폭과 깊이 3.5cm 이하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폭 5cm이하 두께 1 mm이상 이라 되어있다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가 없도록' 이라는것은 사람이 닿지 못하게, 닿을 가능성 조차 없게 '사람의 접촉 우려가 있는' 이라는것은 사람이 닿을수 있게 혹은 닿을수도 있는것 이라고 해석하는것이 옳다고 본다
따라서 본문의 두께 2mm 폭과 깊이 3.5cm 이하 가 옳다고 판단된다 [해설작성자 : 국어 1등급 전기도전중]
51.
인입 개폐기가 아닌 것은?
가.
ASS
나.
LBS
다.
LS
라.
UPS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Ass-자동고장구간개폐기 LBS-부하개폐기 Ls-선로개폐기
UPS-무정전 전원장치 [해설작성자 : 대원전기교육원 B반 앙기모찌]
52.
전선 접속시 사용되는 슬리브(Sleeve)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D형
나.
S형
다.
E형
라.
P형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전선 접속시 사용되는 슬리브(Sleeve)의 종류: s,p,e,c,h [해설작성자 : 김현기]
슬리브 종류는 'speech'로 기억하세요. [해설작성자 : 울산에너지고의 보석]
53.
조명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가.
적당한 조도일 것
나.
휘도 대비가 높을 것
다.
균등한 광속 발산도 분포일 것
라.
적당한 그림자가 있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조명을 설계 할 때에는 적당한 조도와 균등한 빛의 발산이 중요 합니다. 또한 조명설계 시에는 그림자가 아예 없을 수는 없기에 적당한 그림자가 이상적입니다. 휘도 대비가 높다는 것은 한 쪽은 밝고 한 쪽은 어두운 차이가 심하다는 것인데 전체적으로 균등하기 위해서는 휘도 대비가 낮아야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