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대전(electrification) 1. 전하(1C)가 마찰에 의해 전자의 부족현상이 발생하며 이때 전하를 띠게 되며 전자의 이동으로 전류가 흐르며 이때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2. (-)대전상태: 물질 중의 자유전자가 과잉된 상태 3. (+)대전상태: 물질 중의 자유전자가 부족된 상태 [해설작성자 : 꿀꿀이]
쉽게 외우는 법 비사인파는 고기지~ '고'조파 '기'본파 '직'류파 [해설작성자 : 쉽게가자]
4.
자기회로에 기자력을 주면 자로에 자속이 흐른다. 그러나 기자력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 전부가 자기회로 내를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자로 이외의 부분을 통과하는 자속도 있다. 이와 같이 자기회로 이외 부분을 통과하는 자속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종속자속
나.
누설자속
다.
주자속
라.
반사자속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누설자속 1. 누설자속: 자기회로에 홰교하지 않은 비쇄교자속으로 자기회로의 저항이 큰 경우 발생한다. 2. 누설계수(leakage coefficient)=전 자속/유효자속=누설자속+유효자속/유효자속 3. 전기자 권선과 쇄교자속: 유효자속 [해설작성자 : 꿀꿀이]
5.
그림에서 C1 = 1 ㎌, C2 = 2 ㎌, C3 = 2 ㎌ 일 때 합성 정전 용량은 몇 ㎌ 인가?
가.
1/2
나.
1/5
다.
3
라.
5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1/C1+ 1/C2 + 1/C3)
이거 은근 답 못찿아서 없다고 하시는 분들 많은데 합성 정전 용량 0.5나오고요 0.5 = 1/2 와 같은 겁니다!! [해설작성자 : 설명충]
1x2x2/(1x2)+(1x2)+(2x2)=1/2 왜냐하면 R=R1xR2xR3/(R1xR2)+(R1xR3)+(R2xR3)이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다른데 사는데 충북 가는 학생 ]
6.
자기력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자기장의 모양을 나타낸 선이다.
나.
자기력선이 조밀할수록 자기력이 세다.
다.
자석의 N극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간다.
라.
자기력선이 교차된 곳에서 자기력이 세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자기력선과 전기력선이 교차되지 않는다 이말도 맞지만 여기선 자기력선과 자기력선이 교차된 곳에서 자기력이 세다 라고 되있어서 전기력선과 자기력선은 전혀 관련이없는문제고 자기력선끼리 교차가 될 수 없다 이것이 문제해결로 적당한 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페TO]
[추가 해설]
자기력선끼리 교차 될 수 없습니다. 다만, 자기력선은 등전위면과 교차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훈]
7.
R(Ω)인 저항 3개가 △결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Y결선으로 환산하면 1상의 저항(Ω)은?
가.
(1/3)R
나.
R
다.
3R
라.
1/R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Y 저항 = 델타 저항×1/3 [해설작성자 : 광주인력개발원]
8.
ωL = 5Ω, 1/ωC = 25Ω 의 LC 직렬회로에서 100 V의 교류를 가할 때 전류(A)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에분 직렬이랑 병렬 거꾸로 쓰신듯 [해설작성자 : 문제풀던사람]
[오류신고 반론] '합성정전용량은?' 이라고 나오면 직렬은 병렬로 풀고 병렬은 직렬로 풀으시면 됩니다. 모든문제 거의 다 그렇습니다. 저는 아는데도 틀려서 해설을 남기고 있지요 ^^7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박수훈]
[오류신고 반론] 조금 더 설명을 덧붙이자면 합성저항에서는 직렬은 R1+R2 이런식으로 다 더해주사먼 되고 병렬은 1/R+1/R 이런 식으로 역수를 취해서 더했다가 나온 값을 다시 역수를 취하시면 됩니다.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합성정전용량이라 했기 때문애 직렬은 합성저항의 병렬처럼 역수를 취해 다 더해서 나온값을 다시 역수를 취해야 되고,병렬은 합성저항의 직렬처럼 그냥 다 더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
17.
e = 200 sin(100 π t) V의 교류 전압에서 t = 1/600초일 때, 순시값은?
가.
100 V
나.
173 V
다.
200 V
라.
346 V
정답 : [
1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순시값 = Vm*sinwt 따라서, 200*sin(100π*1/600)=200*sin(π/6)=
일단 V= 100 [v], 유효전력 식은 'P = V I cos세타' [W]이구요. 800이죠. 역률은 80% 즉, cos세타 = 0.8입니다.
P = V x I x cos 세타 800[W] = 100 x I x 0.8 I = 800/100/0.8 = 10 전류 I = 10 [A] 입니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임피던스 Z는 I = V/r 이므로 10 = 100/10, Z=10이 나옵니다. '역률 = 저항 / 임피던스' 이죠. 뒤집어서 말하면 R = cos 세타 x Z 입니다. R = 0.8 x 10 = 8. 저항은 8이 되죠. Z = 루트 R제곱 + X제곱 이구요. 저희가 구하는 값은 R이 아닌 X 리액턴스 값입니다.
1. 합성 임피던스 Z를 구한다. P = V x I x cos 세타 에서 I = V/Z을 대입하면 P= V제곱*cos세타/Z => Z 는 10오옴이 나옴. 2. 빗변 Z, 밑변 R, 높이 X 에서 Z=10 , 역율 0.8 이므로 R은 8 , 따라서 X는 6 ( 8-6-10 , 3-4-5는 버릇처럼 입에서 나와야 됨) [해설작성자 : 2020년 4회시험 합격목표!]
제가 외운 방법입니다. Y는 9와 비슷한 모양 = 90 A는 1과 5를 합친 모양 = 105 E는 숫자 2와 발음이 같음 = 120 B는 13을 붙여 쓴 모양 = 130 F는 5와 비슷한 모양 = 150 H는 위 아래 선 그으면 8자 모양 = 180 [해설작성자 : 멀티매니아]
25.
변압기의 1차 권회수 80회, 2차 권회수 320회 일 때 2차측의 전압이 100V이면 1차 전압(V)은?
80:320 = x:100 으로 놓고 320x = 8000 이 되면 약분해서 x=25 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GLaDOS]
2차 권회수가 320이고 2차측 전압이 100볼트랍니다 문제에서 물어보는 건 1차측 전압인데 1차측 권회수는 80으로 2차측과 4배 차이가 나죠 따라서 2차측의 100볼트 나누기 4를 하면 25가 됩니다 엄청 쉽죠 [해설작성자 : 아는 척 하는 준영이]
26.
다음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브리지(bridge) 회로라고도 한다.
나.
실제의 정류기로 널리 사용된다.
다.
반파 정류회로라고도 한다.
라.
전파 정류회로라고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브리지 정류 회로라고도 하는 "다이오드 4개를 사용하는 회로는 전파 정류회로" 이다. 다이오드 1개를 사용하는 정류 회로를 반파 정류회로 이다. [해설작성자 : 희망의나무]
27.
동기발전기를 회전계자형으로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가.
고전압에 견딜수 있게 전기자 권선을 절연하기가 쉽다.
나.
전기자 단자에 발생한 고전압을 슬립링 없이 간단하게 외부회로에 인가할 수 있다.
다.
기계적으로 튼튼하게 만드는데 용이하다.
라.
전기자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에서는 전기자는 고정되어 있고 계자가 회전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jkh5.15]
28.
다음 중 유도전동기에서 비례추이를 할 수 있는 것은?
가.
출력
나.
2차 동손
다.
효율
라.
역률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비례추이 할 수 없는 것:출력,효율,2차동손,동기속도 [해설작성자 : 페TO]
비례추이란 유도전동기에 있어서 전압이 일정하면 전류나 회전력이 2차저항(회전자저항)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회전자회로에 저항을 넣어 기동회전력을 크게하거나, 속도를 제어할 수있습니다. 비례추이는 토크, 전류, 역률에 대하여서도 존재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쟁이하려는쐬쟁이]
전 이렇게 외웠습니다 전역동기와 토요일에 비례추이한다 (전)2차전류 (역)률 (동기와)트 (토)오크 비례추이할수있는것 [해설작성자 : 예찬맘]
비례추이 : 1차 입력, 1차 전류, 2차 전류, 토크, 역률 나머지는 거의 거르세요 ( 비례추이 아닌 것들 외우지마시고 할 수 있는 것만 외워서 나머지는 거르면 됩니당!! [해설작성자 : 한수원가자!1]
29.
어떤 변압기에서 임피던스 강하가 5[%]인 변압기가 운전중 단락되었을 때 그 단락전류는 정격전류의 몇 배인가?
가.
5
나.
20
다.
50
라.
200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00/%Z=Is(단락전류)/In(정격정류)
단락전류/정격전류 = 단락비 = 100/%임피던스 Is/In = k = 100/%z [해설작성자 : 전기 왜 만든거냐]
30.
직권 발전기의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계자권선과 전기자권선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나.
승압기로 사용되며 수전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다.
단자전압을 V, 유기 기전력을 E, 부하전류를 I, 전기자 저항 및 직권 계자저항을 각각 ra, rs라 할 때 V = E + I(ra+rs)[V] 이다.
[추가 오류 신고] 적합한거 고르라면 무님이 적은 답 3번이 맞지만 지금 문제에세는 적합하지 않는걸 묻기때문에 정답은 4번 10mm^2입니당 4번은 브리타니아 에요 트위스트는 6mm^2이하는 다 되니까 1번 2번이 다 되네요 [해설작성자 : 울산 에너지 마이스터고 신재생과 귀요미]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잘보면 적합하지 않은것입니다 제1종은 6mm이하 이고요 그러므로 답은 10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
46.
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중 지선을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은?
가.
목주
나.
철탑
다.
A종 철주
라.
A종 철근콘크리트주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철탑은 지선을 사용하여 장력을 분담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아가죽]
47.
고압전로에 지락사고가 생겼을 때 지락전류를 검출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가.
CT
나.
ZCT
다.
MOF
라.
PT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고압전로에 지락사고가 생겼을때 지락전류를 검출하는것이니깐 ZCT 에 Z를 지 라고 생각하시면 편해염 [해설작성자 : 삼마고 -멋쟁이-]
가요 전선관은 토치램프 없이도 구부릴 수 있습니다. *가요 =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빠기]
[추가 오류 신고] 콘크리트 벽 뚫는걸 누가 임팩드릴로 합니까. 임팩드릴의 정의는 볼트나 너트류를 쉽게 풀고 강하게 조이기 위해 모터 속에서 좌우로 빠르게 진동을 주는 드릴이 임팩입니다. 천공용 코아 드릴이 있네요. 그리고 합성수지관 토치로도 지집니다. 겨울에 안구부러지면 그렇게들 합니다. 임팩으로 공구리를 뚫는다... 그 두꺼운걸....? [해설작성자 : 박종훈]
[추가 오류 신고] 합성수지관(하이파이프, 경질비닐전선관)이 아니고 합성수지 가요전선관입니다. CD관에 토치질을 하나요? 햄머드릴이 아닌 임팩드릴이라고 출제한 건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공]
[오류신고 반론] 타격용 임팩드릴 = 해머드릴 같이 쓰이네요. '타격'이란 말이없다면 오류신고하신분들 말이 맞겠지만요.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가 해머드릴 또는 함마드릴 이라고 부르긴하니 헷갈리신듯 합니다. 합성수지관과 가요전선관 차이점은 다른 분들이 설명을 잘해주셔서 패쓰. 그러므로 정답은 3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불곰탱이]
53.
화약고 등의 위험장소에서 전기설비 시설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전로의 대지전압을 400V 이하 일 것
나.
전기기계기구는 전폐형을 사용할 것
다.
화약고내의 전기설비는 화약고 장소에 전용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할 것
라.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에서 화약고 인입구까지의 배선은 케이블 배선으로 노출로 시설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화약고 전기설비 시설 -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 - 전기기계기구는 전폐형을 사용할 것 -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에서 화약고 인입구까지의 배선은 케이블 배선으로 지중으로 시설할 것 - 화약고 내가 아닌 외에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사용할 것 [해설작성자 :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통신과]
54.
네온 변압기를 넣는 외함의 접지공사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1종
나.
제2종
다.
특별 제3종
라.
제3종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제 3종: 네온 특별 제3종: 수중 이거 외워두면 편해요 ㅎㅎㅎ [해설작성자 : 충에고일짱조은서]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개정으로 시험에서 제외됨 [해설작성자 : 수하텍 5.113]
[추가 오류 신고] 21년 개정으로 삭제됨 [해설작성자 : ㅇㅇ]
55.
특고압(22.9kV-Y) 가공전선로의 완금 접지 시 접지선은 어느 곳에 연결하여야 하는가?
가.
변압기
나.
전주
다.
지선
라.
중성선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접지선은 중선선 [해설작성자 : 노승준짱찡]
56.
풀용 수중조명등을 넣는 용기의 금속제 부분은 몇 종 접지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1종 접지
나.
제2종 접지
다.
제3종 접지
라.
특별 제3종 접지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풀용 수중조명에는 특별 제3종 접지 [해설작성자 : 에너지하이스쿠우우우우울]
팁. 금속제 혼촉 방지판 설치 라는 말이 나오면 제1종접지공사입니다~ [해설작성자 : 그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