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신고 반론] 이 문제는 실수하라고 유도한 문제입니다. 선간 전류 공식은 상전류 * √3입니다. 문제에서 공식 자체를 준겁니다. 선간 전류는 10√3이다 -> 즉 계산하면 17.3 이 나옵니다. 즉 문제는 Δ 결선에서 선 전류가 17.3이면 상전류는? 물어보는 거랑 같다고 보면 됩니다. 상전류값을 물어보는 것이기 때문에, 17.3을 √3 로 나눠주면 됩니다. 그러면 10이 나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즉 애초에 문제로 공식으로 줬기 때문에 계산을 안 해도(10[상전류] * √3) 상전류가 10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2.
인덕턴스 0.5H에 주파수가 60 Hz이고 전압이 220V인 교류 전압이 가해질 때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 인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맨위엣분 임피던스가아니라 V/유도리액턴스겠죠 저항도 안주어졌는데 무슨 임피던스라는 말이 나옵니까?
[오류신고 반론] 유도 리액턴스를 2파이fl을 이용해 임피던스로 변환했으니까 임피던스라고 하는게 맞는데요?? [해설작성자 : 광주자동화설비공업고등학교]
[오류신고 반론] Z=jwL XL=wL 허수 까지 포함 j는 루트-1이죵 또는 90도 식으로 쓸라면 유도 리액턴스가 맞죵 [해설작성자 : 아님말고]
3.
교류 전력에서 일반적으로 전기기기의 용량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전력은?
가.
피상전력
나.
유효전력
다.
무효전력
라.
기전력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교류 전력의 종류 : 피상전력 [VA] - 일반적으로 전기기기 용량 표시 유효전력 [W] 무효전력 [var] [해설작성자 : IS전기학원]
보통 전기기기 문제를 풀다보면 용량을 알려주고 역률을 알려줌 그렇다면 용량x역률은 유효전력이니까 기존에 알려주는 용량표시는 피상전력으로 알려준다는것을 알 수 있음 VI = 피상전력 VI x cos세타(역률) = 유효전력 VI x sin세타(유효율) = 무효전력 [해설작성자 : 기능사 화이팅]
PA (VA) 피상전력 EX 한국전력공사에서 생산하여 우리에게 보내주는 전력 P (W 유효전력 EX 우리가 실제 사용하고 전기요금 내는 전력 PR (VAR) 무효전력 EX 도중에 어디론가 날라간 전력 [해설작성자 : 기능사 1달공부 합격]
4.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를 구하는 비오-사바르의 법칙을 옳게 나타낸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도선에 전류 I가 흐를때 도선상의 미소길이 델타l 부분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거리 r만큼 떨어진 점 P에서의 자계의 세기 dH는 dH=Idlsin세타가 된다. [해설작성자 : 충북에너지고 짱짱맨]
위에서부터 전류I, sin, r의 제곱을 줄여서 아싸제곱으로 외우면 편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전도율이 커져서 온도 계수가 부(-)의 값을 가지는 것이 아닌 것은?
가.
구리
나.
반도체
다.
탄소
라.
전해액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구리는 정저항 특성을 가진다 즉 온도가 올라가면 온도계수가 +값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김민수]
은>구리>금>알루미늄 이들은 전선재료로 정특성입니다. [해설작성자 : 가자ㅏㅏ]
6.
평행한 두 도선의 간의 전자력은?
가.
거리 r 에 비례한다.
나.
거리 r 에 반비례한다.
다.
거리 r2 에 비례한다.
라.
거리 r2 에 반비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F=(2(I1*I2)/r)*10^-7 힘F는 거리 r에 반비례함 [해설작성자 : 김민수]
7.
권선수 100회 감은 코일에 2 A의 전류가 흘렀을때 50×10-3Wb 자속이 코일에 쇄교 되었다면 자기 인덕턴스는 몇 H 인가?
가.
1.0
나.
1.5
다.
2.0
라.
2.5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LI = NΦ 자기 인덕턴스 L = NΦ/I L = (100 * 50×10-3)/2 = 2.5[H] [해설작성자 : GE]
8.
코일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공진하는 성질이 있다.
나.
상호유도작용이 있다.
다.
전원 노이즈 차단기능이 있다.
라.
전류의 변화를 확대시키려는 성질이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코일은 전류의 변화를 안정화 시킬려는 성질이 있다. 렌츠의 법칙에 의해 자속의 증감을 방해 하려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 안정화 하려는 성질이 있다고 볼수있다
전류의 변화를 확대시키려는건 트렌지스터입니다 [해설작성자 : 혜정사랑]
9.
200 V의 교류전원에 선풍기를 접속하고 전력과 전류를 측정하였더니 600 W, 5 A 이였다. 이 선풍기의 역률은?
가.
0.5
나.
0.6
다.
0.7
라.
0.8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P=V*I*cosθ cosθ=P/(V*I) [해설작성자 : 혜정사랑]
V*I/W =600/1000=0.6 [해설작성자 : 충기전기과 리잉쇼]
누구나 알기 쉽게 추가함 W/VI = 600(w) / 200(V)x 5(i) = 600/1000 =0.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① 보상 권선 : 전기자 권선과 같은 권선을 하고 전기자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통하여 전기자의 기자력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직렬접속) 단, 보상 권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브러시를 기하학적 중성축에 놓는다(가장 유효한 방법). ② 보극 설치 : 바로 밑의 전기자 권선에 의한 기자력을 상쇄.
24.
역률이 좋아 가정용 선풍기, 세탁기, 냉장고 등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가.
분상 기동형
나.
콘덴서 기동형
다.
반발 기동형
라.
셰이딩 코일형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콘덴서 기동형 : 가정용 선풍기, 세탁기, 냉장고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양영디지털고 손인성]
25.
기중기, 전기 자동차, 전기 철도와 같은 곳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동기는?
가.
가동 복권 전동기
나.
차동 복권 전동기
다.
분권 전동기
라.
직권 전동기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직권전동기는 기중기, 전기자동차, 전기철도에 많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인천전자마이스터고 마영준]
26.
동기전동기의 공급전압이 앞선 전류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가.
역률작용
나.
교차자화작용
다.
증자작용
라.
감자작용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오류신고는 이제 그만 받겠습니다. 문제 자체의 문맥적 의미가 애매하게 출제된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해설들을 참고하시고. 실제 동일한 문제가 나오면 선택은 본인들의 몫입니다.]
전류를 기준으로 전압이 앞서면 감자이고 또한 반대로 전류를 기준으로 전압이 뒤지면 증자입니다 [해설작성자 : 울산에너지고]
발전기-> 진상전류 증자 지상전류 감자 전동기-> 진상전류 감자 지상전류 증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낸 사람이 한국어를 못하나보네요. 공급전압이 앞선게 아니라, 공급전압에 대해 앞선 전류 입니다. 전동기 진상전류이므로 감자. [해설작성자 : 한국어가 전기보다 어렵다]
"공급전압이" 라기보다 "공급전압보다" 라고 했다면 감자작용이 정답이지만 "공급전압이 앞선 전류는" 을 해석하면 전류보다 공급전압이 앞섰다는 이야기죠... 이건 문제의 답은 증자작용으로 해야 하는거죠... 문제 그대로 해석하면 증자가 맞는거잖아요... 뭐 이런 오류문제는 다음부터 나오지 않겠지만요. [해설작성자 : 전기 초보남]
[오류신고 반론] 문제에 문제가 있지만 일단 제쳐두고 전동기일때 전압이 앞선 이므로 증자입니다 [해설작성자 : 3일 뒤 시험]
[오류신고 반론] 공급 전압이 앞선 >> 전압이 전류보다 앞섰다는 말이죠? 전압이 앞섰기 때문에 전류는 전압보다 뒤지게 되고 감자작용이 일어납니다. 문제그대로 저말이 헷갈릴순 있어도 답은 저게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바로 이해했는데..]
[추가 오류 신고] [오류신고 동의] 저도 이문제 종이로 풀다가 애매해서 지금 들어와서 봤지만 오류신고자 의견에 동의합니다. 즉 앞선 주체가 전류인지 전압인지 제가 봐도 구분 못하겠네요.. 전류가 앞섰다면 감자작용이라는거 공부하는 당연히 사람은 다 알지요. 그런데 문제를 아무리 봐도 앞선 주체가 전압입니다. 문맥을 있는 그대로 해석해보면 전압이 앞선 전류 - 전압이 주어니까 전류보다 앞에가는게 전압이고 전압에 앞선 전류 - 전압보다 앞서 간다는 말이니 앞에가는게 전류 아닙니까? [해설작성자 : 60세퇴직자(초보도전중)]
[추가 오류 신고] 전동기라고 했으니 전류가 앞설 경우 감자작용, 뒤질 경우 증자작용입니다. 발전기는 전류가 앞설 경우 증자, 뒤질 경우 감자 문제에선 전압이 앞선 전류라 하였으니 전류가 뒤진 경우가 되고 ' 증자작용 '이 맞는 답이 되는 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의공고 전자 장돌쇠 이게 맞는거 아닌가..?]
[오류신고 반론] 기능사 문제집에 있는 것을 그대로 적겠습니다
동기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 - 감자작용(직축반작용) -> C부하 특성을 지니며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90도 앞서는 진상전류가 흐른다. (감자작용 입니다.) [해설작성자 : 기능사 문제집]
자속밀도 0.8Wb/m2인 자계에서 길이 50 cm인 도체가 30 m/s로 회전할 때 유기되는 기전력(V)은?
가.
8
나.
12
다.
15
라.
24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0.8*0.5*30 [해설작성자 : 혜정사랑]
윗분 해설 보충합니다 일종의 발전기라 생각하시면 편해요 전기를 만들려면 주변의 자기장이 많을수록, 도체의 길이가 길수록 = 코일이 많이 감길수록 (핸드폰 충전하는 발전기랑 풍력발전기중 어느게 더 전기를 많이 만들지는 아시죠?)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전기가 많이 만들어지겠죠? 그럼 모두 전기의 세기와 비례하겠네요 (자기장이 약하거나, 코일감은 수가 적거나 회전속도가 느릴수록 전기가 세지는건 아니니까요) 결론적으로 걍 다 곱해줍시다 [해설작성자 : GLaDOS]
e = vBL / v = 도체의 속도, B = 자속밀도, L = 도체의 길이 0.8*0.5*30 = 12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수훈]
41.
수ㆍ변전 설비의 고압회로에 걸리는 전압을 표시하기 위해 전압계를 시설할 때 고압회로와 전압계 사이에 시설 하는 것은?
가.
수전용 변압기
나.
계기용 변류기
다.
계기용 변압기
라.
권선형 변류기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수ㆍ변전 설비의 고압회로에 걸리는 전압을 표시하기 위해 전압계를 시설할 때 계기용 변압기 (PT) 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42.
가연성 분진에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의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저압 옥내배선 공사방법이 아닌 것은?
가.
금속관 공사
나.
케이블 공사
다.
애자사용 공사
라.
합성수지관 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분진과 애자는 상극이다 애자는 항상 청결해야하는데 애자위에 먼지나 분진들이 있으면 절연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애자에 먼지가 있으면 물로 청소를해준다 [해설작성자 : 혜정사랑]
합금케로 외우면됩니다 [해설작성자 : 수도대표순돌]
43.
전선의 접속이 불완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 볼 수 없는 것은?
가.
감전
나.
누전
다.
화재
라.
절전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절전- 전기를 아껴 씀. 또는 전력을 절약함. [해설작성자 : 혜정사랑]
44.
저압 구내 가공인입선으로 DV전선 사용 시 전선의 길이가 15m 이하인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최소 굵기는 몇 mm 이상인가?
가.
1.5
나.
2.0
다.
2.6
라.
4.0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5m 이하 2.0
15m 초과 2.6 [해설작성자 : 참고]
45.
나전선 등의 금속선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경동선(지름 12mm 이하의 것)
나.
연동선
다.
동합금선(단면적 35mm2 이하의 것)
라.
경알루미늄선(단면적 35mm2 이하의 것)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동합금선은 단면적 25[mm]이하의 것에 한한다. [해설작성자 : 캠프로육군으로]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연동선 지름이 안 나와있댜 [해설작성자 : 원자력마이스터고 교장]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나전선 등의 금속선 중 동합금선은 25mm제곱 이하의 것 동일출판사 p373 50번 문제 [해설작성자 : 삐삐]
46.
배선용 차단기의 심벌은?
가.
나.
다.
라.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번 : 배선용 차단기 2번 : 누전 차단기 4번 : 개폐기 [해설작성자 : 손인성]
3번:과전류붙이 누전차단기 [해설작성자 : ㅅㅅ]
B 브레이크 E 어스 S 스위치 [해설작성자 : 고박사]
47.
아래의 그림기호가 나타내는 것은?
가.
비상 콘센트
나.
형광등
다.
점멸기
라.
접지저항 측정용 단자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원안에 구멍이 2개, 3개 있는 것, 여러분이 많이 사용하신 콘센트입니다.
3개짜리 구멍은 본 적이 없다고요? 외국에 있습니다 구글에 검색해 보세용 [해설작성자 : 전기 6번 떨어진 저력을 보여주지]
48.
무대ㆍ오케스트라 박스ㆍ영사실 기타 사람이나 무대 도구가 접촉 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은?
가.
400 V 미만
나.
500 V 미만
다.
600 V 미만
라.
700 V 미만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무대ㆍ오케스트라 박스ㆍ영사실 기타 사람이나 무대 도구가 접촉 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은 400v 미만이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사람이 높은전압만지면 위험하죠? 그러니까 400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해설작성자 : 스누피커피우유]
그냥 전기설비 과목에서 사용전압은 400v미만이고 대지전압은 300v미만입니다 대지전압이나 사용전압이 다른것도 있지만 기능사 문제에서는 거의 이렇게 문제가 나옵니다 그래도 따른것들도 꼼꼼히보시고 다들 힘넵시다 ^^ [해설작성자 : 다들 합격하고 힘내세용]
49.
금속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잘못된 것은?
가.
전선은 절연 전선일 것
나.
금속관 안에서는 전선의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다.
알루미늄 전선은 단면적 16mm2 초과 시 연선을 사용 할것
라.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배관공사에서는 절대 옥외용 비닐 전선을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기와 문제에 답이 있습니다. '옥내' 배선인데 '옥외'용을 사용하면 안되겠죠? [해설작성자 : 해공 전기전자과 탑]
50.
옥내의 건조하고 전개된 장소에서 사용전압이 400 V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배선공사는?
가.
애자사용공사
나.
금속덕트공사
다.
버스덕트공사
라.
금속몰드공사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몰드공사는 400[V] 이상에서는 공사불가. [해설작성자 : 천살검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오류 신고 400V 이상이 아니라 400V 초과입니다. = 400V 는 불가능 [해설작성자 : 평기공 설비과 화이팅 ㅐㅅㅎ]
[오류신고 반론] 400V는 사용 불가능하니 400V 이상인 경우 사용할 수 없는 게 맞습니다. 400V 초과면 400V에선 사용가능하단 뜻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금속몰드는 400V일때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400V 이상일때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내용이 옳습니다. [해설작성자 : 항만고 지게차 장인]
51.
조명기구를 반간접 조명방식으로 설치하였을 때 위(상방향)로 향하는 광속의 양(%)은?
가.
0 ~ 10
나.
10 ~ 40
다.
40 ~ 60
라.
60 ~ 90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반간점 조명방식의 아래로 향하는 광속은 전광속의 10 ~ 40% 이고, 위로 향하는 광속은 전광속의 60 ~ 90% 이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52.
하나의 콘센트에 두개 이상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기구는?
가.
코드 접속기
나.
멀티 탭
다.
테이블 탭
라.
아이언 플러그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우리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그 멀티탭 맞습니다 보통은 5개씩 꽃혀 있지만 "2개 이상의 플러그를 꽃아~"라고 적혀있으니 멀티탭이 맞습니다 (5개도 2개 이상 맞잖아요?) [해설작성자 : 전기 6번 떨어진 저력을 보여주지]
53.
접지공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특별 제2종 접지공사
라.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특별 제2종 접지공사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psh]
제1종 접지공사 제2종 접지공사 제3종 접지공사 특별 제 3종 접지공사 [해설작성자 : 무명]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54.
다음 ( ) 안에 알맞은 내용은?
가.
ㄱ : 3.5m, ㄴ : 4m
나.
ㄱ : 4.5m, ㄴ : 5m
다.
ㄱ : 5.5m, ㄴ : 6m
라.
ㄱ : 5.5m, ㄴ : 7m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기계기구 설치 시 지표상의 높이 1.고압:4.5m(시가지 외에는 4m)이상 2.특고압:사용전압이 35kv이하~5m 이상 사용전압이 35kv초과 160kv이하~6m이상 [해설작성자 : 반도린]
기계기구 설치 시 지표상의 높이 1.고압:4.5m(시가지 외에는 4m)이상 2.특고압:사용전압이 35kv이하~5m 이상 사용전압이 35kv초과 160kv이하~6m이상 [해설작성자 : 다꼬라박아 승강기]
55.
전주의 길이가 16m 이고, 설계하중이 6.8kN 이하의 철근 콘크리트주를 시설할 때 땅에 묻히는 깊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