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용량 C (㎋)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하가 q=√2Qsin ωt (C)와 같이 변화 하도록 하였다면 이때 콘덴서에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값은?
가.
i=√2ωQsinωt
나.
i=√2ωQcosωt
다.
i=√2ωQsin (ωt- 60°)
라.
i=√2ωQcos (ωt- 60°)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콘덴서는 전류보다 90도 뒤지기 때문에 cos [해설작성자 : 서울공고 전기과 학생 일동]
I·dt=Q(t)이기 때문에 충전된 전하량을 t로 미분하여 삼각함수 sin미분부ㅡcos변환, 추가로 각속도가 비례분에 붙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건축전기기술사3개월공부하니까되던데?]
9.
4F 와 6F 의 콘덴서를 병렬접속하고 10V의 전압을 가했을 때 축적되는 전하량 Q (C) 는?
가.
19
나.
50
다.
80
라.
100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4F+6F)×10V=100
전하량 Q=CV 직렬 Q=(1/(1/C1)+(1/C2))*V=((C1*C2)/)C1+C2))*V 병렬 Q=(C1+C2)*V
10.
회로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유입되는 전류는 ∑I=0 라는 법칙은?
가.
쿨롱의 법칙
나.
패러데이의 법칙
다.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라.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쿨롱의 법칙 9x10^9x(Q1Q2)/r2[힘은 두 전하량의 곱의 크기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2.패러데이의 법칙 자속의 변화는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3.키르히호프의 제 1법칙 유입전류=유출전류 4.키르히호프의 제 2법칙 기전력=전압강하 [해설작성자 : 2015 부산전자공고 2학년]
키르히호프 제1법칙 (전류 법칙) 회로 내의 임의의 접속점에서 들어가는 전류와 나오는 전류의 대수 합은 0이다. ∑유입 전류 = ∑유출 전류 ――――――――――――――― 키르히호프 제2법칙 (전압 법칙) 회로 내의 임의의 폐회로에서 한쪽으로 일주하면서 취할 때 공급된 기전력의 대수 합은 각 지로에서 발생한 전압 강하의 대수 합과 같다. ∑기전력 = ∑전압강하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11.
자체 인덕턴스가 각각 160mH, 250mH의 두 코일이 있다 두 코일 사이의 상호인덕턴스가 150mH 이면 결합계수는?
가.
0.5
나.
0.62
다.
0.75
라.
0.86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M(상호인덕턴스) = k(결합계수) 루트 L1 x L2 k = M / 루트 L1 x L2 k = 150 / 루트 160 x 250 = 0.75 [해설작성자 : dd]
12.
저항이 10Ω인 도체에 1A의 전류를 10분간 흘렸다면 발 생하는 열량은 몇 kcal 인가?
열량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 = 0.24 x I2 x R x t H = 0.24 x 12 x 10 x (10 x 60) = 1440 t에서 60을 곱해주는 이유는 전기에서 계산할 때 기본 단위가 초(sec)이기 때문입니다. 10분이니까 10 x 60을 해주면 되겠죠.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13.
히스테리시스손은 최대 자속밀도 및 주파수의 각각 몇승에 비례 하는가?
가.
최대자속밀도 : 1.6, 주파수 : 1.0
나.
최대자속밀도 : 1.0, 주파수 : 1.6
다.
최대자속밀도 : 1.0, 주파수 : 1.0
라.
최대자속밀도 : 1.6, 주파수 : 1.6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스타인메츠에 의한 히스테리시스손은 Ph = Kh f {B^n}_m [W/kg] 이고, 이때 n=1.6~2이다. 그러므로 히스테리시스손은 f의 1승, 최대자속밀도의 1.6승에 비례한다.
전기 전도도가 좋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은 → 구리 → 금 → 알루미늄 → 철 → 납 → 주석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2과목 : 전기 기기
21.
3상 농형유도전동기의 Y-Δ 기동시의 기동전류를 전전압 기동시와 비교하면?
가.
전전압 기동전류의 1/3 로 된다.
나.
전전압 기동전류의 √3배로 된다.
다.
전전압 기동전류의 3배로 된다.
라.
전저압 기동전류의 9배로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3상 농형유도전동기의 와이 델타 기동법은 기동전류는 1/3배 기동토크도 1/3배로 감소 된다. 5~15kw의 전동기에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즌기과 ]
22.
선풍기, 가정용 펌프, 헤어드라이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전동기는?
가.
단상 유도전동기
나.
권선형 유도전동기
다.
동기전동기
라.
직류 직권전동기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단상 유도전동기 약 400W 이하의 소형 전동기에 사용 [해설작성자 : 혜정사랑]
일상생활에 쓰이는건 단상 유도전동기 [해설작성자 : 중앙고 짱]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3.
3상 전파 정류회로에서 전원 250V일 때 부하에 나타나는 전압(V)의 최대값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약 177
나.
약 292
다.
약 354
라.
약 433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상 전파정류란 말 은선간전압의 최대값이라는 의미인데요, 따라서 선간전압 실효치의 루트(2)배가 됩니다.
즉, 250*루트2 답은 354v입니다. [해설작성자 : 삼마고 학생2]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전기기능사 책에 있는 내용 그대로 옮기겠습니다. ------------------------------------------------ 전원 250[V]는 실효값이므로 -직류분 전압 E = 1.35E = 1.35 x 250 = 337.62[V] -최대값 E = Eπ/2 = π/2 x 337.62 = 530[V] ------------------------------------------------ 이렇게 나오네요... 답안지도 3번은 약 377, 4번은 약 530이라고 되어있네요... 지식인 분들의 명쾌한 설명을 기대합니다...ㅠㅠ (낼이 전기기능사 시험이네요...) [해설작성자 : 동아마이스터고 10기 유튜브 하이]
[오류신고 반론] 1.415×250=353.5
[추가 오류 신고] 전원 250[V]는 실효값이므로 -직류분 전압 E = 1.35E = 1.35 x 250 = 337.62[V](평균값) -최대값 E = Eπ/2 = π/2 x 337.62 = 530[V] [해설작성자 : 배전담당배]
(변압기 효율) = (출력 / (출력 + 손실)) * 100 한편, M = 10^6이고, k = 10^3이므로 (60*10^6 / (60*10^6 + 1600*10^3)) * 100 = 약 97.4[%] [해설작성자 : ㅈㅓㅇㅅㅓㄱㅍㅜㄹㅇㅣ]
계산은 정확히해야죠 역률 곱해주세요 0.8역률을 계산에 포함시킬경우 96.7%가 나오기때문에 어차피 답은 3번)97%겠지만 만약 역률이 0.6이면 95,7%가 나오기때문에 2번이 답이됩니다 혹은 보기가 1)90 2)96 3)98 4)99 로 나와버리면? 계산은 항상 정확히^^ [해설작성자 : 예찬맘]
정확한 계산을 설명해줘야지.. 그냥 역률 포함하라는 말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죠. 발전기 공식 = (출력/출력+손실)x100 전동기 공식 = (입력-손실/입력)x100 출력 : 60x10^6x0.8 손실 : 1600x10^3 왜 10의 제곱을 곱하냐 지금 MVA, KW를 W로 변환시켰기 때문입니다. 1MVA = 1,000KW = 1,000,000W입니다. [60x10^6x0.8 / (60x10^6x0.8)+(1600x10^3)]x100이 정확한 공식이 되겠습니다. 계산기에 입력해서 풀어보면 : 96.7741...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비둘기야밥먹자]
31.
주상변압기의 고압측에 여러 개의 탭을 설치하는 이유는?
가.
선로 고장대비
나.
선로 전압조정
다.
선로 역률개선
라.
선로 과부하 방지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탭이란 1차 권선 수를 바꾸어주기 위해 권선에서 선을 몇개 빼내어 낸걸 말합니다. 이로써 선로의 권수비를 바꾸어 줄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설명을 얻고 싶으시면 구글에서 변압기 탭 을 검색하시면 사진이 나옵니다. 맨 첫번째 사진 보시고 참고하시면 됩니다. 다음 카페의 사진입니다. 포스트면은 변압기 탭조정의 목적및 방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강호항공고 예비 2학년 전기기능사 꼭 취득하자!]
변압기는 1차와 2차측의 전력은 같다는 조건하에 전압을 변환시켜주는것으로 2차측 전압이 높거나 낮을 경우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압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변압기의 1차측 코일의 권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중간 중간에 선을 빼내어 단자 즉 탭(Tap)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자를 옮겨서 2차측의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32.
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승압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 는 변압기의 3상 결선방식은?
가.
△-△
나.
△-Y
다.
Y-Y
라.
Y-△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3대중 1대가 고장이나도 나머지 2대를 V결선하여 송전할수있다.고조파 전압x.통신장애 염려x 2.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올릴때 사용한다. 3.중성점 접지가능, 권선잔압이 선간전압의 1/루트3 이되므로 절연이쉽다.고조파전류가흘러 통신선에 장애 4.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낮추는데 사용 [해설작성자 : 강원인력개발원 원도연]
1.△-△결선:1상의 권선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출력은 감소하나 v결선으로 운전이 가능하며,이때에도 델타결선 정격용량의 57[%]의 출력을 송전할 수 있다.또한 여자전류중에 제 3고조파가 포함되므로 자속은 정현파가 되고 1차,2차 유기전압도 정현파가 되어 선로에 제3고조파 전압이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2.△-Y결선:이 결선은 △결선의 장점에 Y결선의 장점을 채용한결선으로서, 주로 발전소의 승압변압기로서 이용되고 있다. 3.Y-Y결선:1차,2차측 모두 중성점을 접지하지 않은경우로 각상권선에는 제3고조파를 포함한 첨두 파형의 전압이 유기되어 층간절연에 좋지 않은영향을 미치며 발전기 권선에 제3고조파전류가 흘러서 발전기 권선을 가열시킨다. 또한 중성점의 전압은 영이 아니고 대지에 대하여 3배 주파수의 진동 전위를 갖게 되며,선로와 대지 사이의 정전용량에 의하여 제3고조파 충전전류가 흘러 부근의 통신선에 유도 장해를 준다. 4.Y-△결선:△-Y결선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일반적으로 강압변압기의 결선으로 이용되나,국내에서는 154[KV]/66[KV]와 같은 곳에 이용된다.
[추가 해설] 문제에 대한 답의 실질적 내용을 첨언합니다
△-Y = 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승압시에 사용한다 Y-△ =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감합시에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Baik]
간단하게 외우는 팁 델타-Y 델타는 삼각형 모양인데, 이때 삼각형의 ^ 모양을 본떠서 ^ = ㅅ = 승압 이리 외우시면 편해요 그럼 자연스래 다른 하나(Y-델타)는 감압이 된다는거죠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보는데 논다]
△,Y 기호 보시면, △가 낮고, Y기호가 높죠? 낮은 △에서 높이가 높은 Y로 올라간다(승압) 높은 Y에서 높이가 낮은 △로 내려간다(감압) [해설작성자 : 후루꾸해설]
Y결선의 전압 : 선간전압 = √3 상전압 △결선의 전압 : 선간전압 = 상전압
선간전압을 기준으로 볼 때 Y결선의 전압 > △결선의 전압이죠? Y→△ = 높은 전압에서 낮은 전압으로 △→Y = 낮은 전압에서 높은 전압으로 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정류자와 접촉하여 전기자 권선과 외부 회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가.
계자
나.
전기자
다.
브러시
라.
계자철심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직류기 구조 1. 전기자 - 기전력 발생 2. 계자 - 자속발생 3. 정류자 - 교류를 직류로 변성 4. 브러시 - 내부회로와 외부회로를 연결 [해설작성자 : 양영디지털 손인성]
<문제 해설> (무부하전압-정격전압)/정격전압 에서 *100 을 해야 답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답이 확인 됐다]
40.
직류 스테핑 모터(DC stepping moter)의 특징이다. 다음 중 가장 옳은 것은?
가.
교류 동기 서보 모터에 비하여 효율이 나쁘고 토크 발생도 작다.
나.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계속하여 회전한다.
다.
일반적인 공작 기계에 많이 사용된다.
라.
출력을 이용하여 특수기계의 속도, 거리, 방향 등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직류 스테핑 모터는 펄스 신호의 지령에 의해 일정 회전각도만큼 도는 모터로 펄스 모터라고도 한다. 이 모터는 출력을 이용하여 특수기계의 속도,거리,방향 등을 정확히 실현할 수 있고,구조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제어에 많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현재]
41.
S형 슬리브를 사용하여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의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가.
전선은 연선만 사용이 가능하다.
나.
전선의 끝은 슬리브의 끝에서 조금 나오는 것이 좋다.
다.
슬리브는 전선의 굵기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라.
도체는 센드페이퍼 등으로 닦아서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선 단선 둘다가능 [해설작성자 : 수고르]
슬리브는 단선 및 연선의 교차 지점을 접속하는 제품으로 메쉬형 접지등 다양한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다.종류로는 C형과,S형 슬리브가 있다.
42.
가공전선의 지지물에 승탑 또는 승강용으로 사용하는 발판 볼트 등은 지표상 몇 m 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안 되는가?
가.
1.2
나.
1.5
다.
1.6
라.
1.8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되는 발판볼트 등을 지표상 1.8m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안된다(판단기준 제60조 참조). [해설작성자 : 아줌마화장실에서혼자먹게김밥단무지는빼주세요]
외우기 쉽게 전주(전봇대) 아무나 못올라가게 밟고 올라갈때 쓰는 발판용 쇠막대는 1.8m 높이 부터 시작. 옛날에는 이랬는데 지금은 키들이 커서 조만간 바뀔듯 [해설작성자 : 고박사]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 데 사용하는 발판볼트 등을 지표상 1.8[m]미만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다음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발판 볼트 등을 내부에 넣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지지물에 승탑 및 승주 방지장치를 시설하는 경우 -지지물 주위에 취급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울타리,담등의 시설을 하는 경우 -지지물이 산간 등에 있으며 사람이 쉽게 접근할 우려가 없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43.
조명기구를 배광에 따라 분류 하는 경우 특정한 장소만을 고조도로 하기 위한 조명 기구는?
가.
직접 조명기구
나.
전반확산 조명기구
다.
광천장 조명기구
라.
반직접 조명기구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특정한장소=직접 조명기구라고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광운공고 전자로봇과]
특정 장소만 밝게 비추는게 스폿라이트죠? (스포트라이트 X) 그럼 빛을 '직접' 비춰야 가장 밝게 비춰지겠죠 [해설작성자 : GLaDOS]
직접 조명(Direct Lighting)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대부분 작업면에 직접 조사되는 조명 방식을 말하는데,적은 전력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으나 방 전체에 균일한조도를 얻기 어려우며,눈부심이 일어나기 쉽고 빛에 의한 그림자가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44.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퓨즈를 수평으로 붙인 경우 퓨즈는 정격전류 몇 배의 전류에 견디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2.0
나.
1.6
다.
1.25
라.
1.1
정답 : [
4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저압전로애 사용되는 퓨즈는 정격전류의 1.1배에 견뎌야한다 에듀윌 15년 1회차 55번문제 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오류 신고 내용] 21개정으로 포함되지 않는 문제 [해설작성자 : 기능사 벼락치기중]
45.
고압 이상에서 기기의 점검, 수리 시 무전압, 무전류 상태로 전로에서 단독으로 전로의 접속 또는 분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사용되는 수·변전기기는?
가.
기중부하 개폐기
나.
단로기
다.
전력퓨즈
라.
컷아웃 스위치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이문제틀리신분 대부분이 컷아웃스위치라고 오해하셧을꺼같은데 컷아웃스위치랑은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점검 수리 시험 을목적으로 분리 또는 접속 을하는것은 단로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산기사 따러가야징]
단로기. (끊을단. 길로) 차단기를 전류를 완전히 차단하지만 단로기는 극히 작은 전류를 허용해서 기계 수리/점검에 편리하다.
[추가 해설]
팁 : 단로기는 무전류, 무부하 상태에서 일을 하는거라서 컷아웃 스위치랑 좀 달라요 ㅎㅎ [해설작성자 : 전북기공 로봇과 미녀. ]
46.
지중전선로 시설 방식이 아닌 것은?
가.
직접 매설식
나.
관로식
다.
트레이식
라.
암거식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지중 전선로 케이블 매설 방식에는 직접 매설식, 관로 인입식(관로식), 암거식이 있다 [해설작성자 : 강원인력개발원]
47.
화약류의 분말이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저압 옥내배선의 공사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가.
금속관 공사
나.
애자 사용 공사
다.
버스덕트 공사
라.
합성수지몰드 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화약류의 분말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금속관 공사, 합성수지관 공사, 케이블 공사만 하용된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합. 금. 케 이렇게 세개중. 시설하는거첨 하나만 골르면 무조건 금속관
아닌거 고르면 합. 금. 케 제외하고 나머지가 답. [해설작성자 : 고박사]
48.
금속관을 절단할 때 사용되는 공구는?
가.
오스터
나.
녹 아웃 펀치
다.
파이프 커터
라.
파이프 렌치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오스터: 금속관에 나사내는 공구 2. 녹 아웃 펀치: 캐비넷에 구멍을 뚫는 공구 3. 파이프 커터: 전선관, 금속관을 자르는 공구 4. 파이프 렌치: 금속관 같은 둥근 파이프를 물고 죄는 공구, 금속관을 커플링으로 이을 때 사용 [해설작성자 : 포철공고 설비과권]
49.
합성수지 몰드 공사에서 틀린 것은?
가.
전선은 절연 전선일 것
나.
합성수지 몰드 안에는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다.
합성수지 몰드는 홈의 폭 및 깊이가 6.5cm 이하일 것
라.
합성수지 몰드와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전선이 노출 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합성수지 몰드 공사의 시설기준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욕 비닐 절연전선 제외)로 할 것 -합성수지 몰드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합성수지 몰드는 홈의 폭 및 깊이가 3.5cm이하일 것(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경우에는 폭이 5cm이하의 것을 사용 가능) -합성수지 몰드와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접속할 것 [해설작성자 : 수도일렉트릭하이스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