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신고 반론] 파이π값을 3.14로만 적어도 대부분의 문제는 풀리지만 계산기에 π가 있다면 꼭 이용해서 푸세요. 일반 계산기라면 소수점 5자리 3.14159까지 계산해서 푸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길수록 오차가 작아요. XL=2*3.14159*60*30*10^(-3)= 11.309724 [리액턴스Ω] 교류회로 전류 계산은 I=V/Z I=200/√[5^(2)+11.309724^(2)]= 16.17380693 [A] 소수점 3자리에서 반올림 하면 I = 16.17 [A] [해설작성자 : CBT로 이해할 수 있으면 좋지]
10.
1cm 당 권선수가 10인 무한 길이 솔레노이드에 1A의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솔레노이드 외부 자계의 세기(AT/m)는?
[오류신고 반론] 문제집 확인했습니다. 2021 CBT 시험대비 전기기능사 필기 ( 출판사: 예문사 ) 175p 4번 문제
해설: RL 병렬회로에서 R과 L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므로, 각각의 전류의 크기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L에 흐르는 전류 IL = V/wL = 200/(100/3) = 600 / 100 = 6 답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위에 6.0034 는 어떻게 맞추신거지]
[오류신고 반론] 위의 푸는 방법 두개를 요약하면 1) 저항(임피던스:Z, R+XL) 계산 → 합성 저항에 따른 전류 계산하고 → 각 R과 XL의 값에 따라 흐르는 전류 계산 #계산 순서 V: 200 R: 25 XL: 100/3 ≒ 33.3 Z: 1/1/√(R^2) + (XL^2) ≒ 14.27 [Ω] IA: 200/14.27 ≒ 14.01 [I] IR: 14.01 * (33.3 / 58.3) ≒ 8.002 IL: 14.01 * (25 / 58.3) ≒ 6.007
구하는 값(IL)은 6
2) (병렬 회로에서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같음) R과 XL 계산 → 전압은 주어짐 R, XL에 걸리는 전류 옴의 법칙으로 계산 #계산순서 V: 200 XL: 100/3 ≒ 33.3 IL: 200/33.3 ≒ 6.006
구하는 값(IL)은 6
※사용하는 공식등에서는 별 차이 없으나 2번 방식이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효과적으로 응용한 겁니다. 사실 회로의 전류합을 전부 구할 필요는 없어 보여요 [해설작성자 : 너님은무슨님]
[오류신고 반론] 굳이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사용하는 공식 I = V/R -> I = 200/(100/30) -> 6
12.
다음 중 1V와 같은 값을 갖는 것은?
가.
1 J/C
나.
1 Wb/m
다.
1 Ω/m
라.
1 A·sec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V=W[J]/Q[C]
13.
그림과 같은 회로의 저항값이 R1> R2> R3> R4 일 때 전류가 최소로 흐르는 저항은?
가.
R1
나.
R2
다.
R3
라.
R4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저항 값은 R1이 가장 크나 R1은 직렬 연결이므로 전체 전류를 받는다. 그러므로 병렬 연결되어 나누어 지는 전류를 받는 저항 중에 가장 저항 값이 큰 R2가 가장 최소 전류가 흐를 것이다. (전류는 저항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삼마1학년]
R1=5 R2=4 R3=3 R4=2로 가정하시면 R1이 가장크고 R2,R3,R4는 차례로 1/4, 1/3, 1/2이니 가장 작은 1/4인 R2가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ㄱㅈ마이스터고등학교]
14.
원자핵의 구속력을 벗어나서 물질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은?
가.
중성자
나.
양자
다.
분자
라.
자유전자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자유전자 : 원자핵의 구속에서 이탈하여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전자 외우시길... [해설작성자 : 손인성]
15.
권수가 150인 코일에서 2초간 1Wb의 자속이 변화한다면, 코일에 발생 되는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몇 V 인가?
가.
50
나.
75
다.
100
라.
150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유도기전력(v)= -N(권수)x자속/시간 [해설작성자 : 블링]
유도 기전력(e)= -N*자속/t = -150*1/2 [해설작성자 : 태양광 기사/산업기사/기능사 그랜드 슬램 합격자]
16.
복소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실수부와 허수부로 구성된다.
나.
허수를 제곱하면 음수가 된다.
다.
복소수는 A = a +jb 의 형태로 표시한다.
라.
거리와 방향을 나타내는 스칼라 양으로 표시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스칼라는 방향은 없고 크기만 갖는 물리량 입니다. 참고로 벡터는 방향과크기를 갖는 물리량 입니다. [해설작성자 : 동신대 전기공학과09학번]
거리와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로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경북기계금속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이 틀린건 알겠는데 3번도 a +또는-jb의 형태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필기 붙읍시다!]
[오류신고 반론] a+jb a-jb 둘다 됩니다.
17.
자기 인덕턴스가 각각 L1 과 L2인 2개의 코일이 직렬로 가동접속 되었을 때, 합성 인덕턴스는? (단, 자기력선에 의한 영향을 서로 받는 경우이다.)
가.
L = L1 + L2 - M
나.
L = L1 + L2 - 2M
다.
L = L1 + L2 + M
라.
L = L1 + L2 + 2M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동은 +2M 차동은 -2M
18.
저항이 있는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전류의 열작용과 가장 관계가 깊은 법칙은?
<문제 해설> c-d간의 합성 저항은 2r,r,2r 3개가 병렬연결되어 있는 상태이여서 합성저항은 R=0.5r이 나옵니다. a-b간의 합성저항은 휘스스톤 브릿지와 같이 회로가 평형을 유지해 가운데 r은 전류가 흐르지않아 개방된 상태로 없다고 생각하시며 풀면 됩니다 따라서 2r,2r이 병렬연결 되어있는 상태로 합성저항 R=r이 나옵니다. a-b간의 합성저항은 1 c-d간의 합성저항은 0.5 합성저항은 2배 차이가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어렵게 이해하지마시고 계산해서 풀면 편합니다. a-b의 합성 저항 : 2r*2r/2r+2r = 4r제곱/4r = r c-b의 합성 저항 : 1/[(1/2r)+(1/r)+(1/2r)] = r/2 r / (r/2) = 2 여기서 2라는 숫자가 왜 나오는지 의문이 간다면 r에 임의값을 넣어보세요 1/(1/2) = 2 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둘기야밥먹자]
2과목 : 전기 기기
21.
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이란?
가.
정격전류가 흐를 때의 변압기 내의 전압 강하
나.
여자전류가 흐를 때의 2차측 단자 전압
다.
정격전류가 흐를 때의 2차측 단자 전압
라.
2차 단락 전류가 흐를 때의 변압기 내의 전압 강하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인피던스 전압 정격 전류가 흐를 때 변압기 내의 임피던스 전압 강하 [해설작성자 : 서공 짱짱]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교재에 있는 정의: 임피던스 전압: 2차측을 단락한 상태에서 1차측에 정격전류(I1n)가 흐르도록 1차 측에 인가하는 전압 I1n : 부하가 있을 때 흐르던 정격전류
1번이랑 4번은 임피던스 전압의 정의에서 알맹이를 조금씩 빼먹은 것 같은데요. 둘 다 답이 되거나 답이 안되거나.. 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4번이 더 답 같음..]
[추가 오류 신고] 에듀윌 2021년 전기기능사에서 변압기 2차 측을 단락한 상태에서 1차 측에 정격 전류(I1n)가 흐르도록 1차 측에 인가하는 전압이라 써져있습니다 문제 오류라고 생각해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능사 합격 마렵다]
[오류신고 반론] 임피던스 전압 : 정격 전류가 흐를 때 변압기 내의 임피던스 전압 강하 출처 : 성안당 [해설작성자 : 경상공고생]
[오류신고 반론] 다른 문제집 확인하였습니다. 문제 답 그대로 적혀있습니다. 해설: 2차 측을 단락한 상태에서 1차 측에 정격전류가 흐를떄의 1차 전압이라고 써있습니다. 출처 : 전기기능사 필기이론 2021 전병칠 집필(다산에듀) [해설작성자 : 전병칠선생님 책 보고 공부하는 개굴개굴개구리]
[오류신고 반론] 2차를 단락하고 1차에 정격 전류가 흐를때 전압을 임피던스 전압이라하고 전력을 임피던스 와트라 한다 -수업중 교수님이 말씀하신 내용 입니다 [해설작성자 : 새동아전기남]
22.
그림은 전력제어 소자를 이용한 위상제어 회로이다.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가’부분에 사용되는 소자는?
가.
전력용 트랜지스터
나.
제너 다이오드
다.
트라이액
라.
레귤레이터 78XX 시리즈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위의 회로도는 다이액과 트라이액을 조합하여 위상제어를 통한 전동기의 속도제어회로도이다 [해설작성자 : 부기공전기과 파이팅]
제동법 1: 발전 제동 2: 회생 제동 3: 역상 제동[역전제동 = 플러깅] 4: 단상 제동 5: 유도 제동 고로 답은 권선형 유도전동기법에 속한 [3] 이다. [해설작성자 : 아놔 해설좀 해주세요 고딩이 해야합니까?]
28.
동기 발전기에서 역률각이 90도 늦을 때의 전기자 반작용은?
가.
증자 작용
나.
편자 작용
다.
교차 작용
라.
감자 작용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발전기와전동기 전기자 반작용 문제가 나오면 이거 하나만 아시면 끝납니다.시험보시는분들 꿀팁!! 연습장이나공책에 십자가를 그린후 -x축발전기 x축은 전동기로 적고 1,2사분면 감자작용 3,4분면 증자작용 (사분면 모르시는분들은 네이버 검색) 자 문제를 보시면 발전기가 기준입니다. 90도 늦을때 발전기에서 90도 늦은쪽으로 가면 2사분면입니다. 2사분면은 감자작용입니다. ex)발전기에서 역률각90도 빠를때는?? 답:증자작용이겠죠??? [해설작성자 : 동신대 전기공학과09학번]
R 부하로 동상으로써 각이 같을 때에는 교차 자화 작용이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원공업고등학교 전기과 1학년 2반 ]
진짜 꿀팁! "발전증감" 이것만외우면 순서대로 발전기ㅡ증자,전동기ㅡ감자 먼저말했으니 앞서는 경우이고 뒤질때는 발전증감 반대인 발전감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사분면 감자작용 3,4사분면 증자작용 맞습니다
X축 전압 Y축 전류 -> 반 시계방향으로 나가는 방향
발전기 전류가 뒤지면 2사분면의 감자작용 전류가 앞서면 3사분면의 증자작용 전동기 전류가 앞서면 1사분면의 감자작용 전류가 뒤지면 4사분면의 증자작용 [해설작성자 : 전기린이]
29.
유도 전동기가 회전하고 있을 때 생기는 손실중에서 구리손이란?
가.
브러시의 마찰손
나.
베어링의 마찰손
다.
표유 부하손
라.
1차, 2차 권선의 저항손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구리는 동손이라고도 하고 저항의 의미니깐 4번 1차,2차 권선의 저항손이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능사붙고싶다]
30.
그림에서와 같이 ①②의 약 자극 사이에 정류자를 가진 코일을 두고 ③④에 직류를 공급하여 X, X'를 축으로 하여 코일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한다. ①②의 자극성과 ③④의 전원극성을 어떻게 해야 되는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번 3번이 복수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가.
① N ② S ③ + ④ -
나.
① N ② S ③ - ④ +
다.
① S ② N ③ + ④ +
라.
① S ② N ③ ④ 극성에 무관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번 지문이, 3번 +극, 4번 - 극이라면 정답이겠습니다. 여기서는 둘다 +로 했으니, 이 또한 오류겠네요. 여튼....여기 저기서 2,3 번 모두가 정답인 문제들이 돌아 다닌 이유를 알만합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2,3번 모두가 답이었군요.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플레밍의 왼손법칙으로 풀면 됩니다 F B I 전동기는 (회전) 힘의방향 [해설작성자 : 챔교육]
해당 문제만 봤을때의 답은 2번임으로 헷갈리지 마시길 바랍니다. * 3번은 해당 문제에서 정답이 아닙니다. 3번이 정답이 되려면 S N + - 여야 합니다. 결론. 해당 문제의 답은 2번임. 3번은 X [해설작성자 : 비둘기야밥먹자]
31.
그림과 같은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 전동기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가.
원심력스위치를 개로 또는 폐로 한다.
나.
기동권선이나 운전권선의 어느 한 권선의 단자접속을 반대로 한다.
다.
기동권선의 단자접속을 반대로 한다.
라.
운전권선의 단자접속을 반대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원심력스위치는 일정속도 이상일 때 기동권선을 개로 또는 폐로하는 용으로 역회전과는 무관하다. [해설작성자 : 수도 민천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분산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는 기동 권선이나 운전 권선의 어느 한 권선의 단자 접속을 반대로 하면 역회전 된다 * 기동 시 CS는 페로(ON) 상태에서 일단 기동이 되면 원심력이 작용하여 CS는 자동적으로 개로(OFF)가 된다. 정답:2번 [해설작성자 : 무]
[오류신고 반론] 회전 방향에 관련 안되는 것을 선택하는 거니 답 1번 맞아요 무 님은 문제를 잘못 보신것 같네요
32.
다음 그림은 단상 변압기 결선도이다. 1,2차는 각각 어떤 결선인가?
가.
Y - Y 결선
나.
△ - Y 결선
다.
△ - △ 결선
라.
Y - △ 결선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차측(왼쪽) 보면 한묶음(색칠된 점)당 2개의 코일에서 한줄씩 빼서 2가닥씩 묶어서 연결하므로 델타결선이고 2차측(오른쪽) 보면 한묶음 당 3개의 코일에서 한줄씩 빼서 3가닥씩 묶어서 연결하므로 Y결선 고로 델타-Y 결선 [해설작성자 : 천살검귀]
33.
다음 그림의 직류 전동기는 어떤 전동기 인가?
가.
직권 전동기
나.
타여자 전동기
다.
분권 전동기
라.
복권 전동기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직권전동기는 계자권선과 전기자가 직렬 연결일때 분권전동기는 계자권선과 전기자가 병렬 연결일때 복권전동기는 직권+분권 입니다. [해설작성자 : 동신대 전기공학과09학번]
타여자전동기는 서로 떨어져 서로 떨어져 있는거를 찾으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박수훈]
34.
전력용 변압기의 내부 고장 보호용 계전 방식은?
가.
역상 계전기
나.
차동 계전기
다.
접지 계전기
라.
과전류 계전기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변압기 내부 고장 보호 계전기 -차동계전기:변압기 내부 고장 검출 -비율차동계전기 : 발전기나 변압기 등의 내부 고장 발생시 억제 코일에 흐르는 부하전류와 동작 코일에 흐르는 차전류의 오차가 일정비율 이상일 경우 동작허는 계전기 -부흐흘츠 계전기 : 변압기 내부 고장으로 인한 절연유의 온도 상승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검출하여 경보 및 차단을 위한 계전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오류 신고
일진사책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데 동일한 문제의 지문이 1.직권으로 되어 있더군요 (참고:일진사 전기기능사필기 700페이지 27번) *그래서 답이 직권이거든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Baik]
[오류신고 반론] 균압선을 설치해야 하는 직류발전기는 직권,과복권,평복권입니다.본 문제에는 직권이 없기 때문에 평복권이 답이 맞습니다. 일진사책은 직권,평복권 둘다 기재되어 있으므로 둘다 정답입니다. 일진사책 자체의 오기재인듯 싶습니다. (예문사 문제집엔 본내용과 동일하네요) [해설작성자 : 다들 합격!!]
[추가 오류 신고] 이론서에서 병령운전 조건: 직권계자가 있는 발전기(직권, 복권)는 병렬운전을 안정하게 하기 위하여 균압선을 설치할 것.
직권 발전기는 당연하고.. 직권 계자가 있는 복권 발전기 전부 복권 발전기에는 평복권, 과복권, 부족복권, 차동복권
문제가 균압선이 필요 없는 직류 발전기는? 이라고 할때 답이 1번 분권인데요..
이론이랑 문제랑 여기저기 다 틀리네요.. 도대체 답이 뭐여..요 [해설작성자 : 이론과 틀리면 답은 뭐여요..]
[추가 오류 신고] 직류 분권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의 답이 균압모선을 접속할 것이라고 되어 있네요 해설에 균압선은 복권발전기의 병렬운전을 안정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참고 : 2021 다산에듀 전기기능사 필기 이론 208p 29번] [해설작성자 : 금오공고 47기]
[오류신고 반론] 마스터 전기기능사 2021
수하특성을 가지지않아 균압모선이 필요한 발전기는 직권,평복권,과복권 발전기이다 라고 해설되있습니다 고로 3번 [해설작성자 : 배고프다]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문제 해설> <저압 연접 인입선의 시설규정> 1. 분기점으로부터 100m를 넘는 지점에 시설하면 아니됨. 2. 5m 이상의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면 아니됨. 3. 수용가 옥내를 관통하여 시설하면 아니됨. 4. 전선은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지름 2.6mm의 경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것일 것. [해설작성자 : 먹는소]
42.
사람이 쉽게 접촉 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누전차단기의 사용전압 기준은 몇 V 초과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60
나.
110
다.
150
라.
220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60V이다. 쉽게 외울려면 사람이 접촉하는 장소엔 최대한 낮은 전압이 좋으므로, 60V로 외워도 좋다. [해설작성자 : 준혁]
전자접촉기 2개를 이용하여 유도전동기 1대를 정·역운전하고 있는 시설에서 전자접촉기 2개가 동시에 여자 되어 상간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하는 회로는?
가.
자기유지회로
나.
순차제어회로
다.
Y-△ 기동 회로
라.
인터록회로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입력이 들어오면 차단신호가 들어오기 전까지 출력 유지 2. 입력이 1,2,3이 있을때 정해진 순서로 들어와야 출력 3. 와이결선으로 기동 -> 델타로 동작 (와이결선이 델타에 비해 전류 1/3이므로 과전류 방지) 4. 입력이 1,2가 있을때 1이 입력 중이면 2입력 무시, 반대도 성립 [해설작성자 : 전기끄아앙]
51.
특별 제3종접지공사의 접지저항은 몇 Ω 이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문제 해설> 플로어 버스 덕트가 아니라 그냥 플로어 덕트 공사이다. 덕트 공사의 종류에는 금속 덕트,버스 덕트, 플로어 덕트 가 있고, 따라서 플로어 덕트가 버스 덕트에 포함되지 않는다. 참고-버스 덕트는 위의 보기에서 플로어 버스 덕트를 뺀 나머지 3종류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과전류차단기로서 저압전로에 사용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정격전류가 25A인 회로에 50A의 전류가 흘렀을 때 몇 분 이내에 자동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전기설비규정이 바꿨어요. 정답은 60분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KEC 개정 이후 산업용 배선차단기: ≤63A에서는 1.05×In에서 60분 동안 부동작, 1.3×In에서 60분 이내 동작(>63A는 120분) 주택용 배선차단기: ≤63A에서는 1.13×In에서 60분 부동작, 1.45×In에서 60분 이내 동작
이 문제의 경우 대입하면 60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순공HJ]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4.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서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수용장소의 인입선 접속점에 이르는 가공전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연접인입선
나.
가공인입선
다.
구내전선로
라.
구내인입선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연접인입선 : 한 수용 장소의 인입선에서 나와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다른 수용 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 가공인입선 :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서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수용장소의 인입접속점에 이르는 전선 [해설작성자 : 동신대 전기공학과09학번]
연접인입선과 가공인입선 문제가 자주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하나 팁을 주자면
문제에 "가공전선로의~ " 라고 붙어있는 문제는 가공인입선 붙어있지 않으면 연접인입선을 고르면 대부분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 6번 떨어진 저력을 보여주지]
배선설계를 위한 전등 및 소형 전기기계기구의 부하용량 산정 시 건축물의 종류에 대응한 표준 부하에서 원칙적으로 표준부하를 20 VA/m2으로 적용하여야 하는 건축물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교회, 극장
나.
호텔, 병원
다.
은행, 상점
라.
아파트, 미용원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건축물의 종류 표준 부하(VA/m2) 공장,공회당,사원,교회,극장,영화관,연회장 등 10 기숙사,여관,호텔,병원,학교,음식점,다방,대중 목욕탕 20 주택,아파트,사무실,은행,상점,이발소,미장원 30 [해설작성자 : 반도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년 개정 공장 공회당 사원 교회 극장 영화관 연회장 등 10 VA/m 기숙사 여관 호텔 병원 학교 음식점 다방 목욕탕 20VA/m 사무실 은행 상점 이발소 미장원 30VA/m 주택 아파트 40 VA/m
57.
지중전선로를 직접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의 매설 깊이(m)는?(2021년 KEC 개정된 규정 적용됨)
가.
0.6m 이상
나.
1.0m 이상
다.
1.2m 이상
라.
1.5m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1년 KEC 개정] 직접매설식 : 1.2[m] → 1[m] (중량에 의한 압력우려 없을 시 0.6[m]) ※ 직접매설식/관로식/암거식 모두 동일
[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조(시행일) 이 공고는 공고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54조제1항제7호[공고 제2019-195호(2019. 3. 25.) 포함]의 규정은 2021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58.
동전선의 직선접속에서 단선 및 연선에 적용되는 접속 방법은?
가.
직선맞대기용슬리브에 의한 압착접속
나.
가는단선(2.6㎜이상)의 분기접속
다.
S형 슬리브에 의한 분기접속
라.
터미널 러그에 의한 접속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 동전선의 분기접속 단선 사용 3. 동전선의 분기접속에서 단선 및 연선 사용 4. 알루미늄전선의 종단접속에 사용 [해설작성자 : 기술배우자]
59.
금속관 공사에 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가.
저압옥내 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제1종 접지를 사용한다.
나.
저압옥내 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제2종 접지를 사용한다.
다.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것은 전선관의 두께를 1.2mm 이상으로 한다.
라.
전선은 옥외용 비닐 절연 전선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제 3종 접지공사를 한다.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 특별 제 3종 접지공사를 한다. 금속관 공사에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삼마고 최도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