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옥외소화전설비의 기준에서 옥외소화전함은 옥외소화전으로부터 보행거리 몇 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가.
1.5
나.
5
다.
7.5
라.
10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옥외소화전은 옥외소화전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데 그 상호거리는 5m이내이어야 한다. 비상전원 45분 호스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는 40m이하 방수압력 350kpa이상 방수량 450L/min [해설작성자 : 차암루하]
13.
위험물의 품명·수량 또는 지정수량 배수의 변경신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허가청과 협의하여 설치한 군용위험물시설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나.
변경신고는 변경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완공검사필증을 첨부하여 신고하여야 한다.
다.
위험물의 품명이나 수량의 변경을 위해 제조소등의 위치·구조 또는 설비를 변경하는 경우에 신고한다.
라.
위험물의 품명·수량 및 지정수량의 배수를 모두 변경할 때에는 신고를 할 수 없고 허가를 신청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괄리법렬-변경신고 1. 군용위허물시설의 설치 및 변경 시 시,도지사와 협의하는 것으로 하여 변경신고 적용된다. 2. 변경신고는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7일 전까지 시,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위험물의 품명이나 수량의 변경 없이 제조소등의 위치,구조 또는 설비를 변경하는 경우에 신고한다. 4. 위험물의 품편,수량 및 지정수량의 배수를 모두 변경할 때에는 변경신고를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빛]
14.
제조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의 합이 지정수량의 24만 배 이상 48만 배 미만인 사업소의 자체소방대에 두는 화학소방자동차 수와 소방대원의 인원기준으로 옳은 것은?
주유취급소 중 건축물의 2층에 휴게음식점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있어 해당 건축물의 2층으로부터 직접 주유취급소의 부지 밖으로 통하는 출입구와 해당 출입구로 통하는 통로·계단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가.
비상경보설비
나.
유도등
다.
비상조명등
라.
확성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출입구와 해당 출입구로 통하는 통로·계단에 설치하는것은 유도등이다. [해설작성자 : ㄱㄷㅇ]
16.
높이 15m, 지름 20m인 옥외저장탱크에 보유공지의 단축을 위해서 물분무설비로 방호조치를 하는 경우 수원의 양은 약 몇 L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가.
46,496
나.
58,090
다.
70,259
라.
95,880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3.14(파이) x 지름 x 37 x 20 [해설작성자 : 리키도잔]
*옥외저장탱크의 보유고지를 1/2 이상의 너비 (최소3m 이상)으로 할 수 있는 물분무설비에 피룡한 수원의 양은 탱크의 원주(원의 둘레=π x 탱크의지름) 길이1m 에 대해 분당 37L 이상으로 한고 20분 이상 방사 할 수 있어야 한다. 수원양 = π x 20m x 37L/min x 20min = 46496L [해설작성자 : alkyn]
17.
위험물제조소등에 설치해야 하는 각 소화설비의 설치기준에 있어서 각 노즐 또는 헤드선단의 방사압력 기준이 나머지 셋과 다른 설비는?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7] 소화설비¸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기준(제41조제2항·제42조제2항 및 제43조제2항관련) 제5호 마목 3), 바목 3)에 법적 근거 서술 -옥내소화전설비는 각층을 기준으로 하여 당해 층의 모든 옥내소화전(설치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는 5개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 각 노즐끝부분의 방수압력이 350㎪ 이상이고 방수량이 1분당 260ℓ 이상의 성능이 되도록 할 것 - 옥외소화전설비는 모든 옥외소화전(설치개수가 4개 이상인 경우는 4개의 옥외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 각 노즐끝부분의 방수압력이 350㎪ 이상이고, 방수량이 1분당 450ℓ 이상의 성능이 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ㅇㅇ]
21.
1종 판매취급소에 설치하는 위험물 배합실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
바닥면적은 6m2 이상 15m2 이하일 것
나.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벽으로 구획할 것
다.
출입구는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식의 갑종방화문으로 설치할 것
라.
출입구 문턱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2m 이상일 것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4. 출입구 문턱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1m 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스피리츠]
<문제 해설> 1번 보기 - 물과 접촉하면 발열하는 것은 제1류의 알칼리금속과산화물, 제3류의 금수성 물질, 제6류 성질 2번 보기 - 자기연소성 물질은 제5류 3번 보기 - 많은 산소를 함유한 강산화제는 제1류와 제6류 4번 보기 - 상온에서 액상인 가연성 액체는 제4류(인화성 액체)의 성질이다. *가연성 - 불꽃을 내며 불에 잘 타는 물질의 성질 *인화성 - 가연성 물질로서 불이 아주 잘 붙는 물질의 성질. 고로 문제의 답은 가장 옳은 것을 고르라 했으니 4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43.
위험물 운송책임자의 감독 또는 지원의 방법으로 운송의 감독 또는 지원을 위하여 마련한 별도의 사무실에 운송책임자가 대기하면서 이행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운송 후에 운송경로를 파악하여 관할 경찰관서에 신고하는 것
나.
이동탱크저장소의 운전자에 대하여 수시로 안전확보 상황을 확인하는 것
다.
비상시의 응급처치에 관하여 조언을 하는 것
라.
위험물의 운송 중 안전확보에 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감독 또는 지원하는 것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번 경찰관서가 아니라 소방관서 [해설작성자 : ..]
운송 후가 아니라 운송전 소방관서에 신고 [해설작성자 : ㅎㅎㅎ]
44.
제조소등에 있어서 위험물을 저장하는 기준으로 잘못된 것은?
가.
황린은 제3류 위험물이므로 물기가 없는 건조한 장소에 저장하여야 한다.
나.
덩어리상태의 유황은 위험물 용기에 수납하지 않고 옥내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다.
옥내저장소에서는 용기에 수납하여 저장하는 위험물의 온도가 55℃를 넘지 아니하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라.
이동저장탱크에는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유별·품명·최대수량 및 적재중량을 표시하고 잘 보일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황린 : 3류 위험물로 백색 또는 담황색의 고체, 물속에 저장 [해설작성자 : 하리마오]
45.
요오드(아이오딘)산 아연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결정성 분말이다.
나.
유기물과 혼합 시 연소 위험이 있다.
다.
환원력이 강하다.
라.
제1류 위험물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류 요오드산염류로 산화제이다 [해설작성자 : 뭐]
46.
1몰의 에틸알코올이 완전 연소하였을 때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는 몇 몰인가?
가.
1몰
나.
2몰
다.
3몰
라.
4몰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C2H5OH(에틸알코올) +7O2(산소)->4CO2(이산화탄소)+6H2O(물) •2몰의 에틸알코올 : 4몰의 이산화탄소 생성 •1몰의 에틸알코올 : 2몰의 이산화탄소 생성 [해설작성자 : 아가사리빠가사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5]이송취급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제39조관련) 25. 밸브 교체밸브·제어밸브 등은 다음 각목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가. 밸브는 원칙적으로 이송기지 또는 전용부지내에 설치할 것 나. 밸브는 그 개폐상태가 당해 밸브의 설치장소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다. 밸브를 지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점검상자 안에 설치할 것 라. 밸브는 당해 밸브의 관리에 관계하는 자가 아니면 수동으로 개폐할 수 없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ㅇㅇ]
48.
과염소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물과 접촉하면 발열한다.
나.
불연성이지만 유독성이 있다.
다.
증기비중은 약 3.5이다.
라.
산화제이므로 쉽게 산화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산화제는 자신은 환원되고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물질을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빨간실내화]
49.
알킬알루미늄의 저장 및 취급방법으로 옳은 것은?
가.
용기는 완전 밀봉하고 CH4, C3H8 등을 봉입한다.
나.
C6H6 등의 희석제를 넣어준다.
다.
용기의 마개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뚫는다.
라.
통기구가 달린 용기를 사용하여 압력상승을 방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알킬알루미늄의 저장방법 1. 공기, 물 등의 접촉을 피하고 용기의 상부는 불연성가스로 밀봉한다. 2. 희석제로 벤젠, 헥세인, 톨루엔 등을 사용한다. 3. 유리용기에 의한 장기간 보관은 분해에 의해 내부압력이 올라가므로 위험하다. [해설작성자 : 경기fire20]
50.
제조소등에서 위험물을 유출시켜 사람의 신체 또는 재산에 대하여 위험을 발생시킨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가.
1년 이상 3년 이하의 징역
나.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다.
1년 이상 7년 이하의 징역
라.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제33조(벌칙) ①제조소등에서 위험물을 유출ㆍ방출 또는 확산시켜 사람의 생명·신체 또는 재산에 대하여 위험을 발생시킨 자는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51.
고정 지붕 구조를 가진 높이 15m의 원통종형 옥외위험물 저장탱크 안의 탱크 상부로부터 아래로 1m 지점에 고정식포 방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건의 탱크를 신설하는 경우 최대 허가량은 얼마인가? (단, 탱크의 내부 단면적은 100m2이고, 탱크 내부에는 별다른 구조물이 없으며, 공간용적 기준은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가.
1,400m3
나.
1,370m3
다.
1,350m3
라.
1,300m3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탱크의 용적- 공간용적 위험물수납시 탱크의 일정한빈공간을 유지하는 것 -소화설비 설치 탱크 소화설비의 소화약제방출구 아래 0.3미터 이상 1미터 미만 사이의 면으로 부터 윗부분의 용적 높이 14M지점에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높이 13M~13.7M까지 공간용적이다. 탱크허가용량이 최대가 되려면 높이 13.7M이므로 ㅠr2l = 100 * 13.7 =1370m2 이다. 나합격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염소산나트륨의 저장 및 취급 시 주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철제용기에 저장은 피해야 한다.
나.
열분해 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므로 질식에 유의한다.
다.
조해성이 있으므로 방습에 유의한다.
라.
용기에 밀전하여 보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염소산나트륨(1류위험물) 1. 무색, 무취의 입방정계, 주상결정 2. 알코올 에테르, 물에 잘 녹으며 조해성이 크다 3. 철을 부식 시키므로 철제용기 저장 불가 [해설작성자 : 하리마오]
2번해설 : 열분해시 "산소"가 발생함 [해설작성자 : Mario Park]
53.
제4류 위험물의 옥외저장탱크에 대기밸브 부착 통기관을 설치할 때 몇 kPa 이하의 압력 차이로 작동하여야 하는가?
가.
5kPa 이하
나.
10kPa 이하
다.
15kPa 이하
라.
20kPa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제 4류 위험물의 옥외저장탱크에 대기밸브 부착 통기관 설치: 5kpa 이하 [해설작성자 : 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