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London형 스모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Los Angeles형 스모그와 비교)
1.
복사성 역전
2.
습도가 85%이상
3.
시정거리가 100m 이하
4.
산화반응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4. 환원반응 [해설작성자 : 좋네좋아]
5.
다음 특정물질 중 오존 파괴지수가 가장 큰 것은?
1.
CFC-113
2.
CFC-114
3.
Halon-1211
4.
Halon-1301
정답 : [
4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오존 파괴지수가 가장 큰 것은 할론-1301 이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6.
리차드슨 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차드슨 수가 -0.04보다 작으면 수직방향의 혼합은 없다.
2.
리차드슨 수가 0이면 기계적 난류만 존재한다.
3.
리차드슨 수가 0에 접근하면 분산에 커져 대류혼합이 지배적이다.
4.
일차원 수로서 기계난류를 대류난류로 전환시키는 율을 측정한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 리차드슨 수가 -0.04보다 작으면 수직방향의 운동이 지배적이다. 3. 리차드슨 수가 0에 접근하면 분산이 줄어든다. 4. 일차원 수로서 대류난류를 기계적인 난류로 전환시키는 율을 측정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리차든수는 무차원수입니다 [해설작성자 : 나]
7.
혼합층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최대혼합깊이는 통상 낮에 가장 적고, 밤시간을 통하여 점차 증가한다.
2.
야간에 역전이 극심한 경우 최대혼합깊이는 5000m 정도까지 증가한다.
3.
계절적으로 최대혼합깊이는 주로 겨울에 최소가 되고 이른 여름에 최대값을 나타낸다.
4.
환기량은 혼합층의 온도와 혼합층 내의 평균풍속을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최대혼합깊이는 통상 낮에 가장 크고, 밤에 최소가 된다. 2. 야간에 역전이 극심한 경우 값이 0에 가깝고, 낮 시간에 증가하여 2000~3000m에 이른다. [해설작성자 : file14]
[추가 해설]
4. 환기량은 혼합층의 깊이(높이)와 혼합층 내의 평균 풍속을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해설작성자 : Rine]
8.
각 오염물질의 대사 및 작용기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알루미늄화합물은 소장에서 인과 결합하여 인 결핍과 골연화증을 유발한다.
2.
암모니아와 아황산가스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기 때문에 흡입된 대부분의 가스가 상기도 점막에서 흡수되므로 즉각적으로 자극증상을 유발한다.
3.
삼염화에틸렌은 다발성신경염을 유발하고,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데 간과 신경에 미치는 독성이 사염화탄소에 비해 현저하게 높다.
4.
이황화탄소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특징적인 독성작용으로 심한 급성 또는 아급성 뇌병증을 유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삼염화에틸렌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며 간과 신장에 미치는 독성은 사염화탄소에 비해 낮은편이다. [해설작성자 : file14]
9.
주요 배출오염물질과 그 발생원과의 연결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HF - 도장공업, 석유정제
2.
HCl - 소다공업, 활성탄제조, 금속제련
3.
C6H6 - 포르말린제조
4.
Br2- 염료, 의약품 및 농약 제조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HF - 인산비료공업, 요업, 유리공업, 알루미늄 공업 (참고: 벤젠-도장공업,석유정제)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10.
각 오염물질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소는 암모니아에 비해서 훨씬 수용성이 약하므로 후두에 부종만을 일으키기 보다는 호흡기계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2.
포스겐 자체는 자극성이 경미하지만 수중에서 재빨리 염산으로 분해되어 거의 급성 전구증상이 없이 치사량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하다.
3.
브롬화합물은 부식성이 강하며 주로 상기도에 대하여 급성 흡입효과를 지니고, 고농도에서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폐부종을 유발하기도 한다.
4.
불화수소는 수용액과 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 매우 잘 녹으며, 무수불화수소는 약산성의 물질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불화수소는 물에 잘 녹으며 [해설작성자 : aa]
불화수소는 물에 잘 녹으며 무수불화수소는 강산성의 물잘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11.
다음은 입경(직경)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휘렛 직경
2.
마틴 직경
3.
공기역학적 직경
4.
스토크스 직경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2. 마틴직경: 투영면적을 같은 면적으로 2등분하는 직선의 길이 3. 공기역학적 직경: 구형이 아닌 입자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g/cm3 인 구형입자의 직경 4. 스토크 직경: 구형이 아닌 입자와 같은 침강속도 & 밀도를 갖는 구형입자의 직경 [해설작성자 : ClayMan]
12.
지표부근의 공기덩이가 지면으로부터 열을 받는 경우 부력을 얻어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과정에서 단열변화가 이루어져 어떤 고도에 이르면 상승한 공기 중에 들어있는 수증기는 포화되고 응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열적 상승에 의해 응결이 이루어지는 고도를 일컫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대류응결고도(CCL)
2.
상승응결고도(LCL)
3.
혼합응결고도(MCL)
4.
상승지수(LI)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대류응결고도 vs 상승응결고도
대류응결고도는 지면으로부터 열을 받는 경우의 부력으로 인해 공기가 상승할 때의 응결고도를 말한다. 반면, 상승응결고도는 그 이외의 강제 공기 상승 요인 (산악 지형, 수렴의 경계 등) 때문에 공기가 상승하고, 그 때의 응결고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혼합응결고도(MCL) → 지면 부근의 공기가 난류 등에 의해 혼합되어, 어느 고도에서 포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의 고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도레미파솔로시죠]
13.
최대 혼합고도를 400 m로 예상하여 오염농도를 3 ppm으로 추정하였는데, 실제 관측된 최대 혼합고도는 200 m였다. 실제 나타날 오염농도는? (단, 기타 조건은 같음)
1.
21 ppm
2.
24 ppm
3.
27 ppm
4.
29 ppm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실제 오염농도 = 예상 오염 농도 *(예상 최대 혼합고도/실제 최대 혼합고도)^3 [해설작성자 : 파스쿠스코]
14.
냄새물질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분자내 수산기의 수가 1개 일 때 가장 약하고, 수가 증가하면 강한 냄새를 유발한다.
2.
골격이 되는 탄소 수는 저분자일수록 관능기 특유의 냄새가 강하다.
3.
에스테르화합물은 구성하는 산이나 알코올류보다 방향이 우세하다.
4.
분자 내에 황 및 질소가 있으면 냄새가 강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분자내 수산기의 수가 1개일 때 가장 강하고, 수가 증가하면 약해져 무취에 이른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15.
라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인체의 조혈기능 및 중추신경계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크다.
2.
무색, 무취의 기체로 액화되어도 색을 띠지 않는 물질이다.
3.
공기보다 9배 정도 무거워 지표에 가깝게 존재한다.
4.
주로 토양, 지하수, 건축자재 등을 통하여 인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흙속에서 방사선 붕괴를 일으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호흡기 계통의 질환과 폐암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대기열공]
1.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거의 없다. (불활성이다.) [해설작성자 : 윤]
16.
질소산화물(NOx)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N2O는 대류권에서는 온실가스로 성층권에서는 오존층 파괴물질로서 보통 대기 중에 약 0.5ppm 정도 존재한다.
2.
연소과정 중 고온에서는 90% 이상이 NO로 발생한다.
3.
NO2는 적갈색, 자극성 기체로 독성이 NO보다 약 5배 정도나 더 크다.
4.
NO의 독성은 오존보다 10~15배 강하여 폐렴, 폐수종을 일으키며, 대기 중에 체류시간은 20~100년 정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NO의 체류시간은 2~5일 체류시간 20~100년은 N2O 폐렴, 폐수종을 일으키는 물질은 NO2 [해설작성자 : 대기 넘어려워요...]
NO독성은 오존보다 약하고, 대기중체류시간은 2-5일 [해설작성자 : 솔솔]
17.
다음 오염물질의 균질층 내에서의 건조공기 중 체류시간의 순서배열(짧은 시간에서부터 긴 시간)로 옳게 나열된 것은?
연료분사범위는 외부혼합식이 3~500 L/hr, 내부혼합식이 10~1200 L/hr 정도이다.
2.
분무각도는 30~60˚ 정도이고 유량조절비는 1:5로 비교적 커서 부하변동에 적응이 용이하다.
3.
2~8 kg/cm2의 고압공기를 사용하여 연료유를 무화시키는 방식이다.
4.
분무에 필요한 1차 공기량은 이론연소공기량의 7~12% 정도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2번 보기 내용은 저압기류 분무식 버너의 설명이다.
분무각도는 30도 정도이고 유량조절비는 1:10로 비교적 커서 부하변동에 적응이 용이하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40.
다음의 액체탄화수소 중 탄소수가 가장 적고, 비점이 30~200℃, 비중이 0.72~0.76 정도인 것은?
1.
중유
2.
경유
3.
등유
4.
휘발유
정답 : [
4
] 정답률 : 75%
3과목 : 생태복원공학
41.
상온에서 밀도가 1000kg/m3, 입경 50㎛인 구형 입자가 높이 5m 정지대기 중에서 침강 하여 지면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sec)은 약 얼마인가? (단, 상온에서 공기밀도는 1.2kg/m3, 점도는 1.8x10-5kg/m · sec이며, Stokes 영역이다.)
슬롯형, 루프형, 장방형, 그리트형 후드 등이 여기에 해당. 기류속도가 후드주변에서 매우 빠름 [해설작성자 : 솔솔]
슬롯형•측방형•하방형 후드가 여기에 해당, 기류속도가 후드 주변에서 매우 빠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대기오염물 중 연소성이 있는 것은 연소나 재연소시켜 제거한다. 다음 중 재연소법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설이 배기의 유량과 농도가 크게 변하지 않는 한 잘 적응할 수 있다.
2.
시설비는 비교적 많이 소요되지만, 유지비는 낮고, 연소생성물에 대한 독성의 우려가 없다.
3.
경제적인 폐열회수가 가능하다.
4.
효율 저하가 거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설비, 운전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 소각에 의한 또 다른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할 가능성이 높다. [해설작성자 : 토깸미]
시설비는 비교적 적게 소요되지만, 유지비가 높고, 연소생성물에 대한 독성의 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다음은 어떤 법칙에 관한 설명인가?
1.
헨리(Henry)의 법칙
2.
렌츠(Lenz)의 법칙
3.
샤를(Charle)의 법칙
4.
라울(Raoult)의 법칙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헨리의 법칙 : 용해도는 용매와 평형을 이루고 있는 그 기체의 부분압력에 비례 렌츠의 법칙 : 유도기전력과 유도전류는 자기장의 변화를 상쇄하려는 방향으로 발생 샤를의 법칙 : 기체의 부피는 1℃ 올라갈 때마다 0℃일 때 부피의 1/273씩 증가 라울의 법칙 : 어떤 액체 속에 다른 물질을 녹이면 증기압력이 낮아지는 현상 [해설작성자 : 도레미파솔로시죠]
중력식집진장치의 이론적 집진효율을 계산할 때 응용되는 Stokes 법칙을 만족하는 가정(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0-4 < NRe < 0.5
2.
구는 일정한 속도로 운동
3.
구는 강체
4.
전이영역흐름(intermediate flow)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층류 영역 흐름 [해설작성자 : 솔솔]
51.
유해가스로 오염된 가연성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중 연료소비량이 적은 편이며, 산화온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NOx의 발생이 매우 적은 처리방법은?
1.
직접연소법
2.
고온산화법
3.
촉매산화법
4.
산, 알칼리세정법
정답 : [
3
] 정답률 : 72%
52.
벤츄리스크러버에서 액가스비를 크게 하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
1.
먼지의 농도가 낮을 때
2.
먼지 입자의 점착성이 클 때
3.
먼지 입자의 친수성이 클 때
4.
먼지 입자의 입경이 클 때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먼지의 농도가 높을 때 → 먼지 농도 높으니까 물로 많이 조져줘야함 먼지 입자의 점착성이 클 때 → 잘 달라붙으니까 물로 더 조져줘야함 먼지 입자가 소수성일 때 (물과 안친할 때) → 안친하니까 친해지라고물 더 넣어줘야함 먼지 입경이 작을 때 → 크면 물이랑 잘만날텐데 쪼매나니까 물 더 넣어 줘서 만나야함 [해설작성자 : 김곤호]
연돌구 배경의 검은 장해물을 피해 연기의 흐름에 직각인 위치에서 태양광선을 측면으로 받는 방향으로부터 농도표를 측정자 앞 16m에 놓는다.
4.
굴뚝 배출구에서 30~40m 떨어진 곳의 농도를 측정자의 눈높이에 수직이 되게 관측 비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0도~5도까지 총 6종으로 분류한다 (O) 2. (O) 3. (O) 4. 오답 -> 굴뚝 배출구에서 30~45cm 떨어진 곳의 농도를 측정자의 눈높이에 수직이 되게 관측 비교한다. [해설작성자 : 링딩동]
링겔만 매연농도법 측정방법
될수 있는 한 무풍일 때 연돌구배경의 검은 장해물을 피해 연기의 흐름에 직각인 위치에 태양광선을 측면으로 받는 방향으로부터 농도표를 측정치의 앞 16m에 놓고 200m이내(가능하면 연돌구에서 16m)의 적당한 위치에 서서 연도배출구에서 30~45cm 떨어진 곳의 농도를 측정자의 눈높이에 수직이 되게 관측 비교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68.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공명선(Resonance Line) : 원자가 외부로부터 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먼저 상태로 돌아갈 때 방사하는 스펙트럼선
2.
중공음극램프(Hollow Cathode Lamp) : 원자흡광분석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목적원소를 함유하는 중공음극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고압의 질소와 함께 채운 방전관
3.
역화(Flame Back) : 불꽃의 연소속도가 작고 혼합기체의 분출속도가 클 때 연소현상이 내부로 옮겨지는 것
4.
멀티 패스(Multi-Path) : 불꽃 중에서 광로를 짧게 하고 반사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불꽃 중에 빛을 여러번 투과시키는 것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공명선(정답) : 원자가 외부로부터 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먼저 상태로 돌아갈 때 방사하는 스펙트럼 선 2. 중공음극램프 : 원자흡광분석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목적원소를 함유하는 중곡음극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저압의 네온과 함께 채운 방전관 3. 역화 : 불꽃의 연소속도가 크고, 혼합기체의 분출속도가 작을 때 연소현상이 내부로 옮겨지는 것 4. 멀티패스 : 불꽃 중에서 광로를 길게 하고 흡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반사를 이용하여 불꽃 중에 빛을 여러 번 투과시키는 것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69.
어떤 굴뚝 배출가스의 유속을 피토우관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동압 측정시 확대율이 10배인 경사 마노미터를 사용하여 액주 55mm를 얻었다. 동압은 약 몇 mmH20 인가? (단, 경사 마노미터에는 비중 0.85의 톨루엔을 사용한다.)
저용량 공기시료채취기에 의해 환경대기 중 먼지 채취 시 여과지 또는 샘플러 각 부분의 공기저항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손실을 측정하여 유량계의 유량을 보정해야 한다. 유량계의 설정조건에서 1기압에서의 유량을 20L/min, 사용조건에 따른 유량계 내의 압력손실을 150mmHg라 할 때, 유량계의 눈금값은 얼마로 설정하여야 하는가?
[오류신고 반론] 반대로 생각해보면 압력 손실이 일어난 상태에서 유량계 설정을 해놓아야 1기압=760mmHg 일 때 실제 20L/min로 출력이 뽑힌다는 말이 됩니다.
그럼 유량계 설정을 몇으로 (압력 손실이 있으니 20L/min 보단 높게 설정해야겠죠.) 해야하는가가 해당 문제가 됩니다.
즉, [P1=압력 손실 일어난 압력]에서 [P2=1기압=760mmHg]에 해당하는 비를 찾으면 되고, 그게 첫 해설인 Q2/Q1=(P2/P1)^0.5 이 됩니다.
따라서 Q2=Q1*(P2/P1)^0.5=20*{760/(760-150)}^0.5=22.3 [해설작성자 : 호돌이]
71.
굴뚝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 무기불소화합물을 자외선/가시선분광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때, 불소화합물의 농도(ppm, F)는? (단, 방해이온이 존재할 경우)(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다음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충전물질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흡착형 충전물질
2.
분배형 충전물질
3.
다공성 고분자형 충전물질
4.
이온교환막형 충전물질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흡착형 충전물질 : 기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는 분리관의 내경에 따라 입도가 고른 흡착성고체분말(실리카겔, 활성탄, 알루미나, 합성제올라이트)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분말에 표면처리한 것을 각 분석방법에 규정하는 방법대로 처리하여 활성화한 것을 사용한다.
분배형 충전물질 :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는 적당한 담체에 고정상 액체를 함침시킨 것을 충전물로 사용한다. 여기서 담체란 시료 및 고정상액체에 대하여 불활성인 것으로 규조토, 내화벽돌, 유리, 석영,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며 각 분석방법에서 전처리를 규정한 경우에는 그 방법에 따라 산처리, 알칼리처리, 실란처리 등을 한 것을 사용한다. 참고로 내화벽돌은 일반적인 내화점토를 사용한 것이 아니고 규조토를 주성분으로한 내화온도 1100도 정도의 단열벽돌이다.
76.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연료의 연소, 금속제련 또는 화학반응 공정 등에서 배출되는 굴뚝 배출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분석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비분산형적외선분석법
2.
기체크로마토그래피
3.
정전위전해법
4.
화학발광법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일 정 비 가스 일산화탄소 1. 정전위전해법 2. 비분산형적외선분석법 3. 가스 - 기체크로마토그래피 [해설작성자 : ㅇㅇ]
화학발광법 - 일산화질소 산화물을 연속적으로 검출 [해설작성자 : 도레미파솔로시죠]
77.
굴뚝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대한 시료채취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굴뚝 내의 압력이 매우 큰 부압(-330mmH2O 정도 이하)인 경우에는 시료채취용 굴뚝을 부설한다.
2.
굴뚝 내의 압력이 부압(-)인 경우에는 채취구를 열었을 때 유해가스가 분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충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3.
가스미터는 100mmH2O 이내에서 사용한다.
4.
시료가스의 양을 재기 위하여 쓰는 채취병은 미리 0℃ 때의 참부피를 구해둔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굴뚝 내의 압력이 "정압(+)"인 경우에는 채취구를 열었을 때 유해가스가 분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충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해설작성자 : 수히]
78.
굴뚝배출가스 중 수분량이 체적백분율로 10%이고, 배출가스의 온도는 80℃, 시료채취량은 10L, 대기압은 0.6기압, 가스미터 게이지압은 25mmHg, 가스미터온도 80℃에서의 수증기포화압이 255mmHg라 할 때, 흡수된 수분량(g)은?
<문제 해설> 특정대기유해물질: 카드뮴 및 그 화합물, 시안화부소, 납 및 그 화합물, 폴리염화비페닐, 크롬 및 그 화합물, 비소 및 그 화합물, 수은 및 그 화합물, 프로필렌 옥사이드, 염소 및 염화수소, 불소합물, 석면, 니켈 및 그 화합물, 염화비닐, 다이옥신, 페놀 및 그 화합물,베릴륨 및 그 화합물, 벤젠, 사염화탄소, 이황화메틸, 아닐린,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지딘, 1,3-부타디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틸렌옥사이드, 디클로로메탄, 스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탄, 에틸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히드라진. 총 35개 [해설작성자 : 수히]
참고로 망간은 (일반)대기오염물질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허수아비]
8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측정기기의 부착·운영 등과 관련된 행정처분기준 중 “부식·마모·고장 또는 훼손되어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아니하는 측정기기를 정당한 사유 없이 7일 이상 방치하는 경우” 1차~4차 행정처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경고 - 경고 - 경고 - 조업정지 5일
2.
경고 - 경고 - 경고 - 조업정지 10일
3.
경고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 허가 취소 또는 폐쇄
4.
경고 - 경고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36] <개정 2022. 5. 3.> 법령 확인해봤는데,(2023.02.13 확인) 부식·마모·고장 또는 훼손되어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아니하는 측정기기를 정당한 사유 없이 7일이상 방치하는 경우
경고 -> 경고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입니다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대기환경 보전법 시행규칙 확인하고옴]
85.
다음은 실내공기질 관리법상 측정기기의 부착 및 운영ㆍ관리와 규제의 재검토 사항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1년 마다
2.
2년 마다
3.
3년 마다
4.
5년 마다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2017년 1월 1일 기준 타당성 검토는 5년마다 한다. [해설작성자 : 오잉]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상 실천계획의 수립ㆍ시행 및 평가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 2년, ㉡ 대통령령
2.
㉠ 2년, ㉡ 환경부령
3.
㉠ 5년, ㉡ 대통령령
4.
㉠ 5년, ㉡ 환경부령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020.4.3 시행된 대기환경보전법에서 해당 내용 삭제됨(법률 제16306호, 2019.4.2 일부 개정, 대기환경보전법 제19조 삭제) [해설작성자 : jh8511]
90.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사업자가 스스로 방지시설을 설계ㆍ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시ㆍ도지사에 제출하여야 할 서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기술능력 현황을 적은 서류
2.
공정도
3.
배출시설의 공정도, 그 도면 및 운영규약
4.
원료(연료를 포함한다) 사용량, 제품생산량 및 오염물질 등의 배출량을 예측한 명세서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자가방지시설의 설계, 시공할 경우의 제출서류 1. 배출시설의 설치명세서 2. 공정도 3. 원료(연료포함) 사용량, 제품생산량 및 대기오염 물질 등의 배출량을 예측한 명세서 4. 방지시설의 설치명세서와 그 도면 5. 기술능력 현황을 적은 서류 [해설작성자 : d]
91.
악취방지법규상 지정악취물질이 아닌 것은?
1.
아세트알데하이드
2.
메틸메르캅탄
3.
톨루엔
4.
벤젠
정답 : [
4
] 정답률 : 69%
9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일일유량의 산정방법 (일일유량=측정유랑x일일조업시간) 중 일일조업시간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일일조업시간은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7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2.
일일조업시간은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15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3.
일일조업시간은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30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4.
일일조업시간은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60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9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비산먼지 발생사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금속물질의 채취업, 제조업 및 가공업
2.
제 1차 금속 제조업
3.
운송장비 제조업
4.
목재 및 광석의 운송업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024.01.30 제 44조 1. 시멘트ㆍ석회ㆍ플라스터 및 시멘트 관련 제품의 제조업 및 가공업 2. 비금속물질의 채취업, 제조업 및 가공업 3. 제1차 금속 제조업 4. 비료 및 사료제품의 제조업 5. 건설업(지반 조성공사, 건축물 축조공사, 토목공사, 조경공사 및 도장공사로 한정한다) 6. 시멘트, 석탄, 토사, 사료, 곡물 및 고철의 운송업 7. 운송장비 제조업 8. 저탄시설(貯炭施設)의 설치가 필요한 사업 9. 고철, 곡물, 사료, 목재 및 광석의 하역업 또는 보관업 10. 금속제품의 제조업 및 가공업 11. 폐기물 매립시설 설치ㆍ운영 사업 [해설작성자 : kkkang]
94.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함유기준에 부적합한 유류를 판매하여 그 해당 유류의 회수처리 명령을 받은 자는 시·도지사 등에게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며칠 이내에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5일 이내에
2.
7일 이내에
3.
10일 이내에
4.
30일 이내에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유류의 회수처리명령을 받은 자는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5일 이내에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해즐베이커]
9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대기 환경기준 항목과 그 측정방법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법 개정(18.05.28)으로 '측정방법'이 삭제되어 답은 없다. [해설작성자 : 허ㅏㅓㅓ]
96.
악취관리법상 악취배출시설 설치자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 변경신고를 해야 하는데 이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악취배출 허용기준 초과와 관련하여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내려가도록 조치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자 2. 기술진단을 실시하지 아니한자 3. 기술진단전문기관과 관련하여 변경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중요한 사항을 변경한 자 4. 기술진단전문기관 등의 준수사항을 지키지 아니한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변경신고를 한자 2.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자 또는 자료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제출한 자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97.
대기환경보전법상 평균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자동차제작자에 대한 상환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고 자동차를 제작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다음 중 London형 스모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Los Angeles형 스모그와 비교)
1.
복사성 역전
2.
습도가 85%이상
3.
시정거리가 100m 이하
4.
산화반응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4. 환원반응 [해설작성자 : 좋네좋아]
5.
다음 특정물질 중 오존 파괴지수가 가장 큰 것은?
1.
CFC-113
2.
CFC-114
3.
Halon-1211
4.
Halon-1301
정답 : [
4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오존 파괴지수가 가장 큰 것은 할론-1301 이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6.
리차드슨 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차드슨 수가 -0.04보다 작으면 수직방향의 혼합은 없다.
2.
리차드슨 수가 0이면 기계적 난류만 존재한다.
3.
리차드슨 수가 0에 접근하면 분산에 커져 대류혼합이 지배적이다.
4.
일차원 수로서 기계난류를 대류난류로 전환시키는 율을 측정한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 리차드슨 수가 -0.04보다 작으면 수직방향의 운동이 지배적이다. 3. 리차드슨 수가 0에 접근하면 분산이 줄어든다. 4. 일차원 수로서 대류난류를 기계적인 난류로 전환시키는 율을 측정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리차든수는 무차원수입니다 [해설작성자 : 나]
7.
혼합층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최대혼합깊이는 통상 낮에 가장 적고, 밤시간을 통하여 점차 증가한다.
2.
야간에 역전이 극심한 경우 최대혼합깊이는 5000m 정도까지 증가한다.
3.
계절적으로 최대혼합깊이는 주로 겨울에 최소가 되고 이른 여름에 최대값을 나타낸다.
4.
환기량은 혼합층의 온도와 혼합층 내의 평균풍속을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최대혼합깊이는 통상 낮에 가장 크고, 밤에 최소가 된다. 2. 야간에 역전이 극심한 경우 값이 0에 가깝고, 낮 시간에 증가하여 2000~3000m에 이른다. [해설작성자 : file14]
[추가 해설]
4. 환기량은 혼합층의 깊이(높이)와 혼합층 내의 평균 풍속을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해설작성자 : Rine]
8.
각 오염물질의 대사 및 작용기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알루미늄화합물은 소장에서 인과 결합하여 인 결핍과 골연화증을 유발한다.
2.
암모니아와 아황산가스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기 때문에 흡입된 대부분의 가스가 상기도 점막에서 흡수되므로 즉각적으로 자극증상을 유발한다.
3.
삼염화에틸렌은 다발성신경염을 유발하고,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데 간과 신경에 미치는 독성이 사염화탄소에 비해 현저하게 높다.
4.
이황화탄소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특징적인 독성작용으로 심한 급성 또는 아급성 뇌병증을 유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삼염화에틸렌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며 간과 신장에 미치는 독성은 사염화탄소에 비해 낮은편이다. [해설작성자 : file14]
9.
주요 배출오염물질과 그 발생원과의 연결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HF - 도장공업, 석유정제
2.
HCl - 소다공업, 활성탄제조, 금속제련
3.
C6H6 - 포르말린제조
4.
Br2- 염료, 의약품 및 농약 제조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HF - 인산비료공업, 요업, 유리공업, 알루미늄 공업 (참고: 벤젠-도장공업,석유정제)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10.
각 오염물질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소는 암모니아에 비해서 훨씬 수용성이 약하므로 후두에 부종만을 일으키기 보다는 호흡기계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2.
포스겐 자체는 자극성이 경미하지만 수중에서 재빨리 염산으로 분해되어 거의 급성 전구증상이 없이 치사량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하다.
3.
브롬화합물은 부식성이 강하며 주로 상기도에 대하여 급성 흡입효과를 지니고, 고농도에서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폐부종을 유발하기도 한다.
4.
불화수소는 수용액과 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 매우 잘 녹으며, 무수불화수소는 약산성의 물질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불화수소는 물에 잘 녹으며 [해설작성자 : aa]
불화수소는 물에 잘 녹으며 무수불화수소는 강산성의 물잘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11.
다음은 입경(직경)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휘렛 직경
2.
마틴 직경
3.
공기역학적 직경
4.
스토크스 직경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2. 마틴직경: 투영면적을 같은 면적으로 2등분하는 직선의 길이 3. 공기역학적 직경: 구형이 아닌 입자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g/cm3 인 구형입자의 직경 4. 스토크 직경: 구형이 아닌 입자와 같은 침강속도 & 밀도를 갖는 구형입자의 직경 [해설작성자 : ClayMan]
12.
지표부근의 공기덩이가 지면으로부터 열을 받는 경우 부력을 얻어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과정에서 단열변화가 이루어져 어떤 고도에 이르면 상승한 공기 중에 들어있는 수증기는 포화되고 응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열적 상승에 의해 응결이 이루어지는 고도를 일컫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대류응결고도(CCL)
2.
상승응결고도(LCL)
3.
혼합응결고도(MCL)
4.
상승지수(LI)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대류응결고도 vs 상승응결고도
대류응결고도는 지면으로부터 열을 받는 경우의 부력으로 인해 공기가 상승할 때의 응결고도를 말한다. 반면, 상승응결고도는 그 이외의 강제 공기 상승 요인 (산악 지형, 수렴의 경계 등) 때문에 공기가 상승하고, 그 때의 응결고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혼합응결고도(MCL) → 지면 부근의 공기가 난류 등에 의해 혼합되어, 어느 고도에서 포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의 고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도레미파솔로시죠]
13.
최대 혼합고도를 400 m로 예상하여 오염농도를 3 ppm으로 추정하였는데, 실제 관측된 최대 혼합고도는 200 m였다. 실제 나타날 오염농도는? (단, 기타 조건은 같음)
1.
21 ppm
2.
24 ppm
3.
27 ppm
4.
29 ppm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실제 오염농도 = 예상 오염 농도 *(예상 최대 혼합고도/실제 최대 혼합고도)^3 [해설작성자 : 파스쿠스코]
14.
냄새물질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분자내 수산기의 수가 1개 일 때 가장 약하고, 수가 증가하면 강한 냄새를 유발한다.
2.
골격이 되는 탄소 수는 저분자일수록 관능기 특유의 냄새가 강하다.
3.
에스테르화합물은 구성하는 산이나 알코올류보다 방향이 우세하다.
4.
분자 내에 황 및 질소가 있으면 냄새가 강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분자내 수산기의 수가 1개일 때 가장 강하고, 수가 증가하면 약해져 무취에 이른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15.
라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인체의 조혈기능 및 중추신경계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크다.
2.
무색, 무취의 기체로 액화되어도 색을 띠지 않는 물질이다.
3.
공기보다 9배 정도 무거워 지표에 가깝게 존재한다.
4.
주로 토양, 지하수, 건축자재 등을 통하여 인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흙속에서 방사선 붕괴를 일으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호흡기 계통의 질환과 폐암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대기열공]
1.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거의 없다. (불활성이다.) [해설작성자 : 윤]
16.
질소산화물(NOx)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N2O는 대류권에서는 온실가스로 성층권에서는 오존층 파괴물질로서 보통 대기 중에 약 0.5ppm 정도 존재한다.
2.
연소과정 중 고온에서는 90% 이상이 NO로 발생한다.
3.
NO2는 적갈색, 자극성 기체로 독성이 NO보다 약 5배 정도나 더 크다.
4.
NO의 독성은 오존보다 10~15배 강하여 폐렴, 폐수종을 일으키며, 대기 중에 체류시간은 20~100년 정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NO의 체류시간은 2~5일 체류시간 20~100년은 N2O 폐렴, 폐수종을 일으키는 물질은 NO2 [해설작성자 : 대기 넘어려워요...]
NO독성은 오존보다 약하고, 대기중체류시간은 2-5일 [해설작성자 : 솔솔]
17.
다음 오염물질의 균질층 내에서의 건조공기 중 체류시간의 순서배열(짧은 시간에서부터 긴 시간)로 옳게 나열된 것은?
연료분사범위는 외부혼합식이 3~500 L/hr, 내부혼합식이 10~1200 L/hr 정도이다.
2.
분무각도는 30~60˚ 정도이고 유량조절비는 1:5로 비교적 커서 부하변동에 적응이 용이하다.
3.
2~8 kg/cm2의 고압공기를 사용하여 연료유를 무화시키는 방식이다.
4.
분무에 필요한 1차 공기량은 이론연소공기량의 7~12% 정도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2번 보기 내용은 저압기류 분무식 버너의 설명이다.
분무각도는 30도 정도이고 유량조절비는 1:10로 비교적 커서 부하변동에 적응이 용이하다.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40.
다음의 액체탄화수소 중 탄소수가 가장 적고, 비점이 30~200℃, 비중이 0.72~0.76 정도인 것은?
1.
중유
2.
경유
3.
등유
4.
휘발유
정답 : [
4
] 정답률 : 75%
3과목 : 생태복원공학
41.
상온에서 밀도가 1000kg/m3, 입경 50㎛인 구형 입자가 높이 5m 정지대기 중에서 침강 하여 지면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sec)은 약 얼마인가? (단, 상온에서 공기밀도는 1.2kg/m3, 점도는 1.8x10-5kg/m · sec이며, Stokes 영역이다.)
슬롯형, 루프형, 장방형, 그리트형 후드 등이 여기에 해당. 기류속도가 후드주변에서 매우 빠름 [해설작성자 : 솔솔]
슬롯형•측방형•하방형 후드가 여기에 해당, 기류속도가 후드 주변에서 매우 빠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대기오염물 중 연소성이 있는 것은 연소나 재연소시켜 제거한다. 다음 중 재연소법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설이 배기의 유량과 농도가 크게 변하지 않는 한 잘 적응할 수 있다.
2.
시설비는 비교적 많이 소요되지만, 유지비는 낮고, 연소생성물에 대한 독성의 우려가 없다.
3.
경제적인 폐열회수가 가능하다.
4.
효율 저하가 거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설비, 운전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 소각에 의한 또 다른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할 가능성이 높다. [해설작성자 : 토깸미]
시설비는 비교적 적게 소요되지만, 유지비가 높고, 연소생성물에 대한 독성의 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다음은 어떤 법칙에 관한 설명인가?
1.
헨리(Henry)의 법칙
2.
렌츠(Lenz)의 법칙
3.
샤를(Charle)의 법칙
4.
라울(Raoult)의 법칙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헨리의 법칙 : 용해도는 용매와 평형을 이루고 있는 그 기체의 부분압력에 비례 렌츠의 법칙 : 유도기전력과 유도전류는 자기장의 변화를 상쇄하려는 방향으로 발생 샤를의 법칙 : 기체의 부피는 1℃ 올라갈 때마다 0℃일 때 부피의 1/273씩 증가 라울의 법칙 : 어떤 액체 속에 다른 물질을 녹이면 증기압력이 낮아지는 현상 [해설작성자 : 도레미파솔로시죠]
중력식집진장치의 이론적 집진효율을 계산할 때 응용되는 Stokes 법칙을 만족하는 가정(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0-4 < NRe < 0.5
2.
구는 일정한 속도로 운동
3.
구는 강체
4.
전이영역흐름(intermediate flow)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층류 영역 흐름 [해설작성자 : 솔솔]
51.
유해가스로 오염된 가연성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중 연료소비량이 적은 편이며, 산화온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NOx의 발생이 매우 적은 처리방법은?
1.
직접연소법
2.
고온산화법
3.
촉매산화법
4.
산, 알칼리세정법
정답 : [
3
] 정답률 : 72%
52.
벤츄리스크러버에서 액가스비를 크게 하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
1.
먼지의 농도가 낮을 때
2.
먼지 입자의 점착성이 클 때
3.
먼지 입자의 친수성이 클 때
4.
먼지 입자의 입경이 클 때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먼지의 농도가 높을 때 → 먼지 농도 높으니까 물로 많이 조져줘야함 먼지 입자의 점착성이 클 때 → 잘 달라붙으니까 물로 더 조져줘야함 먼지 입자가 소수성일 때 (물과 안친할 때) → 안친하니까 친해지라고물 더 넣어줘야함 먼지 입경이 작을 때 → 크면 물이랑 잘만날텐데 쪼매나니까 물 더 넣어 줘서 만나야함 [해설작성자 : 김곤호]
연돌구 배경의 검은 장해물을 피해 연기의 흐름에 직각인 위치에서 태양광선을 측면으로 받는 방향으로부터 농도표를 측정자 앞 16m에 놓는다.
4.
굴뚝 배출구에서 30~40m 떨어진 곳의 농도를 측정자의 눈높이에 수직이 되게 관측 비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0도~5도까지 총 6종으로 분류한다 (O) 2. (O) 3. (O) 4. 오답 -> 굴뚝 배출구에서 30~45cm 떨어진 곳의 농도를 측정자의 눈높이에 수직이 되게 관측 비교한다. [해설작성자 : 링딩동]
링겔만 매연농도법 측정방법
될수 있는 한 무풍일 때 연돌구배경의 검은 장해물을 피해 연기의 흐름에 직각인 위치에 태양광선을 측면으로 받는 방향으로부터 농도표를 측정치의 앞 16m에 놓고 200m이내(가능하면 연돌구에서 16m)의 적당한 위치에 서서 연도배출구에서 30~45cm 떨어진 곳의 농도를 측정자의 눈높이에 수직이 되게 관측 비교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68.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공명선(Resonance Line) : 원자가 외부로부터 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먼저 상태로 돌아갈 때 방사하는 스펙트럼선
2.
중공음극램프(Hollow Cathode Lamp) : 원자흡광분석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목적원소를 함유하는 중공음극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고압의 질소와 함께 채운 방전관
3.
역화(Flame Back) : 불꽃의 연소속도가 작고 혼합기체의 분출속도가 클 때 연소현상이 내부로 옮겨지는 것
4.
멀티 패스(Multi-Path) : 불꽃 중에서 광로를 짧게 하고 반사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불꽃 중에 빛을 여러번 투과시키는 것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공명선(정답) : 원자가 외부로부터 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먼저 상태로 돌아갈 때 방사하는 스펙트럼 선 2. 중공음극램프 : 원자흡광분석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목적원소를 함유하는 중곡음극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저압의 네온과 함께 채운 방전관 3. 역화 : 불꽃의 연소속도가 크고, 혼합기체의 분출속도가 작을 때 연소현상이 내부로 옮겨지는 것 4. 멀티패스 : 불꽃 중에서 광로를 길게 하고 흡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반사를 이용하여 불꽃 중에 빛을 여러 번 투과시키는 것 [해설작성자 : 봄이콩이]
69.
어떤 굴뚝 배출가스의 유속을 피토우관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동압 측정시 확대율이 10배인 경사 마노미터를 사용하여 액주 55mm를 얻었다. 동압은 약 몇 mmH20 인가? (단, 경사 마노미터에는 비중 0.85의 톨루엔을 사용한다.)
저용량 공기시료채취기에 의해 환경대기 중 먼지 채취 시 여과지 또는 샘플러 각 부분의 공기저항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손실을 측정하여 유량계의 유량을 보정해야 한다. 유량계의 설정조건에서 1기압에서의 유량을 20L/min, 사용조건에 따른 유량계 내의 압력손실을 150mmHg라 할 때, 유량계의 눈금값은 얼마로 설정하여야 하는가?
[오류신고 반론] 반대로 생각해보면 압력 손실이 일어난 상태에서 유량계 설정을 해놓아야 1기압=760mmHg 일 때 실제 20L/min로 출력이 뽑힌다는 말이 됩니다.
그럼 유량계 설정을 몇으로 (압력 손실이 있으니 20L/min 보단 높게 설정해야겠죠.) 해야하는가가 해당 문제가 됩니다.
즉, [P1=압력 손실 일어난 압력]에서 [P2=1기압=760mmHg]에 해당하는 비를 찾으면 되고, 그게 첫 해설인 Q2/Q1=(P2/P1)^0.5 이 됩니다.
따라서 Q2=Q1*(P2/P1)^0.5=20*{760/(760-150)}^0.5=22.3 [해설작성자 : 호돌이]
71.
굴뚝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 무기불소화합물을 자외선/가시선분광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때, 불소화합물의 농도(ppm, F)는? (단, 방해이온이 존재할 경우)(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다음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충전물질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흡착형 충전물질
2.
분배형 충전물질
3.
다공성 고분자형 충전물질
4.
이온교환막형 충전물질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흡착형 충전물질 : 기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는 분리관의 내경에 따라 입도가 고른 흡착성고체분말(실리카겔, 활성탄, 알루미나, 합성제올라이트)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분말에 표면처리한 것을 각 분석방법에 규정하는 방법대로 처리하여 활성화한 것을 사용한다.
분배형 충전물질 :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는 적당한 담체에 고정상 액체를 함침시킨 것을 충전물로 사용한다. 여기서 담체란 시료 및 고정상액체에 대하여 불활성인 것으로 규조토, 내화벽돌, 유리, 석영,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며 각 분석방법에서 전처리를 규정한 경우에는 그 방법에 따라 산처리, 알칼리처리, 실란처리 등을 한 것을 사용한다. 참고로 내화벽돌은 일반적인 내화점토를 사용한 것이 아니고 규조토를 주성분으로한 내화온도 1100도 정도의 단열벽돌이다.
76.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연료의 연소, 금속제련 또는 화학반응 공정 등에서 배출되는 굴뚝 배출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분석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비분산형적외선분석법
2.
기체크로마토그래피
3.
정전위전해법
4.
화학발광법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일 정 비 가스 일산화탄소 1. 정전위전해법 2. 비분산형적외선분석법 3. 가스 - 기체크로마토그래피 [해설작성자 : ㅇㅇ]
화학발광법 - 일산화질소 산화물을 연속적으로 검출 [해설작성자 : 도레미파솔로시죠]
77.
굴뚝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대한 시료채취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굴뚝 내의 압력이 매우 큰 부압(-330mmH2O 정도 이하)인 경우에는 시료채취용 굴뚝을 부설한다.
2.
굴뚝 내의 압력이 부압(-)인 경우에는 채취구를 열었을 때 유해가스가 분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충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3.
가스미터는 100mmH2O 이내에서 사용한다.
4.
시료가스의 양을 재기 위하여 쓰는 채취병은 미리 0℃ 때의 참부피를 구해둔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굴뚝 내의 압력이 "정압(+)"인 경우에는 채취구를 열었을 때 유해가스가 분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충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해설작성자 : 수히]
78.
굴뚝배출가스 중 수분량이 체적백분율로 10%이고, 배출가스의 온도는 80℃, 시료채취량은 10L, 대기압은 0.6기압, 가스미터 게이지압은 25mmHg, 가스미터온도 80℃에서의 수증기포화압이 255mmHg라 할 때, 흡수된 수분량(g)은?
<문제 해설> 특정대기유해물질: 카드뮴 및 그 화합물, 시안화부소, 납 및 그 화합물, 폴리염화비페닐, 크롬 및 그 화합물, 비소 및 그 화합물, 수은 및 그 화합물, 프로필렌 옥사이드, 염소 및 염화수소, 불소합물, 석면, 니켈 및 그 화합물, 염화비닐, 다이옥신, 페놀 및 그 화합물,베릴륨 및 그 화합물, 벤젠, 사염화탄소, 이황화메틸, 아닐린,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지딘, 1,3-부타디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틸렌옥사이드, 디클로로메탄, 스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탄, 에틸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히드라진. 총 35개 [해설작성자 : 수히]
참고로 망간은 (일반)대기오염물질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허수아비]
8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측정기기의 부착·운영 등과 관련된 행정처분기준 중 “부식·마모·고장 또는 훼손되어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아니하는 측정기기를 정당한 사유 없이 7일 이상 방치하는 경우” 1차~4차 행정처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경고 - 경고 - 경고 - 조업정지 5일
2.
경고 - 경고 - 경고 - 조업정지 10일
3.
경고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 허가 취소 또는 폐쇄
4.
경고 - 경고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36] <개정 2022. 5. 3.> 법령 확인해봤는데,(2023.02.13 확인) 부식·마모·고장 또는 훼손되어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아니하는 측정기기를 정당한 사유 없이 7일이상 방치하는 경우
경고 -> 경고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입니다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대기환경 보전법 시행규칙 확인하고옴]
85.
다음은 실내공기질 관리법상 측정기기의 부착 및 운영ㆍ관리와 규제의 재검토 사항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1년 마다
2.
2년 마다
3.
3년 마다
4.
5년 마다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2017년 1월 1일 기준 타당성 검토는 5년마다 한다. [해설작성자 : 오잉]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상 실천계획의 수립ㆍ시행 및 평가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 2년, ㉡ 대통령령
2.
㉠ 2년, ㉡ 환경부령
3.
㉠ 5년, ㉡ 대통령령
4.
㉠ 5년, ㉡ 환경부령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020.4.3 시행된 대기환경보전법에서 해당 내용 삭제됨(법률 제16306호, 2019.4.2 일부 개정, 대기환경보전법 제19조 삭제) [해설작성자 : jh8511]
90.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사업자가 스스로 방지시설을 설계ㆍ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시ㆍ도지사에 제출하여야 할 서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기술능력 현황을 적은 서류
2.
공정도
3.
배출시설의 공정도, 그 도면 및 운영규약
4.
원료(연료를 포함한다) 사용량, 제품생산량 및 오염물질 등의 배출량을 예측한 명세서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자가방지시설의 설계, 시공할 경우의 제출서류 1. 배출시설의 설치명세서 2. 공정도 3. 원료(연료포함) 사용량, 제품생산량 및 대기오염 물질 등의 배출량을 예측한 명세서 4. 방지시설의 설치명세서와 그 도면 5. 기술능력 현황을 적은 서류 [해설작성자 : d]
91.
악취방지법규상 지정악취물질이 아닌 것은?
1.
아세트알데하이드
2.
메틸메르캅탄
3.
톨루엔
4.
벤젠
정답 : [
4
] 정답률 : 69%
9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일일유량의 산정방법 (일일유량=측정유랑x일일조업시간) 중 일일조업시간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일일조업시간은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7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2.
일일조업시간은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15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3.
일일조업시간은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30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4.
일일조업시간은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60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9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비산먼지 발생사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금속물질의 채취업, 제조업 및 가공업
2.
제 1차 금속 제조업
3.
운송장비 제조업
4.
목재 및 광석의 운송업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024.01.30 제 44조 1. 시멘트ㆍ석회ㆍ플라스터 및 시멘트 관련 제품의 제조업 및 가공업 2. 비금속물질의 채취업, 제조업 및 가공업 3. 제1차 금속 제조업 4. 비료 및 사료제품의 제조업 5. 건설업(지반 조성공사, 건축물 축조공사, 토목공사, 조경공사 및 도장공사로 한정한다) 6. 시멘트, 석탄, 토사, 사료, 곡물 및 고철의 운송업 7. 운송장비 제조업 8. 저탄시설(貯炭施設)의 설치가 필요한 사업 9. 고철, 곡물, 사료, 목재 및 광석의 하역업 또는 보관업 10. 금속제품의 제조업 및 가공업 11. 폐기물 매립시설 설치ㆍ운영 사업 [해설작성자 : kkkang]
94.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함유기준에 부적합한 유류를 판매하여 그 해당 유류의 회수처리 명령을 받은 자는 시·도지사 등에게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며칠 이내에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5일 이내에
2.
7일 이내에
3.
10일 이내에
4.
30일 이내에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유류의 회수처리명령을 받은 자는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5일 이내에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해즐베이커]
9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대기 환경기준 항목과 그 측정방법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법 개정(18.05.28)으로 '측정방법'이 삭제되어 답은 없다. [해설작성자 : 허ㅏㅓㅓ]
96.
악취관리법상 악취배출시설 설치자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 변경신고를 해야 하는데 이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악취배출 허용기준 초과와 관련하여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내려가도록 조치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자 2. 기술진단을 실시하지 아니한자 3. 기술진단전문기관과 관련하여 변경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중요한 사항을 변경한 자 4. 기술진단전문기관 등의 준수사항을 지키지 아니한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변경신고를 한자 2.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자 또는 자료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제출한 자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97.
대기환경보전법상 평균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자동차제작자에 대한 상환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고 자동차를 제작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