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외탱크저장소의 소화설비를 검토 및 적용할 때에 소화난이도 등급 Ⅰ에 해당되는지를 검토하는 탱크높이의 측정 기준으로서 적합한 것은?
가.
(가)
나.
(나)
다.
(다)
라.
(라)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화설비,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기준(제41조제2항·제42조제2항 및 제43조제2항관련) Ⅰ.소화설비 1.소화난이도 등급Ⅰ의 제조소등 및 소화설비 가.소화난이도 등급Ⅰ에 해당하는 제조소 등 -옥외탱크저장소: 지반면으로부터 탱크 옆판의 상단까지 높이가 6m 이상인 것(제6류 위험물을 저장하는 것 및 고인화점위험물만을 100℃ 미만의 온도에서 저장하는 것은 제외) [해설작성자 : ㅇㅇ]
47.
다음에서 설명하는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가.
브롬산칼륨
나.
클로로벤젠
다.
질산
라.
과염소산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6류 위험물 (산화성 액체) 지정수량 300Kg 과염소산 : 가열하면 유독성 가스인 염화수소,염산을 발생 질산 : 가열하면 산소를 발생 1,2는 6류 위험물이 아님 [해설작성자 : 윤쩌기]
브로민산은 제1류위험물(산화성고체)이다 [해설작성자 : 위험물어려워]
48.
금속나트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물과 격렬히 반응하여 발열하고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나.
에틸알코올과 반응하여 나트륨에틸라이트와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다.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사용할 수 없다.
라.
은백색의 광택이 있는 중금속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은백색의 광택이 있는 가벼운경금속이다. [해설작성자 : 정태원]
49.
옥내저장소의 저장창고에 150m2 이내마다 일정 규격의 격벽을 설치하여 저장하여야 하는 위험물은?
<문제 해설> 철제용기를 사용할 경우 부식되므로 유리용기 사용 [해설작성자 : 석화고 엘리트]
51.
위험물제조소등의 허가에 관계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제조소등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언제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나.
위험물의 품명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언제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
농예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저장소는 허가대상이 아니다.
라.
저장하는 위험물의 변경으로 지정수량의 배수가 달라지는 경우는 언제나 허가대상이 아니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허가나 신고 없이 제조소등을 설치하거나 위치 구조 또는 설비를 변경할 수 있고 위험물의 품명,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할 수 있는 경우 1.주택의 난방시설(공동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을 제외한다)을 위한 저장소 또는 취급소 2.농예용,축산용 또는 수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 또는 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저장소.
보기3번에 농예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을 위한 지정수량20배 이하의 저장소는 허가대상이 아닌것이 맞다! 답은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차암루하]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에 대한 긴급 사용정지 명령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자는?
가.
시 · 도지사
나.
소방본부장
다.
소방서장
라.
소방방재청장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에 대한 긴급 사용정지 명령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자는 소방방재청장이다. [해설작성자 : 난 합격자야]
56.
위험물제조소등에서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안전거리 규제 대상이 아닌 것은?
가.
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를 제외한 모든 제조소
나.
주유취급소
다.
옥외저장소
라.
옥외탱크저장소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안전거리의 규제는 대상은 제6류 위험물을 제조하는 시설을 제외한 모든 위험물제조소이다. 이외에 일반취급소, 옥내저장소, 옥외탱크저장소, 옥외저장소가 있다. 옥내탱크저장소, 지하탱크저장소, 이동탱크저장소, 간이탱크저장소, 암반탱크저장소, 판매취급소, 주유취급소는 시설의 안전성과 그 설치위치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안전거리 규제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관련법령: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4]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제28조관련) Ⅰ. 안전거리 [해설작성자 : ㅇㅇ]
57.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위험물저장소를 경매에 의해 시설의 전부를 인수한 경우에는 30일 이내에, 저장소의 용도를 폐지한 경우에는 14일 이내에 시 · 도지사에게 그 사실을 신고하여야 한다.
나.
제조소등의 위치 · 구조 및 설비기준을 위반하여 사용한 때에는 시 · 도지사는 허가취소, 전부 또는 일부의 사용 정지를 명할 수 있다.
다.
경유 20000L를 수산용 건조시설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험물법의 허가는 받지 아니하고 저장소를 설치할 수 있다.
라.
위치 · 구조 또는 설비의 변경없이 저장소에서 저장하는 위험물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7일전까지 시 · 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7일전에서 1일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추가 해설]
2. 변경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제조소등의 위치, 구조 또는 설비를 변경한 때 시, 도지사의 허가취소, 전부 또는 일부의 사용정지를 명할 수 있다. 4. 제조소등의 위치, 구조 또는 설비의 변경 없이 제조소등에서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위험물의 품명, 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하고자 하는 자는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1일 전까지 시, 도지사에게 신고 *(2016. 01. 27. 개정) 7일 전 > 1일 전 [해설작성자 : 다빛]
58.
제5류 위험물의 니트로화합물에 속하지 않은 것은?
가.
니트로벤젠
나.
테트릴
다.
트리니트로톨로엔
라.
피크린산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테트릴, 트리니트로톨루엔, 피크린산은 제5류위험물에 속하며 니트로벤젠은 제4류위험물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정태원]
제4류위험물, 제3석유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과산화나트륨 78g 과 충분한 양의 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기체의 종류와 생성량을 옳게 나타낸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