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엽성해충 : 솔나방, 어스렝이나방, 독나방, 매미나방, 오리나무잎벌레 등 천공성해충 : 소나무좀, 소나무순나방, 바구미류, 박쥐나방, 하늘소 등 흡즙성해충 : 응애, 진딧물, 깍지벌레 등 [해설작성자 : 앤디]
25.
나무좀, 하늘소, 바구미 등은 쇠 약목에 모이는 습성을 이용한 것으로, 벌목한 통나무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은?
1.
식이 유살법
2.
등화 유살법
3.
잠복장소 유살법
4.
번식장소 유살법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잠복장소 유살법 : 해충의 월동과 용화 또는 산란과 번식을 위해 잠복할 장소를 찾는 습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방제하는 방법 번식장소 유살법 : 천공성 해충의 경우 고사목이나 수세가 약해진 쇠약목을 찾아 수패 내부에 즐겨 산란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방제 등화유살법 : 곤충의 주광성을 이용하여 유아등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포살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완두엄마 좀만 더 힘내자!]
26.
볕데기 피해를 입기 쉬운 수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굴참나무
2.
소태나무
3.
버즘나무
4.
오동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굴참나무는 수치가 두꺼워 피해가 적다 [해설작성자 : 망고]
수피가 두꺼워서라기보단 코르크층이 발달해서 피해가 적은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수피가 평활하고 코르크층 발달이 불량한 수종이 볕데기 피해 입기 쉬움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은 코르크층이 있는 두꺼운 수피를 가지고 있어 불에 강함 [해설작성자 : 산림킹]
27.
수목의 그을음병에 대한 방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통풍과 채광을 높인다.
2.
흡즙성 곤충을 방제한다.
3.
잎 표면을 깨끗이 닦아낸다.
4.
질소질 비료를 표준사용량보다 더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생육불량 또는 질소질 비료의 과다가 그을음병의 발명요인이 되므로 유의한다.
28.
소나무 또는 잣나무에 발생하는 잎떨림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든 낙엽을 모아 태운다.
2.
풀베기와 가지치기를 실시하지 않는다.
3.
여러 종류의 활엽수를 하목으로 심는다.
4.
포자가 비산하는 7~9월에 약제를 살포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가지치기와 풀베기, 제초를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보호학제발]
29.
밤나무혹벌의 천적으로 옳은 것은?
1.
알좀벌
2.
먹좀벌
3.
남색긴꼬리좀벌
4.
수중다리무늬벌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밤나무혹벌에 기생하는 천적곤충은 약 10여 종이 있으며 긴꼬리좀벌류를 생물적 방제에 활용한다. [해설작성자 : 댤리아]
밤나무혹벌 방제방법
화학적 방제 - 사용가능한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농약정보서비스(pis.rda.go.kr)에서 기주식물, 병해충명 등을 검색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생물적 방제 - 천적으로는 중국긴꼬리좀벌을 4월 하순∼5월 초순에 ha당 5,000마리씩 방사한다. - 남색긴꼬리좀벌, 노란꼬리좀벌, 큰다리남색좀벌, 배잘록꼬리좀벌, 상수리좀벌과 기생파리류 등 천적을 보호한다. 경종적 방제 - 내충성 품종인 산목율, 순역, 옥광율, 상림 등 토착종이나 유마, 이취, 삼조생, 이평 등 도입종인 저항성 품종으로 갱신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물리적 방제 - 피해가 심하지 않은 밤나무는 봄에 가지에 붙은 충영을 채취하여 소각한다. [출처 : 산림청 홈페이지] [해설작성자 : 완두엄마 좀만 더 힘내자!]
<문제 해설> 생물학적 방제는 생물의 힘을 빌어 방제하는 방법으로 기생곤충, 포식충, 병원미생물 등의 천적을 이용한 해충개체군 밀도를 억제하는 방법이다. 임업적 방제는 수종이나 조림 기술 즉, 내충성 수종이나 간벌.시비 등의 조림 기술을 통해 해충에 불리한 조건을 만드는 방법이다.
<문제 해설> 법정 벌채량은 법정 수확량이라고도 하며 법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벌채할 수 있는 재적을 말한다. 법정연벌량과 법정생장량은 일치하며 벌기평균생장량에 윤벌기를 곱한 값과 같다. 법정 수확률은 법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확할 수 있는 벌채량의 법정축적에 대한 비율로 법정연벌량/법정축적*100으로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SU]
52.
임업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업생산은 노동집약적이다.
2.
육성임업과 채취임업이 병존한다.
3.
임업노동은 계절적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다.
4.
원목가격의 구성요소 중 운반비가 차지하는비율이 가장 낮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 원목가격의 구성요소 중 운반비가 차지하는비율이 가장 높다. [해설작성자 : 망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 오류 임업 생산은 노동집약적이 아니라 조방적이다. [해설작성자 : 산림최우식]
[추가 오류 신고] 1,4번 모두 오답 [해설작성자 : 김우식]
53.
임업투자 결정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투자사업 모색→현금흐름 추정→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투자사업 재평가→투자사업 수행
2.
현금흐름 추정→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투자사업 모색→투자사업 수행→투자사업 재평가
3.
투자사업 모색→현금흐름 추정→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투자사업 수행→투자사업 재평가
4.
현금흐름 추정→투자사업 모색→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투자사업 수행→투자사업 재평가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임업투자 결정과정은 처음에 투자사업을 모색하고 마지막으로 재평가를 한다. [해설작성자 : 생명대 부회장]
54.
표준목법에 의한 임분 재적 측정 방법으로,전 임목을 몇 개의 계급으로 나누고 각 계급의 본수를 동일하게 하여 표준목을 선정하는 것은?
1.
단급법
2.
Urich법
3.
Hartig법
4.
Draudt법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단급법 : 전체 임분을 1개의 급으로 취급, 계산이 간편하지만 오차가 큼 우리히법 : 전 임분을 임목의 '그루수'가 같은 몇개의 계급으로 나누고 각 계급에서 같은 '수'의 표준목 선정 하르티히법 : 각 계급의 '흉고단면적'을 같게 함, 계산이 복잡하지만 정확함 드라우드법 : '지름계'에 따라 표준목 선정. 각 직경급 본수에 따라 '비례배분'함 [해설작성자 : 살찐참새]
<문제 해설> 상수 있음 | 콘크리트 수로 : 유량 많고 상수 있는곳 | 찰쌓기 수로 : 유량 많고 간선수로나 산비탈 ──────────────────────────────── 상수 없음 | 메쌓기 수로 : 상수가 없고 경사가 급한곳 | 떼붙임 수로 : 상수가 없고 경사 완만하고 유량 적은곳 [해설작성자 : 완두엄마 좀만 더 힘내자!]
<문제 해설> 산사태는 지질과는 관계가 적고 사질토에서 많이 발생 20도 이상 급경사지에서 발생하며 징후가 없고 돌발성임 속도는 10mm/day이상으로 빠른 편이고 규모는 작음. 강우, 강우강도의 영향을 받으며 토괴가 교란됨 [해설작성자 : 살찐참새]
① 호우가원인 ② 지질과는 관계x 4 속도는 빠르고 토괴는 교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수평분력의 총합과 수직분력의 총합,제저와 기초지반과의 마찰계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중력식 사방댐의 안정조건은?
1.
전도에 대한 안정
2.
활동에 대한 안정
3.
제체의 파괴에 대한 안정
4.
기초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전도에 대한 안정 합력작용선(수평분력과 수직분력의 총합)이 제저의 중앙 1/3 보다 하류측을 통과하면 댐 몸체의 상류측에 장력이 생기므로 합력작용선이 제저의 1/3 내를 통과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생명대 부회장]
94.
사방댐과 골막이에 모두 축설하는 것은?
1.
앞댐
2.
방수로
3.
반수면
4.
대수면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반수면은 둘 다 반드시 있어야 만들 수 있는 것이니 맞는 것이지만, 방수로는 꼭 필요하지는 않다고 교재에 언급은 돼 있으나 골막이는 물을 흘려 보내는 구조물인데 수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즉,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밖에 없는 구조물이다. 인터넷에 올라온 사진보면 거의 어떤 식으든 방수로는 만들어져 있다. 그러므로, 답이 반드시 반수면이라고만 할 수는 없고, 방수로도 사실상 답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콘크리트흙막이 공작물 시공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빼기구멍은 지름 5~10cm 정도의 관을 2~3m2당 1개소를 설치한다.
2.
견고하지 않은 지반에 시공하는 경우 반드시 말뚝기초 등으로 보강해야 한다.
3.
뒤채움돌은 시공의 난이도 및 배수효과 등을 고려하여 위아래 모두 20cm 내외로 한다.
4.
비탈면의 토층이 이동할 위험이 있고, 토압이 커서 다른 흙막이 공작물로는 안정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 설치한다.
식엽성해충 : 솔나방, 어스렝이나방, 독나방, 매미나방, 오리나무잎벌레 등 천공성해충 : 소나무좀, 소나무순나방, 바구미류, 박쥐나방, 하늘소 등 흡즙성해충 : 응애, 진딧물, 깍지벌레 등 [해설작성자 : 앤디]
25.
나무좀, 하늘소, 바구미 등은 쇠 약목에 모이는 습성을 이용한 것으로, 벌목한 통나무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은?
1.
식이 유살법
2.
등화 유살법
3.
잠복장소 유살법
4.
번식장소 유살법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잠복장소 유살법 : 해충의 월동과 용화 또는 산란과 번식을 위해 잠복할 장소를 찾는 습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방제하는 방법 번식장소 유살법 : 천공성 해충의 경우 고사목이나 수세가 약해진 쇠약목을 찾아 수패 내부에 즐겨 산란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방제 등화유살법 : 곤충의 주광성을 이용하여 유아등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포살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완두엄마 좀만 더 힘내자!]
26.
볕데기 피해를 입기 쉬운 수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굴참나무
2.
소태나무
3.
버즘나무
4.
오동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굴참나무는 수치가 두꺼워 피해가 적다 [해설작성자 : 망고]
수피가 두꺼워서라기보단 코르크층이 발달해서 피해가 적은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수피가 평활하고 코르크층 발달이 불량한 수종이 볕데기 피해 입기 쉬움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은 코르크층이 있는 두꺼운 수피를 가지고 있어 불에 강함 [해설작성자 : 산림킹]
27.
수목의 그을음병에 대한 방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통풍과 채광을 높인다.
2.
흡즙성 곤충을 방제한다.
3.
잎 표면을 깨끗이 닦아낸다.
4.
질소질 비료를 표준사용량보다 더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생육불량 또는 질소질 비료의 과다가 그을음병의 발명요인이 되므로 유의한다.
28.
소나무 또는 잣나무에 발생하는 잎떨림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든 낙엽을 모아 태운다.
2.
풀베기와 가지치기를 실시하지 않는다.
3.
여러 종류의 활엽수를 하목으로 심는다.
4.
포자가 비산하는 7~9월에 약제를 살포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가지치기와 풀베기, 제초를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보호학제발]
29.
밤나무혹벌의 천적으로 옳은 것은?
1.
알좀벌
2.
먹좀벌
3.
남색긴꼬리좀벌
4.
수중다리무늬벌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밤나무혹벌에 기생하는 천적곤충은 약 10여 종이 있으며 긴꼬리좀벌류를 생물적 방제에 활용한다. [해설작성자 : 댤리아]
밤나무혹벌 방제방법
화학적 방제 - 사용가능한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농약정보서비스(pis.rda.go.kr)에서 기주식물, 병해충명 등을 검색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생물적 방제 - 천적으로는 중국긴꼬리좀벌을 4월 하순∼5월 초순에 ha당 5,000마리씩 방사한다. - 남색긴꼬리좀벌, 노란꼬리좀벌, 큰다리남색좀벌, 배잘록꼬리좀벌, 상수리좀벌과 기생파리류 등 천적을 보호한다. 경종적 방제 - 내충성 품종인 산목율, 순역, 옥광율, 상림 등 토착종이나 유마, 이취, 삼조생, 이평 등 도입종인 저항성 품종으로 갱신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물리적 방제 - 피해가 심하지 않은 밤나무는 봄에 가지에 붙은 충영을 채취하여 소각한다. [출처 : 산림청 홈페이지] [해설작성자 : 완두엄마 좀만 더 힘내자!]
<문제 해설> 생물학적 방제는 생물의 힘을 빌어 방제하는 방법으로 기생곤충, 포식충, 병원미생물 등의 천적을 이용한 해충개체군 밀도를 억제하는 방법이다. 임업적 방제는 수종이나 조림 기술 즉, 내충성 수종이나 간벌.시비 등의 조림 기술을 통해 해충에 불리한 조건을 만드는 방법이다.
<문제 해설> 법정 벌채량은 법정 수확량이라고도 하며 법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벌채할 수 있는 재적을 말한다. 법정연벌량과 법정생장량은 일치하며 벌기평균생장량에 윤벌기를 곱한 값과 같다. 법정 수확률은 법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확할 수 있는 벌채량의 법정축적에 대한 비율로 법정연벌량/법정축적*100으로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SU]
52.
임업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업생산은 노동집약적이다.
2.
육성임업과 채취임업이 병존한다.
3.
임업노동은 계절적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다.
4.
원목가격의 구성요소 중 운반비가 차지하는비율이 가장 낮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 원목가격의 구성요소 중 운반비가 차지하는비율이 가장 높다. [해설작성자 : 망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 오류 임업 생산은 노동집약적이 아니라 조방적이다. [해설작성자 : 산림최우식]
[추가 오류 신고] 1,4번 모두 오답 [해설작성자 : 김우식]
53.
임업투자 결정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투자사업 모색→현금흐름 추정→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투자사업 재평가→투자사업 수행
2.
현금흐름 추정→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투자사업 모색→투자사업 수행→투자사업 재평가
3.
투자사업 모색→현금흐름 추정→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투자사업 수행→투자사업 재평가
4.
현금흐름 추정→투자사업 모색→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투자사업 수행→투자사업 재평가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임업투자 결정과정은 처음에 투자사업을 모색하고 마지막으로 재평가를 한다. [해설작성자 : 생명대 부회장]
54.
표준목법에 의한 임분 재적 측정 방법으로,전 임목을 몇 개의 계급으로 나누고 각 계급의 본수를 동일하게 하여 표준목을 선정하는 것은?
1.
단급법
2.
Urich법
3.
Hartig법
4.
Draudt법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단급법 : 전체 임분을 1개의 급으로 취급, 계산이 간편하지만 오차가 큼 우리히법 : 전 임분을 임목의 '그루수'가 같은 몇개의 계급으로 나누고 각 계급에서 같은 '수'의 표준목 선정 하르티히법 : 각 계급의 '흉고단면적'을 같게 함, 계산이 복잡하지만 정확함 드라우드법 : '지름계'에 따라 표준목 선정. 각 직경급 본수에 따라 '비례배분'함 [해설작성자 : 살찐참새]
<문제 해설> 상수 있음 | 콘크리트 수로 : 유량 많고 상수 있는곳 | 찰쌓기 수로 : 유량 많고 간선수로나 산비탈 ──────────────────────────────── 상수 없음 | 메쌓기 수로 : 상수가 없고 경사가 급한곳 | 떼붙임 수로 : 상수가 없고 경사 완만하고 유량 적은곳 [해설작성자 : 완두엄마 좀만 더 힘내자!]
<문제 해설> 산사태는 지질과는 관계가 적고 사질토에서 많이 발생 20도 이상 급경사지에서 발생하며 징후가 없고 돌발성임 속도는 10mm/day이상으로 빠른 편이고 규모는 작음. 강우, 강우강도의 영향을 받으며 토괴가 교란됨 [해설작성자 : 살찐참새]
① 호우가원인 ② 지질과는 관계x 4 속도는 빠르고 토괴는 교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수평분력의 총합과 수직분력의 총합,제저와 기초지반과의 마찰계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중력식 사방댐의 안정조건은?
1.
전도에 대한 안정
2.
활동에 대한 안정
3.
제체의 파괴에 대한 안정
4.
기초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전도에 대한 안정 합력작용선(수평분력과 수직분력의 총합)이 제저의 중앙 1/3 보다 하류측을 통과하면 댐 몸체의 상류측에 장력이 생기므로 합력작용선이 제저의 1/3 내를 통과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생명대 부회장]
94.
사방댐과 골막이에 모두 축설하는 것은?
1.
앞댐
2.
방수로
3.
반수면
4.
대수면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반수면은 둘 다 반드시 있어야 만들 수 있는 것이니 맞는 것이지만, 방수로는 꼭 필요하지는 않다고 교재에 언급은 돼 있으나 골막이는 물을 흘려 보내는 구조물인데 수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즉,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밖에 없는 구조물이다. 인터넷에 올라온 사진보면 거의 어떤 식으든 방수로는 만들어져 있다. 그러므로, 답이 반드시 반수면이라고만 할 수는 없고, 방수로도 사실상 답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콘크리트흙막이 공작물 시공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빼기구멍은 지름 5~10cm 정도의 관을 2~3m2당 1개소를 설치한다.
2.
견고하지 않은 지반에 시공하는 경우 반드시 말뚝기초 등으로 보강해야 한다.
3.
뒤채움돌은 시공의 난이도 및 배수효과 등을 고려하여 위아래 모두 20cm 내외로 한다.
4.
비탈면의 토층이 이동할 위험이 있고, 토압이 커서 다른 흙막이 공작물로는 안정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