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 2m/s × (30s)^2 거의 다 맞게 설명 잘 해주셨는데 중간에 제곱이 빠져야 식이 성립됩니다. [해설작성자 : mintchoco]
19.
항공기를 오른쪽으로 선회시킬 경우 가해주어야 할 힘은? (단, 오른쪽 방향으로 양(+)으로 한다.)
1.
양(+) 피칭모멘트
2.
음(-) 롤링모멘트
3.
제로(0) 롤링모멘트
4.
양(+) 롤링모멘트
정답 : [
4
] 정답률 : 80%
20.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c : 날개의 시위길이, μ: 절대점성계수, v: 동점성계수, ρ: 공기밀도, V : 공기속도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4%
21.
가스터빈엔진에서 길이가 짧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연소효율이 좋은 연소실은?
1.
캔형
2.
터뷸러형
3.
애뉼러형
4.
실린더형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애눌러형 연소실은 압축기 구동축을 둘러싸고 있는 1개의 고리 모양으로 된 연소실로써 연소실 구조가 간단하고 캔형에 비해 길이가 짧다 또한 연소가 안전하여 연소 정지현상이 없으며, 출구 온도 분포가 균일하여 연소 효율이 좋다. 반면 정비가 불편하고 구조적으로 좀 약하다. [해설작성자 : 이은택]
22.
가스터빈엔진 연료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발열량은 연료를 구성하는 탄화수소와 그 외 화합물의 함유물에 의해서 결정된다.
2.
가스터빈엔진 연료는 왕복엔진보다 인화점이 낮다.
3.
유황분이 많으면 공해문제를 일으키지만 엔진 고온부품의 수명은 연장된다.
4.
연료 노즐에서의 분출량은 연료의 점도에는 영향을 받으나, 노즐의 형상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23.
항공기엔진의 오일 교환을 정해진 기간마다 해야 하는 주된 이유로 옳은 것은?
1.
오일이 연료와 희석되어 피스톤을 부식시키기 때문
2.
오일의 색이 점차 짙게 변하기 때문
3.
오일이 열과 산화에 노출되어 점성이 커지기 때문
4.
오일이 습기, 산, 미세한 찌꺼기로 인해 오염되기 때문
정답 : [
4
] 정답률 : 79%
24.
왕복엔진용 윤활유의 점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도는 윤활유의 흐름을 저항하는 유체마찰을 뜻한다.
2.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고점도 윤활유를 사용한다.
3.
윤활유의 점도를 알 수 있는 것으로 SUS가 사용된다.
4.
점도 변화율은 점도지수(viscosity index)로 나타낸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보통 겨울철에 사용되는 윤활유는 저온에서의 유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온 점도가 낮은 제품을 선택합니다. 이는 엔진이 출발 시에 빠르게 기름이 유동되어 엔진 부품들을 충분히 윤활하고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입니다. "SUS"는 "Saybolt Universal Seconds"의 약자로, 윤활유의 점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입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유동성이나 점도와 관련된 유체의 흐름 속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박준혁]
공기흡입관의 압력계기가 안정되지 않고 흔들리며 지시(fluctuating indication)하는지 살펴본다.
3.
엔진카울 및 주변 부품 등에 심한 그을음(exhaust soot)이 묻어 있는지 검사한다.
4.
엔진 배기부분을 알칼리 용액 또는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으로 세척을 하고 정밀검사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36.
그림과 같은 브레이튼사이클의 P-V선도에서 각 과정과 명칭이 틀린 것은?
1.
1 – 2 : 단열압축
2.
2 – 3 : 정적수열
3.
3 – 4 : 단열팽창
4.
4 – 1 : 정압방열
정답 : [
2
] 정답률 : 77%
37.
왕복엔진의 압력식 기화기에서 저속혼합조정(idle mixture control)을 하는 동안 정확한 혼합비를 알수 있는 계기는?
1.
공기압력계기
2.
연료유량계기
3.
연료압력계기
4.
RPM 계기와 MAP 계기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압력식 기화기는 공기의 질량 유량에 비례하여 연료 흐름이 증가한다. 저속혼합조정은 엔진이 저속속도에서 부드럽고 과열을 줄이며, 점화 플러그 오염이 안 되도록 보통 제작자에 의해 정해진다. 그래서 위의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엔진으로 들어오는 MAP계기 확인과 RPM을 나타내는 Tachomoeter를 항상 확인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이은택]
38.
프로펠러 깃의 허브중심으로부터 깃끝까지의 길이가 R, 깃각이 β 일 때 이 프로펠러의 기하학적 피치는?
1.
2πRtanβ
2.
2πRsinβ
3.
2πRcosβ
4.
2πRsecβ
정답 : [
1
] 정답률 : 69%
39.
프로펠러를 [보기]와 같이 분류한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프로펠러의 최대 회전 속도
2.
프로펠러 지름의 최대 크기
3.
프로펠러 피치의 조정 방식
4.
프로펠러 유효피치의 크기
정답 : [
3
] 정답률 : 87%
40.
제트엔진의 추력을 결정하는 압력비(EPR: Engine Pressure Ratio)의 정의는?
1.
터빈입구압력/엔진입구압력
2.
엔진입구압력/터빈입구압력
3.
터빈출구압력/엔진입구압력
4.
엔진입구압력/터빈출구압력
정답 : [
3
] 정답률 : 69%
41.
실속속도가 120km/h인 수송기의 설계제한 하중배수가 4.4인 경우 이 수송기의 설계운용속도는 약 몇 km/h인가?
1.
228
2.
252
3.
264
4.
270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Va = Vs x route 4.4 = 251.714 = 252
42.
키놀이 조종계통에서 승강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승강키의 조종은 페달에 의존한다.
2.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는 항공기 운동에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수평 안정판의 뒷전에 장착되어 있다.
4.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운동에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43.
세미모노코크(semi monocoque)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트러스 구조보다 복잡하다.
2.
뼈대가 모든 하중을 담당한다.
3.
하중의 일부를 표피가 담당한다.
4.
프레임, 정형재, 링, 스트링거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44.
다음 중 착륙거리를 단축시키는데 사용하는 보조 조종면은?
1.
스테빌레이터(stabilator)
2.
브레이크 브리딩(brake bleeding)
3.
플라이트 스포일러(flight spoiler)
4.
그라운드 스포일러(ground spoiler)
정답 : [
4
] 정답률 : 83%
45.
항공기용 알루미늄합금 판재에 드릴작업을 할 때 가장 적합한 드릴각도, 작업속도, 작업압력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118°, 고속회전, 손힘을 균일하게
2.
140°, 저속회전, 매우 힘있게
3.
90°, 저속회전, 변화있게
4.
75°, 저속회전, 매우 세게
정답 : [
1
] 정답률 : 78%
46.
항공기 날개구조에서 리브(rib)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날개 내부구조의 집중응력을 담당하는 골격이다.
2.
날개에 걸리는 하중을 스킨에 분산시킨다.
3.
날개의 스팬(span)을 늘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장 부분이다.
4.
날개의 곡면상태를 만들어주며, 날개의 표면에 걸리는 하중을 스파에 전달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47.
AN426AD3-5 리벳의 부품번호에 대한 각 의미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426 : 플러시머리리벳
2.
AD : 알루미늄 합금 2017T
3.
3 : 3/16인치의 직경
4.
5 : 5/32인치의 길이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426 - countersunk head rivet [해설작성자 : 줄쟁이]
복합재료의 강화재 중 무색 투명하며 전기부도체인 섬유로서 우수한 내열성 때문에 고온 부위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1.
아라미드섬유
2.
유리섬유
3.
알루미나섬유
4.
보론섬유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알루미나 섬유 : 공기 중 1000도에서 열화되지 않고, 용융금속에서도 침해되지 않는 섬유로, 금속 강화에 가장 적합하다. CF. 아라미드 섬유 = 케플러 무색,투명,전기부도체, 우수한 내열성, 고온부위 재료.
유리섬유 : 이산화규소의 가는 가닥으로 만들어진 섬유, 내열성, 내화학성, 값이 저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기계적 강도가 낮아 2차 구조물에 사용된다. 내열성, 내화학성, 값이 저렴, 가장 많이, 2차 구조물
탄소섬유 : 열팽창 계수가 작기 때문에 사용온도의 변동이 크더라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강도와 강성이 날개와 동체 등과 같은 1차 구조부의 제작에 쓰인다. 취성이 크고 가격이 비싸다 치수 안정성, 강도와 강성, 1차 구조부, 취성이 크고 가격이 비쌈
아라미드 섬유 : 케블러라고도 하며 가볍고 인장강도가 크며 유연성이 크다. 알루미늄 합금보다 인장강도가 4배 높으며, 밀도는 알루미늄 합금의 50%의 밀도로 높은 응력과 진동을 받는 항공기 부품에 가장 이상적이다. 인장강도, 유연성, 높은 응력과 진동을 받는 항공기 부품에 적합
보론 섬유 : 뛰어난 압축강도와 경도를 가지며 열팽창률이 크고 금속과의 점착성이 좋다. 작업할 때 위험성이 있고 값이 비싸기 때문에 일부 전투기에 사용된다. 열팽창률, 점착성, 위험성이 있고 값이 비싸다, 일부 전투기
세라믹 섬유 : 1200도에 도달할 때까지 강도와 유연성을 유지하며 높은 온도의 적용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한다. 1200도 까지 강도와 유연성, 높은 온도의 적용이 요구되는 곳. [해설작성자 : 이은택]
61.
항공기에서 고도 경고 장치(altitude alert system)의 주된 목적은?
1.
지정된 비행 고도를 충실히 유지하기 위하여
2.
착륙 장치를 내릴 수 있는 고도를 지시하기 위하여
3.
고 양력 장치를 펼치기 위한 고도를 지시하기 위하여
4.
항공기가 상승 시 설정된 고도에 진입된 것을 지시하기 위하여
정답 : [
1
] 정답률 : 69%
62.
교류회로에서 피상전력이 100kVA이고 유효전력은 80kW, 무효전력은 60kVar일 때 역률은 얼마인가?
<문제 해설> service interphone: 비행중에는 조종사와 객실 승무원 지상에서는 조종사와 정비사 cabin interphone : 조종사와 객실 승무원 및 객실 승무원 간 통화 [해설작성자 : csy]
66.
엔진을 시동하여 아이들(idel)로 운전할 경우 발전기 전압이 축전지 전압보다 낮게 출력될 때 발생되는 현상은?
1.
발전기와 축전지가 부하로부터 분리된다.
2.
축전지는 부하로부터 분리되고, 발전기가 전체의 부하를 담당한다.
3.
발전기와 축전지가 병렬로 접속되어 전체 부하를 담당한다.
4.
역전류 차단기에 의해 발전기가 부하로부터 분리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67.
유압계통에서 작동기의 작동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축압기(accumilator)
2.
체크 밸브(check valve)
3.
선택 밸브(selector valve)
4.
압력 릴리프 밸브(pressure relif valve)
정답 : [
3
] 정답률 : 69%
68.
서머커플형(thermocouple type)화재탐지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기 감지에 의해 작동한다.
2.
빛의 세기에 의해 작동한다.
3.
급격한 움직임에 의해 작동한다.
4.
온도상승에 의한 기전력 발생으로 작동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69.
고도계의 오차 중 탄성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료의 피로 현상에 의한 오차이다.
2.
온도 변화에 의해서 탄성계수가 바뀔 때의 오차이다.
3.
확대장치의 가동부분, 연결 등에 의해 생기는 오차이다.
4.
압력 변화에 대응한 휘어짐이 회복되기까지의 시간적인 지연에 따른 지연 효과에 의한 오차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3%
70.
다음 중 엔진의 상태를 지시하는 엔진계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RPM 계기
2.
ADI
3.
EGT 계기
4.
Fuel flowmeter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ADI Attitude Director Indicator : 자세방향지시계 비행자세에 관해 종합적으로 지시하는 계기 [해설작성자 : Han_G1ry]
71.
엔진의 회전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회전수를 발전기축에 전달하는 장치는?
1.
정속구동장치(C.S.D)
2.
전압 조절기(voltage regulator)
3.
감쇠 변압기(damping transformer)
4.
계자 제어장치(field control relay)
정답 : [
1
] 정답률 : 86%
72.
항공기 방화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화시스템은 감지(detection), 소화(extinguishing), 탈출(evacuation)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엔진의 화재감지에 사용되는 감지기(detector)는 주로 스모그감지장치(smoke detector)이다.
3.
연속 저항 루프 화재 탐지기에는 키드시스템(kidde system)과 팬웰시스템(fenwal system)이 있다.
4.
항공기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해당 소화시스템(extinguishing system)이 작동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73.
자기 콤파스(magnetic compass)의 북선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항공기가 선회할 때 발생하는 오차이다.
2.
항공기가 북극 지방을 비행할 때 콤파스 회전부가 기울어져 발생하는 오차이다.
3.
항공기가 북진하다 선회할 때 실제 선회각보다 작은각이 지시된다.
4.
콤파스 회전부의 중심과 지지점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이 정답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저도 4번이 정답같습니다. 붙이차 : 컴퍼스 자체의 제작상 또는 장착 잘못에 의한 오차 [해설작성자 : Han_G1ry]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이 4번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01702]
[오류신고 반론] 2번이 정답 맞습니다. 북선 오차는 북극지방을 비행할 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북진하다가 동서로 회전할 때 생기는 것입니다.
4번이 맞는 이유를 설명드리자면, 일반적으로 동적오차는 복각의 영향으로 자기 적도 외의 위도에서는 지자기의 수직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항공기가 선회할 때 선회각을 주게되면 컴퍼스 카드면이 지자기의 수직 성분과 작각 관계가 흐트러져서 올바른 방위를 지시하지 못하는데, 북진하다가 동서로 선회할 때 오차가 가장 크기 때문에 북진오차라고 합니다. 즉, 선회시 자기컴퍼스 회전부의 중심(컴퍼스 카드면)과 지지점(지자기의 수직성분)이 일치하지 않아 북선오차가 생기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정환]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은 4번이 맞습니다. 북선 오차는 북쪽 또는 남쪽으로 기수가 향하고 있을 때 가장 크게 나타나며, 동쪽 또는 서쪽을 향하고 있을때는 나타나지 않기떄문에, 2번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선회시 선회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컴퍼스 내 플로트의 영구자석봉이 기울어지고 컴퍼스 카드가 돌아감. [해설작성자 : 리설주는 미인일까]
[오류신고 반론] 북선오차란 항공기가 북쪽방향으로 비행하다가 선회하면 자기장의 수직분력 때문에 컴퍼스카드가 비행기 선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따라서 틀린답을 찾는것이니 답은 2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항공박]
객실여압(cabin pressurization)장치가 있는 항공기의 순항고도에서 적절한 객실고도는?
1.
6000ft
2.
8000ft
3.
10000ft
4.
12000ft
정답 : [
2
] 정답률 : 87%
77.
황산 납 축전지(lead acid battery)의 충전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은?
1.
전해액 속의 황산의 양은 줄어든다.
2.
물의 양은 증가하고 전해액은 묽어진다.
3.
내부 저항은 증가하고 단자 전압은 감소한다.
4.
양극판은 과산화납으로, 음극판은 해면상납이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78.
다음 중 자동착륙시스템(autoland system)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ual system
2.
Triplex system
3.
Dual-Dual system
4.
Triplex-Triplex system
정답 : [
4
] 정답률 : 70%
79.
항공기의 전기회로에 사용되는 스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푸시버튼스위치는 접속방식에 따라 SPUT, SPWT, DPUT, DPWT가 있다.
2.
항공기의 토글스위치는 운동부분이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로 보호되어 있다.
3.
회선선택스위치는 한 회로만 개방하고 다른 회로는 동시에 닫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4.
마이크로스위치는 짧은 움직임으로 회로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착륙장치와 플랩 등을 작동시키는 전동기의 작동을 제한하는 스위치로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푸시버튼스위치 접속방법은 SPST(Single pole single throw)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DPST(Double pole single throw) DPDT(Double pole double throw) [해설작성자 : 압둗]
1/2 × 2m/s × (30s)^2 거의 다 맞게 설명 잘 해주셨는데 중간에 제곱이 빠져야 식이 성립됩니다. [해설작성자 : mintchoco]
19.
항공기를 오른쪽으로 선회시킬 경우 가해주어야 할 힘은? (단, 오른쪽 방향으로 양(+)으로 한다.)
1.
양(+) 피칭모멘트
2.
음(-) 롤링모멘트
3.
제로(0) 롤링모멘트
4.
양(+) 롤링모멘트
정답 : [
4
] 정답률 : 80%
20.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c : 날개의 시위길이, μ: 절대점성계수, v: 동점성계수, ρ: 공기밀도, V : 공기속도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4%
21.
가스터빈엔진에서 길이가 짧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연소효율이 좋은 연소실은?
1.
캔형
2.
터뷸러형
3.
애뉼러형
4.
실린더형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애눌러형 연소실은 압축기 구동축을 둘러싸고 있는 1개의 고리 모양으로 된 연소실로써 연소실 구조가 간단하고 캔형에 비해 길이가 짧다 또한 연소가 안전하여 연소 정지현상이 없으며, 출구 온도 분포가 균일하여 연소 효율이 좋다. 반면 정비가 불편하고 구조적으로 좀 약하다. [해설작성자 : 이은택]
22.
가스터빈엔진 연료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발열량은 연료를 구성하는 탄화수소와 그 외 화합물의 함유물에 의해서 결정된다.
2.
가스터빈엔진 연료는 왕복엔진보다 인화점이 낮다.
3.
유황분이 많으면 공해문제를 일으키지만 엔진 고온부품의 수명은 연장된다.
4.
연료 노즐에서의 분출량은 연료의 점도에는 영향을 받으나, 노즐의 형상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23.
항공기엔진의 오일 교환을 정해진 기간마다 해야 하는 주된 이유로 옳은 것은?
1.
오일이 연료와 희석되어 피스톤을 부식시키기 때문
2.
오일의 색이 점차 짙게 변하기 때문
3.
오일이 열과 산화에 노출되어 점성이 커지기 때문
4.
오일이 습기, 산, 미세한 찌꺼기로 인해 오염되기 때문
정답 : [
4
] 정답률 : 79%
24.
왕복엔진용 윤활유의 점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도는 윤활유의 흐름을 저항하는 유체마찰을 뜻한다.
2.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고점도 윤활유를 사용한다.
3.
윤활유의 점도를 알 수 있는 것으로 SUS가 사용된다.
4.
점도 변화율은 점도지수(viscosity index)로 나타낸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보통 겨울철에 사용되는 윤활유는 저온에서의 유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온 점도가 낮은 제품을 선택합니다. 이는 엔진이 출발 시에 빠르게 기름이 유동되어 엔진 부품들을 충분히 윤활하고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입니다. "SUS"는 "Saybolt Universal Seconds"의 약자로, 윤활유의 점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입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유동성이나 점도와 관련된 유체의 흐름 속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박준혁]
공기흡입관의 압력계기가 안정되지 않고 흔들리며 지시(fluctuating indication)하는지 살펴본다.
3.
엔진카울 및 주변 부품 등에 심한 그을음(exhaust soot)이 묻어 있는지 검사한다.
4.
엔진 배기부분을 알칼리 용액 또는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으로 세척을 하고 정밀검사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36.
그림과 같은 브레이튼사이클의 P-V선도에서 각 과정과 명칭이 틀린 것은?
1.
1 – 2 : 단열압축
2.
2 – 3 : 정적수열
3.
3 – 4 : 단열팽창
4.
4 – 1 : 정압방열
정답 : [
2
] 정답률 : 77%
37.
왕복엔진의 압력식 기화기에서 저속혼합조정(idle mixture control)을 하는 동안 정확한 혼합비를 알수 있는 계기는?
1.
공기압력계기
2.
연료유량계기
3.
연료압력계기
4.
RPM 계기와 MAP 계기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압력식 기화기는 공기의 질량 유량에 비례하여 연료 흐름이 증가한다. 저속혼합조정은 엔진이 저속속도에서 부드럽고 과열을 줄이며, 점화 플러그 오염이 안 되도록 보통 제작자에 의해 정해진다. 그래서 위의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엔진으로 들어오는 MAP계기 확인과 RPM을 나타내는 Tachomoeter를 항상 확인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이은택]
38.
프로펠러 깃의 허브중심으로부터 깃끝까지의 길이가 R, 깃각이 β 일 때 이 프로펠러의 기하학적 피치는?
1.
2πRtanβ
2.
2πRsinβ
3.
2πRcosβ
4.
2πRsecβ
정답 : [
1
] 정답률 : 69%
39.
프로펠러를 [보기]와 같이 분류한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프로펠러의 최대 회전 속도
2.
프로펠러 지름의 최대 크기
3.
프로펠러 피치의 조정 방식
4.
프로펠러 유효피치의 크기
정답 : [
3
] 정답률 : 87%
40.
제트엔진의 추력을 결정하는 압력비(EPR: Engine Pressure Ratio)의 정의는?
1.
터빈입구압력/엔진입구압력
2.
엔진입구압력/터빈입구압력
3.
터빈출구압력/엔진입구압력
4.
엔진입구압력/터빈출구압력
정답 : [
3
] 정답률 : 69%
41.
실속속도가 120km/h인 수송기의 설계제한 하중배수가 4.4인 경우 이 수송기의 설계운용속도는 약 몇 km/h인가?
1.
228
2.
252
3.
264
4.
270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Va = Vs x route 4.4 = 251.714 = 252
42.
키놀이 조종계통에서 승강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승강키의 조종은 페달에 의존한다.
2.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는 항공기 운동에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수평 안정판의 뒷전에 장착되어 있다.
4.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운동에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43.
세미모노코크(semi monocoque)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트러스 구조보다 복잡하다.
2.
뼈대가 모든 하중을 담당한다.
3.
하중의 일부를 표피가 담당한다.
4.
프레임, 정형재, 링, 스트링거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44.
다음 중 착륙거리를 단축시키는데 사용하는 보조 조종면은?
1.
스테빌레이터(stabilator)
2.
브레이크 브리딩(brake bleeding)
3.
플라이트 스포일러(flight spoiler)
4.
그라운드 스포일러(ground spoiler)
정답 : [
4
] 정답률 : 83%
45.
항공기용 알루미늄합금 판재에 드릴작업을 할 때 가장 적합한 드릴각도, 작업속도, 작업압력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118°, 고속회전, 손힘을 균일하게
2.
140°, 저속회전, 매우 힘있게
3.
90°, 저속회전, 변화있게
4.
75°, 저속회전, 매우 세게
정답 : [
1
] 정답률 : 78%
46.
항공기 날개구조에서 리브(rib)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날개 내부구조의 집중응력을 담당하는 골격이다.
2.
날개에 걸리는 하중을 스킨에 분산시킨다.
3.
날개의 스팬(span)을 늘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장 부분이다.
4.
날개의 곡면상태를 만들어주며, 날개의 표면에 걸리는 하중을 스파에 전달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47.
AN426AD3-5 리벳의 부품번호에 대한 각 의미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426 : 플러시머리리벳
2.
AD : 알루미늄 합금 2017T
3.
3 : 3/16인치의 직경
4.
5 : 5/32인치의 길이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426 - countersunk head rivet [해설작성자 : 줄쟁이]
복합재료의 강화재 중 무색 투명하며 전기부도체인 섬유로서 우수한 내열성 때문에 고온 부위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1.
아라미드섬유
2.
유리섬유
3.
알루미나섬유
4.
보론섬유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알루미나 섬유 : 공기 중 1000도에서 열화되지 않고, 용융금속에서도 침해되지 않는 섬유로, 금속 강화에 가장 적합하다. CF. 아라미드 섬유 = 케플러 무색,투명,전기부도체, 우수한 내열성, 고온부위 재료.
유리섬유 : 이산화규소의 가는 가닥으로 만들어진 섬유, 내열성, 내화학성, 값이 저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기계적 강도가 낮아 2차 구조물에 사용된다. 내열성, 내화학성, 값이 저렴, 가장 많이, 2차 구조물
탄소섬유 : 열팽창 계수가 작기 때문에 사용온도의 변동이 크더라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강도와 강성이 날개와 동체 등과 같은 1차 구조부의 제작에 쓰인다. 취성이 크고 가격이 비싸다 치수 안정성, 강도와 강성, 1차 구조부, 취성이 크고 가격이 비쌈
아라미드 섬유 : 케블러라고도 하며 가볍고 인장강도가 크며 유연성이 크다. 알루미늄 합금보다 인장강도가 4배 높으며, 밀도는 알루미늄 합금의 50%의 밀도로 높은 응력과 진동을 받는 항공기 부품에 가장 이상적이다. 인장강도, 유연성, 높은 응력과 진동을 받는 항공기 부품에 적합
보론 섬유 : 뛰어난 압축강도와 경도를 가지며 열팽창률이 크고 금속과의 점착성이 좋다. 작업할 때 위험성이 있고 값이 비싸기 때문에 일부 전투기에 사용된다. 열팽창률, 점착성, 위험성이 있고 값이 비싸다, 일부 전투기
세라믹 섬유 : 1200도에 도달할 때까지 강도와 유연성을 유지하며 높은 온도의 적용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한다. 1200도 까지 강도와 유연성, 높은 온도의 적용이 요구되는 곳. [해설작성자 : 이은택]
61.
항공기에서 고도 경고 장치(altitude alert system)의 주된 목적은?
1.
지정된 비행 고도를 충실히 유지하기 위하여
2.
착륙 장치를 내릴 수 있는 고도를 지시하기 위하여
3.
고 양력 장치를 펼치기 위한 고도를 지시하기 위하여
4.
항공기가 상승 시 설정된 고도에 진입된 것을 지시하기 위하여
정답 : [
1
] 정답률 : 69%
62.
교류회로에서 피상전력이 100kVA이고 유효전력은 80kW, 무효전력은 60kVar일 때 역률은 얼마인가?
<문제 해설> service interphone: 비행중에는 조종사와 객실 승무원 지상에서는 조종사와 정비사 cabin interphone : 조종사와 객실 승무원 및 객실 승무원 간 통화 [해설작성자 : csy]
66.
엔진을 시동하여 아이들(idel)로 운전할 경우 발전기 전압이 축전지 전압보다 낮게 출력될 때 발생되는 현상은?
1.
발전기와 축전지가 부하로부터 분리된다.
2.
축전지는 부하로부터 분리되고, 발전기가 전체의 부하를 담당한다.
3.
발전기와 축전지가 병렬로 접속되어 전체 부하를 담당한다.
4.
역전류 차단기에 의해 발전기가 부하로부터 분리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67.
유압계통에서 작동기의 작동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축압기(accumilator)
2.
체크 밸브(check valve)
3.
선택 밸브(selector valve)
4.
압력 릴리프 밸브(pressure relif valve)
정답 : [
3
] 정답률 : 69%
68.
서머커플형(thermocouple type)화재탐지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기 감지에 의해 작동한다.
2.
빛의 세기에 의해 작동한다.
3.
급격한 움직임에 의해 작동한다.
4.
온도상승에 의한 기전력 발생으로 작동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69.
고도계의 오차 중 탄성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료의 피로 현상에 의한 오차이다.
2.
온도 변화에 의해서 탄성계수가 바뀔 때의 오차이다.
3.
확대장치의 가동부분, 연결 등에 의해 생기는 오차이다.
4.
압력 변화에 대응한 휘어짐이 회복되기까지의 시간적인 지연에 따른 지연 효과에 의한 오차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3%
70.
다음 중 엔진의 상태를 지시하는 엔진계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RPM 계기
2.
ADI
3.
EGT 계기
4.
Fuel flowmeter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ADI Attitude Director Indicator : 자세방향지시계 비행자세에 관해 종합적으로 지시하는 계기 [해설작성자 : Han_G1ry]
71.
엔진의 회전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회전수를 발전기축에 전달하는 장치는?
1.
정속구동장치(C.S.D)
2.
전압 조절기(voltage regulator)
3.
감쇠 변압기(damping transformer)
4.
계자 제어장치(field control relay)
정답 : [
1
] 정답률 : 86%
72.
항공기 방화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화시스템은 감지(detection), 소화(extinguishing), 탈출(evacuation)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엔진의 화재감지에 사용되는 감지기(detector)는 주로 스모그감지장치(smoke detector)이다.
3.
연속 저항 루프 화재 탐지기에는 키드시스템(kidde system)과 팬웰시스템(fenwal system)이 있다.
4.
항공기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해당 소화시스템(extinguishing system)이 작동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73.
자기 콤파스(magnetic compass)의 북선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항공기가 선회할 때 발생하는 오차이다.
2.
항공기가 북극 지방을 비행할 때 콤파스 회전부가 기울어져 발생하는 오차이다.
3.
항공기가 북진하다 선회할 때 실제 선회각보다 작은각이 지시된다.
4.
콤파스 회전부의 중심과 지지점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이 정답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저도 4번이 정답같습니다. 붙이차 : 컴퍼스 자체의 제작상 또는 장착 잘못에 의한 오차 [해설작성자 : Han_G1ry]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이 4번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01702]
[오류신고 반론] 2번이 정답 맞습니다. 북선 오차는 북극지방을 비행할 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북진하다가 동서로 회전할 때 생기는 것입니다.
4번이 맞는 이유를 설명드리자면, 일반적으로 동적오차는 복각의 영향으로 자기 적도 외의 위도에서는 지자기의 수직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항공기가 선회할 때 선회각을 주게되면 컴퍼스 카드면이 지자기의 수직 성분과 작각 관계가 흐트러져서 올바른 방위를 지시하지 못하는데, 북진하다가 동서로 선회할 때 오차가 가장 크기 때문에 북진오차라고 합니다. 즉, 선회시 자기컴퍼스 회전부의 중심(컴퍼스 카드면)과 지지점(지자기의 수직성분)이 일치하지 않아 북선오차가 생기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정환]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은 4번이 맞습니다. 북선 오차는 북쪽 또는 남쪽으로 기수가 향하고 있을 때 가장 크게 나타나며, 동쪽 또는 서쪽을 향하고 있을때는 나타나지 않기떄문에, 2번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선회시 선회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컴퍼스 내 플로트의 영구자석봉이 기울어지고 컴퍼스 카드가 돌아감. [해설작성자 : 리설주는 미인일까]
[오류신고 반론] 북선오차란 항공기가 북쪽방향으로 비행하다가 선회하면 자기장의 수직분력 때문에 컴퍼스카드가 비행기 선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따라서 틀린답을 찾는것이니 답은 2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항공박]
객실여압(cabin pressurization)장치가 있는 항공기의 순항고도에서 적절한 객실고도는?
1.
6000ft
2.
8000ft
3.
10000ft
4.
12000ft
정답 : [
2
] 정답률 : 87%
77.
황산 납 축전지(lead acid battery)의 충전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은?
1.
전해액 속의 황산의 양은 줄어든다.
2.
물의 양은 증가하고 전해액은 묽어진다.
3.
내부 저항은 증가하고 단자 전압은 감소한다.
4.
양극판은 과산화납으로, 음극판은 해면상납이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78.
다음 중 자동착륙시스템(autoland system)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ual system
2.
Triplex system
3.
Dual-Dual system
4.
Triplex-Triplex system
정답 : [
4
] 정답률 : 70%
79.
항공기의 전기회로에 사용되는 스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푸시버튼스위치는 접속방식에 따라 SPUT, SPWT, DPUT, DPWT가 있다.
2.
항공기의 토글스위치는 운동부분이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로 보호되어 있다.
3.
회선선택스위치는 한 회로만 개방하고 다른 회로는 동시에 닫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4.
마이크로스위치는 짧은 움직임으로 회로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착륙장치와 플랩 등을 작동시키는 전동기의 작동을 제한하는 스위치로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푸시버튼스위치 접속방법은 SPST(Single pole single throw)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DPST(Double pole single throw) DPDT(Double pole double throw) [해설작성자 : 압둗]
80.
항공기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첨단 항공기는 안테나가 필요 없다.
2.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안테나의 길이가 짧아진다.
3.
ADF는 주로 다이폴 안테나가 사용된다.
4.
HF 통신용은 전리층 반사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안테나가 필요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④
③
②
③
①
②
③
①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④
④
①
④
①
②
③
④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①
④
②
④
①
④
②
③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④
①
②
③
②
④
①
③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③
②
④
①
④
①
④
②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④
④
③
④
②
③
①
②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③
③
①
③
④
③
④
③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③
②
③
④
②
④
④
①
②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