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동국여지승람 : 조선 성종 때 만든 지리책이다. 연산군 때 틀린 곳을 고치거나 일부 내용을 수정했으며, 중종 때 내용을 추가·보완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만들었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것은 중종 때 만든 《신증동국여지승람》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동국여지승람 - 조선 성종 때 백과사전처럼 여러 정보를 넣어 만든 지리책 (한국사 사전 2 - 역사 사건·문화와 사상, 2015. 2. 10., 김한종, 이성호, 문여경, 송인영, 이희근, 최혜경, 이승수) [해설작성자 : 메롱이]
3.
중국정원에서 원자(院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건물과 건물사이에 자리잡은 공간으로 화훼류를 가꾸었다.
2.
정원을 다스리는 기구로써 송나라 시대부터 있었다.
3.
중국 명대의 정원에 관한 전문서적이다.
4.
송나라 시대의 사대부의 정원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원자 : 건물사이에 자리잡은 공간으로 화훼류를 가꾸기도 하였으며, 강남에서는 천정이라하여 전돌을 깔아놓고, 일부는 꽃나무를 가꾸는 수법이 당시대 이전에도 있었던 것으로 백낙천의 백목단시에도 나타남 [해설작성자 : 메롱이]
4.
일본의 임천회유식정원으로 중국적인 조경요소인 원월교(圓月橋), 소여산(小廬山) 그리고 서호제(西湖堤)가 만들어져 있는 곳은?
1.
가쓰라이궁(桂離宮)
2.
겸육원(兼六園)
3.
소석천후락원(小石川後樂園)
4.
육의원(六義園)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소석천후락원 : 에도중기시대 중국 정원 양식의 구성으로 큰 석가산을 배치한 임천회유식 정원. 중국정원의 요소로 원월교, 소여산, 서호제 설치. 학도, 구도, 봉래산 등이 배치되고 거석 배치.
1. 가쓰라이궁 (에도 초기) - 자연과 인공의 조화, 건축과 정원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천회유식 정원. - 산책과 뱃놀이를 통해 연못가를 따라 축산, 야산, 수류, 모래언덕, 석조, 섬 등 변화무쌍한 경치를 감상 - 봄에는 상화정, 죽림정, 여름에는 소의헌, 가을에는 월파루, 겨울에는 송금정의 계획과 세부의장 출중
2. 겸육원 (에도중기) - 연지라 불린 정원으로 향연이 자주 열린 임천회유식 정원. - 낙양명원기의 굉대, 유수, 인력, 창고,수천, 조망의 여섯요소를 따 명명. - 높은 곳의 하지와 표주박형 연못을 중심으로 수초, 분천, 돌다리 등 에도시대 말기의 정취. - 곡수의 세류를 주로 한 정원을 남쪽에 증원
4. 육의원 (에도중기) - 대표적인 대명정원으로 단가와 연관된 경승지 88개소 재현 - 화가대의 '풍,부,비,흥,아,영'이라는 단가에서 유래된 이름 - 바다경치를 본 딴 큰 연못에 섬을 배치한 회유식 정원 [해설작성자 : 메롱이]
5.
국민의 기질이 그 나라에 독특한 정원을 만든다고 한다면, 국가와 그 나라의 외부공간 특징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고대 그리스 - 사회·정치·학문 생활의 중심
2.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 옥외 미술관적 성격
3.
17세기 프랑스 - 일종의 무대, 즉 옥외 싸롱 역할을 한 옥외무대
4.
18세기 영국 - 앉아서 현란한 꽃의 감상과 대화
정답 : [
4
] 정답률 : 74%
6.
전통 정원에서 음양오행과 주역사상에 의한 장식을 외부 공간에 많이 사용하였는데 화마를 제압하는 능력의 벽사장식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1.
연경당 입구의 두꺼비
2.
경복궁 근정전 남쪽 영제교의 해치 4마리
3.
경복궁 아미산 굴뚝에 해태와 불가사리
4.
망새기와의 도깨비 문양
정답 : [
3
] 정답률 : 72%
7.
비큰히드 파크(Birkenhead Park)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초의 시민의 힘으로 이루어진 공원
2.
그린스워드(Greensward)안으로 만들어진 공원
3.
사적 주택단지와 공적 위락용으로 이분화된 공원
4.
조셉 팩스턴이 설계한 공원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그린스워드안으로 만들어진 공원은 센트럴파크- 옴스테드&보우 버큰헤드 공원은 팩스턴 설계, 최초로 시민의 힘으로 이룬 공원 [해설작성자 : 조경사골때리네]
8.
조선시대에 가장 흔히 조성된 연못의 형태는?
1.
둥근형
2.
네모난형
3.
자연형
4.
복합형
정답 : [
2
] 정답률 : 71%
9.
다음은 정원이 완성된 시대, 위치, 정원, 그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이 중 서로 맞지 않는 것은?
정원 중 조성 연대순으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단, 조영시기가 오래된 것부터 나열한다.)
1.
청평사 문수원정원 →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 양산보의 소쇄원 정원 → 정약용의 다산초당
2.
청평사 문수원정원 → 양산보의 소쇄원정원 →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 정약용의 다산초당
3.
청평사 문수원정원 →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 정약용의 다산초당 → 양산보의 소쇄원 정원
4.
양산보의 소쇄원정원 → 청평사 문수원정원 →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 정약용의 다산초당
정답 : [
2
] 정답률 : 54%
18.
중국정원을 소개하고, 큐 가든(Kew Garden)을 설계한 사람은?
1.
크리스토퍼 터너드(Christopher Tunard)
2.
윌리엄 챔버(William Chambers)
3.
찰스 브릿지맨(Charles Bridgeman)
4.
거트루드 재킬(Gertrude Jeckyll)
정답 : [
2
] 정답률 : 80%
19.
영국에서 일반 대중을 위한 최초의 공원을 설계한 사람은?
1.
팩스톤(Paxton)
2.
다우닝(Downing)
3.
옴스테드(Olmsted)
4.
엘리옷(Eliot)
정답 : [
1
] 정답률 : 76%
20.
창덕궁 궁궐의 원림 속에 있으며, 옥류천의 북쪽에 자리 잡고 있는 삿갓 지붕형의 단칸, 모정(矛亭)으로 방지방도로 된 유일한 것은?
1.
소요정(逍遙亭)
2.
관람정(觀纜亭)
3.
청심정(淸心亭)
4.
청의정(淸漪亭)
정답 : [
4
] 정답률 : 46%
21.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최초로 지정된 곳은?
1.
지리산
2.
설악산
3.
한라산
4.
북한산
정답 : [
1
] 정답률 : 81%
22.
어린이놀이터는 어린이의 이용에 편리하고 일조가 양호한 곳에 배수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되 그 1개소의 면적은 몇 제곱미터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고, 시·군지역은 제외한다.)
1.
200
2.
250
3.
300
4.
330
정답 : [
3
] 정답률 : 49%
23.
건축법시행령상 단독주택은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등으로 구분하는데 그 중 “다중주택”이 갖추어야 할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2.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아니한 것을 말한다.)
3.
연면적이 330제곱미터 이하이고 층수가 3층 이하인 것
4.
19세대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 것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다중주택은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을 말합니다.
1.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것 2.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 (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아니한 것을 말한다.) 3.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한다)가 3개 층 이하일 것
개정전에는 연면적이 330제곱미터이하, 층수가 3층이하인 주택이었지만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3개 층" 으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다가구주택은 다음의 요건을 갖춘 주택을 말합니다.
1.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가 3개 층 이하일 것. 다만, 1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의 용도로 쓰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한다. 2.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부설 주차장 면적은 제외)의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일것 3. 19세대(대지 내 동별 세대수를 합한 세대를 말함)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것 [해설작성자 : 담연]
24.
주택정원의 전정(前庭)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적분위기에서 사적분위기로 전이되는 공간이다.
2.
주택의 첫 인상을 주는 곳이다.
3.
입구로서의 특징을 강조할 수 있다.
4.
대지가 협소하더라도 주정(主庭)의 일부가 될 수는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25.
장래를 예측하는 것은 조경계획에서 매우 중요한 업무인데 장래 예측방법 중 특히 각 분야의 첨단을 달리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고 이들의 장래에 대한 예측 분석에 입각해서 예측하는 장래 예측방법은?
1.
외삽법
2.
델파이법
3.
귀납법
4.
회귀분석법
정답 : [
2
] 정답률 : 57%
26.
근린주구(neighborhood unit)의 개념을 최초로 이론적으로 정립한 사람은?
1.
Susan Keller
2.
C.A.Perry
3.
Milton Keynes
4.
Harlow
정답 : [
2
] 정답률 : 77%
27.
다음에 열거한 계획 개념어 중 Ian McHarg의 생태학적 결정론과 가장 가까운 것은?
1.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2.
형태는 과정을 따른다.
3.
형태는 형태를 따른다.
4.
형태는 자율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28.
공장조경의 근본목적에 알맞지 않는 것은?
1.
공장내의 폐기물이나 지저분한 곳을 은폐시키기 위해
2.
공장의 기하학적 구조물을 자연 요소로 완화시키기 위해
3.
공장근무자들의 휴식, 안전, 위색을 도모하기 위해
4.
공장의 공해요소 완화로 주변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정답 : [
1
] 정답률 : 65%
29.
다음 도시공원 중 관련 법상 설치할 수 있는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비율이 공원 면적에 대하여 가장 높은 곳은?
1.
어린이공원
2.
소공원
3.
근린공원(3만제곱미터 미만)
4.
체육공원(3만제곱미터 미만)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체육공원은 시설 설치 면적이 50퍼센트 이하입니다. 어린이 공원은 60퍼센트 이하 소공원은 20%이하 근린 공원은 40%이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린드블롬(Lindblom)이 주장한 점진적 계획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점진적 계획에서는 최적 대안 선정을 위하여 분석의 종합성을 강조한다.
2.
점진적 계획은 논리적 일관성을 통해 최적의 대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3.
점진적 계획에서는 계획의 실행과 결과에 대한 인과 관계가 명확히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4.
점진적 계획은 최적의 해결 대안을 제시하기 보다는 지속적인 조정과 적응을 통해 계획의 목표를 추구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특징을 갖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3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도시관리계획 결정이 고시된 경우, 시장 또는 군수가 지적이 표시된 지형도에 도시관리계획 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하는 기준 축척은? (단, 녹지지역안의 임야,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 환경보전지역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1.
1/300 내지 1/600
2.
1/500 내지 1/1500
3.
1/3000 내지 1/6000
4.
1/10000 내지 1/25000
정답 : [
2
] 정답률 : 59%
32.
자연공원법상 공원구역에서 공원사업 외의 행위로 공원 관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나무를 베거나 야생식물을 채취하는 행위
2.
물건을 쌓아 두거나 묶어 두는 행위
3.
1000명 이상의 사람이 단체로 등산하는 행위
4.
경관을 해칠 우려가 있는 건축물의 용도 변경
정답 : [
3
] 정답률 : 66%
33.
개발계획 규모별 도시공원 또는 녹지의 확보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도시개발법」에 의한 개발계획(1만제곱미터 이상 30만제곱미터 미만의 개발계획) : 상주인구 1인당 3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면적의 5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2.
「주택법」에 의한 주택건설사업계획(1천세대 이상의 주택건설사업계획) : 1세대당 3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부지면적의 5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정비계획(5만제곱미터 이상의 정비계획) : 1세대당 2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면적의 5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4.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택지개발계획(30만제곱미터 이상 100만제곱미터 미만의 개발계획) : 상주인구 1인당 5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면적의 12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30만~ 100만제곱미터 미만의 개발 계획 : 상주인구 1인당 7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 면적의 15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해설작성자 : 담연]
34.
다음 중 조경계획 진행시 인문·사회·환경 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식생
2.
교통
3.
토지이용
4.
역사적 유물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식생은 자연환경 조사 항목이다 [해설작성자 : 림콩]
35.
사전환경성검토의 환경영향 검토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발사업수익에 미치는 영향
2.
계획의 환경목표와의 부합성
3.
계획의 건전성 및 지속가능성
4.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
정답 : [
1
] 정답률 : 73%
36.
비교적 큰 규모의 프로젝트(예: 유원지, 국립공원)를 수행할 때 기본구상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1.
토지이용 및 식재
2.
토지이용 및 동선
3.
동선 및 하부구조
4.
시설물 배치 및 식재
정답 : [
2
] 정답률 : 74%
37.
토양상(soil individual)을 나타내는 방법을 예시하면 SoC2로 표현할 수 있는데 여기서 So, C, 2가 의미하는 바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So : 경사도, C : 토양통, 2 : 토양군
2.
So : 토양통, C : 경사도, 2 : 침식정도
3.
So : 토양군, C : 침식정도, 2 : 경사도
4.
So : 토양통, C : 침식정도, 2 : 경사도
정답 : [
2
] 정답률 : 59%
38.
어떤 프로젝트가 시공되고 얼마동안의 이용기간을 거친 후 그 설계 혹은 계획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설계 의도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지, 이용자의 행태에 적합한 공간 구성이 이루어졌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하는 평가는?
1.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
이용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
3.
시각자원평가(visual resource assessment)
4.
설계대안평가(design alternatives evaluation)
정답 : [
2
] 정답률 : 79%
39.
도시민의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산소(O2)의 공급원으로서 요구되는 수림지 면적을 산출하여 공원녹지의 수요를 결정하는 방법은?
<문제 해설> 동국여지승람 : 조선 성종 때 만든 지리책이다. 연산군 때 틀린 곳을 고치거나 일부 내용을 수정했으며, 중종 때 내용을 추가·보완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만들었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것은 중종 때 만든 《신증동국여지승람》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동국여지승람 - 조선 성종 때 백과사전처럼 여러 정보를 넣어 만든 지리책 (한국사 사전 2 - 역사 사건·문화와 사상, 2015. 2. 10., 김한종, 이성호, 문여경, 송인영, 이희근, 최혜경, 이승수) [해설작성자 : 메롱이]
3.
중국정원에서 원자(院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건물과 건물사이에 자리잡은 공간으로 화훼류를 가꾸었다.
2.
정원을 다스리는 기구로써 송나라 시대부터 있었다.
3.
중국 명대의 정원에 관한 전문서적이다.
4.
송나라 시대의 사대부의 정원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원자 : 건물사이에 자리잡은 공간으로 화훼류를 가꾸기도 하였으며, 강남에서는 천정이라하여 전돌을 깔아놓고, 일부는 꽃나무를 가꾸는 수법이 당시대 이전에도 있었던 것으로 백낙천의 백목단시에도 나타남 [해설작성자 : 메롱이]
4.
일본의 임천회유식정원으로 중국적인 조경요소인 원월교(圓月橋), 소여산(小廬山) 그리고 서호제(西湖堤)가 만들어져 있는 곳은?
1.
가쓰라이궁(桂離宮)
2.
겸육원(兼六園)
3.
소석천후락원(小石川後樂園)
4.
육의원(六義園)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소석천후락원 : 에도중기시대 중국 정원 양식의 구성으로 큰 석가산을 배치한 임천회유식 정원. 중국정원의 요소로 원월교, 소여산, 서호제 설치. 학도, 구도, 봉래산 등이 배치되고 거석 배치.
1. 가쓰라이궁 (에도 초기) - 자연과 인공의 조화, 건축과 정원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천회유식 정원. - 산책과 뱃놀이를 통해 연못가를 따라 축산, 야산, 수류, 모래언덕, 석조, 섬 등 변화무쌍한 경치를 감상 - 봄에는 상화정, 죽림정, 여름에는 소의헌, 가을에는 월파루, 겨울에는 송금정의 계획과 세부의장 출중
2. 겸육원 (에도중기) - 연지라 불린 정원으로 향연이 자주 열린 임천회유식 정원. - 낙양명원기의 굉대, 유수, 인력, 창고,수천, 조망의 여섯요소를 따 명명. - 높은 곳의 하지와 표주박형 연못을 중심으로 수초, 분천, 돌다리 등 에도시대 말기의 정취. - 곡수의 세류를 주로 한 정원을 남쪽에 증원
4. 육의원 (에도중기) - 대표적인 대명정원으로 단가와 연관된 경승지 88개소 재현 - 화가대의 '풍,부,비,흥,아,영'이라는 단가에서 유래된 이름 - 바다경치를 본 딴 큰 연못에 섬을 배치한 회유식 정원 [해설작성자 : 메롱이]
5.
국민의 기질이 그 나라에 독특한 정원을 만든다고 한다면, 국가와 그 나라의 외부공간 특징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고대 그리스 - 사회·정치·학문 생활의 중심
2.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 옥외 미술관적 성격
3.
17세기 프랑스 - 일종의 무대, 즉 옥외 싸롱 역할을 한 옥외무대
4.
18세기 영국 - 앉아서 현란한 꽃의 감상과 대화
정답 : [
4
] 정답률 : 74%
6.
전통 정원에서 음양오행과 주역사상에 의한 장식을 외부 공간에 많이 사용하였는데 화마를 제압하는 능력의 벽사장식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1.
연경당 입구의 두꺼비
2.
경복궁 근정전 남쪽 영제교의 해치 4마리
3.
경복궁 아미산 굴뚝에 해태와 불가사리
4.
망새기와의 도깨비 문양
정답 : [
3
] 정답률 : 72%
7.
비큰히드 파크(Birkenhead Park)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초의 시민의 힘으로 이루어진 공원
2.
그린스워드(Greensward)안으로 만들어진 공원
3.
사적 주택단지와 공적 위락용으로 이분화된 공원
4.
조셉 팩스턴이 설계한 공원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그린스워드안으로 만들어진 공원은 센트럴파크- 옴스테드&보우 버큰헤드 공원은 팩스턴 설계, 최초로 시민의 힘으로 이룬 공원 [해설작성자 : 조경사골때리네]
8.
조선시대에 가장 흔히 조성된 연못의 형태는?
1.
둥근형
2.
네모난형
3.
자연형
4.
복합형
정답 : [
2
] 정답률 : 71%
9.
다음은 정원이 완성된 시대, 위치, 정원, 그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이 중 서로 맞지 않는 것은?
정원 중 조성 연대순으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단, 조영시기가 오래된 것부터 나열한다.)
1.
청평사 문수원정원 →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 양산보의 소쇄원 정원 → 정약용의 다산초당
2.
청평사 문수원정원 → 양산보의 소쇄원정원 →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 정약용의 다산초당
3.
청평사 문수원정원 →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 정약용의 다산초당 → 양산보의 소쇄원 정원
4.
양산보의 소쇄원정원 → 청평사 문수원정원 →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 정약용의 다산초당
정답 : [
2
] 정답률 : 54%
18.
중국정원을 소개하고, 큐 가든(Kew Garden)을 설계한 사람은?
1.
크리스토퍼 터너드(Christopher Tunard)
2.
윌리엄 챔버(William Chambers)
3.
찰스 브릿지맨(Charles Bridgeman)
4.
거트루드 재킬(Gertrude Jeckyll)
정답 : [
2
] 정답률 : 80%
19.
영국에서 일반 대중을 위한 최초의 공원을 설계한 사람은?
1.
팩스톤(Paxton)
2.
다우닝(Downing)
3.
옴스테드(Olmsted)
4.
엘리옷(Eliot)
정답 : [
1
] 정답률 : 76%
20.
창덕궁 궁궐의 원림 속에 있으며, 옥류천의 북쪽에 자리 잡고 있는 삿갓 지붕형의 단칸, 모정(矛亭)으로 방지방도로 된 유일한 것은?
1.
소요정(逍遙亭)
2.
관람정(觀纜亭)
3.
청심정(淸心亭)
4.
청의정(淸漪亭)
정답 : [
4
] 정답률 : 46%
21.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최초로 지정된 곳은?
1.
지리산
2.
설악산
3.
한라산
4.
북한산
정답 : [
1
] 정답률 : 81%
22.
어린이놀이터는 어린이의 이용에 편리하고 일조가 양호한 곳에 배수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되 그 1개소의 면적은 몇 제곱미터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고, 시·군지역은 제외한다.)
1.
200
2.
250
3.
300
4.
330
정답 : [
3
] 정답률 : 49%
23.
건축법시행령상 단독주택은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등으로 구분하는데 그 중 “다중주택”이 갖추어야 할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2.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아니한 것을 말한다.)
3.
연면적이 330제곱미터 이하이고 층수가 3층 이하인 것
4.
19세대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 것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다중주택은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을 말합니다.
1.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것 2.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 (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아니한 것을 말한다.) 3.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한다)가 3개 층 이하일 것
개정전에는 연면적이 330제곱미터이하, 층수가 3층이하인 주택이었지만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3개 층" 으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다가구주택은 다음의 요건을 갖춘 주택을 말합니다.
1.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가 3개 층 이하일 것. 다만, 1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의 용도로 쓰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한다. 2.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부설 주차장 면적은 제외)의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일것 3. 19세대(대지 내 동별 세대수를 합한 세대를 말함)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것 [해설작성자 : 담연]
24.
주택정원의 전정(前庭)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적분위기에서 사적분위기로 전이되는 공간이다.
2.
주택의 첫 인상을 주는 곳이다.
3.
입구로서의 특징을 강조할 수 있다.
4.
대지가 협소하더라도 주정(主庭)의 일부가 될 수는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25.
장래를 예측하는 것은 조경계획에서 매우 중요한 업무인데 장래 예측방법 중 특히 각 분야의 첨단을 달리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고 이들의 장래에 대한 예측 분석에 입각해서 예측하는 장래 예측방법은?
1.
외삽법
2.
델파이법
3.
귀납법
4.
회귀분석법
정답 : [
2
] 정답률 : 57%
26.
근린주구(neighborhood unit)의 개념을 최초로 이론적으로 정립한 사람은?
1.
Susan Keller
2.
C.A.Perry
3.
Milton Keynes
4.
Harlow
정답 : [
2
] 정답률 : 77%
27.
다음에 열거한 계획 개념어 중 Ian McHarg의 생태학적 결정론과 가장 가까운 것은?
1.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2.
형태는 과정을 따른다.
3.
형태는 형태를 따른다.
4.
형태는 자율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28.
공장조경의 근본목적에 알맞지 않는 것은?
1.
공장내의 폐기물이나 지저분한 곳을 은폐시키기 위해
2.
공장의 기하학적 구조물을 자연 요소로 완화시키기 위해
3.
공장근무자들의 휴식, 안전, 위색을 도모하기 위해
4.
공장의 공해요소 완화로 주변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정답 : [
1
] 정답률 : 65%
29.
다음 도시공원 중 관련 법상 설치할 수 있는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비율이 공원 면적에 대하여 가장 높은 곳은?
1.
어린이공원
2.
소공원
3.
근린공원(3만제곱미터 미만)
4.
체육공원(3만제곱미터 미만)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체육공원은 시설 설치 면적이 50퍼센트 이하입니다. 어린이 공원은 60퍼센트 이하 소공원은 20%이하 근린 공원은 40%이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린드블롬(Lindblom)이 주장한 점진적 계획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점진적 계획에서는 최적 대안 선정을 위하여 분석의 종합성을 강조한다.
2.
점진적 계획은 논리적 일관성을 통해 최적의 대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3.
점진적 계획에서는 계획의 실행과 결과에 대한 인과 관계가 명확히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4.
점진적 계획은 최적의 해결 대안을 제시하기 보다는 지속적인 조정과 적응을 통해 계획의 목표를 추구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특징을 갖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3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도시관리계획 결정이 고시된 경우, 시장 또는 군수가 지적이 표시된 지형도에 도시관리계획 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하는 기준 축척은? (단, 녹지지역안의 임야,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 환경보전지역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1.
1/300 내지 1/600
2.
1/500 내지 1/1500
3.
1/3000 내지 1/6000
4.
1/10000 내지 1/25000
정답 : [
2
] 정답률 : 59%
32.
자연공원법상 공원구역에서 공원사업 외의 행위로 공원 관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나무를 베거나 야생식물을 채취하는 행위
2.
물건을 쌓아 두거나 묶어 두는 행위
3.
1000명 이상의 사람이 단체로 등산하는 행위
4.
경관을 해칠 우려가 있는 건축물의 용도 변경
정답 : [
3
] 정답률 : 66%
33.
개발계획 규모별 도시공원 또는 녹지의 확보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도시개발법」에 의한 개발계획(1만제곱미터 이상 30만제곱미터 미만의 개발계획) : 상주인구 1인당 3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면적의 5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2.
「주택법」에 의한 주택건설사업계획(1천세대 이상의 주택건설사업계획) : 1세대당 3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부지면적의 5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정비계획(5만제곱미터 이상의 정비계획) : 1세대당 2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면적의 5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4.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택지개발계획(30만제곱미터 이상 100만제곱미터 미만의 개발계획) : 상주인구 1인당 5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면적의 12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30만~ 100만제곱미터 미만의 개발 계획 : 상주인구 1인당 7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 면적의 15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해설작성자 : 담연]
34.
다음 중 조경계획 진행시 인문·사회·환경 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식생
2.
교통
3.
토지이용
4.
역사적 유물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식생은 자연환경 조사 항목이다 [해설작성자 : 림콩]
35.
사전환경성검토의 환경영향 검토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발사업수익에 미치는 영향
2.
계획의 환경목표와의 부합성
3.
계획의 건전성 및 지속가능성
4.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
정답 : [
1
] 정답률 : 73%
36.
비교적 큰 규모의 프로젝트(예: 유원지, 국립공원)를 수행할 때 기본구상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1.
토지이용 및 식재
2.
토지이용 및 동선
3.
동선 및 하부구조
4.
시설물 배치 및 식재
정답 : [
2
] 정답률 : 74%
37.
토양상(soil individual)을 나타내는 방법을 예시하면 SoC2로 표현할 수 있는데 여기서 So, C, 2가 의미하는 바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So : 경사도, C : 토양통, 2 : 토양군
2.
So : 토양통, C : 경사도, 2 : 침식정도
3.
So : 토양군, C : 침식정도, 2 : 경사도
4.
So : 토양통, C : 침식정도, 2 : 경사도
정답 : [
2
] 정답률 : 59%
38.
어떤 프로젝트가 시공되고 얼마동안의 이용기간을 거친 후 그 설계 혹은 계획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설계 의도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지, 이용자의 행태에 적합한 공간 구성이 이루어졌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하는 평가는?
1.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
이용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
3.
시각자원평가(visual resource assessment)
4.
설계대안평가(design alternatives evaluation)
정답 : [
2
] 정답률 : 79%
39.
도시민의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산소(O2)의 공급원으로서 요구되는 수림지 면적을 산출하여 공원녹지의 수요를 결정하는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