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영국 자연풍경식 정원 발달에 기여한 조경가는 찰스 브릿지맨으로 작품으로는 스토우원이 있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4.
다음 중 정자에 만들어진 방의 위치가 다른 하나는?
1.
소쇄원 광풍각
2.
담양 명옥헌
3.
예천 초간정
4.
화순 임대정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예천 초간정 : 정자는 용문면 원류마을 앞 굽이쳐 흐르는 계류 옆 암반 위에 막돌로 기단을 쌓고 지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에 사각기둥을 세우고 기와를 얹은 팔작지붕집이다. 내부에는 왼쪽 2칸에 온돌방을 만들어 사방으로 문을 달고, 그 외의 부분에는 대청마루를 깔고 사방에 계자난간을 둘렀다 화순 임대정 :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고 서북향이다. 처음에는 초가였으나 1922년에 기와로 중건하였다. 방지는 사방이 6.5m이고 방지 중도에는 세심이라고 새긴 돌이 있고, 주위는 오죽이 감싸고 있다. 방지의 물가에는 6면석이 있고 동쪽에는 피향지, 서쪽에는 읍청당, 앞쪽에는 기임석 임술춘이라고 새겨져 있다 담양 명옥헌 :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사방이 마루이고 가운데에 방이 있다. 마루 높이가 다른 정자보다 높은 편인데, 그래서인지 소박한 난간이 빙 둘리어 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중국의 고전적인 정원의 대표작으로 중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보존이 잘 된 황가의 이궁이다.
2.
서태후는 청의원을 이화원이라 개명하는 등 이화원 재건의 주역이다.
3.
만수산과 곤명호로 이루어졌으며 만수산의 요지에 배운전과 불향각이 있다.
4.
퇴수산에는 태호석을 주로 한 석순을 배치하여 인공암산의 모습을 나타낸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도 규모가 가장 큰건 아니지않나요?? 피서산장과 원명원이 규모가 더 크지 않은지..
[오류신고 반론] 4. 퇴수산은 이화원이 아닌 중국 자금성 후원의 어화원에 있다. [해설작성자 : 다정]
6.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의 센트럴파크(Central Park)의 설계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연경관의 비스타(vista)
2.
정형적인 몰(mall)
3.
입체적 동선체계
4.
넓은 커낼(canal)
정답 : [
4
] 정답률 : 78%
7.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전통조경 발달과정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프랑스는 일찍부터 도시국가가 발달하고 부(富)를 축적하여 교외 구릉지에 빌라가 발달하였다.
2.
이탈리아는 도시주택 겸 수렵용 건물인 성관이 발달하였다.
3.
이탈리아는 프랑스보다 다이나믹한 수경(水景)중심에서 잔잔하고 넓은 수경으로 발달하였다.
4.
프랑스의 조경은 이탈리아보다 화단 파르테르(Parterre)를 중요시 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파르테르(프랑스어: Parterre) : 식수 화단을 구성하는 수평면의 양식적인 정원 건축물로, 보기 좋은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예리한 모서리의 돌이나, 혹은 탄탄하게 잘려진 울타리와 자갈길이 정렬된다. 파르테르를 구성함에 있어서 꽃이 전혀 필요가 없다. 프랑스 파르테르는 16세기 정원으로부터 정교화되어, 베르사유 궁전에서 정점에 도달하였으며, 영국의 켄싱턴 궁전처럼 수많은 유럽의 모방작이 나타나게 되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2. 프랑스는 성관, 이탈리아는 빌라가 발달하였다 3. 프랑스는 중세의 방어요소인 호를 호수와 같은 장식적 수경으로 전환시킨 반면에 이탈리아는 캐스케이드, 분수, 물풍금 등의 다이나믹한 수경을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만두만두만만두]
8.
무로마찌(室町) 시대 정원의 특징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석조(石組)가 두드러지게 중요시되어 과거 지형위주의 경향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2.
묵화(墨畵)적인 산수(山水)를 사실적으로 취급한 것에서 점점 추상적인 의장으로 발전하였다.
3.
응인(應仁)의 전란 이후 제약을 받아 사찰도 재정이 부족하여 부지가 협소한 장소에 조성된다.
4.
수목의 비중이 중요시 되어 후에는 상록활엽수가 정원 의장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무로마치시대 : 고산수 양식, 축산고산수(14C), 평정고산수(15C후반) - 축산고산수~대덕사 대선원, 수목=산, 모래=냇가, 바위=폭포 , 물 × - 평정고산수~용안사 방장선원, 식물 ×, 모래=냇가, 바위=폭포, 물 × [해설작성자 : 팔봉K]
9.
다음 중 조성시기가 빠른 순으로 나열된 것은?
1.
영양 서석지 → 강진 다산초당 → 대전 남간정사 → 서울 부암정
2.
영양 서석지 → 대전 남간정사 → 강진 다산초당 → 서울 부암정
3.
대전 남간정사 → 영양 서석지 → 강진 다산초당 → 서울 부암정
4.
대전 남간정사 → 강진 다산초당 → 영양 서석지 → 서울 부암정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영양 서석지 : 정영방이 광해군 5년(1613)에 조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연못과 정자이다. 자양산의 남쪽 완만한 기슭에 위치한 연못을 중심으로 경정·주일재·수직사·남문 등의 건물들이 자리잡고 있다. 경정은 넓은 대청과 방 2개로 되어있는 큰 정자이며, 주일재는 ‘운서헌’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있는 서재이다. 주일재 앞에는 연못쪽으로 돌출한 석단인 사우단을 만들고 소나무·대나무·매화·국화를 심었다 대전 남간정사 : 1683년(숙종 9)에 송시열이 지은 서당 건물로,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에 있다. 송시열은 이 곳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그의 학문을 완성시켰다. 능인암 아래에 규모가 큰 서당을 새로 건립하였는데, 이것이 남간정사이다. 남간정사는 계곡에 있는 샘에서 흘러내려오는 물을 건물의 대청 밑을 지나서 연못으로 흘러가게 하였는데, 이는 한국 정원 조경사에 새로운 조경방법이다. 다산초당 [茶山草堂] : 정면 5칸, 측면 2칸. 조선 후기의 대표적 사상가인 정약용(丁若鏞)이 1801년(순조 1)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귀양와 이곳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중, 1808년에 윤규로(尹奎魯)의 산정이던 이 초당으로 처소를 옮겨 1818년 귀양에서 풀릴 때까지 10여 년간 생활하면서, 《목민심서》 등을 저술하고 실학을 집대성함으로써 실학사상의 산실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10.
고려시대 인공폭포를 조성하고 석가산을 쌓았으며 특이한 정자를 많이 건립한 군주는?
1.
예종
2.
의종
3.
명종
4.
공민왕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고려사) 의종 6년 1152년 "수창궁 북원에 괴석을 쌓아 가산을 꾸미고 그 옆에 만수정을 세웠다"라는 기록이 있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수창궁은 인공폭포에 대한 내용이 없어 아마 문제에 제시된 내용은 수덕궁(의종11년)에 관한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배상명]
11.
일본 조경사에서 곡수연이 시작된 시기는?
1.
비조(아스카)시대
2.
평안(헤이안)시대
3.
실정(무로마치)시대
4.
도산(모모야마)시대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일본은 나라시대 평성궁이 최초 아닌가요??
[오류신고 반론] 비조(아스카)시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좀]
[오류신고 반론] 아스카시대 중국으로부터 온 뱃놀이나 곡수연 등 시행 [해설작성자 : 배상명]
12.
영국 르네상스 정원을 구성하는 정원의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토피아리(topiary)
2.
총림(bosquet)
3.
문주(門注)
4.
매듭화단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총림[叢林] : 승려들의 참선수행 전문도량인 선원(禪院)과 경전 교육기관인 강원(講院), 계율 전문교육기관인 율원(律院) 등을 모두 갖춘 사찰. 토피아리(topiary) : 용기에서 자연스럽게 자라고 있는 식물을 자르고 다듬어 동물 모양이나 구형, 하트 모양 등의 형태로 만든 것 매듭화단 : 낮게 깎은 회양목 등으로 화단을 여러 가지 기하학적 문양으로 구획짓는 것 [해설작성자 : 팔봉K]
토피어리, 문주, 매듭화단 > 르네상스 영국 총림, 노단, 화단 > 르네상스 이탈리아 [해설작성자 : muu]
13.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주택정원의 전통 양식은?
1.
앞뜰을 중요시한 자연풍경식
2.
안뜰을 중요시한 노단건축식
3.
뒤뜰을 중요시한 후원식
4.
안뜰을 중요시한 자연풍경식
정답 : [
3
] 정답률 : 79%
14.
이탈리아 정원에 있어서 문예부흥(르네상스)이 끼친 가장 큰 영향은?
1.
성곽(城廓)정원에서 탈피하여 별장 중심의 정원으로 전환되었다.
2.
실용(實用)주의 정원으로 발전하였다.
3.
대중을 위한 공공조경에 관심을 쏟았다.
4.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15.
궁남지 연못의 섬을'방장선산(方丈仙山)'의 상징이라고 기록한 문헌은?
1.
동경잡기
2.
동국여지승람
3.
삼국사기
4.
삼국유사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무왕 35년 사비궁 남쪽에 판 연못으로 20여리 밖에서 물을 끌어들였다고 삼국사기와 동사강목에 기록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일본에 백제사람 노자공이 정원을 조성하였다는 기록이 일본서기에 기록되어 있다. 이 때 반영된 주요 사상은?
1.
불교사상(佛敎思想)
2.
상세사상(常世思想)
3.
신선사상(神仙思想)
4.
도교사상(道敎思想)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스카시대 백제 노자공이 볼교사상을 바탕으로 수미산과 오교 조성(일본 정원의 효시) > 일본의 정원양식에 영향 > 일본 서기에 기록(최초의 기록) [해설작성자 : muu]
17.
색상이 푸르고 깎아 지는 듯하며 골짜기에 구름을 감춘 듯 한 모양으로 이끼가 잘 자라는 괴석을 양화소록에서는 최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 돌의 명칭은?
1.
운경석
2.
산경석
3.
금경석
4.
차경석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양화소록 : 조선전기 문신 강희안이 꽃과 나무의 재배와 이용에 관하여 서술한 농업서. 원예서, 예로부터 사람들이 완상(玩賞)하여온 꽃과 나무 몇 십 종을 들어 그 재배법과 이용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꽃과 나무의 품격과 그 의미, 상징성을 논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18.
각 국가별로 중요 조경유적의 연결이 바른 것은?
1.
고구려 – 궁남지(宮南池)
2.
신라 – 임류각(臨流閣)
3.
고려 – 동지(東池)
4.
백제 – 감은사(感恩寺)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궁남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백제의 별궁 연못. 무왕 35년(634)에 연못을 궁 남쪽에 팠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연못의 중앙부에 석축과 버드나무가 남아 있어 가운데에 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주변에서 백제 토기와 기와 따위가 출토 공산성 임류각[公山城 臨流閣] : 백제시대인 500년 동성왕 재위 22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공산성 정상부에 위치하며 주변은 편평한 대지로 다듬어져 있다. 누각의 높이는 15m, 2층구조로 이루어진 대형의 건축물이며 백제시대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누각의 용도는 왕과 신하들이 연회를 베풀었던 장소로 추정 감은사(感恩寺)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1대 신문왕이 창건한 사찰 [해설작성자 : 팔봉K]
1. 백제 무왕 - 궁남지 2. 백제 동성왕 - 임류각 4. 신라 문무왕 - 감은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중국에서 조경에 관계되는 한자의 의미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원(園) : 과수류를 심었던 곳으로 울타리가 있는 공간
2.
유(囿) : 짐승이나 조류를 기르던 울타리가 있는 공간
3.
원(苑) : 짐승이나 조류, 식물 등을 기르거나 자생하던 울타리가 있는 공간
4.
정(庭) : 건물이나 울타리에 둘러싸인 평탄한 뜰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3. 원-울타리를 쳐 짐승과 나무를 키우는 곳 [해설작성자 : 늘bluesky]
3. 새와 짐승을 기르는 곳이 원(苑)이고, 원(苑)에 담이 쳐진 곳이 유(囿)입니다. [해설작성자 : 베이컨맥앤치즈]
20.
조선시대 신궁인 종묘의 배치와 조경적 특징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1.
정궁을 중심으로 한 좌묘우사(左廟右社)의 배치
2.
배산임수의 지세를 택하여 감산(坎山)을 주산으로 배치
3.
방지원도형 연못과 시원한 박석포장의 도입
4.
괴석과 화목을 도입한 화계와 정자의 활용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종묘는 신궁이므로 화계을 두거나 정자를 건립 하지 않아 괴석이나 화려한 화목을 배치하지 않았다. 망묘루 앞에 자연석으로 호안을 축조한 방지를 조성하고 원도에 향나무를 식재하였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2과목 : 금속재료학
21.
주거단지계획시에 칼데삭(cul-de-sac) 도로 이용의 장점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차량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2.
차량동선을 가장 짧게 할 수 있다.
3.
단지 내 보행동선을 가장 짧게 할 수 있다.
4.
차량으로 인한 위험이 없는 녹지를 단지 내에 확보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쿨데삭(cul-de-sac; 막다른 골목) : 단지의 외곽도로에서 각각의 쿨데삭을 통하여 접근이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독립된 생활의 영위가 가능하며, 일반형이나 전원형 등 필지규모가 큰 유형에 적합 [해설작성자 : 팔봉K]
22.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의 대지 안에 확보하여야 하는 녹지면적의 비율은 얼마 이상으로 조치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0/100
2.
30/100
3.
4/10
4.
5/10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법령개정으로 해당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서울대 조경18]
23.
주거단지 경관계획의 기본방향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연조건의 반영
2.
조화와 개성의 부여
3.
획일적 시각적 이미지
4.
커뮤니티 감각의 부여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자연적 조건에 따른 경관계획 2. 조화와개성 부여하는 경관계획 3. 역사와 문화가 담긴 경관계획 4. 커뮤니티 감각을 부여하는 경관계획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환경영향평가법 시행규칙상 전략환경영향평가서의 계획의 승인 등이 된 후 보존 기간은?
1.
3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 : [
3
] 정답률 : 62%
25.
GIS의 자료처리 및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작업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자료입력 – 자료수집 – 자료조작 및 분석 – 자료처리 – 출력
2.
자료수집 – 자료입력 – 출력 – 차료처리 – 자료조작 및 분석
3.
자료수집 – 자료조작 및 분석 – 자료처리 – 자료입력 – 출력
4.
자료수집 – 자료입력 – 자료처리 – 자료조작 및 분석 – 출력
정답 : [
4
] 정답률 : 70%
26.
개발밀도관리구역 외에 지역으로서 개발로 인하여 도로, 공원, 녹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반시설을 설치하거나 그에 필요한 용지를 확보하게 하기 위하여 지정·고시하는 구역은? (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1.
기반시설부담구역
2.
개발밀도관리구역
3.
지구단위계획구역
4.
용도구역
정답 : [
1
] 정답률 : 52%
27.
유원지에서 위락활동의 수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가격
2.
지리적인 위치
3.
이용자의 수입
4.
교육정도
정답 : [
1
] 정답률 : 79%
28.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또는 생태적 기능의 유지가 필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생태적 서식공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생태축
2.
생태통로
3.
생태경관보전지역
4.
자연유보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생태축(生態軸) :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나 생태적 기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연결하는 서식 공간 [해설작성자 : 팔봉K]
29.
다음 중 근린주구(neighborhood) 내에서 자동차 동선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의 위계 및 밀도와 종류를 고려하여 계획한다.
2.
주변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외부동선 연계 보다는 지구 내 안전성 위주로 독립 계획한다.
3.
요일별, 계절별로 교통량 변동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4.
가급적 보행전용동선을 단절하지 않도록 계획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30.
도시조경의 목표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친환경적 도시건설
2.
친인간적 도시건설
3.
아름다운 도시건설
4.
교통 편의적 도시건설
정답 : [
4
] 정답률 : 77%
31.
다음 중 노외주차장인 주차전용건축물의 건폐율, 용적률, 대지면적의 최소한도 및 높이 제한 등 건축제한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건폐율 : 100분의 90이하
2.
용적률 : 1,000퍼센트 이하
3.
대지면적의 최소한도 : 45제곱미터 이상
4.
대지가 너비 12미터 미만의 도로에 접하는 경우 : 건축물의 각 부분의 높이는 그 부분으로부터 대지에 접한 도로의 반대쪽 경계선까지의 수평거리의 3배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용적률 : 1500% 이하 [해설작성자 : 늘bluesky]
32.
도시·군 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상 용도지역별 도로율 기준이 틀린 것은?(단, 주간선도로의 도로율은 제외한다.)
1.
주거지역 : 20% 이상 30% 미만
2.
상업지역 : 25% 이상 35% 미만
3.
공업지역 : 10% 이상 20% 미만
4.
녹지지역 : 5% 이상 15% 미만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녹지지역 기타규제없음 [해설작성자 : 미래의동산바치]
도시·군 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용도지역별 도로율 1.주거지역: 15% 이상, 30% 미만, 이 경우 간선도로의 도로율은 8% 이상, 15% 미만 2.상업지역: 25% 이상, 35% 미만, 이 경우 간선도로의 도로율은 10% 이상, 15% 미만 3.공업지역: 8% 이상, 20% 미만, 이 경우 간선도로의 도로율은 4% 이상, 10% 미만 [해설작성자 : sooou]
33.
이용자 행태의 현장 관찰의 이점이 아닌 것은?
1.
관찰자가 있음으로 이용자의 행태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2.
이용자의 행태를 연속적으로 살필 수 있다.
3.
예기치 못한 행태를 도출해 낼 수 있다.
4.
이용자 행태가 발생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주변 분위기 조사가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관찰자의 출연이 피 관찰자의 행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단점으로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34.
레크리에이션 적정수와 산정을 위한 중력모델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현재와 장래의 수요 예측
2.
인구와 거리에 따른 단기적 수요 예측
3.
여러 변수에 의한 장기적 수요 예측
4.
외부발생 변수를 고려한 수요 예측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중력모델- 대단지의 입장자는 단기적으로 수요을 예측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즉 출발지로부터 관광지의 연간수요량, 출발지와 관광지와의 거리, 출발지의 인구, 출발지의 총관광 발생량 등을 이용하여 단기적 수요를 예측한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35.
유원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상세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1.
국토기본법
2.
자연공원법
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4.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 범위 1. 항만 2. 공항 3. 유원지 4. 유통업무설비 4. 학교 6. 체육시설 7. 문화시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옥상정원의 인공지반을 녹화할 때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하중은?
1.
고정하중
2.
적재하중
3.
적설하중
4.
풍하중
정답 : [
2
] 정답률 : 72%
37.
사람들에게 내재해 있는 수요로 적당한 시설, 접근수 단, 정보가 제공되면 참여가 기대되는 수요는?
1.
잠재수요
2.
유도수요
3.
표출수요
4.
유효수요
정답 : [
1
] 정답률 : 78%
38.
환경심리학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환경과 인간행태의 관계성을 종합된 하나의 단위로서 연구한다.
2.
현실적인 인간행태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한 이론 및 그 응용을 연구한다.
3.
도심지 환경영향평가시 계량화된 주요지표로 이용된다.
4.
환경과 인간행태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연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39.
공원자연보존지구의 완충 공간(緩衝空間)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은?
1.
공원자연환경지구
2.
공원마을지구
3.
공원문화유산지구
4.
공원집단시설지구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자연공원법 제18조1항2호 공원자연보존지구의 왼충공간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공원 내에 연못을 조성하고자 할 때 계획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못의 배치는 계획 및 설계대상 공간 배수시설을 겸하도록 지형의 높은 곳에 배치한다.
2.
연못 주변의 하천이나 계곡의 물·지표면의 빗물 등 자연 급수와 지하수·상수·정화된 물(중수) 등 인공 급수 등을 여건에 맞게 반영한다.
3.
연못의 평면 및 단면 형태 시 수리, 수량, 수질의 3가지 요소를 충분히 고려한다.
4.
못 안에 분수 및 조명시설 등의 시설물을 배치할 경우에는 물을 뺀 다음의 미관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지형 낮은곳 배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야금공학
41.
조경설계기준상'환경조형시설'의 설계원칙 요소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인간 척도 적용
2.
조형성
3.
환경적 지속성
4.
독창적 고비용성
정답 : [
4
] 정답률 : 84%
42.
식재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토양이 중요하다. 토양분석에 있어서 토양의 입자 크기가 옳은 것은?
1.
모래 : 직경 5~2mm
2.
모래 : 직경 2~0.05mm
3.
미사 : 직경 0.5~0.01mm
4.
미사 : 직경 0.01~0.005mm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모래[sand] : 토양 내에 분포하는 암석과 광물의 작은 조각으로 구성된 0.02 mm~2 mm 사이의 입자를 말하며, 자갈보다는 작고 실트보다는 큰 입자 크기 미사 : 모래 점토와 함께 직경 2mm 이하인 입자를 구분한 분획으로, 미 농무부법에서는 0.05~0.002mm 크기, 국제토양학회법에서는 0.02~0.002mm 크기의 입자의 분획. [해설작성자 : 팔봉K]
혼합하는 색의 양이 많고 적음에 따라 만들어 순색, 흰색, 검정의 각 함유량으로 표시한다.
4.
색상, 명도, 채도의 기호는 H, V, C이고 표기법은 HV/C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먼셀 표색계 : 미국의 화가 먼셀(Albert H. Munsell, 1858~1918)이 1905년에 고안한 체계로, 1940년 미국 광학회(OAS)에 의해 수정되었다. 현재 먼셀 색체계는 이 수정된 것을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의 공업 규격에서 색의 삼속성에 의한 표기 방법으로 제정되었고, 교육용 20색상환으로 채택된 색체계이다. 또한 표색 방법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현재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색체계. 물체 표면에서 인지되는 색지각을 기초로 색상, 명도, 채도의 색의 3속성에 따라 3차원 공간의 한 점에 대응시켜 세 개의 좌표 방향에 있어서 지각적인 등간격이 되도록 좌표 측도를 정하여 만든 표색계이다. 여기서의 등간격은 시각적 감각에 의한 등간격을 말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관찰자가 시감으로 동등하게 느끼는 간격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을 의미 [해설작성자 : 팔봉K]
3. 오스트발트 색체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조경설계 도면의 치수를 나타낸 그림 중 가장 나쁘게 표현한 것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81%
45.
다음 그림과 같이 정지설계(grading design)을 함에있어 절토량이 가장 많은 부위는?
1.
㉮
2.
㉯
3.
㉰
4.
㉱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정지설계] - 절토에 의한 등고선 조정(낮은 등고선에서 높은 등고선 쪽으로 등고선이 수정됨) - 성토에 의한 등고선 조정(높은 등고선에서 낮은 등고선 쪽으로 등고선이 수정됨) - 절토와 성토의 혼합에 의한 등고선 조정 : 계획고보다 높은 등고선은 위로, 평탄지역을 감싸고 계획고보다 낮은 등고선은 아래로 편탄지역을 감싸도록 조정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수 설계(water design) 과정에서 공간을 구성 연출하기 위한 공간 구성의 틀로 볼 수 없는 것은?
1.
골격(spine)
2.
세팅(setting)
3.
변환(transformation)
4.
참여(involvement)
정답 : [
3
] 정답률 : 51%
47.
다음 요소 중 조경색채 계획의 시지각(視知覺)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대상물의 면적의 크기
2.
대상물의 무게
3.
대상물의 가격
4.
대상물의 구조
정답 : [
1
] 정답률 : 81%
48.
제도에서 사용되는 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자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주로 쓰인다.
2.
문자의 크기는 문자의 폭으로 나타낸다.
3.
한글의 서체는 활자체에 준하는 것이 좋다.
4.
도면에 사용되는 문자로는 한글, 숫자, 영어(로마자)등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문자의 크기[graphic size] : 문자 형태의 크기. 문자의 높이와 폭으로 표현 [해설작성자 : 팔봉K]
49.
실제 길이 3m는 축척 1/30도면에서 얼마로 나타나는가?
1.
1cm
2.
10cm
3.
3cm
4.
30cm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도상의 길이 = 축처 x 실제거리 = 1/30 x 300(cm) = 10cm [해설작성자 : 짱구]
케빈 린치(Kevin Lynch)가 말하는 도시경관의 구성요소 중 '통로(path)'의 성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속성과 방향성이 있다.
2.
동선의 네트워크(network)이다.
3.
주로 관찰자가 빈번하게 통행하는 지역이다.
4.
한 지역을 타 지역과 분리시키는 경계의 역할을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통로(Path) : 복잡한 도시 속에서 지역과 지역 사이의 동선 네트워크이다. 통로는 도시 전체에 질서를 부여하는 가장 유력한 수단이며 건물의 파사드, 가로수, 바닥의 재질 등으로 개성 있는 공간적 특징을 지닌다. 통로는 분명한 방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방향이 불분명할 시 경험자는 불안함, 불쾌함을 느끼기도 한다. (2) 교점(Node) : 길모퉁이와 광장에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우리는 종종 볼 수 있다. 이처럼 교점은 통로들의 교차점이나 집합점이라 할 수 있다. 교점의 중요성은 얼마나 자주 사용되며 통로의 중요성에 따라 결정된다. (3) 랜드마크(Landmark) : 또 다른 종류의 점적인 요소이다. 교점(Node)와 달리 주로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인지된다. 건물, 타워, 거대한 산 등 시각적으로 여러 각도에서 쉽게 인지될 수 있는 물리적인 요소이다. (4) 지역(District) : 도시보다는 작지만 커다란 크기를 가진 부분으로 2차원적인 넓이를 가지고 있다. 관찰자는 심적으로 '그 안으로' 들어가 있으며 지역마다 고유의 공간적 질을 경험하게 된다. (5) 경계(Edge) : 경계는 해안이나 철도에 의해 잘린 선, 지역과 지역이 만나는 곳 등 통로와는 다른 도시의 선형 요소이다. 때로는 통로가 경계인 경우도 있으며 주로 서로 다른 성격의 장소들이 접하는 경계를 뜻한다. [해설작성자 : 팔봉K]
52.
조경설계 기준상의 '계단'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단의 폭은 연결도로의 폭과 같거나 그 이상의 폭으로 단 높이는 18cm 이하, 단 너비는 26cm 이상으로 한다.
2.
높이 2m를 넘는 계단에는 2m 이내마다 당해 계단의 유효 폭 이상의 폭으로 너비 120cm이상인 참을 둔다.
3.
계단의 단 높이가 15cm 이하이고 단비가 30cm 이상일 경우 높이 1m를 초과하는 계단에 양측에 벽이 없는 경우 의무적으로 난간을 두며, 계단 폭이 3m를 초과하면 매 3m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한다.
4.
옥외에 설치하는 계단의 단수는 최소 2단 이상으로 하며 계단바닥은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높이 1m를 초과하는 계단로서 계단 양측의 벽, 기타 이와 유사한 것이 없는 경우에는 난간을 두고, 계단을 폭이 3m를 초과하면 매 3M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한다. 다만 계단의 단 높이가 15cm 이하이고 단 너비가 30cm 이상의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53.
다음 그림과 같이 평행선이 사선 때문에 가운데가 굵게 보이는 형태의 착시는?
1.
대비의 착시
2.
분할의 착시
3.
반전 실체의 착시
4.
각도 또는 방향의 착시
정답 : [
4
] 정답률 : 72%
54.
인간의 환경에 대한 반응 중 가장 먼저 일어나는 현상은?
1.
환경지각(environmental perception)
2.
환경태도(environmental attitude)
3.
행태(behavior)
4.
환경인지(environmental cognition)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지각-인지-태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다음 중 두 색을 대비 시켰을 시 두 색이 각각 색상환에서 서로 멀어지려는 현상은?
1.
보색대비
2.
명도대비
3.
채도대비
4.
색상대비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보색대비 : 두 색이 서로 영향을 받아 본래의 색보다 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짐 명도대비 : 주위 색의 밝기에 따라 대비되는 두 색의 본래 명도가 달라보임 채도대비 : 같은 채도의 색이 주위색때문에 채도가 달라보이는 것 [해설작성자 : muu]
56.
자연의 형태에서 찾아볼 수 있는 피보나치수열(Fibonacci Sequence)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1200년경 발견하였다.
2.
원형울타리의 길이를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
식물의 잎차례나 해바라기 씨에 의해 만들어지는 나선형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수학적으로는 각 수는 그것을 앞서는 2개의 수의 합인 연속의 수를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57.
맑은 날의 하늘이 더욱 파랗게 보이는 것, 해가 뜨고 질 때 생기는 붉은 노을은 빛의 어떤 특성 때문인가?
1.
간섭
2.
굴절
3.
산란
4.
회절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산란 : 물체가 빛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다시 재방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자전거 이용시설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상의 자전거 도로의 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전거도로의 색상은 별도의 색상 포장 없이 포장재 고유의 색상을 유지한다.
2.
자전거도로의 차선은 중앙 분리선은 노란색, 양 측면은 흰색으로 표시한다.
3.
자동차의 횡단을 허용하는 자전거도로의 포장구조는 자동차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4.
자전거도로의 포장면에는 물이 고이지 아니하도록 2퍼센트 이상 3퍼센트 이하의 횡단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자전거도로의 포장면에는 물이 고이지 아니하도록 1.5% 이상 2.0%이하의 횡단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투수성 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해설작성자 : 와이지]
59.
선과 선이 서로 교차할 때 표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3%
60.
도로 안내 표지를 디자인할 때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1.
배경색과 글씨의 채도차를 고려한다.
2.
배경색과 글씨의 색상차를 고려한다.
3.
배경색과 글씨의 명도차를 고려한다.
4.
배경색과 글씨의 보색대비 효과를 고려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명도 색의 밝고 어두움 [해설작성자 : 미래의동산바치]
4과목 : 금속가공학
61.
다음 중 지표(指標)식재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존재 위치를 알려주는 것
2.
바람이 부는 방향과 세기를 알리는 것
3.
도로의 경관을 높이는 것
4.
식물 생육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
정답 : [
3
] 정답률 : 53%
62.
다음 설명하는 식물은?
1.
바위취
2.
프리뮬러
3.
삼지구엽초
4.
지면패랭이꽃
정답 : [
4
] 정답률 : 70%
63.
다음 중 붉은 색 열매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Lycium chinense
2.
Elaeagnus multiflora
3.
Cornus alba
4.
Ardisia japonica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흰말채나무- 열매는 타원형이고 8~9월에 백색의 열매를 맺는다 1. 구기자나무 2. 뜰보리수 3. 자금우 [해설작성자 : 늘bluesky]
64.
고속도로 커브에서 유도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식재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교목을 안쪽(內側) 커브에만 심는다.
2.
교목을 바깥쪽(外側) 커브에만 심는다.
3.
교목을 양쪽 커브에다 심는다.
4.
양쪽 다 나무를 심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65.
다음 중 녹음수로서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Camellia japonica
2.
Thuja orientalis L
3.
Sophora japonica L
4.
Juniperus chinensis L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 기후가 따뜻한 해안가에서 잘 자라는 늘푸른나무. 남부지방의 해안이나 제주도와 같은 도서지역에서 만날 수 있는 나무.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 :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지만 관목상이며 작은 가지가 수직으로 벌어진다. 비늘 모양의 잎이 뾰족하고 가지를 가운데 두고 서로 어긋나게 달린다. 잎의 앞면과 뒷면의 구별이 거의 없고 흰색 점이 약간 있다.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 : 높이는 25m에 달하고 소지는 녹색이고 자르면 냄새가 난다.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L.) : 향나무 잎에는 두 가지 형이 있는데 하나는 바늘모양[針狀葉]이고, 다른 하나는 비늘모양[鱗狀葉]이다. [해설작성자 : 팔봉K]
66.
녹음수인 동시에 야생 조류 먹이 수목으로 적합한 것은?
1.
Cedrus deodara
2.
Sophora japonica
3.
Juglans regia
4.
Sorbus alnifolia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Cedrus deodara(개잎갈나무) : 개이깔나무·히말라야시다·히말라야삼나무·설송(雪松)이라고도 한다. 높이 30∼50m, 지름 약 3m이다. 잎갈나무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상록성이므로 개잎갈나무라고 부른다.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고 작은가지에 털이 나며 밑으로 처진다.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인데 얇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Sophora japonica(회화나무) : 20~25m 정도로 높게 자라며 수피1)는 흑회색이고, 세로로 갈라집니다. 어린 가지는 녹색을 띠는데 흰색의 짧은 털이 있습니다. 잎은 줄기에 어긋나게 달리는데 홀수의 작은 소엽들이 모여 한 장의 잎을 이룹니다 Juglans regia(호두나무) :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등 난대중부에서 온대중부에 걸쳐 약 15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호도나무가 중부이남의 따뜻한 곳에 많이 심어지고 있다. 호도는 곡과류 중 영양가가 매우 높고 맛이 뛰어나 고급식품으로 쓰이고 있다 Sorbus alnifolia(팥배나무) : 꽃은 4~6월에 가지 끝에 하얀 꽃이 무리지어 핀다. 꽃이 진 후 녹색열매가 많이 달리는데 가을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팥알보다 약간 크다. 팥배나무의 열매는 가을에는 등산객들에게 좋은 볼거리이며 산새들의 좋은 먹이도 된다 [해설작성자 : 팔봉K]
67.
새로 신축한 아파트는 지하에 주차장이 들어서 있고 주차장 상부에는 플랜터박스가 마련되어 있으나 깊이가 최고 깊이 50cm이다. 이곳에 식재할 적절한 수목이 아닌 것은?
1.
Buxus koreana
2.
Nandina domestica
3.
Berberis amurensis
4.
Celtis sinensis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회양목(Buxus koreana) : 상록성 관목으로 측백나무와 더불어 석회암지대에서 자생하는 호석회식물이다 남천(Nandina domestica,THUNB) : 꽃은 수성으로 6~7월에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무더기로 달리는데 둥글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매발톱나무(Berberis amurensis) : 줄기에 붙어 있는 탁엽이 변하여 매발톱같은 날카로운 가시가 3개씩 달려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가지와 잎은 염료재로 나무는 울타리용으로 심는다 팽나무(Celtis sinensis) : 큰키나무로 20m 정도 자란다. 잎몸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좌우 기부가 같지 않으며, 가장자리의 위쪽에만 5개 내외의 둔한 톱니가 있고, 끝부분이 짧게 뾰족한 점에서 잎몸의 가장자리 전반에 걸쳐 뾰족한 톱니가 많은 풍게나무 또는 검팽나무 [해설작성자 : 팔봉K]
68.
개체군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요소가 아닌 것은?
1.
종내경쟁
2.
이입과 이출
3.
생리적이고 행동적인 변화
4.
종간경쟁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 다른 종과의 경쟁으로 외부 요인인 외적요소 [해설작성자 : kbp]
69.
조경가 K씨는 해안매립지에 적절한 수종을 선발하기 위해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찾아 수목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 중 K씨가 조사한 수종 목록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군집의 안정성 및 성숙도를 표현하는 지표로서 중요도, 균재도 지수, 우점도 등이 이용되는 것은?
1.
녹지자연도
2.
층화도
3.
산재도
4.
종 다양도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종 풍부도와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가를 나태내는 균등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척도 [해설작성자 : 늘bluesky]
73.
맑은 날 오후 2시 태양고도가 45°00′인 지대에서 25% 경사를 나타내는 남사면에 수고 10m 의 느티나무가 식재되었을 때 이 나무의 그림자 길이는 얼마인가?
1.
5m
2.
6m
3.
7m
4.
8m
정답 : [
4
] 정답률 : 41%
74.
다음 중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과명은 물푸레나무과이다.
2.
속명 Chionanthus은 Chion 눈(雪)과 anthos 꽃의 합성어이다.
3.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에도 자생한다.
4.
암수한그루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 물푸레나무과에 여러해살이식물로 높이가 20m이상 자라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마주 나고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형이다. 원래 남쪽지방에 주로 서식하는데 지구 온난화로 이제는 중부지방에서도 조경수로 많이 심어 5월경이며 중부지방에서도 이 꽃을 많이 볼 수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새 가지 끝에 원추상 취산화서로 달린다. 남쪽지방에서는 정원수나 풍치수로 심는다 [해설작성자 : 팔봉K]
이팝나무는 암수딴그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다음 중 원산지가 한국이 아닌 수종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Stewartia koreana
2.
Carpinus turczaninovii
3.
Paeonia suffruticosa
4.
Prunus yedoensis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 모란 (원산지 중국) [해설작성자 : 늘bluesky]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 수피가 노루의 뿔처럼 매끄럽고 황금빛을 가져 붙여진 이름. 잎몸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다. 꽃은 새가지 기부 쪽의 잎 겨드랑이에서 1개씩 흰색으로 핀다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vii Hance) : 자작나무과(Betulaceae) 서어나무속(Carpinus) 낙엽 활엽 소교목, 이명은 산서나무, 서나무, 왕소사나무, 섬소사나무.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 제주도 한라산 해발 500~900m 사이에 자생하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어 기르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내조성은 강한 편이나 추위와 병충해에 약하다 [해설작성자 : 팔봉K]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제주산 왕벚나무 학명은 Prunus nudiflora 이고, 일본 왕벚나무는 Prunus yedoensis 여서 둘의 교배종 이름이 Prunus x yedoensis로 뜨는데 그렇다면 원산지가 명확하지 않은거 아닌가요..? 모란의 원산지는 중국이 맞으니 명확한 답이긴 하나, Prunus yedoensis라는 학명은 교배종의 원산지 때문에 답안의 문제 소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문제제기]
76.
다음 중 강조식재(accent planting)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1.
동일한 수형의 식재
2.
동일 수종의 관목 식재
3.
동일 수종의 교목 식재
4.
형태, 질감, 색채 등이 그 주위와 대비를 이룬 식재
정답 : [
4
] 정답률 : 81%
77.
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식생 조사를 할 때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사실성
2.
광역성
3.
동시성
4.
주기성
정답 : [
1
] 정답률 : 67%
78.
다음 중 방음(防音)식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울타리는 높은 주파수의 음향일수록 잘 흡수한다.
2.
방음수벽과 가옥과의 거리는 30m정도가 좋다.
3.
방음 식수대의 너비는 약 20~30m 유지되게 조성한다.
4.
식수대는 소음원과 수음점의 중간 지점에 조성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 식수대의 길이는 음원과 수음점을 잇는 선의 좌우로 각각 음원과 수음점의 거리와 거의 비등한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음 Abies 속에 속하는 식물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구상나무
2.
솔송나무
3.
가문비나무
4.
종비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66%
80.
다음 중 주요 잔디류의 정착 활력도(estavlishmentvigor)가 가장 빠른 것은?
1.
Perennial ryegrass
2.
Tall fescue
3.
Kentucky bluegrass
4.
Creeping bentgrass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라이그라스는 급속히 발아하고 다양한 방제방법에 잘 견딘다. 잔디밭을 빠르게 우점하고 매우 경쟁적이어서 선호되는 잔디이다.
81.
콘크리트의 경화나 강도 발현을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는 촉진 양생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막양색
2.
전기양생
3.
고온고압양생
4.
상압증기양생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막양생[membrane curing, 膜養生] : 밀봉제로 콘크리트 표면을 피복하여 콘크리트속의 수분의 증발을 막는 양생 방법 [해설작성자 : 팔봉K]
82.
공정관리기법 중 듀폰사의 Walk와 레민턴랜드사의 Kelly에 의하여 개발, 경험이 많은 반복적인 사업 또는 작업표준이 확립된 사업에서 주로 이용하는 관리기법은?
1.
횡선식공정표
2.
기성고 공정곡선
3.
PERT
4.
CPM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CPM(critical path method) : 1957년경부터 J.E.Kelley Jr, H.R.Walker 등이 프로젝트 전체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목적으로 개발한 수법으로 PERT와도 많은 공통점을 갖는다. - PERT가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각 작업의 작업시간만 주목하여 프로젝트의 계획 관리를 하는 방법으로 개발된 것 - CPM에서는 각 작업의 비용이 작업 시간의 함수인 것을 고려하여 프로젝트 전체의 비용을 최소로 하는 계획 관리 [해설작성자 : 팔봉K]
83.
지오이드(Geoid)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나의 물리적 가상면이다.
2.
평균 해수면과 일치하는 등포텐셜면이다.
3.
지오이드면과 기준 타원체면과는 일치한다.
4.
지오이드 상의 어느 점에서나 중력 방향에 연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84.
일반적으로 도로와 하수도의 중심선과 같은 직선적인 구조물의 위치를 도면화 시킬 때 사용하는 방법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좌표
2.
측점
3.
거리
4.
단면도
정답 : [
2
] 정답률 : 59%
85.
토사의 절취 후 운반 작업거리가 50~60m 이내, 최대 100m의 배토작업에 가장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토정지용 건설기계 장비는?
1.
불도저(bull dozer)
2.
덤프트럭(dump truck)
3.
로더(loader)
4.
백호우(back hoe)
정답 : [
1
] 정답률 : 65%
86.
폭원 10m의 포장도로에 측구를 양편에 만들되 측구간의 간격(중심 간의 거리)을 200m로 하고 강우 강도가 100mm/hr일 때 편도측구에 유입하는 1초간의 유량(m3/sec)은 약 얼마인가? (단, 유출계수를 1로 하고, 유출량은 노면에 내린 우수만을 고려한다.)
1.
0.0139
2.
0.0278
3.
0.0556
4.
0.1112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편도측구의 집수면적 = 가로 200m(측구간의 간격) x 세로 5m (폭원의 1/2의 길이) = 1000제곱미터 -> 0.1ha 우수유출량 = 1/360 x C x I x A = 1/360 x 1 x 100 x 0.1 = 0.02777 [해설작성자 : 짱ㄱ]
87.
다음 중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공기량이 많을수록 슬럼프는 증대한다.
2.
공기량이 많을수록 강도는 저하한다.
3.
AE공기량은 진동을 주면 감소한다.
4.
AE공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콘크리트 온도 10°C 증가에 공기량이 20~30%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88.
다음 중 장주(長柱)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주는 세장비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기둥을 말하며, 좌굴에 의해 파괴되는 기둥을 말한다.
2.
단면2차 모멘트가 최대인 축은 그만큼 휨에 대하여 약하므로 좌굴을 일으키게 된다.
3.
장주의 좌굴응력(강도)을 계산할 때는 좌굴에 대한 안전을 고려하여 최소 단면2차반지름이 되도록 설계한다.
4.
좌굴(buckling)현상은 단면에 비하여 길이가긴 장주에서 중심축 하중을 받는데도 부재의 불균일성에 기인하여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편심 모멘트가 발생함에 따라 압축응력이 허용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휘어져 버리는 현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단면 2차 모멘트가 최소인 축은 그만큼 휨에 대하여 약하므로 좌굴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단면 2차 반지름이 최소인 축이기도 하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89.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균열방지 및 제어 방법으로 프리쿨링 및 파이프 쿨링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2.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요의 품질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단위 시멘트양이 적어지도록 배합을 선정하여야 한다.
3.
수축이음을 설치할 경우 계획된 위치에서 균열 발생을 확실히 유도하기 위해서 수축이음의 단면 감소율을 10%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치수는 일반적으로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에서는 두께 0.8m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수축이음을 설치할 경우 계획된 위치에서 균열 발생을 확실히 유도하기 위해서 수축이음의 단면 감소율을 35%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90.
목재에 반복하여 하중을 가하면 기계적 성질이 저하 하여 비교적 작은 하중에도 마지막에는 파괴되었는데 이때의 응력은?
1.
항복점
2.
피로한도
3.
비례한도
4.
탄성한도
정답 : [
2
] 정답률 : 70%
91.
시방서 작성 시의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시공순서에 따라 빠짐없이 기재한다.
2.
중복되지 않고 간단명료하게 작성한다.
3.
공법 및 마무리 정도를 명확히 규정한다.
4.
재료에 대한 공사비의 내역을 정확하게 기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92.
다음 중 덤프트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한 궤도식은 이동속도가 느리다.
2.
적재함을 기울여 흙을 방출한다.
3.
적재기계를 고려하여 적재용량을 결정한다.
4.
운반도로의 조건이 작업량에 영향을 준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덤프트럭은 궤도식이 없음 [해설작성자 : 인력사무소]
93.
다음 직사각형 단면(30cm x 20cm)을 가지는 보에 최대 휨모멘트(M)이 20kN·m 작용할 때 최대 휨 응력은?
<문제 해설> 영국 자연풍경식 정원 발달에 기여한 조경가는 찰스 브릿지맨으로 작품으로는 스토우원이 있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4.
다음 중 정자에 만들어진 방의 위치가 다른 하나는?
1.
소쇄원 광풍각
2.
담양 명옥헌
3.
예천 초간정
4.
화순 임대정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예천 초간정 : 정자는 용문면 원류마을 앞 굽이쳐 흐르는 계류 옆 암반 위에 막돌로 기단을 쌓고 지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에 사각기둥을 세우고 기와를 얹은 팔작지붕집이다. 내부에는 왼쪽 2칸에 온돌방을 만들어 사방으로 문을 달고, 그 외의 부분에는 대청마루를 깔고 사방에 계자난간을 둘렀다 화순 임대정 :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고 서북향이다. 처음에는 초가였으나 1922년에 기와로 중건하였다. 방지는 사방이 6.5m이고 방지 중도에는 세심이라고 새긴 돌이 있고, 주위는 오죽이 감싸고 있다. 방지의 물가에는 6면석이 있고 동쪽에는 피향지, 서쪽에는 읍청당, 앞쪽에는 기임석 임술춘이라고 새겨져 있다 담양 명옥헌 :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사방이 마루이고 가운데에 방이 있다. 마루 높이가 다른 정자보다 높은 편인데, 그래서인지 소박한 난간이 빙 둘리어 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중국의 고전적인 정원의 대표작으로 중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보존이 잘 된 황가의 이궁이다.
2.
서태후는 청의원을 이화원이라 개명하는 등 이화원 재건의 주역이다.
3.
만수산과 곤명호로 이루어졌으며 만수산의 요지에 배운전과 불향각이 있다.
4.
퇴수산에는 태호석을 주로 한 석순을 배치하여 인공암산의 모습을 나타낸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도 규모가 가장 큰건 아니지않나요?? 피서산장과 원명원이 규모가 더 크지 않은지..
[오류신고 반론] 4. 퇴수산은 이화원이 아닌 중국 자금성 후원의 어화원에 있다. [해설작성자 : 다정]
6.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의 센트럴파크(Central Park)의 설계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연경관의 비스타(vista)
2.
정형적인 몰(mall)
3.
입체적 동선체계
4.
넓은 커낼(canal)
정답 : [
4
] 정답률 : 78%
7.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전통조경 발달과정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프랑스는 일찍부터 도시국가가 발달하고 부(富)를 축적하여 교외 구릉지에 빌라가 발달하였다.
2.
이탈리아는 도시주택 겸 수렵용 건물인 성관이 발달하였다.
3.
이탈리아는 프랑스보다 다이나믹한 수경(水景)중심에서 잔잔하고 넓은 수경으로 발달하였다.
4.
프랑스의 조경은 이탈리아보다 화단 파르테르(Parterre)를 중요시 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파르테르(프랑스어: Parterre) : 식수 화단을 구성하는 수평면의 양식적인 정원 건축물로, 보기 좋은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예리한 모서리의 돌이나, 혹은 탄탄하게 잘려진 울타리와 자갈길이 정렬된다. 파르테르를 구성함에 있어서 꽃이 전혀 필요가 없다. 프랑스 파르테르는 16세기 정원으로부터 정교화되어, 베르사유 궁전에서 정점에 도달하였으며, 영국의 켄싱턴 궁전처럼 수많은 유럽의 모방작이 나타나게 되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2. 프랑스는 성관, 이탈리아는 빌라가 발달하였다 3. 프랑스는 중세의 방어요소인 호를 호수와 같은 장식적 수경으로 전환시킨 반면에 이탈리아는 캐스케이드, 분수, 물풍금 등의 다이나믹한 수경을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만두만두만만두]
8.
무로마찌(室町) 시대 정원의 특징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석조(石組)가 두드러지게 중요시되어 과거 지형위주의 경향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2.
묵화(墨畵)적인 산수(山水)를 사실적으로 취급한 것에서 점점 추상적인 의장으로 발전하였다.
3.
응인(應仁)의 전란 이후 제약을 받아 사찰도 재정이 부족하여 부지가 협소한 장소에 조성된다.
4.
수목의 비중이 중요시 되어 후에는 상록활엽수가 정원 의장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무로마치시대 : 고산수 양식, 축산고산수(14C), 평정고산수(15C후반) - 축산고산수~대덕사 대선원, 수목=산, 모래=냇가, 바위=폭포 , 물 × - 평정고산수~용안사 방장선원, 식물 ×, 모래=냇가, 바위=폭포, 물 × [해설작성자 : 팔봉K]
9.
다음 중 조성시기가 빠른 순으로 나열된 것은?
1.
영양 서석지 → 강진 다산초당 → 대전 남간정사 → 서울 부암정
2.
영양 서석지 → 대전 남간정사 → 강진 다산초당 → 서울 부암정
3.
대전 남간정사 → 영양 서석지 → 강진 다산초당 → 서울 부암정
4.
대전 남간정사 → 강진 다산초당 → 영양 서석지 → 서울 부암정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영양 서석지 : 정영방이 광해군 5년(1613)에 조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연못과 정자이다. 자양산의 남쪽 완만한 기슭에 위치한 연못을 중심으로 경정·주일재·수직사·남문 등의 건물들이 자리잡고 있다. 경정은 넓은 대청과 방 2개로 되어있는 큰 정자이며, 주일재는 ‘운서헌’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있는 서재이다. 주일재 앞에는 연못쪽으로 돌출한 석단인 사우단을 만들고 소나무·대나무·매화·국화를 심었다 대전 남간정사 : 1683년(숙종 9)에 송시열이 지은 서당 건물로,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에 있다. 송시열은 이 곳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그의 학문을 완성시켰다. 능인암 아래에 규모가 큰 서당을 새로 건립하였는데, 이것이 남간정사이다. 남간정사는 계곡에 있는 샘에서 흘러내려오는 물을 건물의 대청 밑을 지나서 연못으로 흘러가게 하였는데, 이는 한국 정원 조경사에 새로운 조경방법이다. 다산초당 [茶山草堂] : 정면 5칸, 측면 2칸. 조선 후기의 대표적 사상가인 정약용(丁若鏞)이 1801년(순조 1)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귀양와 이곳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중, 1808년에 윤규로(尹奎魯)의 산정이던 이 초당으로 처소를 옮겨 1818년 귀양에서 풀릴 때까지 10여 년간 생활하면서, 《목민심서》 등을 저술하고 실학을 집대성함으로써 실학사상의 산실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10.
고려시대 인공폭포를 조성하고 석가산을 쌓았으며 특이한 정자를 많이 건립한 군주는?
1.
예종
2.
의종
3.
명종
4.
공민왕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고려사) 의종 6년 1152년 "수창궁 북원에 괴석을 쌓아 가산을 꾸미고 그 옆에 만수정을 세웠다"라는 기록이 있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수창궁은 인공폭포에 대한 내용이 없어 아마 문제에 제시된 내용은 수덕궁(의종11년)에 관한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배상명]
11.
일본 조경사에서 곡수연이 시작된 시기는?
1.
비조(아스카)시대
2.
평안(헤이안)시대
3.
실정(무로마치)시대
4.
도산(모모야마)시대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일본은 나라시대 평성궁이 최초 아닌가요??
[오류신고 반론] 비조(아스카)시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좀]
[오류신고 반론] 아스카시대 중국으로부터 온 뱃놀이나 곡수연 등 시행 [해설작성자 : 배상명]
12.
영국 르네상스 정원을 구성하는 정원의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토피아리(topiary)
2.
총림(bosquet)
3.
문주(門注)
4.
매듭화단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총림[叢林] : 승려들의 참선수행 전문도량인 선원(禪院)과 경전 교육기관인 강원(講院), 계율 전문교육기관인 율원(律院) 등을 모두 갖춘 사찰. 토피아리(topiary) : 용기에서 자연스럽게 자라고 있는 식물을 자르고 다듬어 동물 모양이나 구형, 하트 모양 등의 형태로 만든 것 매듭화단 : 낮게 깎은 회양목 등으로 화단을 여러 가지 기하학적 문양으로 구획짓는 것 [해설작성자 : 팔봉K]
토피어리, 문주, 매듭화단 > 르네상스 영국 총림, 노단, 화단 > 르네상스 이탈리아 [해설작성자 : muu]
13.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주택정원의 전통 양식은?
1.
앞뜰을 중요시한 자연풍경식
2.
안뜰을 중요시한 노단건축식
3.
뒤뜰을 중요시한 후원식
4.
안뜰을 중요시한 자연풍경식
정답 : [
3
] 정답률 : 79%
14.
이탈리아 정원에 있어서 문예부흥(르네상스)이 끼친 가장 큰 영향은?
1.
성곽(城廓)정원에서 탈피하여 별장 중심의 정원으로 전환되었다.
2.
실용(實用)주의 정원으로 발전하였다.
3.
대중을 위한 공공조경에 관심을 쏟았다.
4.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15.
궁남지 연못의 섬을'방장선산(方丈仙山)'의 상징이라고 기록한 문헌은?
1.
동경잡기
2.
동국여지승람
3.
삼국사기
4.
삼국유사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무왕 35년 사비궁 남쪽에 판 연못으로 20여리 밖에서 물을 끌어들였다고 삼국사기와 동사강목에 기록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일본에 백제사람 노자공이 정원을 조성하였다는 기록이 일본서기에 기록되어 있다. 이 때 반영된 주요 사상은?
1.
불교사상(佛敎思想)
2.
상세사상(常世思想)
3.
신선사상(神仙思想)
4.
도교사상(道敎思想)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스카시대 백제 노자공이 볼교사상을 바탕으로 수미산과 오교 조성(일본 정원의 효시) > 일본의 정원양식에 영향 > 일본 서기에 기록(최초의 기록) [해설작성자 : muu]
17.
색상이 푸르고 깎아 지는 듯하며 골짜기에 구름을 감춘 듯 한 모양으로 이끼가 잘 자라는 괴석을 양화소록에서는 최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 돌의 명칭은?
1.
운경석
2.
산경석
3.
금경석
4.
차경석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양화소록 : 조선전기 문신 강희안이 꽃과 나무의 재배와 이용에 관하여 서술한 농업서. 원예서, 예로부터 사람들이 완상(玩賞)하여온 꽃과 나무 몇 십 종을 들어 그 재배법과 이용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꽃과 나무의 품격과 그 의미, 상징성을 논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18.
각 국가별로 중요 조경유적의 연결이 바른 것은?
1.
고구려 – 궁남지(宮南池)
2.
신라 – 임류각(臨流閣)
3.
고려 – 동지(東池)
4.
백제 – 감은사(感恩寺)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궁남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백제의 별궁 연못. 무왕 35년(634)에 연못을 궁 남쪽에 팠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연못의 중앙부에 석축과 버드나무가 남아 있어 가운데에 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주변에서 백제 토기와 기와 따위가 출토 공산성 임류각[公山城 臨流閣] : 백제시대인 500년 동성왕 재위 22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공산성 정상부에 위치하며 주변은 편평한 대지로 다듬어져 있다. 누각의 높이는 15m, 2층구조로 이루어진 대형의 건축물이며 백제시대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누각의 용도는 왕과 신하들이 연회를 베풀었던 장소로 추정 감은사(感恩寺)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1대 신문왕이 창건한 사찰 [해설작성자 : 팔봉K]
1. 백제 무왕 - 궁남지 2. 백제 동성왕 - 임류각 4. 신라 문무왕 - 감은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중국에서 조경에 관계되는 한자의 의미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원(園) : 과수류를 심었던 곳으로 울타리가 있는 공간
2.
유(囿) : 짐승이나 조류를 기르던 울타리가 있는 공간
3.
원(苑) : 짐승이나 조류, 식물 등을 기르거나 자생하던 울타리가 있는 공간
4.
정(庭) : 건물이나 울타리에 둘러싸인 평탄한 뜰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3. 원-울타리를 쳐 짐승과 나무를 키우는 곳 [해설작성자 : 늘bluesky]
3. 새와 짐승을 기르는 곳이 원(苑)이고, 원(苑)에 담이 쳐진 곳이 유(囿)입니다. [해설작성자 : 베이컨맥앤치즈]
20.
조선시대 신궁인 종묘의 배치와 조경적 특징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1.
정궁을 중심으로 한 좌묘우사(左廟右社)의 배치
2.
배산임수의 지세를 택하여 감산(坎山)을 주산으로 배치
3.
방지원도형 연못과 시원한 박석포장의 도입
4.
괴석과 화목을 도입한 화계와 정자의 활용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종묘는 신궁이므로 화계을 두거나 정자를 건립 하지 않아 괴석이나 화려한 화목을 배치하지 않았다. 망묘루 앞에 자연석으로 호안을 축조한 방지를 조성하고 원도에 향나무를 식재하였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2과목 : 금속재료학
21.
주거단지계획시에 칼데삭(cul-de-sac) 도로 이용의 장점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차량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2.
차량동선을 가장 짧게 할 수 있다.
3.
단지 내 보행동선을 가장 짧게 할 수 있다.
4.
차량으로 인한 위험이 없는 녹지를 단지 내에 확보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쿨데삭(cul-de-sac; 막다른 골목) : 단지의 외곽도로에서 각각의 쿨데삭을 통하여 접근이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독립된 생활의 영위가 가능하며, 일반형이나 전원형 등 필지규모가 큰 유형에 적합 [해설작성자 : 팔봉K]
22.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의 대지 안에 확보하여야 하는 녹지면적의 비율은 얼마 이상으로 조치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0/100
2.
30/100
3.
4/10
4.
5/10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법령개정으로 해당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서울대 조경18]
23.
주거단지 경관계획의 기본방향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연조건의 반영
2.
조화와 개성의 부여
3.
획일적 시각적 이미지
4.
커뮤니티 감각의 부여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자연적 조건에 따른 경관계획 2. 조화와개성 부여하는 경관계획 3. 역사와 문화가 담긴 경관계획 4. 커뮤니티 감각을 부여하는 경관계획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환경영향평가법 시행규칙상 전략환경영향평가서의 계획의 승인 등이 된 후 보존 기간은?
1.
3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 : [
3
] 정답률 : 62%
25.
GIS의 자료처리 및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작업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자료입력 – 자료수집 – 자료조작 및 분석 – 자료처리 – 출력
2.
자료수집 – 자료입력 – 출력 – 차료처리 – 자료조작 및 분석
3.
자료수집 – 자료조작 및 분석 – 자료처리 – 자료입력 – 출력
4.
자료수집 – 자료입력 – 자료처리 – 자료조작 및 분석 – 출력
정답 : [
4
] 정답률 : 70%
26.
개발밀도관리구역 외에 지역으로서 개발로 인하여 도로, 공원, 녹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반시설을 설치하거나 그에 필요한 용지를 확보하게 하기 위하여 지정·고시하는 구역은? (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1.
기반시설부담구역
2.
개발밀도관리구역
3.
지구단위계획구역
4.
용도구역
정답 : [
1
] 정답률 : 52%
27.
유원지에서 위락활동의 수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가격
2.
지리적인 위치
3.
이용자의 수입
4.
교육정도
정답 : [
1
] 정답률 : 79%
28.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또는 생태적 기능의 유지가 필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생태적 서식공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생태축
2.
생태통로
3.
생태경관보전지역
4.
자연유보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생태축(生態軸) :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나 생태적 기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연결하는 서식 공간 [해설작성자 : 팔봉K]
29.
다음 중 근린주구(neighborhood) 내에서 자동차 동선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의 위계 및 밀도와 종류를 고려하여 계획한다.
2.
주변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외부동선 연계 보다는 지구 내 안전성 위주로 독립 계획한다.
3.
요일별, 계절별로 교통량 변동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4.
가급적 보행전용동선을 단절하지 않도록 계획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30.
도시조경의 목표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친환경적 도시건설
2.
친인간적 도시건설
3.
아름다운 도시건설
4.
교통 편의적 도시건설
정답 : [
4
] 정답률 : 77%
31.
다음 중 노외주차장인 주차전용건축물의 건폐율, 용적률, 대지면적의 최소한도 및 높이 제한 등 건축제한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건폐율 : 100분의 90이하
2.
용적률 : 1,000퍼센트 이하
3.
대지면적의 최소한도 : 45제곱미터 이상
4.
대지가 너비 12미터 미만의 도로에 접하는 경우 : 건축물의 각 부분의 높이는 그 부분으로부터 대지에 접한 도로의 반대쪽 경계선까지의 수평거리의 3배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용적률 : 1500% 이하 [해설작성자 : 늘bluesky]
32.
도시·군 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상 용도지역별 도로율 기준이 틀린 것은?(단, 주간선도로의 도로율은 제외한다.)
1.
주거지역 : 20% 이상 30% 미만
2.
상업지역 : 25% 이상 35% 미만
3.
공업지역 : 10% 이상 20% 미만
4.
녹지지역 : 5% 이상 15% 미만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녹지지역 기타규제없음 [해설작성자 : 미래의동산바치]
도시·군 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용도지역별 도로율 1.주거지역: 15% 이상, 30% 미만, 이 경우 간선도로의 도로율은 8% 이상, 15% 미만 2.상업지역: 25% 이상, 35% 미만, 이 경우 간선도로의 도로율은 10% 이상, 15% 미만 3.공업지역: 8% 이상, 20% 미만, 이 경우 간선도로의 도로율은 4% 이상, 10% 미만 [해설작성자 : sooou]
33.
이용자 행태의 현장 관찰의 이점이 아닌 것은?
1.
관찰자가 있음으로 이용자의 행태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2.
이용자의 행태를 연속적으로 살필 수 있다.
3.
예기치 못한 행태를 도출해 낼 수 있다.
4.
이용자 행태가 발생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주변 분위기 조사가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관찰자의 출연이 피 관찰자의 행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단점으로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34.
레크리에이션 적정수와 산정을 위한 중력모델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현재와 장래의 수요 예측
2.
인구와 거리에 따른 단기적 수요 예측
3.
여러 변수에 의한 장기적 수요 예측
4.
외부발생 변수를 고려한 수요 예측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중력모델- 대단지의 입장자는 단기적으로 수요을 예측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즉 출발지로부터 관광지의 연간수요량, 출발지와 관광지와의 거리, 출발지의 인구, 출발지의 총관광 발생량 등을 이용하여 단기적 수요를 예측한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35.
유원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상세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1.
국토기본법
2.
자연공원법
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4.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 범위 1. 항만 2. 공항 3. 유원지 4. 유통업무설비 4. 학교 6. 체육시설 7. 문화시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옥상정원의 인공지반을 녹화할 때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하중은?
1.
고정하중
2.
적재하중
3.
적설하중
4.
풍하중
정답 : [
2
] 정답률 : 72%
37.
사람들에게 내재해 있는 수요로 적당한 시설, 접근수 단, 정보가 제공되면 참여가 기대되는 수요는?
1.
잠재수요
2.
유도수요
3.
표출수요
4.
유효수요
정답 : [
1
] 정답률 : 78%
38.
환경심리학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환경과 인간행태의 관계성을 종합된 하나의 단위로서 연구한다.
2.
현실적인 인간행태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한 이론 및 그 응용을 연구한다.
3.
도심지 환경영향평가시 계량화된 주요지표로 이용된다.
4.
환경과 인간행태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연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39.
공원자연보존지구의 완충 공간(緩衝空間)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은?
1.
공원자연환경지구
2.
공원마을지구
3.
공원문화유산지구
4.
공원집단시설지구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자연공원법 제18조1항2호 공원자연보존지구의 왼충공간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공원 내에 연못을 조성하고자 할 때 계획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못의 배치는 계획 및 설계대상 공간 배수시설을 겸하도록 지형의 높은 곳에 배치한다.
2.
연못 주변의 하천이나 계곡의 물·지표면의 빗물 등 자연 급수와 지하수·상수·정화된 물(중수) 등 인공 급수 등을 여건에 맞게 반영한다.
3.
연못의 평면 및 단면 형태 시 수리, 수량, 수질의 3가지 요소를 충분히 고려한다.
4.
못 안에 분수 및 조명시설 등의 시설물을 배치할 경우에는 물을 뺀 다음의 미관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지형 낮은곳 배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야금공학
41.
조경설계기준상'환경조형시설'의 설계원칙 요소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인간 척도 적용
2.
조형성
3.
환경적 지속성
4.
독창적 고비용성
정답 : [
4
] 정답률 : 84%
42.
식재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토양이 중요하다. 토양분석에 있어서 토양의 입자 크기가 옳은 것은?
1.
모래 : 직경 5~2mm
2.
모래 : 직경 2~0.05mm
3.
미사 : 직경 0.5~0.01mm
4.
미사 : 직경 0.01~0.005mm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모래[sand] : 토양 내에 분포하는 암석과 광물의 작은 조각으로 구성된 0.02 mm~2 mm 사이의 입자를 말하며, 자갈보다는 작고 실트보다는 큰 입자 크기 미사 : 모래 점토와 함께 직경 2mm 이하인 입자를 구분한 분획으로, 미 농무부법에서는 0.05~0.002mm 크기, 국제토양학회법에서는 0.02~0.002mm 크기의 입자의 분획. [해설작성자 : 팔봉K]
혼합하는 색의 양이 많고 적음에 따라 만들어 순색, 흰색, 검정의 각 함유량으로 표시한다.
4.
색상, 명도, 채도의 기호는 H, V, C이고 표기법은 HV/C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먼셀 표색계 : 미국의 화가 먼셀(Albert H. Munsell, 1858~1918)이 1905년에 고안한 체계로, 1940년 미국 광학회(OAS)에 의해 수정되었다. 현재 먼셀 색체계는 이 수정된 것을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의 공업 규격에서 색의 삼속성에 의한 표기 방법으로 제정되었고, 교육용 20색상환으로 채택된 색체계이다. 또한 표색 방법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현재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색체계. 물체 표면에서 인지되는 색지각을 기초로 색상, 명도, 채도의 색의 3속성에 따라 3차원 공간의 한 점에 대응시켜 세 개의 좌표 방향에 있어서 지각적인 등간격이 되도록 좌표 측도를 정하여 만든 표색계이다. 여기서의 등간격은 시각적 감각에 의한 등간격을 말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관찰자가 시감으로 동등하게 느끼는 간격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을 의미 [해설작성자 : 팔봉K]
3. 오스트발트 색체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조경설계 도면의 치수를 나타낸 그림 중 가장 나쁘게 표현한 것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81%
45.
다음 그림과 같이 정지설계(grading design)을 함에있어 절토량이 가장 많은 부위는?
1.
㉮
2.
㉯
3.
㉰
4.
㉱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정지설계] - 절토에 의한 등고선 조정(낮은 등고선에서 높은 등고선 쪽으로 등고선이 수정됨) - 성토에 의한 등고선 조정(높은 등고선에서 낮은 등고선 쪽으로 등고선이 수정됨) - 절토와 성토의 혼합에 의한 등고선 조정 : 계획고보다 높은 등고선은 위로, 평탄지역을 감싸고 계획고보다 낮은 등고선은 아래로 편탄지역을 감싸도록 조정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수 설계(water design) 과정에서 공간을 구성 연출하기 위한 공간 구성의 틀로 볼 수 없는 것은?
1.
골격(spine)
2.
세팅(setting)
3.
변환(transformation)
4.
참여(involvement)
정답 : [
3
] 정답률 : 51%
47.
다음 요소 중 조경색채 계획의 시지각(視知覺)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대상물의 면적의 크기
2.
대상물의 무게
3.
대상물의 가격
4.
대상물의 구조
정답 : [
1
] 정답률 : 81%
48.
제도에서 사용되는 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자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주로 쓰인다.
2.
문자의 크기는 문자의 폭으로 나타낸다.
3.
한글의 서체는 활자체에 준하는 것이 좋다.
4.
도면에 사용되는 문자로는 한글, 숫자, 영어(로마자)등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문자의 크기[graphic size] : 문자 형태의 크기. 문자의 높이와 폭으로 표현 [해설작성자 : 팔봉K]
49.
실제 길이 3m는 축척 1/30도면에서 얼마로 나타나는가?
1.
1cm
2.
10cm
3.
3cm
4.
30cm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도상의 길이 = 축처 x 실제거리 = 1/30 x 300(cm) = 10cm [해설작성자 : 짱구]
케빈 린치(Kevin Lynch)가 말하는 도시경관의 구성요소 중 '통로(path)'의 성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속성과 방향성이 있다.
2.
동선의 네트워크(network)이다.
3.
주로 관찰자가 빈번하게 통행하는 지역이다.
4.
한 지역을 타 지역과 분리시키는 경계의 역할을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통로(Path) : 복잡한 도시 속에서 지역과 지역 사이의 동선 네트워크이다. 통로는 도시 전체에 질서를 부여하는 가장 유력한 수단이며 건물의 파사드, 가로수, 바닥의 재질 등으로 개성 있는 공간적 특징을 지닌다. 통로는 분명한 방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방향이 불분명할 시 경험자는 불안함, 불쾌함을 느끼기도 한다. (2) 교점(Node) : 길모퉁이와 광장에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우리는 종종 볼 수 있다. 이처럼 교점은 통로들의 교차점이나 집합점이라 할 수 있다. 교점의 중요성은 얼마나 자주 사용되며 통로의 중요성에 따라 결정된다. (3) 랜드마크(Landmark) : 또 다른 종류의 점적인 요소이다. 교점(Node)와 달리 주로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인지된다. 건물, 타워, 거대한 산 등 시각적으로 여러 각도에서 쉽게 인지될 수 있는 물리적인 요소이다. (4) 지역(District) : 도시보다는 작지만 커다란 크기를 가진 부분으로 2차원적인 넓이를 가지고 있다. 관찰자는 심적으로 '그 안으로' 들어가 있으며 지역마다 고유의 공간적 질을 경험하게 된다. (5) 경계(Edge) : 경계는 해안이나 철도에 의해 잘린 선, 지역과 지역이 만나는 곳 등 통로와는 다른 도시의 선형 요소이다. 때로는 통로가 경계인 경우도 있으며 주로 서로 다른 성격의 장소들이 접하는 경계를 뜻한다. [해설작성자 : 팔봉K]
52.
조경설계 기준상의 '계단'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단의 폭은 연결도로의 폭과 같거나 그 이상의 폭으로 단 높이는 18cm 이하, 단 너비는 26cm 이상으로 한다.
2.
높이 2m를 넘는 계단에는 2m 이내마다 당해 계단의 유효 폭 이상의 폭으로 너비 120cm이상인 참을 둔다.
3.
계단의 단 높이가 15cm 이하이고 단비가 30cm 이상일 경우 높이 1m를 초과하는 계단에 양측에 벽이 없는 경우 의무적으로 난간을 두며, 계단 폭이 3m를 초과하면 매 3m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한다.
4.
옥외에 설치하는 계단의 단수는 최소 2단 이상으로 하며 계단바닥은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높이 1m를 초과하는 계단로서 계단 양측의 벽, 기타 이와 유사한 것이 없는 경우에는 난간을 두고, 계단을 폭이 3m를 초과하면 매 3M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한다. 다만 계단의 단 높이가 15cm 이하이고 단 너비가 30cm 이상의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53.
다음 그림과 같이 평행선이 사선 때문에 가운데가 굵게 보이는 형태의 착시는?
1.
대비의 착시
2.
분할의 착시
3.
반전 실체의 착시
4.
각도 또는 방향의 착시
정답 : [
4
] 정답률 : 72%
54.
인간의 환경에 대한 반응 중 가장 먼저 일어나는 현상은?
1.
환경지각(environmental perception)
2.
환경태도(environmental attitude)
3.
행태(behavior)
4.
환경인지(environmental cognition)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지각-인지-태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다음 중 두 색을 대비 시켰을 시 두 색이 각각 색상환에서 서로 멀어지려는 현상은?
1.
보색대비
2.
명도대비
3.
채도대비
4.
색상대비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보색대비 : 두 색이 서로 영향을 받아 본래의 색보다 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짐 명도대비 : 주위 색의 밝기에 따라 대비되는 두 색의 본래 명도가 달라보임 채도대비 : 같은 채도의 색이 주위색때문에 채도가 달라보이는 것 [해설작성자 : muu]
56.
자연의 형태에서 찾아볼 수 있는 피보나치수열(Fibonacci Sequence)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1200년경 발견하였다.
2.
원형울타리의 길이를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
식물의 잎차례나 해바라기 씨에 의해 만들어지는 나선형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수학적으로는 각 수는 그것을 앞서는 2개의 수의 합인 연속의 수를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57.
맑은 날의 하늘이 더욱 파랗게 보이는 것, 해가 뜨고 질 때 생기는 붉은 노을은 빛의 어떤 특성 때문인가?
1.
간섭
2.
굴절
3.
산란
4.
회절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산란 : 물체가 빛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다시 재방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자전거 이용시설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상의 자전거 도로의 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전거도로의 색상은 별도의 색상 포장 없이 포장재 고유의 색상을 유지한다.
2.
자전거도로의 차선은 중앙 분리선은 노란색, 양 측면은 흰색으로 표시한다.
3.
자동차의 횡단을 허용하는 자전거도로의 포장구조는 자동차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4.
자전거도로의 포장면에는 물이 고이지 아니하도록 2퍼센트 이상 3퍼센트 이하의 횡단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자전거도로의 포장면에는 물이 고이지 아니하도록 1.5% 이상 2.0%이하의 횡단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투수성 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해설작성자 : 와이지]
59.
선과 선이 서로 교차할 때 표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3%
60.
도로 안내 표지를 디자인할 때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1.
배경색과 글씨의 채도차를 고려한다.
2.
배경색과 글씨의 색상차를 고려한다.
3.
배경색과 글씨의 명도차를 고려한다.
4.
배경색과 글씨의 보색대비 효과를 고려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명도 색의 밝고 어두움 [해설작성자 : 미래의동산바치]
4과목 : 금속가공학
61.
다음 중 지표(指標)식재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존재 위치를 알려주는 것
2.
바람이 부는 방향과 세기를 알리는 것
3.
도로의 경관을 높이는 것
4.
식물 생육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
정답 : [
3
] 정답률 : 53%
62.
다음 설명하는 식물은?
1.
바위취
2.
프리뮬러
3.
삼지구엽초
4.
지면패랭이꽃
정답 : [
4
] 정답률 : 70%
63.
다음 중 붉은 색 열매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Lycium chinense
2.
Elaeagnus multiflora
3.
Cornus alba
4.
Ardisia japonica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흰말채나무- 열매는 타원형이고 8~9월에 백색의 열매를 맺는다 1. 구기자나무 2. 뜰보리수 3. 자금우 [해설작성자 : 늘bluesky]
64.
고속도로 커브에서 유도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식재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교목을 안쪽(內側) 커브에만 심는다.
2.
교목을 바깥쪽(外側) 커브에만 심는다.
3.
교목을 양쪽 커브에다 심는다.
4.
양쪽 다 나무를 심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65.
다음 중 녹음수로서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Camellia japonica
2.
Thuja orientalis L
3.
Sophora japonica L
4.
Juniperus chinensis L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 기후가 따뜻한 해안가에서 잘 자라는 늘푸른나무. 남부지방의 해안이나 제주도와 같은 도서지역에서 만날 수 있는 나무.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 :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지만 관목상이며 작은 가지가 수직으로 벌어진다. 비늘 모양의 잎이 뾰족하고 가지를 가운데 두고 서로 어긋나게 달린다. 잎의 앞면과 뒷면의 구별이 거의 없고 흰색 점이 약간 있다.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 : 높이는 25m에 달하고 소지는 녹색이고 자르면 냄새가 난다.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L.) : 향나무 잎에는 두 가지 형이 있는데 하나는 바늘모양[針狀葉]이고, 다른 하나는 비늘모양[鱗狀葉]이다. [해설작성자 : 팔봉K]
66.
녹음수인 동시에 야생 조류 먹이 수목으로 적합한 것은?
1.
Cedrus deodara
2.
Sophora japonica
3.
Juglans regia
4.
Sorbus alnifolia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Cedrus deodara(개잎갈나무) : 개이깔나무·히말라야시다·히말라야삼나무·설송(雪松)이라고도 한다. 높이 30∼50m, 지름 약 3m이다. 잎갈나무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상록성이므로 개잎갈나무라고 부른다.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고 작은가지에 털이 나며 밑으로 처진다.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인데 얇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Sophora japonica(회화나무) : 20~25m 정도로 높게 자라며 수피1)는 흑회색이고, 세로로 갈라집니다. 어린 가지는 녹색을 띠는데 흰색의 짧은 털이 있습니다. 잎은 줄기에 어긋나게 달리는데 홀수의 작은 소엽들이 모여 한 장의 잎을 이룹니다 Juglans regia(호두나무) :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등 난대중부에서 온대중부에 걸쳐 약 15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호도나무가 중부이남의 따뜻한 곳에 많이 심어지고 있다. 호도는 곡과류 중 영양가가 매우 높고 맛이 뛰어나 고급식품으로 쓰이고 있다 Sorbus alnifolia(팥배나무) : 꽃은 4~6월에 가지 끝에 하얀 꽃이 무리지어 핀다. 꽃이 진 후 녹색열매가 많이 달리는데 가을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팥알보다 약간 크다. 팥배나무의 열매는 가을에는 등산객들에게 좋은 볼거리이며 산새들의 좋은 먹이도 된다 [해설작성자 : 팔봉K]
67.
새로 신축한 아파트는 지하에 주차장이 들어서 있고 주차장 상부에는 플랜터박스가 마련되어 있으나 깊이가 최고 깊이 50cm이다. 이곳에 식재할 적절한 수목이 아닌 것은?
1.
Buxus koreana
2.
Nandina domestica
3.
Berberis amurensis
4.
Celtis sinensis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회양목(Buxus koreana) : 상록성 관목으로 측백나무와 더불어 석회암지대에서 자생하는 호석회식물이다 남천(Nandina domestica,THUNB) : 꽃은 수성으로 6~7월에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무더기로 달리는데 둥글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매발톱나무(Berberis amurensis) : 줄기에 붙어 있는 탁엽이 변하여 매발톱같은 날카로운 가시가 3개씩 달려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가지와 잎은 염료재로 나무는 울타리용으로 심는다 팽나무(Celtis sinensis) : 큰키나무로 20m 정도 자란다. 잎몸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좌우 기부가 같지 않으며, 가장자리의 위쪽에만 5개 내외의 둔한 톱니가 있고, 끝부분이 짧게 뾰족한 점에서 잎몸의 가장자리 전반에 걸쳐 뾰족한 톱니가 많은 풍게나무 또는 검팽나무 [해설작성자 : 팔봉K]
68.
개체군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요소가 아닌 것은?
1.
종내경쟁
2.
이입과 이출
3.
생리적이고 행동적인 변화
4.
종간경쟁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 다른 종과의 경쟁으로 외부 요인인 외적요소 [해설작성자 : kbp]
69.
조경가 K씨는 해안매립지에 적절한 수종을 선발하기 위해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찾아 수목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 중 K씨가 조사한 수종 목록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군집의 안정성 및 성숙도를 표현하는 지표로서 중요도, 균재도 지수, 우점도 등이 이용되는 것은?
1.
녹지자연도
2.
층화도
3.
산재도
4.
종 다양도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종 풍부도와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가를 나태내는 균등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척도 [해설작성자 : 늘bluesky]
73.
맑은 날 오후 2시 태양고도가 45°00′인 지대에서 25% 경사를 나타내는 남사면에 수고 10m 의 느티나무가 식재되었을 때 이 나무의 그림자 길이는 얼마인가?
1.
5m
2.
6m
3.
7m
4.
8m
정답 : [
4
] 정답률 : 41%
74.
다음 중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과명은 물푸레나무과이다.
2.
속명 Chionanthus은 Chion 눈(雪)과 anthos 꽃의 합성어이다.
3.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에도 자생한다.
4.
암수한그루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 물푸레나무과에 여러해살이식물로 높이가 20m이상 자라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마주 나고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형이다. 원래 남쪽지방에 주로 서식하는데 지구 온난화로 이제는 중부지방에서도 조경수로 많이 심어 5월경이며 중부지방에서도 이 꽃을 많이 볼 수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새 가지 끝에 원추상 취산화서로 달린다. 남쪽지방에서는 정원수나 풍치수로 심는다 [해설작성자 : 팔봉K]
이팝나무는 암수딴그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다음 중 원산지가 한국이 아닌 수종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Stewartia koreana
2.
Carpinus turczaninovii
3.
Paeonia suffruticosa
4.
Prunus yedoensis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 모란 (원산지 중국) [해설작성자 : 늘bluesky]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 수피가 노루의 뿔처럼 매끄럽고 황금빛을 가져 붙여진 이름. 잎몸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다. 꽃은 새가지 기부 쪽의 잎 겨드랑이에서 1개씩 흰색으로 핀다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vii Hance) : 자작나무과(Betulaceae) 서어나무속(Carpinus) 낙엽 활엽 소교목, 이명은 산서나무, 서나무, 왕소사나무, 섬소사나무.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 제주도 한라산 해발 500~900m 사이에 자생하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어 기르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내조성은 강한 편이나 추위와 병충해에 약하다 [해설작성자 : 팔봉K]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제주산 왕벚나무 학명은 Prunus nudiflora 이고, 일본 왕벚나무는 Prunus yedoensis 여서 둘의 교배종 이름이 Prunus x yedoensis로 뜨는데 그렇다면 원산지가 명확하지 않은거 아닌가요..? 모란의 원산지는 중국이 맞으니 명확한 답이긴 하나, Prunus yedoensis라는 학명은 교배종의 원산지 때문에 답안의 문제 소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문제제기]
76.
다음 중 강조식재(accent planting)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1.
동일한 수형의 식재
2.
동일 수종의 관목 식재
3.
동일 수종의 교목 식재
4.
형태, 질감, 색채 등이 그 주위와 대비를 이룬 식재
정답 : [
4
] 정답률 : 81%
77.
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식생 조사를 할 때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사실성
2.
광역성
3.
동시성
4.
주기성
정답 : [
1
] 정답률 : 67%
78.
다음 중 방음(防音)식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울타리는 높은 주파수의 음향일수록 잘 흡수한다.
2.
방음수벽과 가옥과의 거리는 30m정도가 좋다.
3.
방음 식수대의 너비는 약 20~30m 유지되게 조성한다.
4.
식수대는 소음원과 수음점의 중간 지점에 조성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 식수대의 길이는 음원과 수음점을 잇는 선의 좌우로 각각 음원과 수음점의 거리와 거의 비등한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음 Abies 속에 속하는 식물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구상나무
2.
솔송나무
3.
가문비나무
4.
종비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66%
80.
다음 중 주요 잔디류의 정착 활력도(estavlishmentvigor)가 가장 빠른 것은?
1.
Perennial ryegrass
2.
Tall fescue
3.
Kentucky bluegrass
4.
Creeping bentgrass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라이그라스는 급속히 발아하고 다양한 방제방법에 잘 견딘다. 잔디밭을 빠르게 우점하고 매우 경쟁적이어서 선호되는 잔디이다.
81.
콘크리트의 경화나 강도 발현을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는 촉진 양생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막양색
2.
전기양생
3.
고온고압양생
4.
상압증기양생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막양생[membrane curing, 膜養生] : 밀봉제로 콘크리트 표면을 피복하여 콘크리트속의 수분의 증발을 막는 양생 방법 [해설작성자 : 팔봉K]
82.
공정관리기법 중 듀폰사의 Walk와 레민턴랜드사의 Kelly에 의하여 개발, 경험이 많은 반복적인 사업 또는 작업표준이 확립된 사업에서 주로 이용하는 관리기법은?
1.
횡선식공정표
2.
기성고 공정곡선
3.
PERT
4.
CPM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CPM(critical path method) : 1957년경부터 J.E.Kelley Jr, H.R.Walker 등이 프로젝트 전체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목적으로 개발한 수법으로 PERT와도 많은 공통점을 갖는다. - PERT가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각 작업의 작업시간만 주목하여 프로젝트의 계획 관리를 하는 방법으로 개발된 것 - CPM에서는 각 작업의 비용이 작업 시간의 함수인 것을 고려하여 프로젝트 전체의 비용을 최소로 하는 계획 관리 [해설작성자 : 팔봉K]
83.
지오이드(Geoid)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나의 물리적 가상면이다.
2.
평균 해수면과 일치하는 등포텐셜면이다.
3.
지오이드면과 기준 타원체면과는 일치한다.
4.
지오이드 상의 어느 점에서나 중력 방향에 연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84.
일반적으로 도로와 하수도의 중심선과 같은 직선적인 구조물의 위치를 도면화 시킬 때 사용하는 방법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좌표
2.
측점
3.
거리
4.
단면도
정답 : [
2
] 정답률 : 59%
85.
토사의 절취 후 운반 작업거리가 50~60m 이내, 최대 100m의 배토작업에 가장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토정지용 건설기계 장비는?
1.
불도저(bull dozer)
2.
덤프트럭(dump truck)
3.
로더(loader)
4.
백호우(back hoe)
정답 : [
1
] 정답률 : 65%
86.
폭원 10m의 포장도로에 측구를 양편에 만들되 측구간의 간격(중심 간의 거리)을 200m로 하고 강우 강도가 100mm/hr일 때 편도측구에 유입하는 1초간의 유량(m3/sec)은 약 얼마인가? (단, 유출계수를 1로 하고, 유출량은 노면에 내린 우수만을 고려한다.)
1.
0.0139
2.
0.0278
3.
0.0556
4.
0.1112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편도측구의 집수면적 = 가로 200m(측구간의 간격) x 세로 5m (폭원의 1/2의 길이) = 1000제곱미터 -> 0.1ha 우수유출량 = 1/360 x C x I x A = 1/360 x 1 x 100 x 0.1 = 0.02777 [해설작성자 : 짱ㄱ]
87.
다음 중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공기량이 많을수록 슬럼프는 증대한다.
2.
공기량이 많을수록 강도는 저하한다.
3.
AE공기량은 진동을 주면 감소한다.
4.
AE공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콘크리트 온도 10°C 증가에 공기량이 20~30%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88.
다음 중 장주(長柱)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주는 세장비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기둥을 말하며, 좌굴에 의해 파괴되는 기둥을 말한다.
2.
단면2차 모멘트가 최대인 축은 그만큼 휨에 대하여 약하므로 좌굴을 일으키게 된다.
3.
장주의 좌굴응력(강도)을 계산할 때는 좌굴에 대한 안전을 고려하여 최소 단면2차반지름이 되도록 설계한다.
4.
좌굴(buckling)현상은 단면에 비하여 길이가긴 장주에서 중심축 하중을 받는데도 부재의 불균일성에 기인하여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편심 모멘트가 발생함에 따라 압축응력이 허용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휘어져 버리는 현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단면 2차 모멘트가 최소인 축은 그만큼 휨에 대하여 약하므로 좌굴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단면 2차 반지름이 최소인 축이기도 하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89.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균열방지 및 제어 방법으로 프리쿨링 및 파이프 쿨링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2.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요의 품질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단위 시멘트양이 적어지도록 배합을 선정하여야 한다.
3.
수축이음을 설치할 경우 계획된 위치에서 균열 발생을 확실히 유도하기 위해서 수축이음의 단면 감소율을 10%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치수는 일반적으로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에서는 두께 0.8m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수축이음을 설치할 경우 계획된 위치에서 균열 발생을 확실히 유도하기 위해서 수축이음의 단면 감소율을 35%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90.
목재에 반복하여 하중을 가하면 기계적 성질이 저하 하여 비교적 작은 하중에도 마지막에는 파괴되었는데 이때의 응력은?
1.
항복점
2.
피로한도
3.
비례한도
4.
탄성한도
정답 : [
2
] 정답률 : 70%
91.
시방서 작성 시의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시공순서에 따라 빠짐없이 기재한다.
2.
중복되지 않고 간단명료하게 작성한다.
3.
공법 및 마무리 정도를 명확히 규정한다.
4.
재료에 대한 공사비의 내역을 정확하게 기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92.
다음 중 덤프트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한 궤도식은 이동속도가 느리다.
2.
적재함을 기울여 흙을 방출한다.
3.
적재기계를 고려하여 적재용량을 결정한다.
4.
운반도로의 조건이 작업량에 영향을 준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덤프트럭은 궤도식이 없음 [해설작성자 : 인력사무소]
93.
다음 직사각형 단면(30cm x 20cm)을 가지는 보에 최대 휨모멘트(M)이 20kN·m 작용할 때 최대 휨 응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