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건조저장법:소나무,해송,리기다소나무,삼나무,편백,낙엽송 등 소립자를 가지는 침엽수종에 적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Quercus variabilis(굴참나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겉씨식물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헛물관이 있다.
2.
잎은 그물맥이다.
3.
중복수정을 한다.
4.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3.
잎의 기공에서 이뤄지는 개폐기작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인산
2.
칼륨
3.
칼슘
4.
질소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칼륨: 산소의 활동과 관계가 깊고 부족하면 탄수화물의 전류와 질소대사에 지장이 있다. 식물세포는 칼륨과 나트륨을 구별하고 나트륨은 칼륨의 대용이 될수 없으며 칼륨의 전류는 매우 쉽게 진행된다. 이것은 생장이 왕성한 부분에 많고 근계의 생장을 촉진시키며 결실을 돕는다. 또한 광합성에 의한 탄수화물의 생성과 그 이동, 특히 전분의 생성에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가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록수는 묘목 전체를 묻는다.
2.
가식장소는 배수가 잘 되는 곳을 택한다.
3.
춘기에는 묘목의 끝을 북쪽으로 묻는다.
4.
오랫동안 가식할 때는 다발을 풀고 낱개로 펴서 묻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묘목 전체를 묻을 수 없다(뿌리보다 약간 높게 묻어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밀식조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관이 빨리 울폐되고 임지의 침식을 막는다.
2.
조림 비용이 더 소요되고 작업량이 많아진다.
3.
개체목 간 경쟁으로 인한 근계발달이 촉진된다.
4.
키가 큰 나무를 빨리 이용하고자 할 때 유리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밀식은 개체목 간 경쟁으로 인하여 근계발달이 저하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무성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론 보존이 가능하다.
2.
모수보다 우수한 유전형질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3.
종자번식이 어려운 수목의 후계목 조성이 가능하다.
4.
소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하여 삽목 발근이 어려운 편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 모수와 동일한 유전자형의 묘목을 얻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인공조림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집약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2.
조림수종 선택의 폭이 넓다.
3.
동령단순 경제림 조성이 용이하다.
4.
천연갱신에 비해 활착률이 더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8.
어린나무 가꾸기나 천연림 보육작업 등의 잡목 솎아내기 작업이 끝난 후부터 최종 수확 때까지 숲을 가꾸는 작업은?
1.
간벌
2.
제벌
3.
덩굴제거
4.
가지치기
정답 : [
1
] 정답률 : 81%
9.
산림토양 내 유기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수력을 감소시킨다.
2.
토양을 산성화 시킨다.
3.
토양구조를 개량한다.
4.
무기영양소의 흡착능력을 증가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유기물은 보수력을 증가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수분 이후 종자성숙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가장 긴 수종은?
1.
회양목
2.
사시나무
3.
졸참나무
4.
상수리나무
정답 : [
4
] 정답률 : 63%
11.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수종은?
1.
Juglans regia
2.
Prunus yedoensis
3.
Aesculus turbinata
4.
Ligustrum obtusifolium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왕벚나무 : 꽃이 먼저 핀다. 1.호두나무 : 잎이 먼저 핀다. 3.칠엽수 : 잎이 먼저 핀다. 4.쥐똥나무 : 잎이 먼저 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목재 수피 등 물질적 생산을 위하여 경영되는 산림은?
1.
원시림
2.
단순림
3.
경제림
4.
보안림
정답 : [
3
] 정답률 : 92%
13.
묘포지에 가장 알맞은 토양은?
1.
사토
2.
양토
3.
점토
4.
사양토
정답 : [
4
] 정답률 : 84%
14.
근주묘(뿌리묘목)의 표시로 옳은 것은?
1.
0/0묘
2.
1/2묘
3.
0/2묘
4.
1/1묘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0/2묘:뿌리의 연령이 2년, 지상부는 절단 제거한 삽목표로 이것을 뿌리묘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종자의 순량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 1000립의 무게
2.
실중에 발아율을 곱한 값
3.
종자 100립 중에서 발아한 종자의 비율
4.
전체 종자 무게 중에서 순정종자 무게의 비율
정답 : [
4
] 정답률 : 82%
16.
종자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 내피, 외피로 구성된다.
2.
배, 배유, 종피로 구성된다.
3.
배유, 자엽, 배축으로 구성된다.
4.
유아, 자엽, 외곽조직으로 구성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종자는 종피, 내종피, 배유, 배 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성충과 유충이 버드나무, 포플러류의 잎을 식해한다. 묘목이나 어린 나무에 피해가 심하다.(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골프의신]
22.
살충제 종류별 작용기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화중독제 : 해충의 입으로 들어가면 소화관내에서 중독작용을 일으킨다.
2.
침투성 살충제 : 약제를 해충의 체표면에 직접 살포하여 중독작용을 일으킨다.
3.
훈증제 : 약제의 유효성분을 가스상태로 해충의 호흡기에 침입하여 사망시킨다.
4.
제충제 : 해충을 즉시 죽이지 않고 발육과 생식을 억제하여 해충의 밀도를 저하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침투성 살충제 식물의 뿌리나 잎, 줄기 등으로 약제를 <흡수시켜> 식물체 내의 각 부분에 도달하게 하고, 해충이 식물체를 섭식하면 살충 성분이 작용하게 한다. 산림기사2020년 4회 식물 뿌리·줄기·잎을 통하여 <식물체 내로> 들어가 식물의 즙액과 함께 식물 전체에 퍼져 식물을 가해하는 해충에 작용하는 살충제는? 산기2016년 1회 [해설작성자 : 르망]
23.
해충의 개체군 동태를 알기위해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충태별 사망수, 사망요인, 사망률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 표는?
지표화로부터 연소되는 경우가 많고, 나무의 공동부가 굴뚝과 같은 작용을 하는 산불의 종류는?
1.
수간화
2.
수관화
3.
지상화
4.
지중화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산불의 형태
① 지표화 (地表火, Surface Fire) △ 낙엽, 초본류, 지피물, 지상 관목, 치수 등 지표면의 연료가 타는 화재. △ 가장 일반적이며 산불의 시작 형태. △ 지표화 → 지중화, 수간화, 수관화로 확산 가능. △ 연소속도: 평균 4~7km/h, 지형·바람의 영향을 받음
② 지중화 (地中火, Ground Fire) △ 이탄질, 부식층 등 지하 연료가 타는 화재 △ 산소 공급 부족 → 불꽃과 연기 적음, 대신 열 지속 △ 육안 식별 어려움 → 뒷불 정리 주의
③ 수간화 (樹幹火) △ 나무 줄기가 타는 화재 △ 지표화에서 파생되는 경우 많음 △ 줄기 속이 썩어 속이 비었을 경우 굴뚝 작용으로 불꽃 비산 → 다른 지역 점화 유발 ④ 수관화 (樹冠火, Crown Fire) △ 나무의 수관(윗부분)*이 타는 화재 △ 수관에서 수관으로 공중을 통해 확산 △ 진화가 어렵고, 피해 규모 가장 큼 △ 바람을 통해 불씨 비산, 새로운 화재 발생 가능
【출처 : 네이버 블로그】 [해설작성자 : 나그네]
32.
모잘록병의 피해형태가 아닌 것은?
1.
직립형
2.
근부형
3.
도복형
4.
지중부패형
정답 : [
1
] 정답률 : 65%
33.
수목병을 발생하는 세균 중 막대 모양은?
1.
간균
2.
구균
3.
나선균
4.
방선균
정답 : [
1
] 정답률 : 70%
34.
볕데기(피소현상)이 잘 발생하지 않는 수종은?
1.
단풍나무
2.
굴참나무
3.
오동나무
4.
배롱나무
정답 : [
2
] 정답률 : 78%
35.
수목 바이러스병 진단에 사용하는 지표식물이 아닌 것은?
1.
콩
2.
담배
3.
버섯
4.
명아주
정답 : [
3
] 정답률 : 71%
36.
삼나무 붉은마름병균은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1.
조균
2.
자낭균
3.
담자균
4.
불완전균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불완전균류에 의한 수병은 삼나무의 붉은마름병,오동나무의 탄저병,오리나무의 갈색무늬병,측백나무의 잎마름병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소나무좀의 월동 충태는?
1.
알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소나무좀은 수피 틈에서 월동한 성충이 3월 하순~4월 초순 평균기온이 15도씨 정도가 2~3일 계속되면 월동처에서 나와 쇠약목,벌채목의 수피에 구멍을 뚫고 침입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수목의 잎을 가해하는 식엽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낙엽송잎벌
2.
전나무잎응애
3.
참나무재주나방
4.
잣나무넓적잎벌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전나무잎응애 - 성충과 약충이 주로 잎 앞면에서 수액을 빨아먹어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잎이 노랗게 변한다 [해설작성자 : 경자]
<문제 해설> 건조저장법:소나무,해송,리기다소나무,삼나무,편백,낙엽송 등 소립자를 가지는 침엽수종에 적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Quercus variabilis(굴참나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겉씨식물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헛물관이 있다.
2.
잎은 그물맥이다.
3.
중복수정을 한다.
4.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3.
잎의 기공에서 이뤄지는 개폐기작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인산
2.
칼륨
3.
칼슘
4.
질소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칼륨: 산소의 활동과 관계가 깊고 부족하면 탄수화물의 전류와 질소대사에 지장이 있다. 식물세포는 칼륨과 나트륨을 구별하고 나트륨은 칼륨의 대용이 될수 없으며 칼륨의 전류는 매우 쉽게 진행된다. 이것은 생장이 왕성한 부분에 많고 근계의 생장을 촉진시키며 결실을 돕는다. 또한 광합성에 의한 탄수화물의 생성과 그 이동, 특히 전분의 생성에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가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록수는 묘목 전체를 묻는다.
2.
가식장소는 배수가 잘 되는 곳을 택한다.
3.
춘기에는 묘목의 끝을 북쪽으로 묻는다.
4.
오랫동안 가식할 때는 다발을 풀고 낱개로 펴서 묻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묘목 전체를 묻을 수 없다(뿌리보다 약간 높게 묻어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밀식조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관이 빨리 울폐되고 임지의 침식을 막는다.
2.
조림 비용이 더 소요되고 작업량이 많아진다.
3.
개체목 간 경쟁으로 인한 근계발달이 촉진된다.
4.
키가 큰 나무를 빨리 이용하고자 할 때 유리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밀식은 개체목 간 경쟁으로 인하여 근계발달이 저하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무성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론 보존이 가능하다.
2.
모수보다 우수한 유전형질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3.
종자번식이 어려운 수목의 후계목 조성이 가능하다.
4.
소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하여 삽목 발근이 어려운 편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 모수와 동일한 유전자형의 묘목을 얻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인공조림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집약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2.
조림수종 선택의 폭이 넓다.
3.
동령단순 경제림 조성이 용이하다.
4.
천연갱신에 비해 활착률이 더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8.
어린나무 가꾸기나 천연림 보육작업 등의 잡목 솎아내기 작업이 끝난 후부터 최종 수확 때까지 숲을 가꾸는 작업은?
1.
간벌
2.
제벌
3.
덩굴제거
4.
가지치기
정답 : [
1
] 정답률 : 81%
9.
산림토양 내 유기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수력을 감소시킨다.
2.
토양을 산성화 시킨다.
3.
토양구조를 개량한다.
4.
무기영양소의 흡착능력을 증가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유기물은 보수력을 증가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수분 이후 종자성숙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가장 긴 수종은?
1.
회양목
2.
사시나무
3.
졸참나무
4.
상수리나무
정답 : [
4
] 정답률 : 63%
11.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수종은?
1.
Juglans regia
2.
Prunus yedoensis
3.
Aesculus turbinata
4.
Ligustrum obtusifolium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왕벚나무 : 꽃이 먼저 핀다. 1.호두나무 : 잎이 먼저 핀다. 3.칠엽수 : 잎이 먼저 핀다. 4.쥐똥나무 : 잎이 먼저 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목재 수피 등 물질적 생산을 위하여 경영되는 산림은?
1.
원시림
2.
단순림
3.
경제림
4.
보안림
정답 : [
3
] 정답률 : 92%
13.
묘포지에 가장 알맞은 토양은?
1.
사토
2.
양토
3.
점토
4.
사양토
정답 : [
4
] 정답률 : 84%
14.
근주묘(뿌리묘목)의 표시로 옳은 것은?
1.
0/0묘
2.
1/2묘
3.
0/2묘
4.
1/1묘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0/2묘:뿌리의 연령이 2년, 지상부는 절단 제거한 삽목표로 이것을 뿌리묘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종자의 순량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 1000립의 무게
2.
실중에 발아율을 곱한 값
3.
종자 100립 중에서 발아한 종자의 비율
4.
전체 종자 무게 중에서 순정종자 무게의 비율
정답 : [
4
] 정답률 : 82%
16.
종자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 내피, 외피로 구성된다.
2.
배, 배유, 종피로 구성된다.
3.
배유, 자엽, 배축으로 구성된다.
4.
유아, 자엽, 외곽조직으로 구성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종자는 종피, 내종피, 배유, 배 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성충과 유충이 버드나무, 포플러류의 잎을 식해한다. 묘목이나 어린 나무에 피해가 심하다.(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골프의신]
22.
살충제 종류별 작용기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화중독제 : 해충의 입으로 들어가면 소화관내에서 중독작용을 일으킨다.
2.
침투성 살충제 : 약제를 해충의 체표면에 직접 살포하여 중독작용을 일으킨다.
3.
훈증제 : 약제의 유효성분을 가스상태로 해충의 호흡기에 침입하여 사망시킨다.
4.
제충제 : 해충을 즉시 죽이지 않고 발육과 생식을 억제하여 해충의 밀도를 저하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침투성 살충제 식물의 뿌리나 잎, 줄기 등으로 약제를 <흡수시켜> 식물체 내의 각 부분에 도달하게 하고, 해충이 식물체를 섭식하면 살충 성분이 작용하게 한다. 산림기사2020년 4회 식물 뿌리·줄기·잎을 통하여 <식물체 내로> 들어가 식물의 즙액과 함께 식물 전체에 퍼져 식물을 가해하는 해충에 작용하는 살충제는? 산기2016년 1회 [해설작성자 : 르망]
23.
해충의 개체군 동태를 알기위해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충태별 사망수, 사망요인, 사망률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 표는?
지표화로부터 연소되는 경우가 많고, 나무의 공동부가 굴뚝과 같은 작용을 하는 산불의 종류는?
1.
수간화
2.
수관화
3.
지상화
4.
지중화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산불의 형태
① 지표화 (地表火, Surface Fire) △ 낙엽, 초본류, 지피물, 지상 관목, 치수 등 지표면의 연료가 타는 화재. △ 가장 일반적이며 산불의 시작 형태. △ 지표화 → 지중화, 수간화, 수관화로 확산 가능. △ 연소속도: 평균 4~7km/h, 지형·바람의 영향을 받음
② 지중화 (地中火, Ground Fire) △ 이탄질, 부식층 등 지하 연료가 타는 화재 △ 산소 공급 부족 → 불꽃과 연기 적음, 대신 열 지속 △ 육안 식별 어려움 → 뒷불 정리 주의
③ 수간화 (樹幹火) △ 나무 줄기가 타는 화재 △ 지표화에서 파생되는 경우 많음 △ 줄기 속이 썩어 속이 비었을 경우 굴뚝 작용으로 불꽃 비산 → 다른 지역 점화 유발 ④ 수관화 (樹冠火, Crown Fire) △ 나무의 수관(윗부분)*이 타는 화재 △ 수관에서 수관으로 공중을 통해 확산 △ 진화가 어렵고, 피해 규모 가장 큼 △ 바람을 통해 불씨 비산, 새로운 화재 발생 가능
【출처 : 네이버 블로그】 [해설작성자 : 나그네]
32.
모잘록병의 피해형태가 아닌 것은?
1.
직립형
2.
근부형
3.
도복형
4.
지중부패형
정답 : [
1
] 정답률 : 65%
33.
수목병을 발생하는 세균 중 막대 모양은?
1.
간균
2.
구균
3.
나선균
4.
방선균
정답 : [
1
] 정답률 : 70%
34.
볕데기(피소현상)이 잘 발생하지 않는 수종은?
1.
단풍나무
2.
굴참나무
3.
오동나무
4.
배롱나무
정답 : [
2
] 정답률 : 78%
35.
수목 바이러스병 진단에 사용하는 지표식물이 아닌 것은?
1.
콩
2.
담배
3.
버섯
4.
명아주
정답 : [
3
] 정답률 : 71%
36.
삼나무 붉은마름병균은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1.
조균
2.
자낭균
3.
담자균
4.
불완전균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불완전균류에 의한 수병은 삼나무의 붉은마름병,오동나무의 탄저병,오리나무의 갈색무늬병,측백나무의 잎마름병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소나무좀의 월동 충태는?
1.
알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소나무좀은 수피 틈에서 월동한 성충이 3월 하순~4월 초순 평균기온이 15도씨 정도가 2~3일 계속되면 월동처에서 나와 쇠약목,벌채목의 수피에 구멍을 뚫고 침입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수목의 잎을 가해하는 식엽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낙엽송잎벌
2.
전나무잎응애
3.
참나무재주나방
4.
잣나무넓적잎벌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전나무잎응애 - 성충과 약충이 주로 잎 앞면에서 수액을 빨아먹어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잎이 노랗게 변한다 [해설작성자 : 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