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표면거칠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절삭속도, 바이트경사각, 바이트 끝반경(노즈반경), 절삭깊이, 절삭제(절삭유) [해설작성자 : JH]
2.
총형커터에 의한 방법으로 치형을 절삭할 때 사용하는 밀링커터는?
1.
베벨 밀링커터
2.
헬리컬 밀링커터
3.
인벌류트 밀링커터
4.
하이포이드 밀링커터
정답 : [
3
] 정답률 : 69%
3.
밀링 작업 시의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
1.
칩을 제거할 때 기계를 정지시킨 후 브러시로 털어낸다.
2.
주축 회전 속도를 변환 할 때에는 회전을 정지시키고 변환한다.
3.
칩가루가 날리기 쉬운 가공물의 공작 시에는 방진 안경을 착용한다.
4.
절삭유를 공급할 때 커터에 감겨들지 않도록 주의하고, 공작 중 다듬질 면은 손을 대어 거칠기를 점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공작을 끝내고 거칠기 점검한다. [해설작성자 : 486]
4.
크레이터 마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동형 칩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2.
절삭공구의 상면 경사각이 오목하게 파여지는 현상이다.
3.
크레이터 마모를 줄이려면 경사면 위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킨다.
4.
처음에 빠른 속도로 성장하다가 어느 정도 크기에 도달하면 느려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레이터마모는 처음에는 느린 속도로 진행하다가 공구 끝이 어느 순간에 순간적으로 탈락이 된다. [해설작성자 : JH]
5.
다듬질 면 상태의 평면 검사에 사용되는 수공구는?
1.
트러멜
2.
나이프 에지
3.
실린더 게이지
4.
앵글 플레이트
정답 : [
2
] 정답률 : 65%
6.
리머의 모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정 리머 : 절삭 날을 조정할 수 있는 것
2.
솔리드 리머 : 자루와 절삭 날이 다른 소재로 된 것
3.
셀 리머 : 자루와 절삭 날 부위가 별개로 되어 있는 것
4.
팽창 리머 : 가공물의 치수에 따라 조금 팽창할 수 있는 것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드릴 가공 후 구명의 내면을 다듬는 작업을 리밍이라 하고 이때 사용 되는 도구를 리머 라고 부른다. 조정 리머 - 절삭 날을 조정 할 수 있다 솔리드 리머 - 자루와 절삭 날이 같은 소재로 되어있다. 셀 리머 - 자루 와 절삭 날이 분리 된다. 팽창 리머 - 날 부분을 확장 시킬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암나사의 안지름(골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 아닌가요?? 바깥지름(산지름)을 가는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곽두팔]
[오류신고 반론] 암나사의 골지름은 바깥쪽이고 수나사의 골지름이 안쪽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나사의 제도 방법(필기준비하는 책에 있는 내용 일부) 단면시 암나사는 안지름까지 해칭한다. 나사의 불완전 나사부는 기능상 필요한 경우 또는 치수 지시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경사된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표현한다.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표현한다.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지름은 모두 가는 실선으로 표현한다. [해설작성자 : _]
27.
크롬 몰리브덴강 단강품의 KS 재질 기호는?
1.
SCM
2.
SNC
3.
SFCM
4.
누츠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초소성을 얻기 위한 조직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약 10^(-4)/sec 의 변형속도로 초소성을 기대한다면 <<결정립의 크기는 수 um이어야 한다. 즉, 미세립인 것이 필요하다.>> 2. 초소성 온도에서 변형 중의 미세조직을 유지하려면 모상의 결정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제 2상이 수%~50% 존재하는 것이 좋다. 3. 제 2상의 강도는 원칙적으로 모상과 같은 정도인 것이 좋다. 4. <<모상의 입계는 고경각인 것이 좋다.>> 5. 입계슬립에서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6. <<결정립의 모양은 등축이어야 한다.>> 7. <<모상입계가 인장분리되기 쉬워서는 안 된다.>> [해설작성자 : 어느누군가]
탄성한도를 넘어서 소성 변형을 시킨 경우에 하중을 제거하면 원래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신소재 효과
2.
초탄성 효과
3.
초소성 효과
4.
시효경화 효과
정답 : [
2
] 정답률 : 71%
49.
자정재료를 연질과 경질로 나눌 때 경질 자석에 해당되는 것은>?
1.
Si경판
2.
퍼멀로이
3.
센더스트
4.
알니코 자석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알니코자석 (Alnico Magnet) 대한 설명 [개요] 알리코 자석은 알라미늄, 니켈, 코발트, 철 등의 합금으로 제작되고 있는 영구자석입니다. 600~800 Gauss의 고무자석과 비슷한 약한 자력을 갖고 있지만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최대 650℃의 고온에서도 자력의 감자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표면이 도금이 필요없는 강력한 부식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성형방법에 따라 주조알리코 자석과 소결알리코 자석으로 구분하여 제작되고 있습니다. 소결알리코는 주조알리코 자석보다 가격이 높아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특징] -영구자석 중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고온에서도 감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자기회로 구성후에도 착자가 쉽기 때문에 자기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조알리코 자석은 높은 경도로 주로 연마를 통해서 가공되고 있으며 자기회로구성 후에도 착자가쉬워 자기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할수 있습니다. -소결알리코 자석은 주조알리코 자석과 자기특성이 동일하나 주조알리코 자석보다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성형이 좋아 소형치수 및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퀴리온도(자력을 잃는 시점)가 높아 500~600℃ 에서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나, 보자력이 약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용도] -주조 알니코 자석 : 스피커, 마이크폰, 전화기, 마이크로모터, 전류계 등 -소결 알니코 자석: 측정장비, 센서, 레벨 메터, Panel 메터 등 -플라이휠 발전기(모터사이클, 농기계), TV와 PC모니터의 CPM, 경보장치 등 출처: http://fobworld.com/article/자석정보/2/18/ [해설작성자 : 짝퉁]
50.
열처리의 목적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담금질 : 강을 A1변태점까지 가열하여 연성을 증가시킨다.
2.
뜨임 : 소성가공에 의한 내부응력을 증가시켜 절삭성을 향상시킨다.
3.
풀림 : 강의 강도, 경도를 증가시키고, 조직을 마텐자이트조직으로 변태시킨다.
4.
불림 : 재료의 결정조직을 미세화하고, 기계적 성질을 개량하여 조직을 표준화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표준화는 노멀라이징=불림이다
51.
지름 20mm, 피치 2mm인 3줄 나사를 1/2 회전하였을 때 이 나사의 진행거리는 몇 mm인가?
1.
1
2.
3
3.
4
4.
6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x2=6이나 1/2회전이므로 3mm [해설작성자 : dd]
52.
942N·m의 토크를 전달하는 지름 50mm인 축에 사용할 묻힘 키(폭×높이=12mm×8mm)의 길이는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키의 허용전단응력은 78.48N/mm2 이다.)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키의 허용 전단응력 타우(이하 t로 표시함) t = 2T(토크) / 폭(b) * 지름 (D) * 키의 길이 (L) 이므로 L = 2T / b * D * t = 2 * 942 / 0.012 * 0.05 * 8.48 * 10^6 = 0.04m 이므로 L = 40 mm 이다 [해설작성자 : 이진섭]
2x942x10^3 / 78.48x12x50 = 40.01mm [해설작성자 : DD]
53.
원통롤러 베어링 N206(기본 동정격하중 14.2kN)이 600rpm으로 1.96kN의 베어링 하중을 받치고 있다. 이 베어링의 수명은 약 몇 시간인가? (단, 베어링 하중계수(fW)는 1.5를 적용한다.)
2.2kW의 동력을 1800rpm으로 전달시키는 표준 스퍼기어가 있다. 이 기어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약 몇 N 인가? (단, 스퍼기어 모듈은 4 이고, 잇수는 25이다.)
1.
163
2.
195
3.
233
4.
289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동력 H(KW)에 대하여 회전력 F 속도 V에 대한 식을 만들면 H(KW) = F * V / 1000이고 V = π*D*N / 60 * 1000 이다 이때 모듈 M = D / Z 이고 그러므로 D = M * Z = 4 *25 = 100 이므로 V = π * 100 * 1800 / 60 * 1000 = 9.425 m/s이다. 그러므로 F = 1000 * H(KW) / V = 1000 * 2.2 / 9.425 = 233.4 N 이다. [해설작성자 : 이진섭]
57.
맞대기 용접이음에서 압축하중은 W, 용접부의 길이를 ℓ, 판 두께를 t라 할 때 용접부의 압축응력을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응력=하중/단면적, 맞대기 용접이음의 단면적은 용접부의 길이 * 판 두께 이므로 σ=W/(tl)
58.
밴드 브레이크에서 밴드에 생기는 안장응력과 관련하여 다음 중 옳은 관계식은? (단, σ : 밴드에 생기는 인장응력, F1 : 밴드의 인장측 장력, t : 밴드 두께, b : 밴드의 너비이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3%
59.
300rpm으로 2.5kW의 동력을 전달시키는 축에 발생하는 비틀림 모멘트는 약 몇 N·m 인가?
1.
80
2.
60
3.
45
4.
35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2.5x10^3/2x파이x300/60=79.577 [해설작성자 : ㅇㄴㅁ]
(2.5 TIMES 10^3) over ((2 TIMES pi TIMES 300) over 60}} = 79.61783... = 약 80 계산기를 두드리고 나온 값 [해설작성자 : 짝퉁]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 = (9.55 x P) / N 여기서, T는 비틀림 모멘트(N∙m), P는 출력(kW), N은 회전수(rpm)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판 스프링(leaf spring)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팔 사이의 마찰에 의해 진동을 감쇠한다.
2.
내구성이 좋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3.
트럭 및 철도차량의 현가장치로 주로 이용된다.
4.
판 사이의 마찰작용으로 인해 미소진동의 흡수에 유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판 스프링 길이가 각각 다른 몇 개의 철판을 겹쳐서 만들 스프링. 판 스프링은 구조가 간단해 리어서스펜션에 사용됨. 진동을 억제하는 작용은 높지만 작은 진동에 대한 흡수는 좋지 않음. 또 무겁고 소음이 많아 코일스프링으로 대체되고 있는 것이 특징임. 화물차와 버스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판 스프링의 판 사이게 고무 밴드를 넣거나 판의 수를 조절해 마찰음을 줄이기도 함. [해설작성자 : 짝퉁]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다음 중 공학적 해석을 위한 물리적인 성질(부피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링은?
1.
2차원 모델링
2.
서피스(surface) 모델링
3.
솔리드(solid) 모델링
4.
와이어 프레림(wire frame) 모델링
정답 : [
3
] 정답률 : 82%
62.
CAD/CAM 시스템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중간파일(Neutral File)의 형식이 아닌 것은?
1.
IGES
2.
DXF
3.
STEP
4.
CALS
정답 : [
4
] 정답률 : 76%
63.
CAD 시스템의 출력장치로 볼 수 없는 것은?
1.
플로터
2.
디지타이저
3.
PDP
4.
프린터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디지타이저 => 입력장치 [해설작성자 : 내꿈로또1등]
64.
그림과 같이 곡면 모델링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곡면을 불러들여 기존 모델의 평면을 바꿀 수 있는 모델링 기능은 무엇인가?
<문제 해설> 표면거칠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절삭속도, 바이트경사각, 바이트 끝반경(노즈반경), 절삭깊이, 절삭제(절삭유) [해설작성자 : JH]
2.
총형커터에 의한 방법으로 치형을 절삭할 때 사용하는 밀링커터는?
1.
베벨 밀링커터
2.
헬리컬 밀링커터
3.
인벌류트 밀링커터
4.
하이포이드 밀링커터
정답 : [
3
] 정답률 : 69%
3.
밀링 작업 시의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
1.
칩을 제거할 때 기계를 정지시킨 후 브러시로 털어낸다.
2.
주축 회전 속도를 변환 할 때에는 회전을 정지시키고 변환한다.
3.
칩가루가 날리기 쉬운 가공물의 공작 시에는 방진 안경을 착용한다.
4.
절삭유를 공급할 때 커터에 감겨들지 않도록 주의하고, 공작 중 다듬질 면은 손을 대어 거칠기를 점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공작을 끝내고 거칠기 점검한다. [해설작성자 : 486]
4.
크레이터 마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동형 칩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2.
절삭공구의 상면 경사각이 오목하게 파여지는 현상이다.
3.
크레이터 마모를 줄이려면 경사면 위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킨다.
4.
처음에 빠른 속도로 성장하다가 어느 정도 크기에 도달하면 느려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레이터마모는 처음에는 느린 속도로 진행하다가 공구 끝이 어느 순간에 순간적으로 탈락이 된다. [해설작성자 : JH]
5.
다듬질 면 상태의 평면 검사에 사용되는 수공구는?
1.
트러멜
2.
나이프 에지
3.
실린더 게이지
4.
앵글 플레이트
정답 : [
2
] 정답률 : 65%
6.
리머의 모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정 리머 : 절삭 날을 조정할 수 있는 것
2.
솔리드 리머 : 자루와 절삭 날이 다른 소재로 된 것
3.
셀 리머 : 자루와 절삭 날 부위가 별개로 되어 있는 것
4.
팽창 리머 : 가공물의 치수에 따라 조금 팽창할 수 있는 것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드릴 가공 후 구명의 내면을 다듬는 작업을 리밍이라 하고 이때 사용 되는 도구를 리머 라고 부른다. 조정 리머 - 절삭 날을 조정 할 수 있다 솔리드 리머 - 자루와 절삭 날이 같은 소재로 되어있다. 셀 리머 - 자루 와 절삭 날이 분리 된다. 팽창 리머 - 날 부분을 확장 시킬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암나사의 안지름(골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 아닌가요?? 바깥지름(산지름)을 가는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곽두팔]
[오류신고 반론] 암나사의 골지름은 바깥쪽이고 수나사의 골지름이 안쪽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나사의 제도 방법(필기준비하는 책에 있는 내용 일부) 단면시 암나사는 안지름까지 해칭한다. 나사의 불완전 나사부는 기능상 필요한 경우 또는 치수 지시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경사된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표현한다.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표현한다.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지름은 모두 가는 실선으로 표현한다. [해설작성자 : _]
27.
크롬 몰리브덴강 단강품의 KS 재질 기호는?
1.
SCM
2.
SNC
3.
SFCM
4.
누츠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초소성을 얻기 위한 조직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약 10^(-4)/sec 의 변형속도로 초소성을 기대한다면 <<결정립의 크기는 수 um이어야 한다. 즉, 미세립인 것이 필요하다.>> 2. 초소성 온도에서 변형 중의 미세조직을 유지하려면 모상의 결정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제 2상이 수%~50% 존재하는 것이 좋다. 3. 제 2상의 강도는 원칙적으로 모상과 같은 정도인 것이 좋다. 4. <<모상의 입계는 고경각인 것이 좋다.>> 5. 입계슬립에서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6. <<결정립의 모양은 등축이어야 한다.>> 7. <<모상입계가 인장분리되기 쉬워서는 안 된다.>> [해설작성자 : 어느누군가]
탄성한도를 넘어서 소성 변형을 시킨 경우에 하중을 제거하면 원래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신소재 효과
2.
초탄성 효과
3.
초소성 효과
4.
시효경화 효과
정답 : [
2
] 정답률 : 71%
49.
자정재료를 연질과 경질로 나눌 때 경질 자석에 해당되는 것은>?
1.
Si경판
2.
퍼멀로이
3.
센더스트
4.
알니코 자석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알니코자석 (Alnico Magnet) 대한 설명 [개요] 알리코 자석은 알라미늄, 니켈, 코발트, 철 등의 합금으로 제작되고 있는 영구자석입니다. 600~800 Gauss의 고무자석과 비슷한 약한 자력을 갖고 있지만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최대 650℃의 고온에서도 자력의 감자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표면이 도금이 필요없는 강력한 부식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성형방법에 따라 주조알리코 자석과 소결알리코 자석으로 구분하여 제작되고 있습니다. 소결알리코는 주조알리코 자석보다 가격이 높아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특징] -영구자석 중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고온에서도 감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자기회로 구성후에도 착자가 쉽기 때문에 자기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조알리코 자석은 높은 경도로 주로 연마를 통해서 가공되고 있으며 자기회로구성 후에도 착자가쉬워 자기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할수 있습니다. -소결알리코 자석은 주조알리코 자석과 자기특성이 동일하나 주조알리코 자석보다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성형이 좋아 소형치수 및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퀴리온도(자력을 잃는 시점)가 높아 500~600℃ 에서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나, 보자력이 약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용도] -주조 알니코 자석 : 스피커, 마이크폰, 전화기, 마이크로모터, 전류계 등 -소결 알니코 자석: 측정장비, 센서, 레벨 메터, Panel 메터 등 -플라이휠 발전기(모터사이클, 농기계), TV와 PC모니터의 CPM, 경보장치 등 출처: http://fobworld.com/article/자석정보/2/18/ [해설작성자 : 짝퉁]
50.
열처리의 목적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담금질 : 강을 A1변태점까지 가열하여 연성을 증가시킨다.
2.
뜨임 : 소성가공에 의한 내부응력을 증가시켜 절삭성을 향상시킨다.
3.
풀림 : 강의 강도, 경도를 증가시키고, 조직을 마텐자이트조직으로 변태시킨다.
4.
불림 : 재료의 결정조직을 미세화하고, 기계적 성질을 개량하여 조직을 표준화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표준화는 노멀라이징=불림이다
51.
지름 20mm, 피치 2mm인 3줄 나사를 1/2 회전하였을 때 이 나사의 진행거리는 몇 mm인가?
1.
1
2.
3
3.
4
4.
6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x2=6이나 1/2회전이므로 3mm [해설작성자 : dd]
52.
942N·m의 토크를 전달하는 지름 50mm인 축에 사용할 묻힘 키(폭×높이=12mm×8mm)의 길이는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키의 허용전단응력은 78.48N/mm2 이다.)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키의 허용 전단응력 타우(이하 t로 표시함) t = 2T(토크) / 폭(b) * 지름 (D) * 키의 길이 (L) 이므로 L = 2T / b * D * t = 2 * 942 / 0.012 * 0.05 * 8.48 * 10^6 = 0.04m 이므로 L = 40 mm 이다 [해설작성자 : 이진섭]
2x942x10^3 / 78.48x12x50 = 40.01mm [해설작성자 : DD]
53.
원통롤러 베어링 N206(기본 동정격하중 14.2kN)이 600rpm으로 1.96kN의 베어링 하중을 받치고 있다. 이 베어링의 수명은 약 몇 시간인가? (단, 베어링 하중계수(fW)는 1.5를 적용한다.)
2.2kW의 동력을 1800rpm으로 전달시키는 표준 스퍼기어가 있다. 이 기어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약 몇 N 인가? (단, 스퍼기어 모듈은 4 이고, 잇수는 25이다.)
1.
163
2.
195
3.
233
4.
289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동력 H(KW)에 대하여 회전력 F 속도 V에 대한 식을 만들면 H(KW) = F * V / 1000이고 V = π*D*N / 60 * 1000 이다 이때 모듈 M = D / Z 이고 그러므로 D = M * Z = 4 *25 = 100 이므로 V = π * 100 * 1800 / 60 * 1000 = 9.425 m/s이다. 그러므로 F = 1000 * H(KW) / V = 1000 * 2.2 / 9.425 = 233.4 N 이다. [해설작성자 : 이진섭]
57.
맞대기 용접이음에서 압축하중은 W, 용접부의 길이를 ℓ, 판 두께를 t라 할 때 용접부의 압축응력을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응력=하중/단면적, 맞대기 용접이음의 단면적은 용접부의 길이 * 판 두께 이므로 σ=W/(tl)
58.
밴드 브레이크에서 밴드에 생기는 안장응력과 관련하여 다음 중 옳은 관계식은? (단, σ : 밴드에 생기는 인장응력, F1 : 밴드의 인장측 장력, t : 밴드 두께, b : 밴드의 너비이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3%
59.
300rpm으로 2.5kW의 동력을 전달시키는 축에 발생하는 비틀림 모멘트는 약 몇 N·m 인가?
1.
80
2.
60
3.
45
4.
35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2.5x10^3/2x파이x300/60=79.577 [해설작성자 : ㅇㄴㅁ]
(2.5 TIMES 10^3) over ((2 TIMES pi TIMES 300) over 60}} = 79.61783... = 약 80 계산기를 두드리고 나온 값 [해설작성자 : 짝퉁]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 = (9.55 x P) / N 여기서, T는 비틀림 모멘트(N∙m), P는 출력(kW), N은 회전수(rpm)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판 스프링(leaf spring)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팔 사이의 마찰에 의해 진동을 감쇠한다.
2.
내구성이 좋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3.
트럭 및 철도차량의 현가장치로 주로 이용된다.
4.
판 사이의 마찰작용으로 인해 미소진동의 흡수에 유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판 스프링 길이가 각각 다른 몇 개의 철판을 겹쳐서 만들 스프링. 판 스프링은 구조가 간단해 리어서스펜션에 사용됨. 진동을 억제하는 작용은 높지만 작은 진동에 대한 흡수는 좋지 않음. 또 무겁고 소음이 많아 코일스프링으로 대체되고 있는 것이 특징임. 화물차와 버스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판 스프링의 판 사이게 고무 밴드를 넣거나 판의 수를 조절해 마찰음을 줄이기도 함. [해설작성자 : 짝퉁]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다음 중 공학적 해석을 위한 물리적인 성질(부피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링은?
1.
2차원 모델링
2.
서피스(surface) 모델링
3.
솔리드(solid) 모델링
4.
와이어 프레림(wire frame) 모델링
정답 : [
3
] 정답률 : 82%
62.
CAD/CAM 시스템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중간파일(Neutral File)의 형식이 아닌 것은?
1.
IGES
2.
DXF
3.
STEP
4.
CALS
정답 : [
4
] 정답률 : 76%
63.
CAD 시스템의 출력장치로 볼 수 없는 것은?
1.
플로터
2.
디지타이저
3.
PDP
4.
프린터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디지타이저 => 입력장치 [해설작성자 : 내꿈로또1등]
64.
그림과 같이 곡면 모델링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곡면을 불러들여 기존 모델의 평면을 바꿀 수 있는 모델링 기능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