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령개정으로 없어짐 [해설작성자 : 슬로우다운]
9.
카 내부나 카 위에서 동력을 끌 수 있는 장치는?
1.
토글 스위차
2.
리밋 스위치
3.
정지 스위치
4.
인타록 스위치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동력 끄다 = 정지
10.
각각의 ( )에 들어갈 수치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① 40, ② 1/4, ③ 36
2.
① 30, ② 1/4, ③ 25
3.
① 40, ② 1/5, ③ 36
4.
① 30, ② 1/5, ③ 25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령개정으로 없어짐 무조건 40배 [해설작성자 : 슬로우다운]
11.
승강기용 전동기에 대한 출력 계산식의 ( )안에 알맞은 것은?
1.
정격전압
2.
회전속도
3.
정격하중
4.
카의 자중
정답 : [
3
] 정답률 : 70%
12.
교류 엘리베0l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동기는?
1.
농형유도전동기
2.
교류 정류전동기
3.
분권전동기
4.
직권전동기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농형 유도전동기 농형 회전자를 가진 유도전동기. 권선형 유도전동기에 비해서 기동 특성은 떨어지지만 운전특성이 좋으며, 많이사용된다. 조작이 간단하고 가격이 싸다.
교류 정류전동기 교류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직류전동기와 거의 같은 정류자를 부착한 회전자를 가진 교류전동기. 정류자의 주파수 변환 작용에 의해 동기속도(同期速度)를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것은 동기전동기 ·유도전동기 등 다른 전동기와 특성상의 큰 차이점이다.
분권전동기 교류기 ·직류기를 불문하고 분권전동기라고 하지만, 단순히 분권전동기라고 하면 직류 분권전동기를 말한다. 여자전류(勵磁電流)가 일정하고 따라서 자속(磁束)이 일정하므로 부하에 불구하고 회전속도는 거의 일정하다.
직권 전동기 전기자(電機子)와 계자 권선이 직렬로 접속된 정류자 전동기를 말한다. 시동 토크가 크고 부하에 의한 속도 변동이 크며, 경부하 또는 무부하에서 위험하게 고속이 되는 경우가 있다. 직권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 그라인더의 전원은 단상 100V나 200V이며, 회전수는 전원 전압에 거의 정비례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직권 전동기 [直捲電動機, series motor] (자동차 용어사전, 2012. 5. 25., 자동차용어사전편찬회)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13.
이동케이블과 로프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하여 설 치하는 것은?
1.
균형추
2.
균형체인
3.
제어 케이믈
4.
균형 클로져
정답 : [
2
] 정답률 : 76%
14.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속기가 작동한 후에 작동해야 한다.
2.
상승방향으로만 작동해야 한다.
3.
정격속도의 1 .4배 이하에서 작동해야 한다.
4.
조속기 로프를 기계적으로 잡아서 작동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15.
교류이단 속도제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단 속도 전동기의 속도비는?
1.
8: 1
2.
6: 1
3.
4: 1
4.
2: 1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교류2단 속도제어 하면 무조건 4:1 이 문제 많이나옴 [해설작성자 : ㅁㄱ]
16.
권동식 귄상기에 비하여 트랙션 권상기의 잠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기계실와 소요 면적이 작다.
2.
소요 동력이 작다.
3.
승강 행정에 제한이 없다.
4.
권과(지나치게 감기는 현상)를 일으키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17.
상승방향 과속방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 장치가 작동하여 제동하눋 동안 자체 또는 다른 승강기 부품의 최대강로의 60 %를 초과하는 스트레스를 부과하지 않아야 한다.
2.
이 장치는 최소한 카가 미리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였을때 또는 그 이전에 제어불능운행을 하는 것을 감지하여야한다.
3.
드럼 또는 디스크 상에 제동작용을 하는데 기여하는 브레이크의 모든 기계적 부품들은 2세트로 설치되어야 한다.
4.
정상운전에서 브레이크의 개방은 지속적 인 전류의 공급에 의존하여야 하며, 이 전류의 차단은 적어도 2개 의 독립된 전기적 장치에의해 유효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번 보기의 경우 최대강도 60%를 초과라고 되어있으나 법 개정전 2009.11.24 승강기검사기준 행정규칙 3.1.6(16) ⑤에는 이 장치가 작동하여 제동하는 동안 자체 또는 다른 승강기 부품의 최대강도(ultimate strength)의 30%를 초과하는 스트레스를 부과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되어 있으므로 1번이 정답입니다. 나머지 2번 보기의 경우 3.1.6(16) ① 3번 보기의 경우 3.1.6(16) ②의 가 4번 보기의 경우 3.1.6(16) ②의 나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참고] 2009.11.24 행정규칙 승강기검사기준 3.1.6 안전장치
3.1.6 (16) 승강기 제어시스템, 브레이크 및 상승방향으로 카 속도를 좌우하는 부품의 고장으로 승객이 상해를 입을 위험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는 상승방향 과속방지장치. 이 장치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며 이 장치가 승강기 설계구조상 완성검사시 현장확인이 불가한 경우 설계서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화물용 및 자동차용 엘리베이터는 제외한다.
① 이 장치는 최소한 카가 미리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그 이전에 제어불능운행을 하는 것을 감지하여야 하며, 카 또는 균형추가 완충기에 충돌하기 전에 카를 정지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최소한 카 속도를 완충기의 설계속도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② 이 장치는 정상 운행하는 동안 속도제어, 감속, 정지에 전용으로 사용하는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①에서 요구하는 성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브레이크를 설치한 경우에는 제외한다.
가.드럼 또는 디스크 상에 제동작용을 하는데 기여하는 브레이크의 모든 기계적 부품 (솔레노이드 플런저는 포함하고 솔레노이드 코일은 제외한다)들은 2세트로 설치되어야 한다.
나.정상운전에서 브레이크의 개방은 지속적인 전류의 공급에 의존하여야 하며, 이 전류의 차단은 적어도 2개의 독립된 전기적 장치에 의해 유효하여야 한다.
다.브레이크는 코일에 전류가 차단되면 지연 없이 구속되어야 한다. 다만, 브레이크 코일의 단말(단자)에 직접 접속된 다이오드 또는 커패시터는 지연의 수단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③ 이 장치는 제동하는 동안 카에 평균감속도 9.81㎨을 초과하여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
④ 이 장치는 카, 균형추, 현수 또는 균형로프시스템, 권상기 도르래(도르래에 직접적으로 또는 그 도르래의 바로 인접한 동일 축에) 중 한개 또는 그 이상에 작용하여 속도제어를 함으로써 위험한 운행 또는 제어불능운행을 방지하여야 한다.
⑤ 이 장치가 작동하여 제동하는 동안 자체 또는 다른 승강기 부품의 최대강도(ultimate strength)의 30%를 초과하는 스트레스를 부과하지 않아야 한다.
⑥ 정상 운전하는 경우, 카의 감속 또는 정지는 이 장치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이 장치라 함은 과속이나 문열림상태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부분을 말한다.
⑦ 이 장치가 작동하여 제동하는 동안, 이 장치 또는 다른 승강기 부품은 구동기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여야 한다.
⑧ 운전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정기점검, 보수가 필요한 모든 부품은 점검과 작업이 가능한 구조이어야 한다.
출처: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해설작성자 : 춘식이]
18.
카를 안천하게 정지시키는 제동기가 갖추어야 할 제동능력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승용승강기는 125% 부하, 화물용 승강기는 120% 부하로 전속하강 중의 카를 위험 없이 감속정지할 수 있는 능력
2.
승용승강기는 110% 부하, 화물용 승강기는 105% 부하로 전속하강 중의 카를 위험 없이 감속정지할 수 있는 능력
3.
슈(shoe)의 작용으로 마찰력과 스프링 으로 정지하므로 부하용량과 무관
4.
고속승강기는 전기적으로 정지시키므로 기계적 제동력은 필요 없음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당 답은 무효인 듯 합니다.
<브레이크는 125%의 적재하중을 식도 정격속도로 하강시, 안전하게 감속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화물용도 마찬가지입니다>
정격속도 0.63 m /s 이하 : 0.8 m/s 정격속도 0.63 m /s 초과 : 정격속도의 125% [해설작성자 : 수추]
19.
정전시의 예비조명장치인 비상등의 설명 중 바른 겻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비상등으로부터 1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1Lux 이상 이어야 한다.
2.
비상등으로부터 1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5Lux 이상 이어야 한다.
3.
비상등으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1Lux 이상 이어야 한다.
4.
비상등으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5Lu× 이상 어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비상등으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1Lux 이상 이어야 한다. 법 개정으로 2Lux 이상이 이제 답임 [해설작성자 : 밍고]
또다시 개정됨.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8.10.4 카에는 자동으로 재충전되는 비상전원공급장치에 의해 5 lx 이 상의 조도로 1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되는 비상등이 있어야 한다. 이 비상등은 다음과 같은 장소에 조명되어야 하고, 정상 조명전원이 차 단되면 즉시 자동으로 점등되어야 한다. 가) 카 내부 및 카 지붕에 있는 비상통화장치의 작동 버튼 나) 카 바닥 위 1 m 지점의 카 중심부 다) 카 지붕 바닥 위 1 m 지점의 카 지붕 중심부 [해설작성자 : 승강킹]
20.
엘리베이터 운행 중 카가 정지하거나 동력 차단되어 있을 때 카 안에서 카문을 억지로 열기 위해서는 몇 kgf의 힘이 필요한가?
1.
0.5 ~ 5
2.
5 ~ 30
3.
30 ~ 50
4.
50 ~ 80
정답 : [
2
] 정답률 : 63%
21.
정격속토가 45m/min인 간접식 유압엘리베이터의 꼭대기 틈새를 검사시 카를 최상층에 미속으로 상승시켜 플런저가 이탈방지장치로 정지할 경우 확보해야 할 최소 꼭대기 부분 틈새는 약 몇 ㎝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56.5
2.
62.9
3.
75.6
4.
82.1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60+45^2/70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꼭대기 틈새 문제는 개정 법 이전 문제로써 현재는 삭제됨 [해설작성자 : 올레]
관련 규정이 삭제되어 현재는 출제되지 않는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땅 잃은 기사]
22.
승강기검사기준에서 정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의 경우 문닫힘 안전 장치를 비접촉식으로 설치 할 경우 바닥면으로 부터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 물체를 감지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0.5m에서 1.0m 사이
2.
0.3m에서 1.2m 사이
3.
0.5m에서 1.5m 사이
4.
0.3m에서 1.4m 사이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이 장치(멀티빔 등)는 카문 문턱 위로 최소 25 mm와 1,600 mm 사이의 전 구간에 걸쳐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19.03.28 시행) [해설작성자 : 쟙쟙]
23.
승강기의 안전장치 중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 내부 승차인원이나 적재화물의 하중을 감지한다.
2.
엘리베이터가 최상 · 최하층을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3.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카에 설치한다.
4.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층마다 설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24.
승강기용 유도전동기의 역률 산출공식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0%
25.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브레이스 로드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 이상으로 설계해야 하는가?
1.
4
2.
6
3.
7.5
4.
10
정답 : [
3
] 정답률 : 62%
26.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부속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전밸브는 일반적으로 상용압력의 125%에 설정한다.
2.
펌프의 토출 압력이 떨어져서 실린더의 기름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스톱밸브어다.
3.
사이렌서는 작동유의 압력 맥동을 홉수하여 진동 및 초음을 감소시킨다.
4.
필터는 흡입측과 배관 도중에도 부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체크밸브 :펌프의 토출 압력이 떨어져서 실린더의 기름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스톱밸브 : 배관 도중에 설치되는 밸브이며 , 유입장치의 보수,점검,수리시 사용한다(게이트밸브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27.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는 일반적으로 권상도르래의 지름을 주로프 지름의 40배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1.
도르래와 로프의 미러짐 방지
2.
로프의 수명 연장
3.
도르래의 수명 연장
4.
로프의 이탈 방지
정답 : [
2
] 정답률 : 59%
28.
초고층 빌딩의 엘리베이터 배열에 있어서 서비스 층의 분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물내 인구분포의 큰 변동이 있을 때에는 간단하게 분할점을 바꿀 수가 없다.
2.
서비스층은 저층행과 고층행 또는 저층, 중층, 고층에 2 ∼ 4분할하는 것이 좋다.
3.
일주시간이 길어지고 수송 능력이 증대한다.
4.
급행구간이 만들어져 고속 성능을 살릴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일주시간이 짧아지고 이로 인하여 수송능력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ㅁㄱ]
29.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기계대의 안전율의 최소값으로 적당한 것은?
1.
강재의 것 : 3, 콘크리트의 것 : 5
2.
강재의 것 : 3, 콘크리트의 것 : 6
3.
강재의 것 : 4, 콘크리트의 것 : 7
4.
강재의 것 : 4, 콘크리트의 것 : 8
정답 : [
3
] 정답률 : 73%
30.
제어반의 기기 중 전동기 증 사용 기기의 잔락으로 인한 과전류를 감지하여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고 전원측의 배선 및 변압기 등의 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는?
1.
배선용차단기
2.
전자접촉기
3.
제어용 계전기
4.
리미트스위치
정답 : [
1
] 정답률 : 75%
31.
지진대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주로프가 도르래에서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2.
엘리베이터의 균형추가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3.
승강로내에는 지진시에 로프, 전선 등의 기능에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돌출물을 설치하여서는 안된다.
4.
엘레베이터의 전동기 제어반 및 권상기는 카마다 설치하고, 또한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전도 또는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32.
구름베어링이 미끄럼 베어링에 비해 불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가격이 싸다.
2.
충격에 약하다.
3.
설치가 어렵다.
4.
과열될 위험이 적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승갓킹]
[추가 오류 신고]
- 구름베어링은 ? 가격이 비싸다 , 수명이 짧다 , 고속회전이 가능하며 발열이 없다 , 마모가 적고 높은 정밀도를 유지한다 충격이 약하다 , 베어링의 길이가 짧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 윤할유가 적고 급유가 쉽다
1번 맞습니다 .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오류신고 반론] 답은 4번 맞아요. 불리한 점이 아닌것을 찾아라. 즉, "장점을 찾아라" 이니까 1. 가격이 싸다는 애초에 보기 오류 입니다.(구름베어링은 가격이 비싼데 가격이 싸다라고 하면 거짓말 이니까요.) 4. 과열될 위험이 적다. = 장점! [해설작성자 : ㅇㅁㅇ]
33.
도어 인터록(Door inter Ioc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어머신의 일종으로 도어안전장치이다.
2.
승강장도어(Hall door)의 안전 장치이다.
3.
전용 키로만 도어를 열어야 한다.
4.
도어록과 도어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도어 인터록은 승강장문 잠금장치이다
34.
유압엘리베이터의 유압은 일반적으로 몇 kg/cm2 정도로 설계하는가?
1.
2~5
2.
8~15
3.
10~60
4.
60~120
정답 : [
3
] 정답률 : 61%
35.
승강기 1대당 가속전류 50A, 전선길이 150m, 전선 단면적 45mm2, 부등률 0.8인 승강기의 가속 전류에 대한 배전선의 전압강하는 약 몇 V 인가? (단, 승강기는 2대 설치되어 있고 전압강하계수는 0.99 이다.)
1.
9
2.
11
3.
13
4.
15
정답 : [
1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e = 34.2INYLk/1000S
I = 엘리베이터당 가속전류 L = 전선길이 Y = 부등율 L = 전선길이(m) k = 전압강하계수 S= 전선의 단면적(mm^2)
동일 조건 즉, 용량, 속도, 정지회수가 같다면 평형 부하에서의 교류궤환식 이 가변 전 압식 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 한다.
4.
가변전압식은 교류궤환식보다 가속, 감속에 필요한 전력이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41.
금속 또는 합금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내부의 결정격자가 바뀌는 변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자기 변태
2.
편석 변태
3.
소성 변태
4.
동소 변태
정답 : [
4
] 정답률 : 54%
42.
한 쌍의 키어가 물릴 때 서로 접하는 부분의 궤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모듈
2.
피치원
3.
원주 피치
4.
지름 피치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모듈- 기어의 톱니 크기를 나타낸 값. 밀리미터로 나타낸 피치원의 지름을 톱니 수로 나누어 구한다. 피치원- 원주위에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것. 예를 들면, 볼트, 리벳 구멍 등의 각 중심을 지나는 원을 피치원이라고 한다. 원주 피치- 피치원의 원주를 톱니 수로 나눈 것을 말한다. 즉, 기어의 이의 크기로, 피치원 위에서 서로 인접하고 있는 기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지름 피치- 인치 방식의 기어 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43.
인장코일 스프링에서 500N의 하중이 작용할 때, 늘어난 길이가 80mm일 경우 유효권수는? (단, 소선의 지름은 8mm, 코일 스프링의 평균지름은 64mm, 전단탄성계수는 8×104N/mm2이다.)
1.
6.5
2.
12.5
3.
25
4.
50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3번 해당하는 답은 없는 듯 합니다. 정답이 3번의 조건 유효권수 25을 만들려면 정확히 처림량은 19.53mm 나와야 됩니다. 여기서는 처짐량이 80mm네요.
<문제 해설> 국어사전에 명사로 써,청동의 하나. 성분은 구리 90%, 주석 10% 정도이며, 예전에는 포신을 만드는 데 많이 썼으나 지금은 기계나 배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해설작성자 : 엄청 부끄러워]
45.
용접부의 검사를 파괴시험과 비파괴시험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비파괴시험법이 아닌 것은?
1.
인장시험
2.
액체침투시험
3.
누설시험
4.
자분탐상시험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파괴시험 : 모재, 용착금속 또는 이음을 절단, 굽힘, 인장 또는 기타의 변형을 주어 파괴하여서 시험하는 검사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파괴시험과 비파괴시험의 차이점을 알면 된다. 파괴시험은 물체에 힘을주어 한계를 측정하는 실험이고 비파괴시험은 물체에 힘을 주지 않고 물체의 한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1번의 인장시험 외에는 전부 힘을 주지않고 시험하는 비파괴 시험이므로 정답은 1번. [해설작성자 : 승강기D-5]
46.
열처리에서 질화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도는 침탄경화보다 크다.
2.
가열 온도는 침탄법보다 낮다.
3.
경화층이 얇으므로 산화에 약하다.
4.
담금질을 하지 않으므로 변형이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47.
회전축은 분당 1000회 전으로 100 kW 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굽힘모멘트 200N·m를 받을 때 상당비틀림모멘트는 몇 N∙m 인가?
1.
925.9
2.
955.4
3.
975.7
4.
995.1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상당비틀림모멘트(te)=루트(M^2+T^2) 2. M은 200으로 나와 있으나 T를 구해야함. 3. H=2파이NT/60에서 (H=100kW, N=1000rpm 대입하여 T구함) 4. 구한 T를 1번식에 대입 [해설작성자 : 니슈우]
저는 T= 60P/2pi*N 으로 계산하여 풀었습니다. 그러면 T는 954.93(반올림함)으로 나오고 상당비틀림모멘트(Te)=루트(m^2+t^2)로 계산하시면, 975.65정도가 나왔습니다. [해설작성자 : 승강기D-5]
그림과 같이 타원 단면을 갖는 봉이 하중 200N의 인장하중을 받을 때, 이 봉에 작용한 인장응력은 몇 N/cm2인가?
1.
1.27
2.
12.7
3.
127
4.
1270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4*200/20*10*3.14 [해설작성자 : lsmin0305]
50.
피치 3mm인 2줄 나사에서 2바퀴 회전시키면 리드는 몇 mm인가?
1.
2
2.
3
3.
6
4.
12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리드 = 피치 x 줄수 x 회전수 [해설작성자 : 화이팅]
51.
왕복운동기관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축은?
1.
직선 축
2.
크랭크 축
3.
중간 축
4.
플랙시블 축
정답 : [
2
] 정답률 : 70%
52.
금속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주형 (mould)에 주입해 냉각 응고시켜 목적하는 제품을 만드는 것을 부엇이라 하는가?
1.
주조
2.
압연
3.
제관
4.
단조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제관작업 : 보일러를 만드는 작업, 그 밖에 각종 탱크나 크레인, 교량, 건축 철골(戴骨), 차량, 선박 등을 만들 때 후강판(厚鋼板) 형강(形鋼), 철골 등을 가공하는 작업도 넓은 의미의 제관 작업으로 간주한다. - 압연 : 금속의 소성을 이용해서 고온 또는 상온의 금속재료를,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로 통과시켜서 여러 형태의 재료로 가공하는 방법 - 단조: 금속 재료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압력을 가하여 어떤 형체를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53.
유향이 0.5m3/s 일 때 유속을 약 2m/s 로 흐르도록 하려면 원형관 단면의 지름을 몇 mm로 하여야 하는가?
<문제 해설> -전위차계 : 일반적으로 전압을 나누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가변저항을 뜻한다. 또는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만든 전압계를 뜻하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검류계는 매우 약한 전류가 흐르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측정하는 계기 회로시험계는 쉽게 테스터라고 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면 다 알듯.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진동을 의미함. 전위차계(전압계):미소한 전류나 전압의 유무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계기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해서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제어계는?
1.
프로그램 제어
2.
정치 제어
3.
공정 제어
4.
추종 제어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프로그램 제어(시퀀스제어): 열차, 산업로봇의 무인운전 , 엘리베이터 , 커피자판기 - 정치 제어 :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경우의 제어 - 주치 제어 :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한다 .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하도록 하는 제어 - 추종 제어 추가사항 : 목표 값이 임의의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제어량을 그것에 추종시키기 위한 제어. 예를 들면, 항공기에 레이더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추종시키는 제어이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78.
와류 브레이크(eddy current break)의 특징이나 특성에 재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기적 제동으로 마모부분이 심하다.
2.
정지시에는 제동토크가 걸리지 않는다.
3.
제동토크는 코일의 여자전류에 반비례한다.
4.
제동시에는 회전에너지가 냉각작용을 일으키므로 별도의 냉각방식이 필요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와류브레이크 여자 전류(勵磁電流)로 브레이크 토크를 임의로 바꿀 수 있다. 기계적인 접촉 부분이 없기 때문에 마모가 생기지 않고 브레이크력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기가 용이하다는 것을 장점으로 들 수 있고, 단점으로서는 회전 질량(回轉質量)이 커서 관성(慣性)이 크고, 열의 발산에 유의하여야 하며, 상대 속도가 0이면 제동력이 생기지 않는 것 등이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79.
3상 동기발전기를 병렬운전하는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기전력 파형의 일치 여부
2.
상회전방향의 동일 여부
3.
회전수의 동일 여부
4.
기전력 주파수의 동일 여부
정답 : [
3
] 정답률 : 47%
80.
입력전압을 변화시켜서 전동기의 회전수를 900 rpm으로 조정하였을 때 회전수는 제어의 구성요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령개정으로 없어짐 [해설작성자 : 슬로우다운]
9.
카 내부나 카 위에서 동력을 끌 수 있는 장치는?
1.
토글 스위차
2.
리밋 스위치
3.
정지 스위치
4.
인타록 스위치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동력 끄다 = 정지
10.
각각의 ( )에 들어갈 수치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① 40, ② 1/4, ③ 36
2.
① 30, ② 1/4, ③ 25
3.
① 40, ② 1/5, ③ 36
4.
① 30, ② 1/5, ③ 25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령개정으로 없어짐 무조건 40배 [해설작성자 : 슬로우다운]
11.
승강기용 전동기에 대한 출력 계산식의 ( )안에 알맞은 것은?
1.
정격전압
2.
회전속도
3.
정격하중
4.
카의 자중
정답 : [
3
] 정답률 : 70%
12.
교류 엘리베0l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동기는?
1.
농형유도전동기
2.
교류 정류전동기
3.
분권전동기
4.
직권전동기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농형 유도전동기 농형 회전자를 가진 유도전동기. 권선형 유도전동기에 비해서 기동 특성은 떨어지지만 운전특성이 좋으며, 많이사용된다. 조작이 간단하고 가격이 싸다.
교류 정류전동기 교류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직류전동기와 거의 같은 정류자를 부착한 회전자를 가진 교류전동기. 정류자의 주파수 변환 작용에 의해 동기속도(同期速度)를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것은 동기전동기 ·유도전동기 등 다른 전동기와 특성상의 큰 차이점이다.
분권전동기 교류기 ·직류기를 불문하고 분권전동기라고 하지만, 단순히 분권전동기라고 하면 직류 분권전동기를 말한다. 여자전류(勵磁電流)가 일정하고 따라서 자속(磁束)이 일정하므로 부하에 불구하고 회전속도는 거의 일정하다.
직권 전동기 전기자(電機子)와 계자 권선이 직렬로 접속된 정류자 전동기를 말한다. 시동 토크가 크고 부하에 의한 속도 변동이 크며, 경부하 또는 무부하에서 위험하게 고속이 되는 경우가 있다. 직권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 그라인더의 전원은 단상 100V나 200V이며, 회전수는 전원 전압에 거의 정비례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직권 전동기 [直捲電動機, series motor] (자동차 용어사전, 2012. 5. 25., 자동차용어사전편찬회)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13.
이동케이블과 로프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하여 설 치하는 것은?
1.
균형추
2.
균형체인
3.
제어 케이믈
4.
균형 클로져
정답 : [
2
] 정답률 : 76%
14.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속기가 작동한 후에 작동해야 한다.
2.
상승방향으로만 작동해야 한다.
3.
정격속도의 1 .4배 이하에서 작동해야 한다.
4.
조속기 로프를 기계적으로 잡아서 작동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15.
교류이단 속도제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단 속도 전동기의 속도비는?
1.
8: 1
2.
6: 1
3.
4: 1
4.
2: 1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교류2단 속도제어 하면 무조건 4:1 이 문제 많이나옴 [해설작성자 : ㅁㄱ]
16.
권동식 귄상기에 비하여 트랙션 권상기의 잠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기계실와 소요 면적이 작다.
2.
소요 동력이 작다.
3.
승강 행정에 제한이 없다.
4.
권과(지나치게 감기는 현상)를 일으키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17.
상승방향 과속방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 장치가 작동하여 제동하눋 동안 자체 또는 다른 승강기 부품의 최대강로의 60 %를 초과하는 스트레스를 부과하지 않아야 한다.
2.
이 장치는 최소한 카가 미리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였을때 또는 그 이전에 제어불능운행을 하는 것을 감지하여야한다.
3.
드럼 또는 디스크 상에 제동작용을 하는데 기여하는 브레이크의 모든 기계적 부품들은 2세트로 설치되어야 한다.
4.
정상운전에서 브레이크의 개방은 지속적 인 전류의 공급에 의존하여야 하며, 이 전류의 차단은 적어도 2개 의 독립된 전기적 장치에의해 유효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번 보기의 경우 최대강도 60%를 초과라고 되어있으나 법 개정전 2009.11.24 승강기검사기준 행정규칙 3.1.6(16) ⑤에는 이 장치가 작동하여 제동하는 동안 자체 또는 다른 승강기 부품의 최대강도(ultimate strength)의 30%를 초과하는 스트레스를 부과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되어 있으므로 1번이 정답입니다. 나머지 2번 보기의 경우 3.1.6(16) ① 3번 보기의 경우 3.1.6(16) ②의 가 4번 보기의 경우 3.1.6(16) ②의 나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참고] 2009.11.24 행정규칙 승강기검사기준 3.1.6 안전장치
3.1.6 (16) 승강기 제어시스템, 브레이크 및 상승방향으로 카 속도를 좌우하는 부품의 고장으로 승객이 상해를 입을 위험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는 상승방향 과속방지장치. 이 장치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며 이 장치가 승강기 설계구조상 완성검사시 현장확인이 불가한 경우 설계서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화물용 및 자동차용 엘리베이터는 제외한다.
① 이 장치는 최소한 카가 미리 설정한 속도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그 이전에 제어불능운행을 하는 것을 감지하여야 하며, 카 또는 균형추가 완충기에 충돌하기 전에 카를 정지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최소한 카 속도를 완충기의 설계속도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② 이 장치는 정상 운행하는 동안 속도제어, 감속, 정지에 전용으로 사용하는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①에서 요구하는 성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브레이크를 설치한 경우에는 제외한다.
가.드럼 또는 디스크 상에 제동작용을 하는데 기여하는 브레이크의 모든 기계적 부품 (솔레노이드 플런저는 포함하고 솔레노이드 코일은 제외한다)들은 2세트로 설치되어야 한다.
나.정상운전에서 브레이크의 개방은 지속적인 전류의 공급에 의존하여야 하며, 이 전류의 차단은 적어도 2개의 독립된 전기적 장치에 의해 유효하여야 한다.
다.브레이크는 코일에 전류가 차단되면 지연 없이 구속되어야 한다. 다만, 브레이크 코일의 단말(단자)에 직접 접속된 다이오드 또는 커패시터는 지연의 수단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③ 이 장치는 제동하는 동안 카에 평균감속도 9.81㎨을 초과하여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
④ 이 장치는 카, 균형추, 현수 또는 균형로프시스템, 권상기 도르래(도르래에 직접적으로 또는 그 도르래의 바로 인접한 동일 축에) 중 한개 또는 그 이상에 작용하여 속도제어를 함으로써 위험한 운행 또는 제어불능운행을 방지하여야 한다.
⑤ 이 장치가 작동하여 제동하는 동안 자체 또는 다른 승강기 부품의 최대강도(ultimate strength)의 30%를 초과하는 스트레스를 부과하지 않아야 한다.
⑥ 정상 운전하는 경우, 카의 감속 또는 정지는 이 장치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이 장치라 함은 과속이나 문열림상태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부분을 말한다.
⑦ 이 장치가 작동하여 제동하는 동안, 이 장치 또는 다른 승강기 부품은 구동기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여야 한다.
⑧ 운전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정기점검, 보수가 필요한 모든 부품은 점검과 작업이 가능한 구조이어야 한다.
출처: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해설작성자 : 춘식이]
18.
카를 안천하게 정지시키는 제동기가 갖추어야 할 제동능력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승용승강기는 125% 부하, 화물용 승강기는 120% 부하로 전속하강 중의 카를 위험 없이 감속정지할 수 있는 능력
2.
승용승강기는 110% 부하, 화물용 승강기는 105% 부하로 전속하강 중의 카를 위험 없이 감속정지할 수 있는 능력
3.
슈(shoe)의 작용으로 마찰력과 스프링 으로 정지하므로 부하용량과 무관
4.
고속승강기는 전기적으로 정지시키므로 기계적 제동력은 필요 없음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당 답은 무효인 듯 합니다.
<브레이크는 125%의 적재하중을 식도 정격속도로 하강시, 안전하게 감속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화물용도 마찬가지입니다>
정격속도 0.63 m /s 이하 : 0.8 m/s 정격속도 0.63 m /s 초과 : 정격속도의 125% [해설작성자 : 수추]
19.
정전시의 예비조명장치인 비상등의 설명 중 바른 겻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비상등으로부터 1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1Lux 이상 이어야 한다.
2.
비상등으로부터 1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5Lux 이상 이어야 한다.
3.
비상등으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1Lux 이상 이어야 한다.
4.
비상등으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5Lu× 이상 어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비상등으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의 조도는 1Lux 이상 이어야 한다. 법 개정으로 2Lux 이상이 이제 답임 [해설작성자 : 밍고]
또다시 개정됨.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8.10.4 카에는 자동으로 재충전되는 비상전원공급장치에 의해 5 lx 이 상의 조도로 1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되는 비상등이 있어야 한다. 이 비상등은 다음과 같은 장소에 조명되어야 하고, 정상 조명전원이 차 단되면 즉시 자동으로 점등되어야 한다. 가) 카 내부 및 카 지붕에 있는 비상통화장치의 작동 버튼 나) 카 바닥 위 1 m 지점의 카 중심부 다) 카 지붕 바닥 위 1 m 지점의 카 지붕 중심부 [해설작성자 : 승강킹]
20.
엘리베이터 운행 중 카가 정지하거나 동력 차단되어 있을 때 카 안에서 카문을 억지로 열기 위해서는 몇 kgf의 힘이 필요한가?
1.
0.5 ~ 5
2.
5 ~ 30
3.
30 ~ 50
4.
50 ~ 80
정답 : [
2
] 정답률 : 63%
21.
정격속토가 45m/min인 간접식 유압엘리베이터의 꼭대기 틈새를 검사시 카를 최상층에 미속으로 상승시켜 플런저가 이탈방지장치로 정지할 경우 확보해야 할 최소 꼭대기 부분 틈새는 약 몇 ㎝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56.5
2.
62.9
3.
75.6
4.
82.1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60+45^2/70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꼭대기 틈새 문제는 개정 법 이전 문제로써 현재는 삭제됨 [해설작성자 : 올레]
관련 규정이 삭제되어 현재는 출제되지 않는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땅 잃은 기사]
22.
승강기검사기준에서 정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의 경우 문닫힘 안전 장치를 비접촉식으로 설치 할 경우 바닥면으로 부터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 물체를 감지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0.5m에서 1.0m 사이
2.
0.3m에서 1.2m 사이
3.
0.5m에서 1.5m 사이
4.
0.3m에서 1.4m 사이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이 장치(멀티빔 등)는 카문 문턱 위로 최소 25 mm와 1,600 mm 사이의 전 구간에 걸쳐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19.03.28 시행) [해설작성자 : 쟙쟙]
23.
승강기의 안전장치 중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 내부 승차인원이나 적재화물의 하중을 감지한다.
2.
엘리베이터가 최상 · 최하층을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3.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카에 설치한다.
4.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층마다 설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24.
승강기용 유도전동기의 역률 산출공식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0%
25.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브레이스 로드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 이상으로 설계해야 하는가?
1.
4
2.
6
3.
7.5
4.
10
정답 : [
3
] 정답률 : 62%
26.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부속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전밸브는 일반적으로 상용압력의 125%에 설정한다.
2.
펌프의 토출 압력이 떨어져서 실린더의 기름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스톱밸브어다.
3.
사이렌서는 작동유의 압력 맥동을 홉수하여 진동 및 초음을 감소시킨다.
4.
필터는 흡입측과 배관 도중에도 부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체크밸브 :펌프의 토출 압력이 떨어져서 실린더의 기름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스톱밸브 : 배관 도중에 설치되는 밸브이며 , 유입장치의 보수,점검,수리시 사용한다(게이트밸브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27.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는 일반적으로 권상도르래의 지름을 주로프 지름의 40배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1.
도르래와 로프의 미러짐 방지
2.
로프의 수명 연장
3.
도르래의 수명 연장
4.
로프의 이탈 방지
정답 : [
2
] 정답률 : 59%
28.
초고층 빌딩의 엘리베이터 배열에 있어서 서비스 층의 분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물내 인구분포의 큰 변동이 있을 때에는 간단하게 분할점을 바꿀 수가 없다.
2.
서비스층은 저층행과 고층행 또는 저층, 중층, 고층에 2 ∼ 4분할하는 것이 좋다.
3.
일주시간이 길어지고 수송 능력이 증대한다.
4.
급행구간이 만들어져 고속 성능을 살릴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일주시간이 짧아지고 이로 인하여 수송능력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ㅁㄱ]
29.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기계대의 안전율의 최소값으로 적당한 것은?
1.
강재의 것 : 3, 콘크리트의 것 : 5
2.
강재의 것 : 3, 콘크리트의 것 : 6
3.
강재의 것 : 4, 콘크리트의 것 : 7
4.
강재의 것 : 4, 콘크리트의 것 : 8
정답 : [
3
] 정답률 : 73%
30.
제어반의 기기 중 전동기 증 사용 기기의 잔락으로 인한 과전류를 감지하여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고 전원측의 배선 및 변압기 등의 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는?
1.
배선용차단기
2.
전자접촉기
3.
제어용 계전기
4.
리미트스위치
정답 : [
1
] 정답률 : 75%
31.
지진대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주로프가 도르래에서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2.
엘리베이터의 균형추가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3.
승강로내에는 지진시에 로프, 전선 등의 기능에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돌출물을 설치하여서는 안된다.
4.
엘레베이터의 전동기 제어반 및 권상기는 카마다 설치하고, 또한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전도 또는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32.
구름베어링이 미끄럼 베어링에 비해 불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가격이 싸다.
2.
충격에 약하다.
3.
설치가 어렵다.
4.
과열될 위험이 적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승갓킹]
[추가 오류 신고]
- 구름베어링은 ? 가격이 비싸다 , 수명이 짧다 , 고속회전이 가능하며 발열이 없다 , 마모가 적고 높은 정밀도를 유지한다 충격이 약하다 , 베어링의 길이가 짧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 윤할유가 적고 급유가 쉽다
1번 맞습니다 .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오류신고 반론] 답은 4번 맞아요. 불리한 점이 아닌것을 찾아라. 즉, "장점을 찾아라" 이니까 1. 가격이 싸다는 애초에 보기 오류 입니다.(구름베어링은 가격이 비싼데 가격이 싸다라고 하면 거짓말 이니까요.) 4. 과열될 위험이 적다. = 장점! [해설작성자 : ㅇㅁㅇ]
33.
도어 인터록(Door inter Ioc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어머신의 일종으로 도어안전장치이다.
2.
승강장도어(Hall door)의 안전 장치이다.
3.
전용 키로만 도어를 열어야 한다.
4.
도어록과 도어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도어 인터록은 승강장문 잠금장치이다
34.
유압엘리베이터의 유압은 일반적으로 몇 kg/cm2 정도로 설계하는가?
1.
2~5
2.
8~15
3.
10~60
4.
60~120
정답 : [
3
] 정답률 : 61%
35.
승강기 1대당 가속전류 50A, 전선길이 150m, 전선 단면적 45mm2, 부등률 0.8인 승강기의 가속 전류에 대한 배전선의 전압강하는 약 몇 V 인가? (단, 승강기는 2대 설치되어 있고 전압강하계수는 0.99 이다.)
1.
9
2.
11
3.
13
4.
15
정답 : [
1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e = 34.2INYLk/1000S
I = 엘리베이터당 가속전류 L = 전선길이 Y = 부등율 L = 전선길이(m) k = 전압강하계수 S= 전선의 단면적(mm^2)
동일 조건 즉, 용량, 속도, 정지회수가 같다면 평형 부하에서의 교류궤환식 이 가변 전 압식 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 한다.
4.
가변전압식은 교류궤환식보다 가속, 감속에 필요한 전력이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41.
금속 또는 합금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내부의 결정격자가 바뀌는 변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자기 변태
2.
편석 변태
3.
소성 변태
4.
동소 변태
정답 : [
4
] 정답률 : 54%
42.
한 쌍의 키어가 물릴 때 서로 접하는 부분의 궤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모듈
2.
피치원
3.
원주 피치
4.
지름 피치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모듈- 기어의 톱니 크기를 나타낸 값. 밀리미터로 나타낸 피치원의 지름을 톱니 수로 나누어 구한다. 피치원- 원주위에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것. 예를 들면, 볼트, 리벳 구멍 등의 각 중심을 지나는 원을 피치원이라고 한다. 원주 피치- 피치원의 원주를 톱니 수로 나눈 것을 말한다. 즉, 기어의 이의 크기로, 피치원 위에서 서로 인접하고 있는 기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지름 피치- 인치 방식의 기어 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43.
인장코일 스프링에서 500N의 하중이 작용할 때, 늘어난 길이가 80mm일 경우 유효권수는? (단, 소선의 지름은 8mm, 코일 스프링의 평균지름은 64mm, 전단탄성계수는 8×104N/mm2이다.)
1.
6.5
2.
12.5
3.
25
4.
50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3번 해당하는 답은 없는 듯 합니다. 정답이 3번의 조건 유효권수 25을 만들려면 정확히 처림량은 19.53mm 나와야 됩니다. 여기서는 처짐량이 80mm네요.
<문제 해설> 국어사전에 명사로 써,청동의 하나. 성분은 구리 90%, 주석 10% 정도이며, 예전에는 포신을 만드는 데 많이 썼으나 지금은 기계나 배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해설작성자 : 엄청 부끄러워]
45.
용접부의 검사를 파괴시험과 비파괴시험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비파괴시험법이 아닌 것은?
1.
인장시험
2.
액체침투시험
3.
누설시험
4.
자분탐상시험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파괴시험 : 모재, 용착금속 또는 이음을 절단, 굽힘, 인장 또는 기타의 변형을 주어 파괴하여서 시험하는 검사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파괴시험과 비파괴시험의 차이점을 알면 된다. 파괴시험은 물체에 힘을주어 한계를 측정하는 실험이고 비파괴시험은 물체에 힘을 주지 않고 물체의 한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1번의 인장시험 외에는 전부 힘을 주지않고 시험하는 비파괴 시험이므로 정답은 1번. [해설작성자 : 승강기D-5]
46.
열처리에서 질화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도는 침탄경화보다 크다.
2.
가열 온도는 침탄법보다 낮다.
3.
경화층이 얇으므로 산화에 약하다.
4.
담금질을 하지 않으므로 변형이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47.
회전축은 분당 1000회 전으로 100 kW 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굽힘모멘트 200N·m를 받을 때 상당비틀림모멘트는 몇 N∙m 인가?
1.
925.9
2.
955.4
3.
975.7
4.
995.1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상당비틀림모멘트(te)=루트(M^2+T^2) 2. M은 200으로 나와 있으나 T를 구해야함. 3. H=2파이NT/60에서 (H=100kW, N=1000rpm 대입하여 T구함) 4. 구한 T를 1번식에 대입 [해설작성자 : 니슈우]
저는 T= 60P/2pi*N 으로 계산하여 풀었습니다. 그러면 T는 954.93(반올림함)으로 나오고 상당비틀림모멘트(Te)=루트(m^2+t^2)로 계산하시면, 975.65정도가 나왔습니다. [해설작성자 : 승강기D-5]
그림과 같이 타원 단면을 갖는 봉이 하중 200N의 인장하중을 받을 때, 이 봉에 작용한 인장응력은 몇 N/cm2인가?
1.
1.27
2.
12.7
3.
127
4.
1270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4*200/20*10*3.14 [해설작성자 : lsmin0305]
50.
피치 3mm인 2줄 나사에서 2바퀴 회전시키면 리드는 몇 mm인가?
1.
2
2.
3
3.
6
4.
12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리드 = 피치 x 줄수 x 회전수 [해설작성자 : 화이팅]
51.
왕복운동기관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축은?
1.
직선 축
2.
크랭크 축
3.
중간 축
4.
플랙시블 축
정답 : [
2
] 정답률 : 70%
52.
금속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주형 (mould)에 주입해 냉각 응고시켜 목적하는 제품을 만드는 것을 부엇이라 하는가?
1.
주조
2.
압연
3.
제관
4.
단조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제관작업 : 보일러를 만드는 작업, 그 밖에 각종 탱크나 크레인, 교량, 건축 철골(戴骨), 차량, 선박 등을 만들 때 후강판(厚鋼板) 형강(形鋼), 철골 등을 가공하는 작업도 넓은 의미의 제관 작업으로 간주한다. - 압연 : 금속의 소성을 이용해서 고온 또는 상온의 금속재료를,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로 통과시켜서 여러 형태의 재료로 가공하는 방법 - 단조: 금속 재료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압력을 가하여 어떤 형체를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53.
유향이 0.5m3/s 일 때 유속을 약 2m/s 로 흐르도록 하려면 원형관 단면의 지름을 몇 mm로 하여야 하는가?
<문제 해설> -전위차계 : 일반적으로 전압을 나누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가변저항을 뜻한다. 또는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만든 전압계를 뜻하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검류계는 매우 약한 전류가 흐르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측정하는 계기 회로시험계는 쉽게 테스터라고 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면 다 알듯.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진동을 의미함. 전위차계(전압계):미소한 전류나 전압의 유무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계기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해서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제어계는?
1.
프로그램 제어
2.
정치 제어
3.
공정 제어
4.
추종 제어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프로그램 제어(시퀀스제어): 열차, 산업로봇의 무인운전 , 엘리베이터 , 커피자판기 - 정치 제어 :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경우의 제어 - 주치 제어 :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한다 .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하도록 하는 제어 - 추종 제어 추가사항 : 목표 값이 임의의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제어량을 그것에 추종시키기 위한 제어. 예를 들면, 항공기에 레이더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추종시키는 제어이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78.
와류 브레이크(eddy current break)의 특징이나 특성에 재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기적 제동으로 마모부분이 심하다.
2.
정지시에는 제동토크가 걸리지 않는다.
3.
제동토크는 코일의 여자전류에 반비례한다.
4.
제동시에는 회전에너지가 냉각작용을 일으키므로 별도의 냉각방식이 필요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와류브레이크 여자 전류(勵磁電流)로 브레이크 토크를 임의로 바꿀 수 있다. 기계적인 접촉 부분이 없기 때문에 마모가 생기지 않고 브레이크력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기가 용이하다는 것을 장점으로 들 수 있고, 단점으로서는 회전 질량(回轉質量)이 커서 관성(慣性)이 크고, 열의 발산에 유의하여야 하며, 상대 속도가 0이면 제동력이 생기지 않는 것 등이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79.
3상 동기발전기를 병렬운전하는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기전력 파형의 일치 여부
2.
상회전방향의 동일 여부
3.
회전수의 동일 여부
4.
기전력 주파수의 동일 여부
정답 : [
3
] 정답률 : 47%
80.
입력전압을 변화시켜서 전동기의 회전수를 900 rpm으로 조정하였을 때 회전수는 제어의 구성요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