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단 가공(Shearing):전단 가공은 시어링 머신이나 금형을 사용하여 재료의 파단강도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잘라내는 작업. 분류로는 커팅(절단), 블랭킹, 피어싱(구멍뚫기), 딩킹(충격절단), 파팅(분단), 트리밍(테두리절단), 슬리팅, 세이빙(마무리펀칭), 노칭(귀떼기) 2. 굽힘가공(Bending):보통 굽힙 가공은 가공재료를 굽힐 때에 굽힘각을 표시하는 단순한 직선일 경우가 많고 중립면의 한쪽은 인장, 반대쪽은 압축력이 작용하는 가공. V-벤딩(펀치, 다이 사용), 플랜지, 에지벤딩, 컬링, 버어링(구멍플랜징), 시이밍(여러겹 결합) 가공법 등 3. 드로잉가공(Drawing):평판의 재료에 이음매가 없는 중공용기를 주름살이나 균열이 생기지 않게 다이안에 펀치를 눌러 넣어서 성형시키는 작업. 교축가공. 재드로잉(두번 이상의 깊은 드로잉), 역 드로잉(뒤집기), 딥드로잉, 아이오닝, 리스트라이킹 가공법 등 4. 성형 가공(Forming):넓은 의미의 성형가공은 드로잉, 굽힘가공도 포함하며 재료의 판두께를 고의로 축소시키지 않고 형상을 적당히 변하게 하는 가공법. 엠보싱(부풀어오름), 비딩, 벌징, 네킹, 익스팬딩가공법 등 5. 압축 가공(Forming by compression):가공재료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가공법으로 압인가공, 압입가공, 업세팅가공, 스웨이징가공 등 냉간가공이므로 냉간단조 또는 냉간성형이라함 [해설작성자 : 팔봉K]
43.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높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동력 손실의 증대
2.
내부 마찰의 증대와 온도 상승
3.
펌프 효율 저하에 따른 온도 상승
4.
장치의 파이프 저항에 의한 압력 증대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펌프 효율이 저하되는 건 맞는데 그 것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는건 아님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44.
게이지 블록이나 마이크로미터 측정면의 평면도를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측정기는?
1.
공구 현미경
2.
옵티컬 플랫
3.
사인바
4.
정반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사인바(sine bar): 삼각함수 sine을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임의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 옵티컬플랫(optical flat): 표면의 평면도를 측정하는 기구. 유리판이나 수정 판의 한 면을 정확하게 연마하여 평면의 기준으로 삼아 각종 게이지의 측정면 검사에 사용 [해설작성자 : 팔봉K]
45.
다음 중 순도가 가장 높으나 취약하여 가공이 곤란한 동의 종류는?
1.
전기동
2.
정련동
3.
탈산동
4.
무산소동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기동전자용어사전 전선이나 인쇄 배선 등에 사용하는 구리는 되도록 도전율을 좋게 하기 위해 불순물이 적은 것이 요구되므로 전기 분해에 의해서 정련한 구리를 사용한다. 이것이 전기동이며 순도는 99.8% 이상이다.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46.
단순보의 정중앙에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이 보의 최대 처짐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지점 사이의 거리의 3제곱에 반비례한다.
2.
단면 2차 모멘트에 반비례한다.
3.
세로탄성계수에 반비례한다.
4.
집중하중 크기에 비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단순보의 정중앙에 집중하중이 작용했을때, 최대 처짐량은 보 거리의 3제곱에 비례한다 보의 최대 처짐량 = PL^3/48EI P : 집중하중 L : 보의 전체길이 E : 세로탄성계수 I : 단면 2차모멘트 [해설작성자 : 밍고]
47.
리벳 구멍이 압축하중(P)에 의해 파괴될 때 압축응력 계산식은? (단, σc는 압축응력, t는 판두께, d는 리벳지름)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0%
48.
주물에서 중공부분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목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현형
2.
회전형
3.
코어형
4.
부분형
정답 : [
3
] 정답률 : 75%
49.
원형 단면봉에 비틀림 모멘트(T)가 작용할 때 생기는 비틀림각(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F=kx 만 생각해봐도 k랑 x는 반비례관계입니다.. x가 곧 변위(변형량)이고요.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56.
구름베어링과 비교할 때, 미끄럼베어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호환성이 높은 편이다.
2.
구름 마찰이며, 기동 마찰이 작다.
3.
비교적 큰 하중을 받으며 충격 흡수 능력이 크다.
4.
표준형 양산품으로 제작하기보다는 자체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직접 접촉 : 미끄럼 롤러나 볼을 이용한 간접 접촉 : 구름
구름은 제품의 규격화 덕분에 양산품이 많고 충격에 약하고 비싸며 고속 회전임에도 과열이 없습니다. 소형화도 가능.
미끄럼은 저소음과 저 진동이며 마찰저항이 크다, 값이 저렴하고 베어링에 작용하는 하중이 큰 경우에 사용, 정밀도 또한 높다 [해설작성자 : 수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미끄럼 베어링은 비교적 큰 하중에 사용하고 충격 흡수 능력이 큽니다. 답 3번 !
4번도 틀린말은 아니긴 합니다.. 미끄럼베어링은 규격화 되어있지 않아 끼워맞춤 할 때 항상 주의해야하거든요 [해설작성자 : 영흑]
[오류신고 반론] 답 4번 맞아요 구름이 큰 하중을 받을때 쓰고 내충격성이 뛰어납니다 미끄럼은 자체제작 때문에 고가고 구름은 양산형으로 저가입니다. 때문에 답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고난]
[추가 오류 신고] 3번도 맞는거에요 구름베어링보다 상대적으로 큰하중을 받고 충격흡수능력도 커요 힘이받는 면적을 생각해보세요 면적이크고 넓을수록 응력이 낮아지고 그만큼 충격흡수도 많아져요 [해설작성자 : 승안공가자]
[추가 오류 신고] 미끄럼베어링이 구름베어링보다 큰 하중을 받고 내충격성도 큰게 맞습니다. 호환성이 낮아서 자체제작하는 경우도 많구요 따라서 답 3,4 둘다 됩니다. 문제 오류로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기계전공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7.
피복 아크 용접결함의 종류에서 용입불량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음 설계의 불량
2.
용접봉의 선택 불량
3.
전류가 너무 높을 때
4.
용접 속도가 너무 빠를 때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크 용접결함 불량원인은 아래와 같이 5가지인데, 전류가 너무 높아도 용입불량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전류가 너무 높거나, 낮아도 문제가 되는 아래 3번.오우버랩에 해당 됩니다. ① 용접전류의 과소 ② 운봉 및 용접봉 유지 및 각도의 부적당 입니다. 문제 오류로 판단됩니다. 반론제기 부탁 드립니다.
1.용입부족 2.언더컷(UnderCut) 3.오우버랩(Overlap) 4.슬래그혼입 5.기공(Porosity) 오우버랩의 해결방안은 ① 전류크기, 용접속도의 적당한 선택 ② 수평 필렛 경우는 용접봉의유지각도를 알맞게 선택한다.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58.
나사면의 마찰계수 u와 마찰각 p의 관계식은?
1.
u= sin p
2.
u= cos p
3.
u= tan p
4.
u= cot p
정답 : [
3
] 정답률 : 64%
59.
비틀림각이 30도인 헬리컬 기어에서 잇수가 50개, 이직각 모듈이 3일 때 바깥지름은 약 mm인가?
정현파 전압 v=220√2sin(ωt+30°)V 보다 위상이 90°뒤지고 최대값이 20A인 정현파 전류의 순시값은 몇 A인가?
1.
20sin(ωt-30°)
2.
20sin(ωt-60°)
3.
20√2sin(ωt+60°)
4.
20√2sin(ωt-60°)
정답 : [
2
] 정답률 : 48%
72.
100V용 전구 30W와 60W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하고 직류 100V 전원에 접속하였을 때 두 전구의 상태로 옳은 것은?
1.
30W 전구가 더 밝다.
2.
60W 전구가 더 밝다.
3.
두 전구의 밝기가 모두 같다.
4.
두 전구가 모두 켜지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73.
유도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환시켜 직류전동기와 동등한 제어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제어방식은?
1.
VVVF방식
2.
교류 궤환제어방식
3.
교류1단 속도제어방식
4.
교류2단 속도제어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75%
74.
비례적분미분제어를 이용했을 때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정시간을 적게한다.
2.
응답의 안정성이 작다.
3.
잔류편차를 최소화 시킨다.
4.
응답의 오버슈트를 감소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75.
조절계의 조절요소에서 비례미분제어에 관한 기호는?
1.
P
2.
PI
3.
PD
4.
PID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비적미는 PID.
76.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에서 X3/X1를 구하면?
1.
G1+G2
2.
G1-G2
3.
G1∙G2
4.
G1/G2
정답 : [
3
] 정답률 : 63%
77.
보일러와 자동연소제어가 속하는 제어는?
1.
비율제어
2.
추치제어
3.
추종제어
4.
정치제어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주치제어: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며, 이 변화하는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하도록 하는제어 추종제어: 미지의 시간적 변화를 하는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하도록 하는제어(대공포의 포신...) 정치제어: 일정한 목표값을 유지하는 제어. 자동조정이 이에 해당 (연속식 압연기...)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1. 전단 가공(Shearing):전단 가공은 시어링 머신이나 금형을 사용하여 재료의 파단강도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잘라내는 작업. 분류로는 커팅(절단), 블랭킹, 피어싱(구멍뚫기), 딩킹(충격절단), 파팅(분단), 트리밍(테두리절단), 슬리팅, 세이빙(마무리펀칭), 노칭(귀떼기) 2. 굽힘가공(Bending):보통 굽힙 가공은 가공재료를 굽힐 때에 굽힘각을 표시하는 단순한 직선일 경우가 많고 중립면의 한쪽은 인장, 반대쪽은 압축력이 작용하는 가공. V-벤딩(펀치, 다이 사용), 플랜지, 에지벤딩, 컬링, 버어링(구멍플랜징), 시이밍(여러겹 결합) 가공법 등 3. 드로잉가공(Drawing):평판의 재료에 이음매가 없는 중공용기를 주름살이나 균열이 생기지 않게 다이안에 펀치를 눌러 넣어서 성형시키는 작업. 교축가공. 재드로잉(두번 이상의 깊은 드로잉), 역 드로잉(뒤집기), 딥드로잉, 아이오닝, 리스트라이킹 가공법 등 4. 성형 가공(Forming):넓은 의미의 성형가공은 드로잉, 굽힘가공도 포함하며 재료의 판두께를 고의로 축소시키지 않고 형상을 적당히 변하게 하는 가공법. 엠보싱(부풀어오름), 비딩, 벌징, 네킹, 익스팬딩가공법 등 5. 압축 가공(Forming by compression):가공재료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가공법으로 압인가공, 압입가공, 업세팅가공, 스웨이징가공 등 냉간가공이므로 냉간단조 또는 냉간성형이라함 [해설작성자 : 팔봉K]
43.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높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동력 손실의 증대
2.
내부 마찰의 증대와 온도 상승
3.
펌프 효율 저하에 따른 온도 상승
4.
장치의 파이프 저항에 의한 압력 증대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펌프 효율이 저하되는 건 맞는데 그 것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는건 아님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44.
게이지 블록이나 마이크로미터 측정면의 평면도를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측정기는?
1.
공구 현미경
2.
옵티컬 플랫
3.
사인바
4.
정반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사인바(sine bar): 삼각함수 sine을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임의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 옵티컬플랫(optical flat): 표면의 평면도를 측정하는 기구. 유리판이나 수정 판의 한 면을 정확하게 연마하여 평면의 기준으로 삼아 각종 게이지의 측정면 검사에 사용 [해설작성자 : 팔봉K]
45.
다음 중 순도가 가장 높으나 취약하여 가공이 곤란한 동의 종류는?
1.
전기동
2.
정련동
3.
탈산동
4.
무산소동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기동전자용어사전 전선이나 인쇄 배선 등에 사용하는 구리는 되도록 도전율을 좋게 하기 위해 불순물이 적은 것이 요구되므로 전기 분해에 의해서 정련한 구리를 사용한다. 이것이 전기동이며 순도는 99.8% 이상이다.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46.
단순보의 정중앙에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이 보의 최대 처짐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지점 사이의 거리의 3제곱에 반비례한다.
2.
단면 2차 모멘트에 반비례한다.
3.
세로탄성계수에 반비례한다.
4.
집중하중 크기에 비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단순보의 정중앙에 집중하중이 작용했을때, 최대 처짐량은 보 거리의 3제곱에 비례한다 보의 최대 처짐량 = PL^3/48EI P : 집중하중 L : 보의 전체길이 E : 세로탄성계수 I : 단면 2차모멘트 [해설작성자 : 밍고]
47.
리벳 구멍이 압축하중(P)에 의해 파괴될 때 압축응력 계산식은? (단, σc는 압축응력, t는 판두께, d는 리벳지름)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0%
48.
주물에서 중공부분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목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현형
2.
회전형
3.
코어형
4.
부분형
정답 : [
3
] 정답률 : 75%
49.
원형 단면봉에 비틀림 모멘트(T)가 작용할 때 생기는 비틀림각(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F=kx 만 생각해봐도 k랑 x는 반비례관계입니다.. x가 곧 변위(변형량)이고요.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56.
구름베어링과 비교할 때, 미끄럼베어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호환성이 높은 편이다.
2.
구름 마찰이며, 기동 마찰이 작다.
3.
비교적 큰 하중을 받으며 충격 흡수 능력이 크다.
4.
표준형 양산품으로 제작하기보다는 자체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직접 접촉 : 미끄럼 롤러나 볼을 이용한 간접 접촉 : 구름
구름은 제품의 규격화 덕분에 양산품이 많고 충격에 약하고 비싸며 고속 회전임에도 과열이 없습니다. 소형화도 가능.
미끄럼은 저소음과 저 진동이며 마찰저항이 크다, 값이 저렴하고 베어링에 작용하는 하중이 큰 경우에 사용, 정밀도 또한 높다 [해설작성자 : 수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미끄럼 베어링은 비교적 큰 하중에 사용하고 충격 흡수 능력이 큽니다. 답 3번 !
4번도 틀린말은 아니긴 합니다.. 미끄럼베어링은 규격화 되어있지 않아 끼워맞춤 할 때 항상 주의해야하거든요 [해설작성자 : 영흑]
[오류신고 반론] 답 4번 맞아요 구름이 큰 하중을 받을때 쓰고 내충격성이 뛰어납니다 미끄럼은 자체제작 때문에 고가고 구름은 양산형으로 저가입니다. 때문에 답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고난]
[추가 오류 신고] 3번도 맞는거에요 구름베어링보다 상대적으로 큰하중을 받고 충격흡수능력도 커요 힘이받는 면적을 생각해보세요 면적이크고 넓을수록 응력이 낮아지고 그만큼 충격흡수도 많아져요 [해설작성자 : 승안공가자]
[추가 오류 신고] 미끄럼베어링이 구름베어링보다 큰 하중을 받고 내충격성도 큰게 맞습니다. 호환성이 낮아서 자체제작하는 경우도 많구요 따라서 답 3,4 둘다 됩니다. 문제 오류로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기계전공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7.
피복 아크 용접결함의 종류에서 용입불량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음 설계의 불량
2.
용접봉의 선택 불량
3.
전류가 너무 높을 때
4.
용접 속도가 너무 빠를 때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크 용접결함 불량원인은 아래와 같이 5가지인데, 전류가 너무 높아도 용입불량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전류가 너무 높거나, 낮아도 문제가 되는 아래 3번.오우버랩에 해당 됩니다. ① 용접전류의 과소 ② 운봉 및 용접봉 유지 및 각도의 부적당 입니다. 문제 오류로 판단됩니다. 반론제기 부탁 드립니다.
1.용입부족 2.언더컷(UnderCut) 3.오우버랩(Overlap) 4.슬래그혼입 5.기공(Porosity) 오우버랩의 해결방안은 ① 전류크기, 용접속도의 적당한 선택 ② 수평 필렛 경우는 용접봉의유지각도를 알맞게 선택한다.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58.
나사면의 마찰계수 u와 마찰각 p의 관계식은?
1.
u= sin p
2.
u= cos p
3.
u= tan p
4.
u= cot p
정답 : [
3
] 정답률 : 64%
59.
비틀림각이 30도인 헬리컬 기어에서 잇수가 50개, 이직각 모듈이 3일 때 바깥지름은 약 mm인가?
정현파 전압 v=220√2sin(ωt+30°)V 보다 위상이 90°뒤지고 최대값이 20A인 정현파 전류의 순시값은 몇 A인가?
1.
20sin(ωt-30°)
2.
20sin(ωt-60°)
3.
20√2sin(ωt+60°)
4.
20√2sin(ωt-60°)
정답 : [
2
] 정답률 : 48%
72.
100V용 전구 30W와 60W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하고 직류 100V 전원에 접속하였을 때 두 전구의 상태로 옳은 것은?
1.
30W 전구가 더 밝다.
2.
60W 전구가 더 밝다.
3.
두 전구의 밝기가 모두 같다.
4.
두 전구가 모두 켜지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73.
유도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환시켜 직류전동기와 동등한 제어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제어방식은?
1.
VVVF방식
2.
교류 궤환제어방식
3.
교류1단 속도제어방식
4.
교류2단 속도제어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75%
74.
비례적분미분제어를 이용했을 때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정시간을 적게한다.
2.
응답의 안정성이 작다.
3.
잔류편차를 최소화 시킨다.
4.
응답의 오버슈트를 감소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75.
조절계의 조절요소에서 비례미분제어에 관한 기호는?
1.
P
2.
PI
3.
PD
4.
PID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비적미는 PID.
76.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에서 X3/X1를 구하면?
1.
G1+G2
2.
G1-G2
3.
G1∙G2
4.
G1/G2
정답 : [
3
] 정답률 : 63%
77.
보일러와 자동연소제어가 속하는 제어는?
1.
비율제어
2.
추치제어
3.
추종제어
4.
정치제어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주치제어: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며, 이 변화하는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하도록 하는제어 추종제어: 미지의 시간적 변화를 하는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하도록 하는제어(대공포의 포신...) 정치제어: 일정한 목표값을 유지하는 제어. 자동조정이 이에 해당 (연속식 압연기...)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