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2,3,4 착장체 머리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 [해설작성자 : 토리]
7.
리더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직원에 의하여 선출된다.
2.
지휘의 형태는 민주주의적이다.
3.
조직원과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
4.
권한의 근거는 개인의 능력에 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사회적간격이 좁다 ㅡ 리더 넓은것은 헤드십 [해설작성자 : 토리]
8.
기업의 산업재해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한 점수로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은?
1.
Safe-T-Score
2.
평균강도율
3.
종합재해지수
4.
안전활동률
정답 : [
1
] 정답률 : 81%
9.
레윈(Lewin. K)의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B : 인간의 행동
2.
f : 인간관계, 작업환경
3.
P : 적성
4.
E : 심신상태, 성격, 지능, 연령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B 행동 F 함수 P 개체 E 환경 [해설작성자 : 토리]
10.
O.J.T(On the Job Training)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2.
훈련과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3.
훈련의 효과가 곧 업무에 나타나며, 훈련의 개선이 용이하다.
4.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한것은 off the job [해설작성자 : 토리]
11.
무재해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세 기둥이 아닌 것은?
1.
관리감독자의 적극적 추진
2.
소집단 자주활동의 활성화
3.
전 종업원의 안전요원화
4.
최고경영자의 경영자세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실천 2. 기법 4. 이념 [해설작성자 : 토리]
최고경영자의 자세 - 최고경영자의 “무재해,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 관리감독자에 의한 안전보건의 추진 - 필요한 지식을 원조하고 생산계통에 따른 관리감독자들이 이를 준수하고 철저하게 안전관리 직장 소집단의 자주활동의 활발화 - 안전보건 자주활동 출처:[춘니:티스토리] [해설작성자 : 춘니]
12.
학습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학습자의 지능 원인
2.
학습자의 태도 요인
3.
학습장소의 요인
4.
선행학습과 후행학습간 시간적 간격의 원인
정답 : [
3
] 정답률 : 66%
13.
눈으로는 작업 내용을 보고 손과 발로는 습관적으로 작업을 하고 있지만 머릿속에는 고민이나 공상으로 가득 차 있어서 작업에 필요한 주의력이 점차 약화되고 작업자가 눈으로 보고 있는 작업 상황이 의식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1.
의식의 과잉
2.
의식의 단절
3.
의식의 우회
4.
의식수준의 저하
정답 : [
3
] 정답률 : 75%
14.
재해발생의 주요원인 중 불안전한 행동이 아닌 것은?
1.
불안전한 적재
2.
불안전한 설계
3.
권한 없이 행한 조작
4.
보호구 미착용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 불안전한 설계는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 [해설작성자 : 토리]
15.
사업장에서 발행한 990회 사고 중 사망재해가 3건이었다면 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에 따를 경우 경상이 예상되는 발생 건수는?
<문제 해설> 1. 혼화재(5%이상)가 아닌 혼화제를 설명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뻥뻥]
43.
강재면에 강필로 볼트구멍 위치와 절단 개소 등을 그리는 일은?
1.
원척도
2.
본뜨기
3.
금매김
4.
변형바로잡기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볼트 구멍의 위치, 절단 개소를 그리는것 = 금매김 [해설작성자 : ㅈ]
44.
연약한 점성토 지반을 굴착할 때 주로 발생하며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들어와 흙막이가 파괴되는 현상은?
1.
파이핑(Piping)
2.
보일링(Boiling)
3.
히빙(Heaving)
4.
캠버(Camber)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히빙(Heaving)현상 : 연질 점토 지반에서 굴착에 의한 흙막이 내·외면의 흙의 중량 차이(토압차이)로 인해 굴착저면이 부풀어 올라오는 현상 (흙막이 바깥 흙이 안으로 밀려든다.) 2) 보일링(Boiling)현상 : 사질토 지반에서 굴착저면과 흙막이 배면과의 수위차이로 인해 굴착저면의 흙과 물이 함께 위로 솟구쳐 오르는 현상 (모래가 액상화되어 솟아오른다.) 3) 파이핑(Piping)현상 : 보일링현상으로 인하여 지반 내에서 물의 통로가 생기면서 흙이 세굴되는 현상 [구민사 기출문제 2017년 4회 해설] [해설작성자 : 황금날개]
45.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AE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내구성, 수밀성 증대
2.
블리딩 현상 증가
3.
단위수량 감소
4.
건조수축 감소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AE제 사용시 블리딩현상 감소 [해설작성자 : 토리]
46.
기성콘크리트 말뚝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말뚝중심간격은 2.5D이상 또한 750mm이상으로 한다.
2.
적재 장소는 시공장소와 가깝고 배수가 양호하고 지반이 견고한 곳이어야 한다.
3.
2단 이하로 저장하고 말뚝받침대는 동일선상에 위치하여야 파손이 적다.
4.
시공순서는 주변 다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주변부에서 중앙부로 박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시공순서는 중앙에서 주변부로 다진다 [해설작성자 : 토리]
47.
거푸집 공사 중 콘크리트의 측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치어붓기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2.
묽은 콘크리트일수록 측압이 작다.
3.
거푸집의 수평단면이 작을수록 측압이 작다.
4.
철골 또는 철근량이 많을수록 측압은 작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묽은 콘크리트일수록 측압이 크다 [해설작성자 : 황금날개]
48.
건설공사 완료 후 보수 및 재시공을 보증하기 위하여 공사발주처 등에 예치하는 공사금액의 명칭은?
1.
입찰보증금
2.
계약보증금
3.
지체보증금
4.
하자보증금
정답 : [
4
] 정답률 : 83%
49.
거푸집 공사에서 거푸집 검사 시 받침기둥(지주의 안전하중)검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서포트의 수직 여부 및 간격
2.
폼타이 등 조임철물의 재질
3.
서포트의 편심, 처짐 및 나사의 느슨함 정도
4.
수평연결대 설치 여부
정답 : [
2
] 정답률 : 63%
50.
네트워크 공정표의 구성요소 중 부주공정(Semi-Critical Path)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유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공정을 의미한다.
2.
공정이 부분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발생한다.
3.
공기단축 시 관리대상에서는 제외된다.
4.
주공정화 할 가능성이 많은 공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부주공정(Semi-Critical Path) :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CP(주공정:Critical Path) 다음으로 긴 경로의 Path를 말한다.
<문제 해설> 무수석고(경석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멘트로 킨즈시멘트(Keen's cement)라고도 하는데 점도(粘度)가 커서 바르기 쉽고, 매끈하게 마무리가 되며, 광택이 있어서 벽이나 마루에 바르는 재료로 쓰이며 경질(硬質) 플라스터판(板)에도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 가즈아!]
65.
수분 상승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올라 얇은 피막으로 되어 침적한 물질은?
1.
레이턴스
2.
폴리머
3.
마그네시아
4.
포졸란
정답 : [
1
] 정답률 : 62%
66.
보통벽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잘 구워진 것일수록 치수가 작아지고 색이 옅어지며, 두드리면 탁음이 난다.
2.
건축용 점토소성벽돌의 적색은 원료의 산화철성분에서 기인한다.
3.
보통벽돌의 기본치수는 190×90×57mm이다.
4.
진흙을 빚어 소성하여 만든 벽돌로서 점토벽돌이라고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치수가 작아지며 색은 적암 두드리면 청음 [해설작성자 : 토리]
67.
다음 단열재료 중 가장 높은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세라믹 파이버
2.
암면
3.
석면
4.
글래스울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세라믹화이바는 고온에 견디는 힘이 강해 철골내화피복제로 사용 [해설작성자 : 토리]
<문제 해설> ALC란(Autoclaved Lightweight(가벼운) Concrete)약자로서 규사에[ 시면트와 기포제(알루미늄(ai)파우더)를 넣어 다공질화한 혼합물을 고온고압(180도씨,10기압(kg/cm2에서 증기 양생 시킨 “경량 기포 콘크리트” 건축 자재의 일종이다.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 가즈아!]
71.
다음 중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락크 울(rock wool)
2.
질석(vermiculite)
3.
펄라이트(perlite)
4.
화산자갈(volcanic gravel)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락크 울(rock wool)이란? 암면(rook wool)은 광물질이기 때문에 절대로 불연성이며, 단열성과 방음성을 가지고 있다.연화(softening)온도는 약 1200℃이며 장시간 사용에 대한 안전온도는 600℃이다. 열 전도율은 어떤 부피비중(bulk density)일 때에 최소 값을 취한다. 실제 암면은 흡습성이 있기 때문에, 이 표면을 아스팔트 계 또는 타르 계 물질을 사용해 피복하면 보냉재로서 성질이 강화된다. [해설작성자 : 호야뉨]
72.
어떤 목재의 건조 전 질량이 200g, 건조 후 전건질량이 150g 일 때, 이 목재의 함수율은?
1.
10%
2.
25%
3.
33.3%
4.
66.7%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건조 전 질량-건조 후 전건질량)/건조 후 전건질량 * 100 =(200-150)/150 * 100 33.3 [해설작성자 : 건설안전]
73.
합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곡면가공 시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곡면가공이 불가능하다.
2.
함수율 변화에 따른 팽창 · 수축의 발향성이 크다.
3.
표면가공법으로 흡음효과를 낼 수 있다.
4.
내수성이 매우 작기 때문에 내장용으로만 사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7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나타낸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시스턴시(Consistency) -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물의 양에 의한 콘크리트 반죽의 질기
2.
워커빌리티(Workability) - 콘크리트의 부어넣기 작업 시의 작업 난이도 및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
3.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등에 따른 마무리 작업의 난이도
4.
플라스티시티(Plasticity) - 콘크리트를 펌핑하여 부어넣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의 펌핑성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플라스티시티 : 거푸집의 형상에 맞게 채우기 쉽고,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성질, 거푸집에 잘 채워질 수 있는지의 난이정도 [해설작성자 : ㅈ]
75.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경화하는 미장재료는?
1.
경석고 플라스터
2.
시멘트 모르타르
3.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4.
혼합석고 플라스터
정답 : [
3
] 정답률 : 63%
76.
대리석의 성질과 용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석질이 치밀하고, 판석으로서 지붕 외벽 등에 사용되며 비석, 숫돌로도 이용된다.
2.
조적재, 기초석재 등으로 주로 쓰인다.
3.
내화도는 높으나 조잡하여 경량골재, 내화재 등에 사용한다.
4.
열, 산에는 약하지만 외관이 미려하므로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대리석 은 강도 및 경도는 여러 면에서 화강석보다 떨어집니다. 다만 입자가 다양하여 다체로운 이미지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인테리어 마감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바람에 약하고 오염이 쉽게 되어 시공위치를 한번더 체크를 해야한다. 특히 외장에 시공했을시에는 외부적인 환경인 햇빛으로 인한 발색, 습한부분으로 인한 오염 등등 강도 부분에서는 경도 부분에서는 화강석 보다 많이떨이지는 이유 등으로 외부 사용 은 어렵습니다. 출처 - frdomstone tistory [해설작성자 : 유환줘]
제8조(강관비계) 사업주는 강관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하단부에는 깔판(밑받침 철물), 받침목 등을 사용하고 밑둥잡이를 설치해야 한다. 2. 비계기둥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5미터 내지 1.8미터, 장선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이어야 하며, 비계기둥의 최고부로 부터 아래방향으로 31미터를 넘는 비계 기둥은 2본의 강관으로 묶어 세워야 한다. 3. 띠장간격은 1.5미터 이하로 설치하여야 하며, 지상에서 첫 번째 띠장은 높이 2미터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4. 장선간격은 1.5미터 이하로 설치하고, 비계기둥과 띠장의 교차부에서는 비계기둥에 결속하고, 그 중간부분에서는 띠장에 결속한다. 5.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6. 벽연결은 수직으로 5미터, 수평으로 5미터 이내마다 연결하여야 한다. 7. 기둥간격 10미터 마다 45도 각도의 처마방향 가새를 설치해야 하며, 모든 비계기둥은 가새에 결속하여야 한다. 8. 작업대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9. 작업대의 구조는 추락 및 낙하물 방지조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0. 작업발판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쌍줄비계이어야 하며, 연결 및 이음철물은 가설기자재 성능검정 규격에 규정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제 60 조 (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개정 2012.5.31, 2019.10.15, 2019.12.26, 2023.11.14>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방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가.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 나. 그 밖에 장비 반입·반출을 위하여 공간 등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등 작업의 성질상 비계기둥 간격에 관한 기준을 준수하기 곤란한 작업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가 곤란하여 쌍기둥틀 등에 의하여 해당 부분을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다만, 브라켓(bracket, 까치발) 등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경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집에갈래]
83.
차량계 건설기계 중 도로포장용 건설기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스팔트 살포기
2.
아스팔트 피니셔
3.
콘크리트 피니셔
4.
어스오거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earth auger 란? 땅((地中)에 구멍을 뚫는 기구(bit))의 회전에 의해 흙을 굴착함과 동시에 이것을 지표(地表)로 배제하면서 소정의 심도(深度)까지 착공(搾孔)하고, 이어서 오거를 끌어올리면서 그 아래 공간에 오거의 중공축(中空軸)을 통해 어거 헤드(auger head)의 사출(射出)노즐로부터 모르타르 등을 압송 주입해서 파일을 박아 시공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발파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발파 시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벼락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화약 또는 폭약의 장전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들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켜야 한다.
2.
근로자가 안전한 거리에 피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면과 상부를 견고하게 방호한 피난장소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전기뇌관 외에것에 의하여 점화 후 장정된 화약류의 폭발여부를 확인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점화한 때부터15분 이내에 신속히 확인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4.
얼어붙은 다이나마이트는 화기에 접근시키거나 그 밖의 고열물에 직접 접촉시키는 등 위험한 방법으로 융해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5분 이후에 확인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골재의 형상
2.
콘크리트 강도
3.
박리제
4.
타설높이
정답 : [
4
] 정답률 : 74%
86.
인력에 의한 굴착작업 시 준수해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반의 종류에 따라서 정해진 굴착면의 높이와 기울기로 진행시켜야 한다.
2.
굴착면 및 굴착심도 기준을 준수하여 작업 중 붕괴를 예방하여야 한다.
3.
굴착토사나 자재 등을 경사면 및 토류벽 천단부 주변에 쌓아두어 하중을 보강한다.
4.
용수 등의 유입수가 있는 경우 배수시설을 한 뒤에 작업을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87.
고소작업대를 설치 및 이동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과 고소작업대는 가능하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것
2.
이동하는 경우에는 작업대를 가장 높게 올릴 것
3.
이동통로의 요철상태 또는 장애물의 유무 등을 확인 할 것
4.
갑작스러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웃트리거 또는 브레이크 등을 확실히 사용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81%
88.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일정 한계 이상 감기지 않도록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는?
1.
훅해지장치
2.
권과방지장치
3.
비상정지장치
4.
과부하방지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권가방지장치: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데릭에 설치된 권상용 와이어로프 또는 지브 등의 기복(起伏)용 와이어로프의 권과(卷過)를 방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권가란 감을권에 과할과 과하게 감긴다는 뜻입니다 출처:네이버 [해설작성자 : 유완조]
파이핑(piping)현상에 의한 흙 댐(earth dam)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흙 댐의 하류측에 필터를 설치한다.
2.
흙 댐의 상류측에 차수판을 설치한다.
3.
흙 댐 내부에 점토코아(core)를 넣는다.
4.
흙 댐에서 물의 침투유도 길이를 짧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파이핑현상 - 사질지반의 지하수위 이하 굴착 시 수위차로 인해 상향의 침투류가 발생하여 전단강도 상실 - 흙이 물과 함께 분출하는 Quick sand의 진전된 현상 방지대책 - Filter 및 차수벽 설치 - 흙막이 근입깊이를 깊게(불투수층까지) - 약액주입 등의 굴착면 고결 - 지하수위저하 - 압성토공법 등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91.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에 따른 토목공사업에 해당되는 건설 건설공사현장에서 전담안전관리자 최소 1인을 두어야 하는 공사금액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50억원 이상
2.
180억원 이상
3.
210억원 이상
4.
250억원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70%
92.
공사용 가설도로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최고 경사도는 얼마인가?
1.
5%
2.
10%
3.
20%
4.
30%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제25조(가설도로) 사업주는 공사용 가설도로를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도로의 표면은 장비 및 차량이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하여야 한다. 2. 장비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입로, 경사로 등은 주행하는 차량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 3. 도로와 작업장높이에 차가 있을 때는 바리케이트 또는 연석 등을 설치하여 차량의 위험 및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4. 도로는 배수를 위해 도로 중앙부를 약간 높게하거나 배수시설을 하여야 한다. 5. 운반로는 장비의 안전운행에 적합한 도로의 폭을 유지하여야 하며, 또한 모든 커브는 통상적인 도로폭보다 좀더 넓게 만들고 시계에 장애가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 6. 커브 구간에서는 차량이 가시거리의 절반이내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여야 한다. 7. 최고 허용경사도는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0퍼센트를 넘어서는 안된다. 8. 필요한 전기시설(교통신호등 포함.), 신호수, 표지판, 바리케이트, 노면표지등을 교통 안전운행을 위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9. 안전운행을 위하여 먼지가 일어나지 않도록 물을 뿌려주고 겨울철에는 눈이 쌓이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93.
강관비계 중 단관비계의 벽이음 및 버팀 설치 시 수직 및 수평 방향 조립간격으로 옳은 것은?
<문제 해설> 2,3,4 착장체 머리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 [해설작성자 : 토리]
7.
리더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직원에 의하여 선출된다.
2.
지휘의 형태는 민주주의적이다.
3.
조직원과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
4.
권한의 근거는 개인의 능력에 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사회적간격이 좁다 ㅡ 리더 넓은것은 헤드십 [해설작성자 : 토리]
8.
기업의 산업재해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한 점수로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은?
1.
Safe-T-Score
2.
평균강도율
3.
종합재해지수
4.
안전활동률
정답 : [
1
] 정답률 : 81%
9.
레윈(Lewin. K)의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B : 인간의 행동
2.
f : 인간관계, 작업환경
3.
P : 적성
4.
E : 심신상태, 성격, 지능, 연령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B 행동 F 함수 P 개체 E 환경 [해설작성자 : 토리]
10.
O.J.T(On the Job Training)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2.
훈련과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3.
훈련의 효과가 곧 업무에 나타나며, 훈련의 개선이 용이하다.
4.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한것은 off the job [해설작성자 : 토리]
11.
무재해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세 기둥이 아닌 것은?
1.
관리감독자의 적극적 추진
2.
소집단 자주활동의 활성화
3.
전 종업원의 안전요원화
4.
최고경영자의 경영자세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실천 2. 기법 4. 이념 [해설작성자 : 토리]
최고경영자의 자세 - 최고경영자의 “무재해,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 관리감독자에 의한 안전보건의 추진 - 필요한 지식을 원조하고 생산계통에 따른 관리감독자들이 이를 준수하고 철저하게 안전관리 직장 소집단의 자주활동의 활발화 - 안전보건 자주활동 출처:[춘니:티스토리] [해설작성자 : 춘니]
12.
학습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학습자의 지능 원인
2.
학습자의 태도 요인
3.
학습장소의 요인
4.
선행학습과 후행학습간 시간적 간격의 원인
정답 : [
3
] 정답률 : 66%
13.
눈으로는 작업 내용을 보고 손과 발로는 습관적으로 작업을 하고 있지만 머릿속에는 고민이나 공상으로 가득 차 있어서 작업에 필요한 주의력이 점차 약화되고 작업자가 눈으로 보고 있는 작업 상황이 의식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1.
의식의 과잉
2.
의식의 단절
3.
의식의 우회
4.
의식수준의 저하
정답 : [
3
] 정답률 : 75%
14.
재해발생의 주요원인 중 불안전한 행동이 아닌 것은?
1.
불안전한 적재
2.
불안전한 설계
3.
권한 없이 행한 조작
4.
보호구 미착용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 불안전한 설계는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 [해설작성자 : 토리]
15.
사업장에서 발행한 990회 사고 중 사망재해가 3건이었다면 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에 따를 경우 경상이 예상되는 발생 건수는?
<문제 해설> 1. 혼화재(5%이상)가 아닌 혼화제를 설명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뻥뻥]
43.
강재면에 강필로 볼트구멍 위치와 절단 개소 등을 그리는 일은?
1.
원척도
2.
본뜨기
3.
금매김
4.
변형바로잡기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볼트 구멍의 위치, 절단 개소를 그리는것 = 금매김 [해설작성자 : ㅈ]
44.
연약한 점성토 지반을 굴착할 때 주로 발생하며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들어와 흙막이가 파괴되는 현상은?
1.
파이핑(Piping)
2.
보일링(Boiling)
3.
히빙(Heaving)
4.
캠버(Camber)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히빙(Heaving)현상 : 연질 점토 지반에서 굴착에 의한 흙막이 내·외면의 흙의 중량 차이(토압차이)로 인해 굴착저면이 부풀어 올라오는 현상 (흙막이 바깥 흙이 안으로 밀려든다.) 2) 보일링(Boiling)현상 : 사질토 지반에서 굴착저면과 흙막이 배면과의 수위차이로 인해 굴착저면의 흙과 물이 함께 위로 솟구쳐 오르는 현상 (모래가 액상화되어 솟아오른다.) 3) 파이핑(Piping)현상 : 보일링현상으로 인하여 지반 내에서 물의 통로가 생기면서 흙이 세굴되는 현상 [구민사 기출문제 2017년 4회 해설] [해설작성자 : 황금날개]
45.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AE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내구성, 수밀성 증대
2.
블리딩 현상 증가
3.
단위수량 감소
4.
건조수축 감소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AE제 사용시 블리딩현상 감소 [해설작성자 : 토리]
46.
기성콘크리트 말뚝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말뚝중심간격은 2.5D이상 또한 750mm이상으로 한다.
2.
적재 장소는 시공장소와 가깝고 배수가 양호하고 지반이 견고한 곳이어야 한다.
3.
2단 이하로 저장하고 말뚝받침대는 동일선상에 위치하여야 파손이 적다.
4.
시공순서는 주변 다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주변부에서 중앙부로 박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시공순서는 중앙에서 주변부로 다진다 [해설작성자 : 토리]
47.
거푸집 공사 중 콘크리트의 측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치어붓기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2.
묽은 콘크리트일수록 측압이 작다.
3.
거푸집의 수평단면이 작을수록 측압이 작다.
4.
철골 또는 철근량이 많을수록 측압은 작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묽은 콘크리트일수록 측압이 크다 [해설작성자 : 황금날개]
48.
건설공사 완료 후 보수 및 재시공을 보증하기 위하여 공사발주처 등에 예치하는 공사금액의 명칭은?
1.
입찰보증금
2.
계약보증금
3.
지체보증금
4.
하자보증금
정답 : [
4
] 정답률 : 83%
49.
거푸집 공사에서 거푸집 검사 시 받침기둥(지주의 안전하중)검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서포트의 수직 여부 및 간격
2.
폼타이 등 조임철물의 재질
3.
서포트의 편심, 처짐 및 나사의 느슨함 정도
4.
수평연결대 설치 여부
정답 : [
2
] 정답률 : 63%
50.
네트워크 공정표의 구성요소 중 부주공정(Semi-Critical Path)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유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공정을 의미한다.
2.
공정이 부분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발생한다.
3.
공기단축 시 관리대상에서는 제외된다.
4.
주공정화 할 가능성이 많은 공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부주공정(Semi-Critical Path) :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CP(주공정:Critical Path) 다음으로 긴 경로의 Path를 말한다.
<문제 해설> 무수석고(경석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멘트로 킨즈시멘트(Keen's cement)라고도 하는데 점도(粘度)가 커서 바르기 쉽고, 매끈하게 마무리가 되며, 광택이 있어서 벽이나 마루에 바르는 재료로 쓰이며 경질(硬質) 플라스터판(板)에도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 가즈아!]
65.
수분 상승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올라 얇은 피막으로 되어 침적한 물질은?
1.
레이턴스
2.
폴리머
3.
마그네시아
4.
포졸란
정답 : [
1
] 정답률 : 62%
66.
보통벽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잘 구워진 것일수록 치수가 작아지고 색이 옅어지며, 두드리면 탁음이 난다.
2.
건축용 점토소성벽돌의 적색은 원료의 산화철성분에서 기인한다.
3.
보통벽돌의 기본치수는 190×90×57mm이다.
4.
진흙을 빚어 소성하여 만든 벽돌로서 점토벽돌이라고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치수가 작아지며 색은 적암 두드리면 청음 [해설작성자 : 토리]
67.
다음 단열재료 중 가장 높은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세라믹 파이버
2.
암면
3.
석면
4.
글래스울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세라믹화이바는 고온에 견디는 힘이 강해 철골내화피복제로 사용 [해설작성자 : 토리]
<문제 해설> ALC란(Autoclaved Lightweight(가벼운) Concrete)약자로서 규사에[ 시면트와 기포제(알루미늄(ai)파우더)를 넣어 다공질화한 혼합물을 고온고압(180도씨,10기압(kg/cm2에서 증기 양생 시킨 “경량 기포 콘크리트” 건축 자재의 일종이다.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 가즈아!]
71.
다음 중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락크 울(rock wool)
2.
질석(vermiculite)
3.
펄라이트(perlite)
4.
화산자갈(volcanic gravel)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락크 울(rock wool)이란? 암면(rook wool)은 광물질이기 때문에 절대로 불연성이며, 단열성과 방음성을 가지고 있다.연화(softening)온도는 약 1200℃이며 장시간 사용에 대한 안전온도는 600℃이다. 열 전도율은 어떤 부피비중(bulk density)일 때에 최소 값을 취한다. 실제 암면은 흡습성이 있기 때문에, 이 표면을 아스팔트 계 또는 타르 계 물질을 사용해 피복하면 보냉재로서 성질이 강화된다. [해설작성자 : 호야뉨]
72.
어떤 목재의 건조 전 질량이 200g, 건조 후 전건질량이 150g 일 때, 이 목재의 함수율은?
1.
10%
2.
25%
3.
33.3%
4.
66.7%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건조 전 질량-건조 후 전건질량)/건조 후 전건질량 * 100 =(200-150)/150 * 100 33.3 [해설작성자 : 건설안전]
73.
합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곡면가공 시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곡면가공이 불가능하다.
2.
함수율 변화에 따른 팽창 · 수축의 발향성이 크다.
3.
표면가공법으로 흡음효과를 낼 수 있다.
4.
내수성이 매우 작기 때문에 내장용으로만 사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7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나타낸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시스턴시(Consistency) -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물의 양에 의한 콘크리트 반죽의 질기
2.
워커빌리티(Workability) - 콘크리트의 부어넣기 작업 시의 작업 난이도 및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
3.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등에 따른 마무리 작업의 난이도
4.
플라스티시티(Plasticity) - 콘크리트를 펌핑하여 부어넣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의 펌핑성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플라스티시티 : 거푸집의 형상에 맞게 채우기 쉽고,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성질, 거푸집에 잘 채워질 수 있는지의 난이정도 [해설작성자 : ㅈ]
75.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경화하는 미장재료는?
1.
경석고 플라스터
2.
시멘트 모르타르
3.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4.
혼합석고 플라스터
정답 : [
3
] 정답률 : 63%
76.
대리석의 성질과 용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석질이 치밀하고, 판석으로서 지붕 외벽 등에 사용되며 비석, 숫돌로도 이용된다.
2.
조적재, 기초석재 등으로 주로 쓰인다.
3.
내화도는 높으나 조잡하여 경량골재, 내화재 등에 사용한다.
4.
열, 산에는 약하지만 외관이 미려하므로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대리석 은 강도 및 경도는 여러 면에서 화강석보다 떨어집니다. 다만 입자가 다양하여 다체로운 이미지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인테리어 마감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바람에 약하고 오염이 쉽게 되어 시공위치를 한번더 체크를 해야한다. 특히 외장에 시공했을시에는 외부적인 환경인 햇빛으로 인한 발색, 습한부분으로 인한 오염 등등 강도 부분에서는 경도 부분에서는 화강석 보다 많이떨이지는 이유 등으로 외부 사용 은 어렵습니다. 출처 - frdomstone tistory [해설작성자 : 유환줘]
제8조(강관비계) 사업주는 강관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하단부에는 깔판(밑받침 철물), 받침목 등을 사용하고 밑둥잡이를 설치해야 한다. 2. 비계기둥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5미터 내지 1.8미터, 장선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이어야 하며, 비계기둥의 최고부로 부터 아래방향으로 31미터를 넘는 비계 기둥은 2본의 강관으로 묶어 세워야 한다. 3. 띠장간격은 1.5미터 이하로 설치하여야 하며, 지상에서 첫 번째 띠장은 높이 2미터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4. 장선간격은 1.5미터 이하로 설치하고, 비계기둥과 띠장의 교차부에서는 비계기둥에 결속하고, 그 중간부분에서는 띠장에 결속한다. 5.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6. 벽연결은 수직으로 5미터, 수평으로 5미터 이내마다 연결하여야 한다. 7. 기둥간격 10미터 마다 45도 각도의 처마방향 가새를 설치해야 하며, 모든 비계기둥은 가새에 결속하여야 한다. 8. 작업대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9. 작업대의 구조는 추락 및 낙하물 방지조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0. 작업발판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쌍줄비계이어야 하며, 연결 및 이음철물은 가설기자재 성능검정 규격에 규정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제 60 조 (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개정 2012.5.31, 2019.10.15, 2019.12.26, 2023.11.14>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방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가.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 나. 그 밖에 장비 반입·반출을 위하여 공간 등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등 작업의 성질상 비계기둥 간격에 관한 기준을 준수하기 곤란한 작업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가 곤란하여 쌍기둥틀 등에 의하여 해당 부분을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다만, 브라켓(bracket, 까치발) 등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경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집에갈래]
83.
차량계 건설기계 중 도로포장용 건설기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스팔트 살포기
2.
아스팔트 피니셔
3.
콘크리트 피니셔
4.
어스오거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earth auger 란? 땅((地中)에 구멍을 뚫는 기구(bit))의 회전에 의해 흙을 굴착함과 동시에 이것을 지표(地表)로 배제하면서 소정의 심도(深度)까지 착공(搾孔)하고, 이어서 오거를 끌어올리면서 그 아래 공간에 오거의 중공축(中空軸)을 통해 어거 헤드(auger head)의 사출(射出)노즐로부터 모르타르 등을 압송 주입해서 파일을 박아 시공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발파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발파 시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벼락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화약 또는 폭약의 장전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들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켜야 한다.
2.
근로자가 안전한 거리에 피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면과 상부를 견고하게 방호한 피난장소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전기뇌관 외에것에 의하여 점화 후 장정된 화약류의 폭발여부를 확인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점화한 때부터15분 이내에 신속히 확인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4.
얼어붙은 다이나마이트는 화기에 접근시키거나 그 밖의 고열물에 직접 접촉시키는 등 위험한 방법으로 융해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5분 이후에 확인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골재의 형상
2.
콘크리트 강도
3.
박리제
4.
타설높이
정답 : [
4
] 정답률 : 74%
86.
인력에 의한 굴착작업 시 준수해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반의 종류에 따라서 정해진 굴착면의 높이와 기울기로 진행시켜야 한다.
2.
굴착면 및 굴착심도 기준을 준수하여 작업 중 붕괴를 예방하여야 한다.
3.
굴착토사나 자재 등을 경사면 및 토류벽 천단부 주변에 쌓아두어 하중을 보강한다.
4.
용수 등의 유입수가 있는 경우 배수시설을 한 뒤에 작업을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87.
고소작업대를 설치 및 이동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과 고소작업대는 가능하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것
2.
이동하는 경우에는 작업대를 가장 높게 올릴 것
3.
이동통로의 요철상태 또는 장애물의 유무 등을 확인 할 것
4.
갑작스러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웃트리거 또는 브레이크 등을 확실히 사용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81%
88.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일정 한계 이상 감기지 않도록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는?
1.
훅해지장치
2.
권과방지장치
3.
비상정지장치
4.
과부하방지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권가방지장치: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데릭에 설치된 권상용 와이어로프 또는 지브 등의 기복(起伏)용 와이어로프의 권과(卷過)를 방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권가란 감을권에 과할과 과하게 감긴다는 뜻입니다 출처:네이버 [해설작성자 : 유완조]
파이핑(piping)현상에 의한 흙 댐(earth dam)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흙 댐의 하류측에 필터를 설치한다.
2.
흙 댐의 상류측에 차수판을 설치한다.
3.
흙 댐 내부에 점토코아(core)를 넣는다.
4.
흙 댐에서 물의 침투유도 길이를 짧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파이핑현상 - 사질지반의 지하수위 이하 굴착 시 수위차로 인해 상향의 침투류가 발생하여 전단강도 상실 - 흙이 물과 함께 분출하는 Quick sand의 진전된 현상 방지대책 - Filter 및 차수벽 설치 - 흙막이 근입깊이를 깊게(불투수층까지) - 약액주입 등의 굴착면 고결 - 지하수위저하 - 압성토공법 등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91.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에 따른 토목공사업에 해당되는 건설 건설공사현장에서 전담안전관리자 최소 1인을 두어야 하는 공사금액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50억원 이상
2.
180억원 이상
3.
210억원 이상
4.
250억원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70%
92.
공사용 가설도로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최고 경사도는 얼마인가?
1.
5%
2.
10%
3.
20%
4.
30%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제25조(가설도로) 사업주는 공사용 가설도로를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도로의 표면은 장비 및 차량이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하여야 한다. 2. 장비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진입로, 경사로 등은 주행하는 차량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 3. 도로와 작업장높이에 차가 있을 때는 바리케이트 또는 연석 등을 설치하여 차량의 위험 및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4. 도로는 배수를 위해 도로 중앙부를 약간 높게하거나 배수시설을 하여야 한다. 5. 운반로는 장비의 안전운행에 적합한 도로의 폭을 유지하여야 하며, 또한 모든 커브는 통상적인 도로폭보다 좀더 넓게 만들고 시계에 장애가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 6. 커브 구간에서는 차량이 가시거리의 절반이내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여야 한다. 7. 최고 허용경사도는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0퍼센트를 넘어서는 안된다. 8. 필요한 전기시설(교통신호등 포함.), 신호수, 표지판, 바리케이트, 노면표지등을 교통 안전운행을 위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9. 안전운행을 위하여 먼지가 일어나지 않도록 물을 뿌려주고 겨울철에는 눈이 쌓이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93.
강관비계 중 단관비계의 벽이음 및 버팀 설치 시 수직 및 수평 방향 조립간격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