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표준기구 중 일반적 사용범위가 10~150 L/min이고 정확도는 ±1.0%이며 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1.
건식가스 미터
2.
폐활량계
3.
열선 기류계
4.
유리 피스톤 미터
정답 : [
1
] 정답률 : 64%
28.
메틸에틸케톤이 20℃, 1기압에서 증기압이 71.2mmHg이면 공기 중 포화농도(ppm)는?
1.
63700
2.
73700
3.
83700
4.
93700
정답 : [
4
] 정답률 : 66%
29.
수동식 시료채취기(Passive Sampler)로 8시간 동안 벤젠을 포집하였다. 포집된 시료를 G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0,000 ng이었으며 공시료는 0 ng이었다. 회사에서 제시한 벤젠의 시료채취량은 35.6mL분이고 탈착효율은 0.96이라면 공기 중 농도는 몇 ppm인가? (단, 벤젠의 분자량은 78, 25℃, 1기압 기준)
대부분의 다공성 중합체는 스티렌, 에틸비닐벤젠 혹은 디비닐벤젠 중 하나와 극성을 띤 비닐화합물과의 공중합체이다.
4.
상품명으로는 Tenax tube, XAD tube 등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다공성중합체> 활성탄보다 비표면적, 흡착용량, 반응성은 작지만 특수한 물질채취에 유용하다. 특별한 물질에 대하여 선택성이 좋은 경우가 있다. 아주 적은 양도 흡착제로부터 효율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다.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열탈착이 가능하다. 저농도 측정이 가능하다.
아민류 글리콜류는 비가역적 흡착이 발생
31.
흡착제를 이용하여 시료채취를 할 때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 : 고온일수록 흡착능이 감소하여 파과가 일어나기 쉽다.
2.
시료채취속도 : 시료채취속도가 높고 코팅된 흡착제일수록 파과가 일어나기 쉽다.
3.
오염물질 농도 : 공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파과용량(흡착제에 흡착된 오염물질의 양)이 감소한다.
4.
습도 : 극성 흡착제를 사용할 때 수증기가 흡착되기 때문에 파과가 일어나기 쉽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32.
실내공간이 100m3인 빈 실험실에 MEK(methyl ethyl ketone) 2mL가 기화되어 완전히 혼합되었다고 가정하면 이 때 실내의 MEK농도는 몇 ppm인가? (단, MEK qlwnd=0.805, 분자량=72.1, 25℃, 1기압 기준)
<문제 해설> 수동식 시료채취기는 오염물질의 확산, 투과를 이용하므로 농도구배의 영향을 받는다. 확산포집기라고도 한다.
34.
조선소에서 용접흄(분진)을 측정한 결과 여과지의 포집전 무게는(3회 평균) 0.03561g이었고, 포집 후 무게(3회 평균)는 0.03901g 이었다. 이 때 용접흄(분진)의 농도는? (단, 포집유량은 분당 1.7L, 190분 포집)
1.
약 4.2mg/m3
2.
약 5.3mg/m3
3.
약 8.1mg/m3
4.
약 10.5mg/m3
정답 : [
4
] 정답률 : 55%
35.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막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에 쉽게 용해된다.
2.
중금속 시료채취에 유리하다.
3.
유해물질이 표면에 주로 침착된다.
4.
흡습성이 적어 중량분석에 적당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36.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호흡성먼지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이 때 기하평균농도는? (단, 단위는 mg/m3)
1.
3.04
2.
3.24
3.
3.54
4.
3.74
정답 : [
2
] 정답률 : 67%
37.
흡광광도 측정에서 최초광의 70%가 흡수될 경우 흡광도는?
1.
0.28
2.
0.35
3.
0.52
4.
0.73
정답 : [
3
] 정답률 : 53%
38.
금속제품을 탈지 세정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의 근로자 노출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과거의 노출농도를 조사해 본 결과, 평균 50ppm이었다. 활성탄관(100mg/50mg)을 이용하여 0.4L/min으로 채취하였다면 채취해야 할 최소한의 시간(분)은? (단,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분자량 : 131.39, 가스크로마토 그래피의 장량한계 : 시료당0.5mg, 1기압, 25℃ 기준으로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약 4.7분
2.
약 6.2분
3.
약 8.6분
4.
약 9.3분
정답 : [
1
] 정답률 : 43%
39.
실리카겔이 활성탄에 비해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극성물질을 채취한 경우 물, 메탄올 등 다양한 용매로 쉽게 탈착되고, 추출액이 화학분석이나 기기분석에 방해 물질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다음 중 작업자의 호흡작용에 있어서 호흡공기와 혈액사이에 기체교환이 가장 비활성적인 곳은?
1.
기도(trachea)
2.
폐포낭(Alveolar sac)
3.
폐포(Alveoli)
4.
폐포관(Alveolar duct)
정답 : [
1
] 정답률 : 61%
85.
다음 중 규폐증(silicosis)을 잘 일으키는 먼지의 종류와 크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Si02 함유먼지 0.1μm의 크기
2.
Si02 함유먼지 0.5~5μm의 크기
3.
석면 함유먼지 0.1μm의 크기
4.
석면 함유먼지 0.5~5μm의 크기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유리규산(SiO2)함유 먼지 0.5 ~ 5um의 크기에서 잘 발생한다. 석재공장, 주물공장, 내화벽돌 제조, 도자기 제조 등에서 발생하는 유리규산이 규폐증의 주 원인 유리규산(석영) 분진에 의한 규폐성 결정과 폐포벽 파괴 등 망상내피계 반응은 분진입자의 크기가 2~5um일때 자주 일어난다.
86.
다음 중 산업위생관리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WA는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을 의미한다.
2.
LEL은 생물학적 허용기준을 의미한다.
3.
TLV는 유해물질의 허용농도를 의미한다.
4.
STEL은 단시간노출기준을 의미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LEL(Lower Explosive Limit)은 폭발농도 하한치를 의미한다.
87.
중금속에 중독되었을 경우에 치료제로서 BAL이나 CaEDTA 등 금속배설 촉진제를 투여해서는 안되는 중금속은?
1.
납
2.
카드뮴
3.
수은
4.
망간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BAL, Ca-EDTA를 투여하면 신장에 대한 독성작용이 더욱 심해지므로 금한다. (카드뮴)
88.
다음 중 유해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건강영향)을 좌우하는 인자로 그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유해물질의 밀도
2.
유해물질의 노출시간
3.
개인의 감수성
4.
호흡량
정답 : [
1
] 정답률 : 48%
89.
다음 중 호흡기계로 들어온 입자상 물질에 대한 제거기전의 조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면역작용과 대식세포의 작용
2.
폐포의 활발한 가스교환과 대식세포의 작용
3.
점액 섬모운동과 대식세포에 의한 정화
4.
점액 섬모운동과 면역작용에 의한 정화
정답 : [
3
] 정답률 : 72%
90.
뇨 중 화학물질 A의 농도는 28mg/mL, 단위시간당 배설 되는 뇨의 부피는 1.5mL/min, 혈장 중 화학물질 A의 농도가 0.2mg/mL라면 단위시간당 화학물질 A의 제거율(mL/min)은 얼마인가?
1.
120
2.
180
3.
210
4.
250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제거율: 28mg/mL X 1.5mL/min / 0.2mg/mL
91.
다음 중 ACGIH에서 발암등급 “A1”으로 정하고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석면
2.
6가크롬 화합물
3.
우라늄
4.
텅스텐
정답 : [
4
] 정답률 : 75%
92.
표의 석면분진 노출과 폐암과의 관계를 참고하여 석면분진에 노출된 근로자가 노출이 되지 않은 근로자에 비해 폐암이 발생될 수 있는 비교위험도(relative risk)를 올바르게 나타낸 식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상대위험비= 노출군에서의 질병발생률/비노출군에서의 빌병발생률 위험요인이 있는 해당군의 질병 발생률 / 위험요인이 없는 해당 군의 질병 발생률 상대위험비 = 1 노출과 질병 사이의 연관성이 없음 상대위험비 > 1 위험의 증가를 의미 상대위험비 < 1 질병에 대한 방어효과가 있음
93.
다음 중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화학물질의 종합적인 흡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2.
생물학적 시료를 분석하는 것은 작업환경 측정보다 훨씬 복잡하고 취급이 어렵다.
3.
노출기준을 가진 화학물질의 수보다 BEI를 가지는 화학물질의 수가 더 많다.
4.
근로자의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 정도를 소변, 호기, 혈액 중에서 그 물질이나 대사산물을 측정함으로써 노출 정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 생물학적 시료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특이성이 없는 경우가 많아 BEI(생물학적 노출지수)와 건강상의 영향과의 상관이 없는경우가 많다 [해설작성자 : 최씨네]
94.
유기용제류의 산업중독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간장 장애를 일으킨다.
2.
중추신경계에 작응하여 마취, 환각현상을 일으킨다.
3.
장기간 노출되어도 만성중독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4.
유기용제는 지방, 콜레스테롤 등 각종 유기물질을 녹이는 성질 때문에 여러 조직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2차 표준기구 중 일반적 사용범위가 10~150 L/min이고 정확도는 ±1.0%이며 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1.
건식가스 미터
2.
폐활량계
3.
열선 기류계
4.
유리 피스톤 미터
정답 : [
1
] 정답률 : 64%
28.
메틸에틸케톤이 20℃, 1기압에서 증기압이 71.2mmHg이면 공기 중 포화농도(ppm)는?
1.
63700
2.
73700
3.
83700
4.
93700
정답 : [
4
] 정답률 : 66%
29.
수동식 시료채취기(Passive Sampler)로 8시간 동안 벤젠을 포집하였다. 포집된 시료를 G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0,000 ng이었으며 공시료는 0 ng이었다. 회사에서 제시한 벤젠의 시료채취량은 35.6mL분이고 탈착효율은 0.96이라면 공기 중 농도는 몇 ppm인가? (단, 벤젠의 분자량은 78, 25℃, 1기압 기준)
대부분의 다공성 중합체는 스티렌, 에틸비닐벤젠 혹은 디비닐벤젠 중 하나와 극성을 띤 비닐화합물과의 공중합체이다.
4.
상품명으로는 Tenax tube, XAD tube 등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다공성중합체> 활성탄보다 비표면적, 흡착용량, 반응성은 작지만 특수한 물질채취에 유용하다. 특별한 물질에 대하여 선택성이 좋은 경우가 있다. 아주 적은 양도 흡착제로부터 효율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다.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열탈착이 가능하다. 저농도 측정이 가능하다.
아민류 글리콜류는 비가역적 흡착이 발생
31.
흡착제를 이용하여 시료채취를 할 때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 : 고온일수록 흡착능이 감소하여 파과가 일어나기 쉽다.
2.
시료채취속도 : 시료채취속도가 높고 코팅된 흡착제일수록 파과가 일어나기 쉽다.
3.
오염물질 농도 : 공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파과용량(흡착제에 흡착된 오염물질의 양)이 감소한다.
4.
습도 : 극성 흡착제를 사용할 때 수증기가 흡착되기 때문에 파과가 일어나기 쉽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32.
실내공간이 100m3인 빈 실험실에 MEK(methyl ethyl ketone) 2mL가 기화되어 완전히 혼합되었다고 가정하면 이 때 실내의 MEK농도는 몇 ppm인가? (단, MEK qlwnd=0.805, 분자량=72.1, 25℃, 1기압 기준)
<문제 해설> 수동식 시료채취기는 오염물질의 확산, 투과를 이용하므로 농도구배의 영향을 받는다. 확산포집기라고도 한다.
34.
조선소에서 용접흄(분진)을 측정한 결과 여과지의 포집전 무게는(3회 평균) 0.03561g이었고, 포집 후 무게(3회 평균)는 0.03901g 이었다. 이 때 용접흄(분진)의 농도는? (단, 포집유량은 분당 1.7L, 190분 포집)
1.
약 4.2mg/m3
2.
약 5.3mg/m3
3.
약 8.1mg/m3
4.
약 10.5mg/m3
정답 : [
4
] 정답률 : 55%
35.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막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에 쉽게 용해된다.
2.
중금속 시료채취에 유리하다.
3.
유해물질이 표면에 주로 침착된다.
4.
흡습성이 적어 중량분석에 적당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36.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호흡성먼지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이 때 기하평균농도는? (단, 단위는 mg/m3)
1.
3.04
2.
3.24
3.
3.54
4.
3.74
정답 : [
2
] 정답률 : 67%
37.
흡광광도 측정에서 최초광의 70%가 흡수될 경우 흡광도는?
1.
0.28
2.
0.35
3.
0.52
4.
0.73
정답 : [
3
] 정답률 : 53%
38.
금속제품을 탈지 세정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의 근로자 노출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과거의 노출농도를 조사해 본 결과, 평균 50ppm이었다. 활성탄관(100mg/50mg)을 이용하여 0.4L/min으로 채취하였다면 채취해야 할 최소한의 시간(분)은? (단,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분자량 : 131.39, 가스크로마토 그래피의 장량한계 : 시료당0.5mg, 1기압, 25℃ 기준으로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약 4.7분
2.
약 6.2분
3.
약 8.6분
4.
약 9.3분
정답 : [
1
] 정답률 : 43%
39.
실리카겔이 활성탄에 비해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극성물질을 채취한 경우 물, 메탄올 등 다양한 용매로 쉽게 탈착되고, 추출액이 화학분석이나 기기분석에 방해 물질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다음 중 작업자의 호흡작용에 있어서 호흡공기와 혈액사이에 기체교환이 가장 비활성적인 곳은?
1.
기도(trachea)
2.
폐포낭(Alveolar sac)
3.
폐포(Alveoli)
4.
폐포관(Alveolar duct)
정답 : [
1
] 정답률 : 61%
85.
다음 중 규폐증(silicosis)을 잘 일으키는 먼지의 종류와 크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Si02 함유먼지 0.1μm의 크기
2.
Si02 함유먼지 0.5~5μm의 크기
3.
석면 함유먼지 0.1μm의 크기
4.
석면 함유먼지 0.5~5μm의 크기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유리규산(SiO2)함유 먼지 0.5 ~ 5um의 크기에서 잘 발생한다. 석재공장, 주물공장, 내화벽돌 제조, 도자기 제조 등에서 발생하는 유리규산이 규폐증의 주 원인 유리규산(석영) 분진에 의한 규폐성 결정과 폐포벽 파괴 등 망상내피계 반응은 분진입자의 크기가 2~5um일때 자주 일어난다.
86.
다음 중 산업위생관리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WA는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을 의미한다.
2.
LEL은 생물학적 허용기준을 의미한다.
3.
TLV는 유해물질의 허용농도를 의미한다.
4.
STEL은 단시간노출기준을 의미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LEL(Lower Explosive Limit)은 폭발농도 하한치를 의미한다.
87.
중금속에 중독되었을 경우에 치료제로서 BAL이나 CaEDTA 등 금속배설 촉진제를 투여해서는 안되는 중금속은?
1.
납
2.
카드뮴
3.
수은
4.
망간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BAL, Ca-EDTA를 투여하면 신장에 대한 독성작용이 더욱 심해지므로 금한다. (카드뮴)
88.
다음 중 유해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건강영향)을 좌우하는 인자로 그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유해물질의 밀도
2.
유해물질의 노출시간
3.
개인의 감수성
4.
호흡량
정답 : [
1
] 정답률 : 48%
89.
다음 중 호흡기계로 들어온 입자상 물질에 대한 제거기전의 조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면역작용과 대식세포의 작용
2.
폐포의 활발한 가스교환과 대식세포의 작용
3.
점액 섬모운동과 대식세포에 의한 정화
4.
점액 섬모운동과 면역작용에 의한 정화
정답 : [
3
] 정답률 : 72%
90.
뇨 중 화학물질 A의 농도는 28mg/mL, 단위시간당 배설 되는 뇨의 부피는 1.5mL/min, 혈장 중 화학물질 A의 농도가 0.2mg/mL라면 단위시간당 화학물질 A의 제거율(mL/min)은 얼마인가?
1.
120
2.
180
3.
210
4.
250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제거율: 28mg/mL X 1.5mL/min / 0.2mg/mL
91.
다음 중 ACGIH에서 발암등급 “A1”으로 정하고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석면
2.
6가크롬 화합물
3.
우라늄
4.
텅스텐
정답 : [
4
] 정답률 : 75%
92.
표의 석면분진 노출과 폐암과의 관계를 참고하여 석면분진에 노출된 근로자가 노출이 되지 않은 근로자에 비해 폐암이 발생될 수 있는 비교위험도(relative risk)를 올바르게 나타낸 식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상대위험비= 노출군에서의 질병발생률/비노출군에서의 빌병발생률 위험요인이 있는 해당군의 질병 발생률 / 위험요인이 없는 해당 군의 질병 발생률 상대위험비 = 1 노출과 질병 사이의 연관성이 없음 상대위험비 > 1 위험의 증가를 의미 상대위험비 < 1 질병에 대한 방어효과가 있음
93.
다음 중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화학물질의 종합적인 흡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2.
생물학적 시료를 분석하는 것은 작업환경 측정보다 훨씬 복잡하고 취급이 어렵다.
3.
노출기준을 가진 화학물질의 수보다 BEI를 가지는 화학물질의 수가 더 많다.
4.
근로자의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 정도를 소변, 호기, 혈액 중에서 그 물질이나 대사산물을 측정함으로써 노출 정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 생물학적 시료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특이성이 없는 경우가 많아 BEI(생물학적 노출지수)와 건강상의 영향과의 상관이 없는경우가 많다 [해설작성자 : 최씨네]
94.
유기용제류의 산업중독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간장 장애를 일으킨다.
2.
중추신경계에 작응하여 마취, 환각현상을 일으킨다.
3.
장기간 노출되어도 만성중독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4.
유기용제는 지방, 콜레스테롤 등 각종 유기물질을 녹이는 성질 때문에 여러 조직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