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밸브의 압력이 높은 만큼 가스의 분사량이 증가하므로 규정보다 높은 압력으로 조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압축기가 1대일 때 고압차단 장치는 흡입밸브에 부착한다.
4.
유압보호 스위치는 압축기에서 유압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번 보기 : 안전밸브는 설계압력 또는 최고허용압력의 설정값(예를 들어 110%) 이하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3번 보기 : 압축기가 1대일 때 고압차단장치는 압축기와 토출측 밸브 사이에 부착한다. 4번 보기 : 유압보호 스위치는 압축기에서 유압이 일정 압력 이하가 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36.
다음 그림은 이상적인 냉동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이 맞지 않는 것은?
1.
Ⓐ 과정은 단열팽창이다.
2.
Ⓑ 과정은 등온압축이다.
3.
Ⓒ 과정은 단열압축이다.
4.
Ⓓ 과정은 등온압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37.
용량조절장치가 있는 프레온냉동장치에서 무부하(unload) 운전시 냉동유 반송을 위한 압축기의 흡입관 배관방법은?
1.
압축기를 증발기 밑에 설치한다.
2.
2중 수직 상승관을 사용한다.
3.
수평관에 트랩을 설치한다.
4.
흡입관을 가능한 길게 배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38.
냉동장치에서 일원 냉동사이클과 이원 냉동사이클의 가장 큰 차이점은?
1.
압축기의 대수
2.
증발기의 수
3.
냉동장치내의 냉매 종류
4.
중간냉각기의 유무
정답 : [
3
] 정답률 : 61%
39.
왕복동식 압축기의 회전수를 n(rpm), 피스톤의 행정을 S(m)라 하면 피스톤의 평균속도 Vm(m/s)를 나타내는 식은?
다음 중 일반적인 덕트의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단, ㉮ 송풍량 결정, ㉯ 취출구ㆍ흡입구 위치 결정, ㉰ 덕트경로 결정, ㉱ 덕트 치수 결정, ㉲ 송풍기 선정이다.)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룸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요 송풍량을 결정하고 급기, 환기 위치를 결정한다. 이후 공기이동의 덕트경로를 정하고 이에따라 치수를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송풍기를 선정한다가 정답이다. 단 실무에서는 송풍량이 결정되면 어떤사양의 송풍기를 사용할지도 동시검토되는 경우도 많다. [해설작성자 : 류원수]
48.
다음 습공기 선도(h-x선도)상에서 공기의 상태가 1에서 2로 변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건구온도의 감소
2.
절대습도 감소
3.
습구온도 감소
4.
상대습도 감소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상대습도는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Amd64]
49.
열회수방식 중 공조설비의 에너지 절약기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외기 도입량이 많고 운전시간이 긴 시설에서 효과가 큰 것은?
1.
잠열교환기 방식
2.
현열교환기 방식
3.
비열교환기 방식
4.
전열교환기 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73%
50.
다음 기기 중 열원 설비에 해당하는 것은?
1.
히트펌프
2.
송풍기
3.
팬 코일 유닛
4.
공기조화기
정답 : [
1
] 정답률 : 81%
5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잠열은 0℃의 물을 가열하여 100℃의 증기로 변할 때까지 가하여진 열량이다.
2.
잠열은 100℃의 물이 증발하는데 필요한 열량으로서 증기의 압력과는 관계없이 일정하다.
3.
임계점에서는 물과 증기의 비체적이 같다.
4.
증기의 정적비열은 정압비열보다 항상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100℃의 물을 100℃의 증기로 2. 증기의 압력에따라 값이 변한다 4. 정압비열은 정적비열보다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유리면을 통한 태양복사열량이 달라 질 수 있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건물의 높이
2.
차폐의 유무
3.
태양입사각
4.
계절
정답 : [
1
] 정답률 : 61%
53.
공기조화설비는 공기조화기, 열원장치 등 4대 주요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4대 주요장치의 하나인 공기조화기에 해당되는 것이 아닌 것은?
제어편차가 검출될 때 편차가 변화하는 속도에 비례하여 조작량을 가감하도록 하는 제어로 오차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제어동작은?
1.
ON/OFF 제어 동작
2.
미분 제어 동작
3.
적분 제어 동작
4.
비례 제어 동작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ON/OFF 동작 : 제어량이 설정값에서 어긋나면 조작부를 개폐하여 운전을 정지하거나 기동하는 것으로 제어결과가 사이클링 및 오프셋을 일으키는 결점이 있다. 대부분의 프로세스 제어계에서 이용하나 응답속도가 요구되는 제어계에는 사용할수 없다. 3. 적분제어동작 : 오차의 크기와 오차가 발생하고 있는 시간에 둘러싸인 면적 즉 적분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작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잔류오차가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4. 비례제어동작 : 조절부의 전달특성이 비례적인 특성을 가진 제어시스템으로 정상오차를 수반한다. 사이클링은 없으나 잔류편차가 생기는 결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서문형]
76.
방사성 위험물을 원격으로 조작하는 인공수(人工手; manipulator)에 사용되는 제어계는?
1.
시퀀스 제어
2.
서보계
3.
자동조정
4.
프로세스 제어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서보계는 방사성 위험물을 원격으로 조작하는 인공수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22]
77.
논리식 A=X(X+Y)를 간단히 하면?
1.
A=X
2.
A=Y
3.
A=X+Y
4.
A=XㆍY
정답 : [
1
] 정답률 : 64%
78.
절연저항 측정 시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메거에 의한 방법
2.
전압, 전류계에 의한 방법
3.
전위차계에 의한 방법
4.
더블브리지에 의한 방법
정답 : [
1
] 정답률 : 74%
79.
도체가 대전된 경우 도체의 성질과 전하분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하는 도체 표면에만 존재한다.
2.
도체는 등전위이고 표면은 등전위면이다.
3.
도체 표면상의 전계는 면에 대하여 수직이다.
4.
도체 내부의 전계는 ∞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도체 내부의 전계(전기력선)는 0이다. 즉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서문형]
80.
자동제어계의 응답 중 입력과 출력사이의 최대 편차량은?
1.
오차
2.
오버슈트
3.
외란
4.
감쇄비
정답 : [
2
] 정답률 : 72%
81.
강관 접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나사접합
2.
플랜지접합
3.
용접접합
4.
몰코접합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몰코접합(SR Joint)--스테인리스 강관이음 방법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열교환기 입구에 설치하여 탱크 내의 온도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며, 열매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탱크 내의 온도를 설정범위로 유지시키는 밸브는?
1.
감압 밸브
2.
플랩 밸브
3.
바이패스 밸브
4.
온도조절 밸브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감압밸브 : 유체의 압력이 사용 목적보다 높을 때 이것을 감압하고, 또 감압한 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밸브 2. 플랩밸브 : 체크밸브의 일종 3. 바이패스 밸브 : 배관계통에 고장과 일시적인 응급사항에 대비하기 위해 바이패스에 설치하는 밸브이며, 바이패스의 개폐 및 분기, 유량의 조절 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서문형]
90.
급탕 배관에서 설치되는 팽창관의 설치위치로 적당한 것은?
1.
순환펌프와 가열장치 사이
2.
급탕관과 환수관 사이
3.
가열장치와 고가탱크 사이
4.
반탕관과 순환펌프 사이
정답 : [
3
] 정답률 : 58%
91.
우수배관 시공 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우수배관은 온도에 따른 관의 신축에 대응하기 위해 오프셋 부분을 둔다.
2.
우수 수직관은 건물 내부에 배관하는 경우와 건물 외벽에 배관하는 경우가 있다.
3.
우수 수직관은 다른 기구의 배수관과 접속시켜 통기관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우수 수평관을 다른 배수관과 접속할 때에는 우수배수관을 통해 하수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U자 트랩을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우수관과 다른 배수관을 겸용시키면 배수관이 만수할 경에에 빗물이 위생기구 등에서 실내로 침입해 오게 되고, 또 다량의 강우시에는 기구의 트랩봉수가 파괴될 우려도 있기 때문에 우수관은 일반 배수관이나 통기관을 겸용 해서는 안된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안전밸브의 압력이 높은 만큼 가스의 분사량이 증가하므로 규정보다 높은 압력으로 조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압축기가 1대일 때 고압차단 장치는 흡입밸브에 부착한다.
4.
유압보호 스위치는 압축기에서 유압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번 보기 : 안전밸브는 설계압력 또는 최고허용압력의 설정값(예를 들어 110%) 이하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3번 보기 : 압축기가 1대일 때 고압차단장치는 압축기와 토출측 밸브 사이에 부착한다. 4번 보기 : 유압보호 스위치는 압축기에서 유압이 일정 압력 이하가 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36.
다음 그림은 이상적인 냉동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이 맞지 않는 것은?
1.
Ⓐ 과정은 단열팽창이다.
2.
Ⓑ 과정은 등온압축이다.
3.
Ⓒ 과정은 단열압축이다.
4.
Ⓓ 과정은 등온압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37.
용량조절장치가 있는 프레온냉동장치에서 무부하(unload) 운전시 냉동유 반송을 위한 압축기의 흡입관 배관방법은?
1.
압축기를 증발기 밑에 설치한다.
2.
2중 수직 상승관을 사용한다.
3.
수평관에 트랩을 설치한다.
4.
흡입관을 가능한 길게 배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38.
냉동장치에서 일원 냉동사이클과 이원 냉동사이클의 가장 큰 차이점은?
1.
압축기의 대수
2.
증발기의 수
3.
냉동장치내의 냉매 종류
4.
중간냉각기의 유무
정답 : [
3
] 정답률 : 61%
39.
왕복동식 압축기의 회전수를 n(rpm), 피스톤의 행정을 S(m)라 하면 피스톤의 평균속도 Vm(m/s)를 나타내는 식은?
다음 중 일반적인 덕트의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단, ㉮ 송풍량 결정, ㉯ 취출구ㆍ흡입구 위치 결정, ㉰ 덕트경로 결정, ㉱ 덕트 치수 결정, ㉲ 송풍기 선정이다.)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룸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요 송풍량을 결정하고 급기, 환기 위치를 결정한다. 이후 공기이동의 덕트경로를 정하고 이에따라 치수를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송풍기를 선정한다가 정답이다. 단 실무에서는 송풍량이 결정되면 어떤사양의 송풍기를 사용할지도 동시검토되는 경우도 많다. [해설작성자 : 류원수]
48.
다음 습공기 선도(h-x선도)상에서 공기의 상태가 1에서 2로 변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건구온도의 감소
2.
절대습도 감소
3.
습구온도 감소
4.
상대습도 감소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상대습도는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Amd64]
49.
열회수방식 중 공조설비의 에너지 절약기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외기 도입량이 많고 운전시간이 긴 시설에서 효과가 큰 것은?
1.
잠열교환기 방식
2.
현열교환기 방식
3.
비열교환기 방식
4.
전열교환기 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73%
50.
다음 기기 중 열원 설비에 해당하는 것은?
1.
히트펌프
2.
송풍기
3.
팬 코일 유닛
4.
공기조화기
정답 : [
1
] 정답률 : 81%
5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잠열은 0℃의 물을 가열하여 100℃의 증기로 변할 때까지 가하여진 열량이다.
2.
잠열은 100℃의 물이 증발하는데 필요한 열량으로서 증기의 압력과는 관계없이 일정하다.
3.
임계점에서는 물과 증기의 비체적이 같다.
4.
증기의 정적비열은 정압비열보다 항상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100℃의 물을 100℃의 증기로 2. 증기의 압력에따라 값이 변한다 4. 정압비열은 정적비열보다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유리면을 통한 태양복사열량이 달라 질 수 있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건물의 높이
2.
차폐의 유무
3.
태양입사각
4.
계절
정답 : [
1
] 정답률 : 61%
53.
공기조화설비는 공기조화기, 열원장치 등 4대 주요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4대 주요장치의 하나인 공기조화기에 해당되는 것이 아닌 것은?
제어편차가 검출될 때 편차가 변화하는 속도에 비례하여 조작량을 가감하도록 하는 제어로 오차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제어동작은?
1.
ON/OFF 제어 동작
2.
미분 제어 동작
3.
적분 제어 동작
4.
비례 제어 동작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ON/OFF 동작 : 제어량이 설정값에서 어긋나면 조작부를 개폐하여 운전을 정지하거나 기동하는 것으로 제어결과가 사이클링 및 오프셋을 일으키는 결점이 있다. 대부분의 프로세스 제어계에서 이용하나 응답속도가 요구되는 제어계에는 사용할수 없다. 3. 적분제어동작 : 오차의 크기와 오차가 발생하고 있는 시간에 둘러싸인 면적 즉 적분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작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잔류오차가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4. 비례제어동작 : 조절부의 전달특성이 비례적인 특성을 가진 제어시스템으로 정상오차를 수반한다. 사이클링은 없으나 잔류편차가 생기는 결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서문형]
76.
방사성 위험물을 원격으로 조작하는 인공수(人工手; manipulator)에 사용되는 제어계는?
1.
시퀀스 제어
2.
서보계
3.
자동조정
4.
프로세스 제어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서보계는 방사성 위험물을 원격으로 조작하는 인공수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22]
77.
논리식 A=X(X+Y)를 간단히 하면?
1.
A=X
2.
A=Y
3.
A=X+Y
4.
A=XㆍY
정답 : [
1
] 정답률 : 64%
78.
절연저항 측정 시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메거에 의한 방법
2.
전압, 전류계에 의한 방법
3.
전위차계에 의한 방법
4.
더블브리지에 의한 방법
정답 : [
1
] 정답률 : 74%
79.
도체가 대전된 경우 도체의 성질과 전하분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하는 도체 표면에만 존재한다.
2.
도체는 등전위이고 표면은 등전위면이다.
3.
도체 표면상의 전계는 면에 대하여 수직이다.
4.
도체 내부의 전계는 ∞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도체 내부의 전계(전기력선)는 0이다. 즉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서문형]
80.
자동제어계의 응답 중 입력과 출력사이의 최대 편차량은?
1.
오차
2.
오버슈트
3.
외란
4.
감쇄비
정답 : [
2
] 정답률 : 72%
81.
강관 접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나사접합
2.
플랜지접합
3.
용접접합
4.
몰코접합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몰코접합(SR Joint)--스테인리스 강관이음 방법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열교환기 입구에 설치하여 탱크 내의 온도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며, 열매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탱크 내의 온도를 설정범위로 유지시키는 밸브는?
1.
감압 밸브
2.
플랩 밸브
3.
바이패스 밸브
4.
온도조절 밸브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감압밸브 : 유체의 압력이 사용 목적보다 높을 때 이것을 감압하고, 또 감압한 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밸브 2. 플랩밸브 : 체크밸브의 일종 3. 바이패스 밸브 : 배관계통에 고장과 일시적인 응급사항에 대비하기 위해 바이패스에 설치하는 밸브이며, 바이패스의 개폐 및 분기, 유량의 조절 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서문형]
90.
급탕 배관에서 설치되는 팽창관의 설치위치로 적당한 것은?
1.
순환펌프와 가열장치 사이
2.
급탕관과 환수관 사이
3.
가열장치와 고가탱크 사이
4.
반탕관과 순환펌프 사이
정답 : [
3
] 정답률 : 58%
91.
우수배관 시공 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우수배관은 온도에 따른 관의 신축에 대응하기 위해 오프셋 부분을 둔다.
2.
우수 수직관은 건물 내부에 배관하는 경우와 건물 외벽에 배관하는 경우가 있다.
3.
우수 수직관은 다른 기구의 배수관과 접속시켜 통기관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우수 수평관을 다른 배수관과 접속할 때에는 우수배수관을 통해 하수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U자 트랩을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우수관과 다른 배수관을 겸용시키면 배수관이 만수할 경에에 빗물이 위생기구 등에서 실내로 침입해 오게 되고, 또 다량의 강우시에는 기구의 트랩봉수가 파괴될 우려도 있기 때문에 우수관은 일반 배수관이나 통기관을 겸용 해서는 안된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