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중 한글 Windows XP [제어판]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탕화면]탭은 바탕 화면의 배경을 사용자가 임의로 바꿀 수 있게 지원한다.
2.
[화면보호기]탭은 시스템을 켜둔 채 정해진 시간 동안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모니터를 보호하기 위해 화면 보호기의 작동 여부를 설정한다.
3.
[설정] 탭은 바탕화면의 글꼴의 크기만 변경 할 수 있다.
4.
[화면배색]탭은 창 및 단추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설정탭에서는 해상도 변경만 가능합니다.
2.
다음 중 Windows XP에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기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제조사와 모델명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2.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은 새로운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감지하며 스스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3.
모든 하드웨어 주변기기를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으로 설치할 수 있다.
4.
새로운 하드웨어는 반드시 제어판에서 새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를 더블 클릭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 컴퓨터에 사운드 카드, 통신카드, 모뎀 등과 같은 주변장치가 추가되더라도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설치만 하면 기기들의 인터럽트 입/출력 주소 등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을 의미한다.
3.
컴퓨터의 기억장치 중 고속의 처리 순으로 나열된 것은?
1.
레지스터 - 캐시메모리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2.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 캐시메모리 - 레지스터
3.
캐시메모리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 레지스터
4.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 - 캐시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레>캐>주>보 꼭 외워두세요.
4.
입출력장치와 기억장치 사이의 동작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1.
모뎀(modem)
2.
버퍼(buffer)
3.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4.
로더(loader)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동작속도차이 조절위해서는 임시기억장소인 버퍼가 사용됩니다.
5.
다음은 한글 Windows XP [탐색기]에서 텍스트파일(.txt 파일)을 여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워드패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열기>메뉴를 통하여 해당 파일을 불러온다.
2.
그림판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열기>메뉴를 통하여 해당 파일을 불러온다.
3.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에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팝업메뉴가 나오면 “열기”항목을 선택한다.
4.
해당 파일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Enter]키를 누른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그림판에서는 그림만 그려주세요. 텍스트 파일은 문서편집기에서만 가능합니다.
6.
다음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탐색기는 컴퓨터에 있는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의 계층적 구조를 표시한다.
2.
Windows 탐색기를 사용하여 파일 및 폴더를 복사하고, 옮기고, 이름을 바꾸고 검색할 수 있다.
3.
Windows 탐색기에서 Num Lock 숫자 키 패드의 별표(*)를 사용하면 선택한 폴더를 축소할 수 있다.
4.
Windows 탐색기에서 인쇄 기능을 사용하여 문서를 열지 않고도 바로 인쇄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별표(*)를 사용하면 선택한 폴더의 모든 하위폴더, 하위폴더의 하위폴더까지 다 빼서 보여줍니다.
7.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의미하는 용어는?
1.
Account
2.
Firewall
3.
Proxy
4.
Applet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Account(어카운트) -->계정이라고도 불리웁니다. 외워두세요.
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의 프린터 스풀(Spool)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프린터와 같은 저속의 입출력 장치를 CPU와 병행하여 작동시켜 컴퓨터의 전체 효율을 향상시켜 준다.
2.
프린터가 인쇄 중이라도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3.
인쇄 대기 중인 문서에 대해서는 용지방향, 용지공급 및 인쇄 매수와 같은 설정을 변경 할 수 있다.
4.
기본적으로 모든 사용자는 자신의 문서에 대한 인쇄를 일시 중지, 계속, 다시 시작, 취소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인쇄 전에는 가능하지만 인쇄명령을 내린후 대기중인 문서에 대해서는 불가능합니다.
9.
다음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것은?
1.
상대방과 채팅을 할 수 있다.
2.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다.
3.
상대방이 메신저에 접속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4.
상대방의 수락 없이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을 마음대로 실행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상대방의 허락이 있으면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다.
10.
다음의 하나의 분류 기준에 의하여 컴퓨터를 분류한 것이다. 다음 중 분류 기준이 다른 것은?
1.
하이브리드컴퓨터
2.
메인프레임컴퓨터
3.
마이크로컴퓨터
4.
슈퍼컴퓨터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디지털, 아날로그, 하이브리드가 같은 분류방식입니다.(취급 데이터에 따를 분류)
추가 설명 : 컴퓨터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나눕니다.
취급데이터에 따른분류 : 디지털, 아날로그, 하이브리드 성능이나 크기에 따른 분류 : 메인프레임, 서버급, 마이크로, 슈퍼컴, 노트북 등
위 1번 하이브리드는 취급 데이터에 따른 분류이므로 2,3,4번과는 다른 분류 입니다.
11.
다음 중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대용량의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한글 Windows Xp는 하드디스크의 일정 영역을 가상메모리로 사용한다.
3.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면 메모리 용량이 부족할 때 SWAP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처리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4.
가상 메모리 페이징 파일의 크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가상 메모리 페이징 파일의 크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추가해설 : 가상메모리란 실제 물리적 메모리가 부족하여 하드디스크등을 실제 메모리처럼 활용하는 기법(실제 메모리라고 컴퓨터를 속이는 일종의 트릭)입니다. 이는 하드 디스크를 메모리 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며 하드 디스크 가상 메모리 내용을 실제 물리적 메모리로 업로드(?) 하는 등의 swap 작업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떨어 지는 것이 사실입니다.(시스템다운이란 컴퓨터가 반응하지 않는 상태 즉 회복할수 없는 오류에 빠진것을 말하며 단순히 시스템 반응 속도가 떨어지거나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고 하여 다운이라고 하기는 힘듭니다. 시스템 다운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발생되며 가상메모리를 사용한다고 하여 다운 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추가 해설]
가상 메모리는 보조기억 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이다. 주기억 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해야 할 때 유용하다. [해설작성자 : 효니]
다음중 한글 Windows XP [제어판]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탕화면]탭은 바탕 화면의 배경을 사용자가 임의로 바꿀 수 있게 지원한다.
2.
[화면보호기]탭은 시스템을 켜둔 채 정해진 시간 동안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모니터를 보호하기 위해 화면 보호기의 작동 여부를 설정한다.
3.
[설정] 탭은 바탕화면의 글꼴의 크기만 변경 할 수 있다.
4.
[화면배색]탭은 창 및 단추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설정탭에서는 해상도 변경만 가능합니다.
2.
다음 중 Windows XP에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기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제조사와 모델명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2.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은 새로운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감지하며 스스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3.
모든 하드웨어 주변기기를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으로 설치할 수 있다.
4.
새로운 하드웨어는 반드시 제어판에서 새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를 더블 클릭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 컴퓨터에 사운드 카드, 통신카드, 모뎀 등과 같은 주변장치가 추가되더라도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설치만 하면 기기들의 인터럽트 입/출력 주소 등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을 의미한다.
3.
컴퓨터의 기억장치 중 고속의 처리 순으로 나열된 것은?
1.
레지스터 - 캐시메모리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2.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 캐시메모리 - 레지스터
3.
캐시메모리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 레지스터
4.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 - 캐시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레>캐>주>보 꼭 외워두세요.
4.
입출력장치와 기억장치 사이의 동작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1.
모뎀(modem)
2.
버퍼(buffer)
3.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4.
로더(loader)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동작속도차이 조절위해서는 임시기억장소인 버퍼가 사용됩니다.
5.
다음은 한글 Windows XP [탐색기]에서 텍스트파일(.txt 파일)을 여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워드패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열기>메뉴를 통하여 해당 파일을 불러온다.
2.
그림판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열기>메뉴를 통하여 해당 파일을 불러온다.
3.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에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팝업메뉴가 나오면 “열기”항목을 선택한다.
4.
해당 파일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Enter]키를 누른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그림판에서는 그림만 그려주세요. 텍스트 파일은 문서편집기에서만 가능합니다.
6.
다음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탐색기는 컴퓨터에 있는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의 계층적 구조를 표시한다.
2.
Windows 탐색기를 사용하여 파일 및 폴더를 복사하고, 옮기고, 이름을 바꾸고 검색할 수 있다.
3.
Windows 탐색기에서 Num Lock 숫자 키 패드의 별표(*)를 사용하면 선택한 폴더를 축소할 수 있다.
4.
Windows 탐색기에서 인쇄 기능을 사용하여 문서를 열지 않고도 바로 인쇄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별표(*)를 사용하면 선택한 폴더의 모든 하위폴더, 하위폴더의 하위폴더까지 다 빼서 보여줍니다.
7.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의미하는 용어는?
1.
Account
2.
Firewall
3.
Proxy
4.
Applet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Account(어카운트) -->계정이라고도 불리웁니다. 외워두세요.
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의 프린터 스풀(Spool)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프린터와 같은 저속의 입출력 장치를 CPU와 병행하여 작동시켜 컴퓨터의 전체 효율을 향상시켜 준다.
2.
프린터가 인쇄 중이라도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3.
인쇄 대기 중인 문서에 대해서는 용지방향, 용지공급 및 인쇄 매수와 같은 설정을 변경 할 수 있다.
4.
기본적으로 모든 사용자는 자신의 문서에 대한 인쇄를 일시 중지, 계속, 다시 시작, 취소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인쇄 전에는 가능하지만 인쇄명령을 내린후 대기중인 문서에 대해서는 불가능합니다.
9.
다음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것은?
1.
상대방과 채팅을 할 수 있다.
2.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다.
3.
상대방이 메신저에 접속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4.
상대방의 수락 없이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을 마음대로 실행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상대방의 허락이 있으면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다.
10.
다음의 하나의 분류 기준에 의하여 컴퓨터를 분류한 것이다. 다음 중 분류 기준이 다른 것은?
1.
하이브리드컴퓨터
2.
메인프레임컴퓨터
3.
마이크로컴퓨터
4.
슈퍼컴퓨터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디지털, 아날로그, 하이브리드가 같은 분류방식입니다.(취급 데이터에 따를 분류)
추가 설명 : 컴퓨터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나눕니다.
취급데이터에 따른분류 : 디지털, 아날로그, 하이브리드 성능이나 크기에 따른 분류 : 메인프레임, 서버급, 마이크로, 슈퍼컴, 노트북 등
위 1번 하이브리드는 취급 데이터에 따른 분류이므로 2,3,4번과는 다른 분류 입니다.
11.
다음 중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대용량의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한글 Windows Xp는 하드디스크의 일정 영역을 가상메모리로 사용한다.
3.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면 메모리 용량이 부족할 때 SWAP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처리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4.
가상 메모리 페이징 파일의 크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가상 메모리 페이징 파일의 크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추가해설 : 가상메모리란 실제 물리적 메모리가 부족하여 하드디스크등을 실제 메모리처럼 활용하는 기법(실제 메모리라고 컴퓨터를 속이는 일종의 트릭)입니다. 이는 하드 디스크를 메모리 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며 하드 디스크 가상 메모리 내용을 실제 물리적 메모리로 업로드(?) 하는 등의 swap 작업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떨어 지는 것이 사실입니다.(시스템다운이란 컴퓨터가 반응하지 않는 상태 즉 회복할수 없는 오류에 빠진것을 말하며 단순히 시스템 반응 속도가 떨어지거나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고 하여 다운이라고 하기는 힘듭니다. 시스템 다운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발생되며 가상메모리를 사용한다고 하여 다운 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추가 해설]
가상 메모리는 보조기억 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이다. 주기억 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해야 할 때 유용하다. [해설작성자 : 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