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Ctrl + C : 복사 Ctrl + V : 붙이기 Ctrl + P : 프린트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8.
차트에서의 데이터 레이블이란 각 계열에 대한 값이나 이름표 등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 중 원형차트에서 데이터 레이블을 부여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값 표시
2.
계열 이름 표시
3.
백분율 표시
4.
거품 크기 표시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거품 크기는 거품형 차트에서 표시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9.
아래 시트에서 [D2] 셀의 수식이 =A$2+$C2로 적혀 있었다. 이를 [D3] 셀에 복사했을 때 그 결과로 옳은 것은?
1.
110
2.
131
3.
140
4.
170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D3 = A$2+$C3 이므로 80 + 60 = 140 이 나옵니다.
30.
다음과 같이 값이 입력되어 있을 때, [B1] 셀에서 <Ctrl>+<↓> 키를 2회 누르는 경우, 어떠한 결과가 나오는가?
1.
바로 다음 셀인 [B2] 셀까지 이동한다.
2.
B열의 첫 번째 데이터가 입력된 셀 바로 전인 [B3] 셀까지 이동한다.
3.
B열의 첫 번째 데이터가 입력된 [B4] 셀까지 이동한다.
4.
B열의 마지막 데이터가 입력된 [B8] 셀까지 이동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B1셀에서 Ctrl + 아래키를 한번 누르게 되면 B4셀까지 간 후에 한번더 누르게 되면 B8셀까지 가게 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두산 김유빈]
31.
다음 중 함수식과 그 결과 값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식 : =LEFT("computer",3) 결과 : com
2.
수식 : =RIGHT("computer",3) 결과 : ter
3.
수식 : =INT("computer") 결과 : 8
4.
수식 : =MID("computer",4, 3) 결과 : put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INT는 가까운 정수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computer라는 문자를 쓰면 오류가 뜹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2.
워크시트 내의 데이터 목록 중에서 특정한 조건에 맞는 레코드들만 표시하고 나머지는 숨기려고 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정렬
2.
필터
3.
조건부 서식
4.
유효성 검사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필터란 내가 원하는 것만을 걸러내서 보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3.
다음 중 산술연산자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2.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3.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4.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3는 03월 03일 이랍니다 .
34.
다음 그림은 ‘서식도구모음’의 일부이다. 이름과 설명이 잘못연결된 것은?
1.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 선택된 범위의 셀을 병합 후 셀의 내용을 가로 가운데를 기준으로 정렬시킨다.
2.
자릿수 늘림 : 셀 데이터가 숫자일 경우 한 번 클릭할 때마다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한 자리씩 늘려 표시한다.
3.
자릿수 줄임 : 셀 데이터가 숫자일 경우 한 번 클릭할 때마다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한 자리씩 줄여 표시한다.
4.
들여쓰기 : 한 번 클릭할 때 마다 들여쓰기를 1씩 증가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화면에 보이는 그림 맨 마지막 표시는 들여쓰기가 아니고 내어쓰기입니다. 들여쓰기는 화살표가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5.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차트는?
1.
꺾은선형 차트
2.
분산형 차트
3.
세로 막대형 차트
4.
방사형 차트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문제를 보면 "추세를 보여주고자 할때" 라는 말이 있는데 추세선을 의미하는것이 꺾은선형 차트를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6.
수식을 복사할 때에 셀 주소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셀 주소에 $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키는?
1.
[Shit]+[Enter]
2.
[F4]
3.
[F6]
4.
[F5]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번을 실행하게 되면 친 셀과 똑같은 숫자가 나오게 되고, 3번을 실행하면 1번과 똑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4번을 실행하면 이동 이라는 창이 뜨게 된다. 하지만 2번을 실행하면 $이와 같은 표시가 남으로써 주소가 고정시켜 진다. [해설작성자 : 이다혜]
37.
4페이지의 분량을 인쇄하려고 한다. 이때 각 페이지 상단에 작성자의 이름을 넣으려 할 때 지정하는 옵션은?
1.
시트이름
2.
쪽 이름
3.
머리글
4.
여백지정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상단은 위쪽이어서 머리글 입니다.
38.
28-05-30을 입력한 후 [셀 서식]의 ‘표시 형식’ 탭에서 날짜 형식을 2001-3-14로 설정했을 때 셀에 표시되는 결과로 옳은 것은?
1.
2028-5-30
2.
2028-05-28
3.
1928-5-30
4.
1928-05-30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8은 년도를 의미하는데 엑셀에서는 1~29까지를 쓰면 2000년도가 되며 30~부터는 1900년도로 바뀝니다. 예를 들어 28-5-3 를 쓰면 2028-5-3 이라고 나오고 30-5-3을 입력하면 1930-5-3일이라고 나옵니다. 엑셀에서 실습을 해보면서 하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겁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9.
다음 시트에서 [A1]셀은 2003년 5월 30일을 표시한 것이다. 채우기 핸들을 끌었을 때 [A3]셀에 입력되는 것은?
1.
2005/5/30
2.
2003/7/30
3.
2003/6/1
4.
2005/7/30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날짜는 채우기 핸들로 끌게 되면 하루씩 증가를 하므로 A2는 2003/5/31 이고 A3는 2003/6/1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문제 해설> Ctrl + C : 복사 Ctrl + V : 붙이기 Ctrl + P : 프린트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8.
차트에서의 데이터 레이블이란 각 계열에 대한 값이나 이름표 등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 중 원형차트에서 데이터 레이블을 부여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값 표시
2.
계열 이름 표시
3.
백분율 표시
4.
거품 크기 표시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거품 크기는 거품형 차트에서 표시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9.
아래 시트에서 [D2] 셀의 수식이 =A$2+$C2로 적혀 있었다. 이를 [D3] 셀에 복사했을 때 그 결과로 옳은 것은?
1.
110
2.
131
3.
140
4.
170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D3 = A$2+$C3 이므로 80 + 60 = 140 이 나옵니다.
30.
다음과 같이 값이 입력되어 있을 때, [B1] 셀에서 <Ctrl>+<↓> 키를 2회 누르는 경우, 어떠한 결과가 나오는가?
1.
바로 다음 셀인 [B2] 셀까지 이동한다.
2.
B열의 첫 번째 데이터가 입력된 셀 바로 전인 [B3] 셀까지 이동한다.
3.
B열의 첫 번째 데이터가 입력된 [B4] 셀까지 이동한다.
4.
B열의 마지막 데이터가 입력된 [B8] 셀까지 이동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B1셀에서 Ctrl + 아래키를 한번 누르게 되면 B4셀까지 간 후에 한번더 누르게 되면 B8셀까지 가게 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두산 김유빈]
31.
다음 중 함수식과 그 결과 값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식 : =LEFT("computer",3) 결과 : com
2.
수식 : =RIGHT("computer",3) 결과 : ter
3.
수식 : =INT("computer") 결과 : 8
4.
수식 : =MID("computer",4, 3) 결과 : put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INT는 가까운 정수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computer라는 문자를 쓰면 오류가 뜹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2.
워크시트 내의 데이터 목록 중에서 특정한 조건에 맞는 레코드들만 표시하고 나머지는 숨기려고 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정렬
2.
필터
3.
조건부 서식
4.
유효성 검사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필터란 내가 원하는 것만을 걸러내서 보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3.
다음 중 산술연산자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2.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3.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4.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3는 03월 03일 이랍니다 .
34.
다음 그림은 ‘서식도구모음’의 일부이다. 이름과 설명이 잘못연결된 것은?
1.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 선택된 범위의 셀을 병합 후 셀의 내용을 가로 가운데를 기준으로 정렬시킨다.
2.
자릿수 늘림 : 셀 데이터가 숫자일 경우 한 번 클릭할 때마다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한 자리씩 늘려 표시한다.
3.
자릿수 줄임 : 셀 데이터가 숫자일 경우 한 번 클릭할 때마다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한 자리씩 줄여 표시한다.
4.
들여쓰기 : 한 번 클릭할 때 마다 들여쓰기를 1씩 증가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화면에 보이는 그림 맨 마지막 표시는 들여쓰기가 아니고 내어쓰기입니다. 들여쓰기는 화살표가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5.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차트는?
1.
꺾은선형 차트
2.
분산형 차트
3.
세로 막대형 차트
4.
방사형 차트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문제를 보면 "추세를 보여주고자 할때" 라는 말이 있는데 추세선을 의미하는것이 꺾은선형 차트를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6.
수식을 복사할 때에 셀 주소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셀 주소에 $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키는?
1.
[Shit]+[Enter]
2.
[F4]
3.
[F6]
4.
[F5]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번을 실행하게 되면 친 셀과 똑같은 숫자가 나오게 되고, 3번을 실행하면 1번과 똑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4번을 실행하면 이동 이라는 창이 뜨게 된다. 하지만 2번을 실행하면 $이와 같은 표시가 남으로써 주소가 고정시켜 진다. [해설작성자 : 이다혜]
37.
4페이지의 분량을 인쇄하려고 한다. 이때 각 페이지 상단에 작성자의 이름을 넣으려 할 때 지정하는 옵션은?
1.
시트이름
2.
쪽 이름
3.
머리글
4.
여백지정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상단은 위쪽이어서 머리글 입니다.
38.
28-05-30을 입력한 후 [셀 서식]의 ‘표시 형식’ 탭에서 날짜 형식을 2001-3-14로 설정했을 때 셀에 표시되는 결과로 옳은 것은?
1.
2028-5-30
2.
2028-05-28
3.
1928-5-30
4.
1928-05-30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8은 년도를 의미하는데 엑셀에서는 1~29까지를 쓰면 2000년도가 되며 30~부터는 1900년도로 바뀝니다. 예를 들어 28-5-3 를 쓰면 2028-5-3 이라고 나오고 30-5-3을 입력하면 1930-5-3일이라고 나옵니다. 엑셀에서 실습을 해보면서 하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겁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9.
다음 시트에서 [A1]셀은 2003년 5월 30일을 표시한 것이다. 채우기 핸들을 끌었을 때 [A3]셀에 입력되는 것은?
1.
2005/5/30
2.
2003/7/30
3.
2003/6/1
4.
2005/7/30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날짜는 채우기 핸들로 끌게 되면 하루씩 증가를 하므로 A2는 2003/5/31 이고 A3는 2003/6/1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