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지반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그 조작방법에 따라서 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으로 구분되는 지질조사 방법은?
1.
토층보링(boring)
2.
암반보링(boring)
3.
토양단면조사
4.
사운딩(sounding)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반조사 순서 : 사전조사 -예비조사 - 본조사 - 추가조사 [지반조사 = 토질조사] 1)지하탐사법 -터파보기 -짚어보기=쇠꽂이 찔러보기=탐사간 -물리적 지하탐사(탄성파,전기비저항,전자,레이더,중략탐사 등) 2)보링 3)샘플링 4)사운딩 ① 로드(rod)의 끝에 설치한 저항체를 지반에 삽입하여 관입, 회전, 인발 등의 저항으로 지반의 강도나 변형 특성을 알아보는 시험방법. ② 정적 사운딩과 동적 사운딩으로 구분함.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3.
도시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기능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민들에게 여가활동, 스포츠, 휴식 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2.
화재, 지진 등의 재해 시 도시민들이 신속 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피난처로 사용 된다.
3.
공원과 녹지로 구성되어 있기 보다는 주로 운동장이나 도로 등에 인공적 요소와 함께 구성되어 있다.
4.
자투리땅을 활용, 텃밭 등이 제공되어 도시농업을 가능 하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4.
도시공원은 그 기능 및 주제에 의하여 생활권 공원과 주제공원으로 세분화된다.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근린공원
2.
수변공원
3.
묘지공원
4.
체육공원
정답 : [
1
] 정답률 : 70%
5.
운전시 눈높이는 보행시 눈높이와 다르다. 운전시 각종표지판을 잘 볼 수 있는 적당한 높이는?
1.
1.07~1.2m
2.
1.5~1.7m
3.
2.07~2.3m
4.
2.5~3.05m
정답 : [
1
] 정답률 : 71%
6.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다른 법률에 의하여 공원, 관광단지, 자연휴양림 등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지역 중에서 생태적 경관적 가치 등이 높고 자연탐방 생태교육 등을 위하여 활용하기에 적합한 장소를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무엇을 지정할 수 있는가?
1.
경관지구
2.
보전관리지역
3.
자연휴식지
4.
도시녹화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자연휴식지[ 自然休息地스스로 자, 그럴 연, 쉴 휴, 쉴 식, 땅 지 ]
요약 생태적·경관적 가치가 높은 장소로 지정된 지역.
자연휴식년제와는 별도로 기존의 공원이나 관광단지·자연휴양림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 중에서 선정한 생태적·경관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이 지역에 대해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대상지역의 주요 자연자산을 선정·고시하며, 이용료를 징수하여 관리한다.
1997년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시장·군수가 도지사의 승인을 거쳐 지역을 지정하고, 대상지역의 관리와 기타 필요한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자연휴식지로 지정되면 탐방객에게 이용료를 징수하여 이를 재원으로 환경보전·이용시설의 설치계획이나 관리 및 활용계획 등을 수립하고, 자연탐방시설과 생태교육시설 등을 설치하여 이 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국내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 영월 동강(東江) 일대가 처음 지정되어 탐방객들로부터 일정액의 이용료를 징수하여 이를 바탕으로 이 지역의 생태계 보전업무가 체계적으로 관리된다.
공원에 인접해 있는 주택지를 차폐하려고 한다. 벤치에 앉아서 관망을 할 때, 벤치에서 주택까지의 거리는 50m, 주택의 높이는 3m일 때, 식재하려고 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20m 지점을 정하였다. 이 때 수목의 높이는 얼마가 좋은가? (단, 벤치에 앉아 있는 경우 눈의 높이는 11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인데, 두껍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중성화로 6∼7월에 피며 10∼15cm 크기이고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겼고 4∼5개이며, 처음에는 연한 자주색이던 것이 하늘색으로 되었다가 다시 연한 홍색이 된다. 꽃잎은 작으며 4∼5개이고, 수술은 10개 정도이며 암술은 퇴화하고 암술대는 3∼4개이다.
일본에서 개발(육종)된 것인데, 서양으로 간 것은 꽃이 보다 크고 연한 홍색, 짙은 홍색, 짙은 하늘색 등 화려하게 발전시켰다. 옛날에는 꽃을 말려 해열제로 사용하였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국 [Bigleaf hydrangea, 水菊]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무성-화1( 無性花 없을 무, 성품 성, 꽃 화 ) 식물 수술과 암술이 모두 퇴화하여 없는 꽃. 수국의 장식화나 해바라기 둘레의 설상화 따위가 있다.
무성화 1 無性化 명사 같은 종(種)의 개체에 암컷과 수컷의 구별이 없어짐. 또는 그렇게 함
중성화 2 中性花 명사 수술과 암술이 모두 퇴화하여 없는 꽃. 수국의 장식화나 해바라기 둘레의 설상화 따위가 있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5.
다음 중 수피에 코르크가 잘 발달하는 수목은?
1.
향나무
2.
졸참나무
3.
황벽나무
4.
푸조나무
정답 : [
3
] 정답률 : 61%
26.
정원수의 수형에 가장 예민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1.
수분
2.
영양분
3.
광선
4.
품종
정답 : [
3
] 정답률 : 79%
27.
벼과(科)의 정수식물로 수질정화 기능이 가장 강한 종은?
1.
갈대
2.
큰고랭이
3.
생이가래
4.
개연꽃
정답 : [
1
] 정답률 : 80%
28.
조경식재의 기능을 건축적, 공학적, 기상학적, 미적으로 구분할 때 기상학적 이용효과에 해당하는 것은?
1.
대기 정화작용
2.
섬광조절
3.
태양복사열 조절작용
4.
조류 및 동물유인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식재의 이용 효과★★ ① 식물의 공학적 이용 효과 ㉠ 토양침식 조절 ㉡ 음향의 조절(소음조절) ㉢ 대기정화 작용 ㉣ 섬광 조절(자연광, 인조광 조절) ㉤ 반사광선 조절 ㉥ 통행 조절
② 식물의 기상학적 이용 효과 ㉠ 태양복사열 조절 ㉡ 온도조절 작용 ㉢ 강수 조절 ㉣ 습도 조절 ㉤ 바람 조절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9.
지상의 줄기가 일 년 넘게 생존을 지속하며 목질화 되어 비대성장을 하는 만경목(蔓莖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마삭줄, 담장이덩굴
2.
인동덩굴, 능소화
3.
송악, 으름덩굴
4.
작약, 멀꿀
정답 : [
4
] 정답률 : 83%
30.
다음 중 목련과(科)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태산목은 상록활엽교목이다.
2.
목련은 중국원산이고 백목련은 한국원산이다.
3.
함박꽃나무, 백합나무는 모두 꽃보다 잎이 먼저 난다.
4.
일본목련은 5월에 잎이 핀 다음 꽃이 가지 끝에 한개씩 달리며, 강렬한 꽃향기가 있는 방향성 수종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백목련은 중국 원산이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31.
다음 중 식생조사와 관련된 용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체수:조사구 내의 개체수로서 어떤 식물종의 수를 하나하나 세어서 계산한다. 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어떤 식물종이 나타나 조사구를 총 조사구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2.
빈도 : 어떤 군집에 있어서 구성종의 분포상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어떤 식물종이 나타나 조사구를 총 조사구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3.
피도:군집에 있어서 모든 종의 투영면적 가운데 한 종의 투영면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상대피도라고 한다.
4.
군도:단위면적당 개체수로서, 총 조사면적 또는 조사된 방형구 가운데 어떤 종의 개체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군도 : 조사구 내의 개개 식물의 배분상태 밀도 :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 절대밀도 : 어떤 종의 총개체수/조사한 총면적 x 100
32.
다음 중 꽃보다 잎이 먼저 나오는 수종은?
1.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2.
Cercis chinensis Bunge
3.
Forsythia Koreana Nakai
4.
Magnolia sieboldii K.Koch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 박태기 나무도 꽃보다 잎이 먼저 나오는 수종입니당
[오류신고 반론] 박태기 나무는 선화후엽에 해당하는 수종입니다. 따라서 해당 문제에 잎이 먼저 나오는 수종은 함박꽃나무 밖에 없습니다.
33.
차폐식재용 수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편백, 향나무
2.
눈향나무, 둥근향나무
3.
회양목, 꽝꽝나무
4.
사철나무, 아까시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58%
34.
다음 중 화백과 편백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편백은 수관이 둔원추형(鈍圓錐形)이고, 수피는 붉은 기가 진하며 박리하는 껍질의 폭이 넓다.
기술적인 관리유형으로서 본래의 기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며, 크게 수목과 시설물의 관리로 구분되는 것은?
1.
이용관리
2.
운영관리
3.
유지관리
4.
경영관리
정답 : [
3
] 정답률 : 82%
6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영양 원소는?
1.
Cl
2.
B
3.
Mo
4.
Zn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B : 붕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레크레이션 공간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관리 전략은?
1.
폐쇄 후 육성관리
2.
폐쇄 후 자연회복형
3.
계속적인 개방·이용상태 하에서 육성관리
4.
순환식 개방에 의한 휴식기간 확보
정답 : [
3
] 정답률 : 74%
65.
녹병균 중에서 기주교대(寄主交代)는 다음 어느 경우에 이루어지는가?
1.
동종 기생성
2.
이종 기생성
3.
수종(數種) 기생성
4.
이주(異株) 기생성
정답 : [
2
] 정답률 : 61%
66.
음수대의 보수방법 중 인조석바르기의 마무리 작업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번 바를 때의 두께는 6mm 이하로 하여 충분히 누르면서 바른다.
2.
바름면은 바람 또는 직사광선 등에 의한 급속한 건조를 피하고 동절기에는 보온양생한다.
3.
인조석이 잘 부착되도록 본체의 바탕면을 거칠게 한 후 물축임을 한다.
4.
초벌 바름 후 바름이 마르기 전에 바로 재벌 및 정벌 바름을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67.
수목 전정시 소나무 순자르기(摘芯)가 적합한 시기는?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1
] 정답률 : 72%
68.
다음 중 비탈면 우수침식방지를 위한 식생공법이 아닌 것은?
1.
종자 뿜어붙이기공법
2.
유묘 식재공법
3.
식생 매트공법
4.
떼 붙임 공법
정답 : [
2
] 정답률 : 72%
69.
다음 중 곤충의 외부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슴은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의 3부분으로 구분된다.
2.
일반적으로 각 가슴에 1쌍씩의 다리가 있다.
3.
앞가슴과 가운데가슴에는 보통 1쌍씩의 날개를 지니고 있다.
4.
날개는 대개 얇은 막질(膜質)로 되어 있고, 그 속에는 기관(氣管)에서 변화한 맥(Vein)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곤충의 가슴은 앞가슴, 가운데가슴 및 뒷가슴의 3부분으로 구분되고, 각 가슴에는 1쌍씩 다리가 있으며 가운데 가슴과 뒷가슴에는 각각 한 쌍의 날개가 있다.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70.
화성암의 분류에서 염기성암에 속하는 것은?
1.
안산암
2.
현무암
3.
화강암
4.
석영반암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염기성암[ basic rock , 鹽基性岩 소금 염,터 기,성품 성,바위 암 ] 화학적으로 말하는 산, 염기와는 관계 없는 것으로서, 염기성암은 산화규소의 함량이 45~52%의 화성암이다. 현무암, 휘록암, 반려암 등이 이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1.
다음 약제 중 비선택성제초제에 해당하는 것은?
1.
포클로르페뉴론액제
2.
에테폰액제
3.
글리포세이트 액제
4.
디티아주론수화제
정답 : [
3
] 정답률 : 64%
72.
시멘트콘크리트 포장도로의 경우에 발생하는 하자의 원인 중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결함이 그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원인 항목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슬립바, 타이바를 사용하지 않아서 생기는 균열
2.
줄눈의 설계나 시공의 부적합에 의한 융기현상
3.
물시멘트비, 다짐, 양생 등의 결함
4.
동결융해로 인한 지지력의 부족
정답 : [
4
] 정답률 : 63%
73.
다음 중 밤바구미의 생활환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듬해 7월 중순부터 땅속에서 번데기가 된지 약 2주 후에 우화한다.
2.
산란기간은 8월 하순~10월 중순까지이나 최성기는 9월 중하순이다.
3.
연 2회 발생하고, 수피하(樹皮下)에 산란한다.
4.
날개에는 크고 작은 담갈색 무늬가 있으며 중앙에 회황색의 횡대가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74.
광엽잡초와 화본과잡초의 분류로 옳은 것은?
1.
광엽잡초-돌피
2.
광엽잡초-명아주
3.
화본과잡초- 여뀌
4.
광엽잡초-바랭이
정답 : [
2
] 정답률 : 64%
75.
다음 중 조경수목에 대한 시비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시비 횟수는 1년에 2~3회가 충분하며 추비는 완효성 비료가 좋다.
2.
과린산석회와 계분을 섞어서 시비해서는 안 된다.
3.
석회질소는 뿌리에 직접 닿지 않게 하며 황산암모늄과 과린산석회의 혼용을 금한다.
4.
윤상시비는 수관 외관의 투영 선상에 깊이 20cm 정도로 구덩이를 4~6개 파서 비료를 묻어준다.
깊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지반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그 조작방법에 따라서 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으로 구분되는 지질조사 방법은?
1.
토층보링(boring)
2.
암반보링(boring)
3.
토양단면조사
4.
사운딩(sounding)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반조사 순서 : 사전조사 -예비조사 - 본조사 - 추가조사 [지반조사 = 토질조사] 1)지하탐사법 -터파보기 -짚어보기=쇠꽂이 찔러보기=탐사간 -물리적 지하탐사(탄성파,전기비저항,전자,레이더,중략탐사 등) 2)보링 3)샘플링 4)사운딩 ① 로드(rod)의 끝에 설치한 저항체를 지반에 삽입하여 관입, 회전, 인발 등의 저항으로 지반의 강도나 변형 특성을 알아보는 시험방법. ② 정적 사운딩과 동적 사운딩으로 구분함.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3.
도시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기능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민들에게 여가활동, 스포츠, 휴식 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2.
화재, 지진 등의 재해 시 도시민들이 신속 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피난처로 사용 된다.
3.
공원과 녹지로 구성되어 있기 보다는 주로 운동장이나 도로 등에 인공적 요소와 함께 구성되어 있다.
4.
자투리땅을 활용, 텃밭 등이 제공되어 도시농업을 가능 하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4.
도시공원은 그 기능 및 주제에 의하여 생활권 공원과 주제공원으로 세분화된다.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근린공원
2.
수변공원
3.
묘지공원
4.
체육공원
정답 : [
1
] 정답률 : 70%
5.
운전시 눈높이는 보행시 눈높이와 다르다. 운전시 각종표지판을 잘 볼 수 있는 적당한 높이는?
1.
1.07~1.2m
2.
1.5~1.7m
3.
2.07~2.3m
4.
2.5~3.05m
정답 : [
1
] 정답률 : 71%
6.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다른 법률에 의하여 공원, 관광단지, 자연휴양림 등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지역 중에서 생태적 경관적 가치 등이 높고 자연탐방 생태교육 등을 위하여 활용하기에 적합한 장소를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무엇을 지정할 수 있는가?
1.
경관지구
2.
보전관리지역
3.
자연휴식지
4.
도시녹화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자연휴식지[ 自然休息地스스로 자, 그럴 연, 쉴 휴, 쉴 식, 땅 지 ]
요약 생태적·경관적 가치가 높은 장소로 지정된 지역.
자연휴식년제와는 별도로 기존의 공원이나 관광단지·자연휴양림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 중에서 선정한 생태적·경관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이 지역에 대해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대상지역의 주요 자연자산을 선정·고시하며, 이용료를 징수하여 관리한다.
1997년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시장·군수가 도지사의 승인을 거쳐 지역을 지정하고, 대상지역의 관리와 기타 필요한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자연휴식지로 지정되면 탐방객에게 이용료를 징수하여 이를 재원으로 환경보전·이용시설의 설치계획이나 관리 및 활용계획 등을 수립하고, 자연탐방시설과 생태교육시설 등을 설치하여 이 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국내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 영월 동강(東江) 일대가 처음 지정되어 탐방객들로부터 일정액의 이용료를 징수하여 이를 바탕으로 이 지역의 생태계 보전업무가 체계적으로 관리된다.
공원에 인접해 있는 주택지를 차폐하려고 한다. 벤치에 앉아서 관망을 할 때, 벤치에서 주택까지의 거리는 50m, 주택의 높이는 3m일 때, 식재하려고 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20m 지점을 정하였다. 이 때 수목의 높이는 얼마가 좋은가? (단, 벤치에 앉아 있는 경우 눈의 높이는 11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인데, 두껍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중성화로 6∼7월에 피며 10∼15cm 크기이고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겼고 4∼5개이며, 처음에는 연한 자주색이던 것이 하늘색으로 되었다가 다시 연한 홍색이 된다. 꽃잎은 작으며 4∼5개이고, 수술은 10개 정도이며 암술은 퇴화하고 암술대는 3∼4개이다.
일본에서 개발(육종)된 것인데, 서양으로 간 것은 꽃이 보다 크고 연한 홍색, 짙은 홍색, 짙은 하늘색 등 화려하게 발전시켰다. 옛날에는 꽃을 말려 해열제로 사용하였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국 [Bigleaf hydrangea, 水菊]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무성-화1( 無性花 없을 무, 성품 성, 꽃 화 ) 식물 수술과 암술이 모두 퇴화하여 없는 꽃. 수국의 장식화나 해바라기 둘레의 설상화 따위가 있다.
무성화 1 無性化 명사 같은 종(種)의 개체에 암컷과 수컷의 구별이 없어짐. 또는 그렇게 함
중성화 2 中性花 명사 수술과 암술이 모두 퇴화하여 없는 꽃. 수국의 장식화나 해바라기 둘레의 설상화 따위가 있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5.
다음 중 수피에 코르크가 잘 발달하는 수목은?
1.
향나무
2.
졸참나무
3.
황벽나무
4.
푸조나무
정답 : [
3
] 정답률 : 61%
26.
정원수의 수형에 가장 예민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1.
수분
2.
영양분
3.
광선
4.
품종
정답 : [
3
] 정답률 : 79%
27.
벼과(科)의 정수식물로 수질정화 기능이 가장 강한 종은?
1.
갈대
2.
큰고랭이
3.
생이가래
4.
개연꽃
정답 : [
1
] 정답률 : 80%
28.
조경식재의 기능을 건축적, 공학적, 기상학적, 미적으로 구분할 때 기상학적 이용효과에 해당하는 것은?
1.
대기 정화작용
2.
섬광조절
3.
태양복사열 조절작용
4.
조류 및 동물유인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식재의 이용 효과★★ ① 식물의 공학적 이용 효과 ㉠ 토양침식 조절 ㉡ 음향의 조절(소음조절) ㉢ 대기정화 작용 ㉣ 섬광 조절(자연광, 인조광 조절) ㉤ 반사광선 조절 ㉥ 통행 조절
② 식물의 기상학적 이용 효과 ㉠ 태양복사열 조절 ㉡ 온도조절 작용 ㉢ 강수 조절 ㉣ 습도 조절 ㉤ 바람 조절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9.
지상의 줄기가 일 년 넘게 생존을 지속하며 목질화 되어 비대성장을 하는 만경목(蔓莖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마삭줄, 담장이덩굴
2.
인동덩굴, 능소화
3.
송악, 으름덩굴
4.
작약, 멀꿀
정답 : [
4
] 정답률 : 83%
30.
다음 중 목련과(科)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태산목은 상록활엽교목이다.
2.
목련은 중국원산이고 백목련은 한국원산이다.
3.
함박꽃나무, 백합나무는 모두 꽃보다 잎이 먼저 난다.
4.
일본목련은 5월에 잎이 핀 다음 꽃이 가지 끝에 한개씩 달리며, 강렬한 꽃향기가 있는 방향성 수종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백목련은 중국 원산이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31.
다음 중 식생조사와 관련된 용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체수:조사구 내의 개체수로서 어떤 식물종의 수를 하나하나 세어서 계산한다. 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어떤 식물종이 나타나 조사구를 총 조사구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2.
빈도 : 어떤 군집에 있어서 구성종의 분포상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어떤 식물종이 나타나 조사구를 총 조사구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3.
피도:군집에 있어서 모든 종의 투영면적 가운데 한 종의 투영면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상대피도라고 한다.
4.
군도:단위면적당 개체수로서, 총 조사면적 또는 조사된 방형구 가운데 어떤 종의 개체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군도 : 조사구 내의 개개 식물의 배분상태 밀도 :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 절대밀도 : 어떤 종의 총개체수/조사한 총면적 x 100
32.
다음 중 꽃보다 잎이 먼저 나오는 수종은?
1.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2.
Cercis chinensis Bunge
3.
Forsythia Koreana Nakai
4.
Magnolia sieboldii K.Koch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 박태기 나무도 꽃보다 잎이 먼저 나오는 수종입니당
[오류신고 반론] 박태기 나무는 선화후엽에 해당하는 수종입니다. 따라서 해당 문제에 잎이 먼저 나오는 수종은 함박꽃나무 밖에 없습니다.
33.
차폐식재용 수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편백, 향나무
2.
눈향나무, 둥근향나무
3.
회양목, 꽝꽝나무
4.
사철나무, 아까시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58%
34.
다음 중 화백과 편백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편백은 수관이 둔원추형(鈍圓錐形)이고, 수피는 붉은 기가 진하며 박리하는 껍질의 폭이 넓다.
기술적인 관리유형으로서 본래의 기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며, 크게 수목과 시설물의 관리로 구분되는 것은?
1.
이용관리
2.
운영관리
3.
유지관리
4.
경영관리
정답 : [
3
] 정답률 : 82%
6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영양 원소는?
1.
Cl
2.
B
3.
Mo
4.
Zn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B : 붕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레크레이션 공간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관리 전략은?
1.
폐쇄 후 육성관리
2.
폐쇄 후 자연회복형
3.
계속적인 개방·이용상태 하에서 육성관리
4.
순환식 개방에 의한 휴식기간 확보
정답 : [
3
] 정답률 : 74%
65.
녹병균 중에서 기주교대(寄主交代)는 다음 어느 경우에 이루어지는가?
1.
동종 기생성
2.
이종 기생성
3.
수종(數種) 기생성
4.
이주(異株) 기생성
정답 : [
2
] 정답률 : 61%
66.
음수대의 보수방법 중 인조석바르기의 마무리 작업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번 바를 때의 두께는 6mm 이하로 하여 충분히 누르면서 바른다.
2.
바름면은 바람 또는 직사광선 등에 의한 급속한 건조를 피하고 동절기에는 보온양생한다.
3.
인조석이 잘 부착되도록 본체의 바탕면을 거칠게 한 후 물축임을 한다.
4.
초벌 바름 후 바름이 마르기 전에 바로 재벌 및 정벌 바름을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67.
수목 전정시 소나무 순자르기(摘芯)가 적합한 시기는?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1
] 정답률 : 72%
68.
다음 중 비탈면 우수침식방지를 위한 식생공법이 아닌 것은?
1.
종자 뿜어붙이기공법
2.
유묘 식재공법
3.
식생 매트공법
4.
떼 붙임 공법
정답 : [
2
] 정답률 : 72%
69.
다음 중 곤충의 외부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슴은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의 3부분으로 구분된다.
2.
일반적으로 각 가슴에 1쌍씩의 다리가 있다.
3.
앞가슴과 가운데가슴에는 보통 1쌍씩의 날개를 지니고 있다.
4.
날개는 대개 얇은 막질(膜質)로 되어 있고, 그 속에는 기관(氣管)에서 변화한 맥(Vein)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곤충의 가슴은 앞가슴, 가운데가슴 및 뒷가슴의 3부분으로 구분되고, 각 가슴에는 1쌍씩 다리가 있으며 가운데 가슴과 뒷가슴에는 각각 한 쌍의 날개가 있다.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70.
화성암의 분류에서 염기성암에 속하는 것은?
1.
안산암
2.
현무암
3.
화강암
4.
석영반암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염기성암[ basic rock , 鹽基性岩 소금 염,터 기,성품 성,바위 암 ] 화학적으로 말하는 산, 염기와는 관계 없는 것으로서, 염기성암은 산화규소의 함량이 45~52%의 화성암이다. 현무암, 휘록암, 반려암 등이 이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1.
다음 약제 중 비선택성제초제에 해당하는 것은?
1.
포클로르페뉴론액제
2.
에테폰액제
3.
글리포세이트 액제
4.
디티아주론수화제
정답 : [
3
] 정답률 : 64%
72.
시멘트콘크리트 포장도로의 경우에 발생하는 하자의 원인 중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결함이 그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원인 항목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슬립바, 타이바를 사용하지 않아서 생기는 균열
2.
줄눈의 설계나 시공의 부적합에 의한 융기현상
3.
물시멘트비, 다짐, 양생 등의 결함
4.
동결융해로 인한 지지력의 부족
정답 : [
4
] 정답률 : 63%
73.
다음 중 밤바구미의 생활환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듬해 7월 중순부터 땅속에서 번데기가 된지 약 2주 후에 우화한다.
2.
산란기간은 8월 하순~10월 중순까지이나 최성기는 9월 중하순이다.
3.
연 2회 발생하고, 수피하(樹皮下)에 산란한다.
4.
날개에는 크고 작은 담갈색 무늬가 있으며 중앙에 회황색의 횡대가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74.
광엽잡초와 화본과잡초의 분류로 옳은 것은?
1.
광엽잡초-돌피
2.
광엽잡초-명아주
3.
화본과잡초- 여뀌
4.
광엽잡초-바랭이
정답 : [
2
] 정답률 : 64%
75.
다음 중 조경수목에 대한 시비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시비 횟수는 1년에 2~3회가 충분하며 추비는 완효성 비료가 좋다.
2.
과린산석회와 계분을 섞어서 시비해서는 안 된다.
3.
석회질소는 뿌리에 직접 닿지 않게 하며 황산암모늄과 과린산석회의 혼용을 금한다.
4.
윤상시비는 수관 외관의 투영 선상에 깊이 20cm 정도로 구덩이를 4~6개 파서 비료를 묻어준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76.
다음 각종 가로등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수명이긴 것은?
1.
수은등
2.
백열등
3.
할로겐등
4.
나트륨등
정답 : [
1
] 정답률 : 67%
77.
농약의 효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을 일컫는 용어는?
1.
기피제
2.
훈증제
3.
유인제
4.
보조제
정답 : [
4
] 정답률 : 85%
78.
다음 중 수목의 식재지에 멀칭을 함으로써 기대되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토양구조가 개선된다.
2.
잡초의 발생이 억제된다.
3.
태양열의 복사 및 반사를 증가시킨다.
4.
토양의 침식과 수분의 증발을 억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79.
농약을 1000배로 희석해서 200L 살포할 경우 필요한 소요 농약의 액량은?
1.
150ml
2.
200ml
3.
250ml
4.
300ml
정답 : [
2
] 정답률 : 84%
80.
다음 중 정지·전정의 목적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조형(造形)을 위한 정지전정
2.
개화결실을 촉진시키기 위한 정지전정
3.
수목의 유통가격을 높이기 위한 정지전정
4.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정지전정
정답 : [
3
] 정답률 : 8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④
③
①
①
③
②
①
②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④
①
④
④
①
④
③
①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②
②
③
③
③
①
③
④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④
①
④
④
③
④
①
②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②
①
②
③
④
①
④
①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①
②
②
②
②
③
②
③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③
②
③
②
④
①
②
③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④
③
②
③
①
④
③
②
③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