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줄기는 흑갈색이다.
2.
열매는 삭과이다.
3.
잎의 배열은 호생이다.
4.
꽃은 흰색이며 향기가 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때죽나무 Styrzx japonicus
산과 들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낙엽소교목으로 높이는 10m 내외이다. 가지에 성모(星毛)가 있으나 없어지고 표피가 벗겨지면서 다갈색으로 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단성화이고 종 모양으로 생겼다. 5∼6월에 지름 1.5∼3.5cm의 흰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2∼5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꽃부리는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의 아래쪽에는 흰색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길이 1.2∼1.4cm의 달걀형의 공 모양으로 9월에 익고 껍질이 터져서 종자가 나온다. 과피(果皮)는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하고, 종자는 새가 먹으며, 목걸이 등을 만들기도 하고 목재(木材)는 기구재, 가공재 등으로 쓰인다. 한국(중부 이남) ·일본 ·필리핀 ·중국 등지에서 분포한다.
*줄기는 다갈색이며 열매는 삭과이고 잎은 어긋나기(호생)이며 꽃은 흰색이다 정답이 2.열매는 삭과이다. <= 맞는거 같은데요 [해설작성자 : 검은싼타]
강원도 이남의 숲 속에 자라는 낙엽 작은키나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인디아(인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필리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5-15m이며, 흑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2-5개씩 달리며, 흰색, 향기가 좋다. 수술은 10개이며, 아래쪽에 흰 털이 있다. 열매는 핵과이며, 둥글고, 완전히 익으면 껍질이 벗겨지고 씨가 나온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열매는 비누로 만들기도 하고, 감기약, 항균제 등의 약으로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때죽나무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해설작성자 : 초보]
열매는 핵과 [해설작성자 : 때죽이]
24.
식재형의 구성에 의한 배식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식재형의 기본형은 반드시 3의 배수여야 한다.
2.
두 그루의 수목을 근접하게 식재하면 대립 되어 보인다.
3.
2본식 식재형에서 대식은 주로 동양식 정원에서 사용한다.
4.
삼각식수는 모든 식재방법에 있어서 간격을 결정하는 기초가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25.
식물 분류학상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로 1속 1종에 속하는 식물은?
1.
미선나무
2.
물푸레나무
3.
푸조나무
4.
개서어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81%
26.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합의한 주요 사항이 아닌 것은?
1.
21세기 행동강령 : 21세기 지구환경보전의 실천지침과 행동강령을 규정
2.
생물다양성협약 : 열대림의 파괴를 줄이고 사라져 가는 생물좌원을 보존하여 종과 유전자 자원의 보전책을 모색
3.
기후변화협약 : 이산화탄소 방출을 억제하고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범세계적 및 국가적인 규제책 모색
4.
산림원칙 : 산림자원을 보유한 개발도상국가는 산림자원 개발 시 반드시 세계적으로 허가를 받아야 함.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산림원칙 : 지구의 모든 산림의 관리, 보전, 지속 가능한 개발에 관한 원리 원칙 [해설작성자 : 일월조경]
27.
식물생육에 필요한 토양의 최소깊이가 30cm 일 때, 이곳에서 생육할 수 있는 식생은? (단, 토양등급은 중급, 배수층 두께는 10cm)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 '자주목련' 이 아니라 '백목련' 입니다. [해설작성자 : sloww]
40.
다음 설명에 적합한 화단양식은?
1.
침상화단
2.
리본화단
3.
카펫화단
4.
기식화단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침상화단(sunken garden) : 보도에서 1m 정도 낮은 평면에 기하학적 모양의 아름다운 화단을 설계한 것으로 관상가치가 높은 화단
2.리본화단(ribbon flower bed) : 공원, 학교, 병원, 광장 등의 넓은 부지와 원로, 보행로 등과 건물, 연못을 따라서 설치된 너비가 좁고 긴 화단
3.카펫화단(carpet flower bed) 모전화단, 화문화단 이라고도 하며 넓은 잔디밭이나 광장, 원로의 교차점 한가운데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키작은 초화를 사용하여 꽃무늬를 나타낸다.
3.기식화단(assorted flower bed) ㄱ.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정원이나 광장의 중심부에 마련된 화단 ㄴ. 중심에서 외주부로 갈수록 차례로 키가 작은 초화를 심어 작은 동산을 이루는 것으로 모둠화단 이라고도 함 ※ assorted 여러가지의, 갖은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3과목 : 운영체제
41.
일반적으로 풍화한 시멘트에서 나타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비중감소
2.
응결지연
3.
강도발현 저하
4.
강열감량의 감소
정답 : [
4
] 정답률 : 58%
4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를 사용할 경우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필요한 성토량이 1000이나 1000만큼의 흙만 가져간다면 다짐하며 *0.9가 됨으로 조금 더 필요함. x*0.9=1000 임으로 파야하는 흙 양은 1111.11 그러나 1111.11 만큼 파는 와중에 1.15배 만큼 흐트러짐으로 1111.11*1.15 = 1277.7777778 반올림 해서 128 [해설작성자 : 다람쥐와개구리]
49.
활엽수재에는 있으나 침엽수재에는 없는 구성 요소로만 나열된 것은?
1.
유세포와 목섬유
2.
유세포와 도관
3.
목섬유와 도관
4.
가도관과 목섬유
정답 : [
3
] 정답률 : 63%
50.
최대계획우수유출량(m3/s)의 산정에서 합리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배수유역이 커지면 유출량도 커진다.
2.
불투수포장이 작을수록 유출량은 커진다.
3.
유출계수가 커지면 유출량이 커진다.
4.
유달시간 내의 평균강우강도가 큰 지역은 유출량이 커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51.
공사원가 계산에 있어 일반관리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관리비는 본사 경비이다.
2.
이윤 요율 적용 시 합산하여 산정하지 않는다.
3.
일반관리비 요율 적용 시 재료비는 합산하지 않는다.
4.
순공사원가 항목으로 노무관리비 성격으로 계상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일반관리비 회사가 사무실을 운영하기 위해 드는 비용, 기업유지를 위한 관리활동 부분 제비용
다음 중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줄기는 흑갈색이다.
2.
열매는 삭과이다.
3.
잎의 배열은 호생이다.
4.
꽃은 흰색이며 향기가 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때죽나무 Styrzx japonicus
산과 들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낙엽소교목으로 높이는 10m 내외이다. 가지에 성모(星毛)가 있으나 없어지고 표피가 벗겨지면서 다갈색으로 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단성화이고 종 모양으로 생겼다. 5∼6월에 지름 1.5∼3.5cm의 흰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2∼5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꽃부리는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의 아래쪽에는 흰색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길이 1.2∼1.4cm의 달걀형의 공 모양으로 9월에 익고 껍질이 터져서 종자가 나온다. 과피(果皮)는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하고, 종자는 새가 먹으며, 목걸이 등을 만들기도 하고 목재(木材)는 기구재, 가공재 등으로 쓰인다. 한국(중부 이남) ·일본 ·필리핀 ·중국 등지에서 분포한다.
*줄기는 다갈색이며 열매는 삭과이고 잎은 어긋나기(호생)이며 꽃은 흰색이다 정답이 2.열매는 삭과이다. <= 맞는거 같은데요 [해설작성자 : 검은싼타]
강원도 이남의 숲 속에 자라는 낙엽 작은키나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인디아(인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필리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5-15m이며, 흑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2-5개씩 달리며, 흰색, 향기가 좋다. 수술은 10개이며, 아래쪽에 흰 털이 있다. 열매는 핵과이며, 둥글고, 완전히 익으면 껍질이 벗겨지고 씨가 나온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열매는 비누로 만들기도 하고, 감기약, 항균제 등의 약으로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때죽나무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해설작성자 : 초보]
열매는 핵과 [해설작성자 : 때죽이]
24.
식재형의 구성에 의한 배식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식재형의 기본형은 반드시 3의 배수여야 한다.
2.
두 그루의 수목을 근접하게 식재하면 대립 되어 보인다.
3.
2본식 식재형에서 대식은 주로 동양식 정원에서 사용한다.
4.
삼각식수는 모든 식재방법에 있어서 간격을 결정하는 기초가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25.
식물 분류학상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로 1속 1종에 속하는 식물은?
1.
미선나무
2.
물푸레나무
3.
푸조나무
4.
개서어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81%
26.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합의한 주요 사항이 아닌 것은?
1.
21세기 행동강령 : 21세기 지구환경보전의 실천지침과 행동강령을 규정
2.
생물다양성협약 : 열대림의 파괴를 줄이고 사라져 가는 생물좌원을 보존하여 종과 유전자 자원의 보전책을 모색
3.
기후변화협약 : 이산화탄소 방출을 억제하고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범세계적 및 국가적인 규제책 모색
4.
산림원칙 : 산림자원을 보유한 개발도상국가는 산림자원 개발 시 반드시 세계적으로 허가를 받아야 함.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산림원칙 : 지구의 모든 산림의 관리, 보전, 지속 가능한 개발에 관한 원리 원칙 [해설작성자 : 일월조경]
27.
식물생육에 필요한 토양의 최소깊이가 30cm 일 때, 이곳에서 생육할 수 있는 식생은? (단, 토양등급은 중급, 배수층 두께는 10cm)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 '자주목련' 이 아니라 '백목련' 입니다. [해설작성자 : sloww]
40.
다음 설명에 적합한 화단양식은?
1.
침상화단
2.
리본화단
3.
카펫화단
4.
기식화단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침상화단(sunken garden) : 보도에서 1m 정도 낮은 평면에 기하학적 모양의 아름다운 화단을 설계한 것으로 관상가치가 높은 화단
2.리본화단(ribbon flower bed) : 공원, 학교, 병원, 광장 등의 넓은 부지와 원로, 보행로 등과 건물, 연못을 따라서 설치된 너비가 좁고 긴 화단
3.카펫화단(carpet flower bed) 모전화단, 화문화단 이라고도 하며 넓은 잔디밭이나 광장, 원로의 교차점 한가운데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키작은 초화를 사용하여 꽃무늬를 나타낸다.
3.기식화단(assorted flower bed) ㄱ.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정원이나 광장의 중심부에 마련된 화단 ㄴ. 중심에서 외주부로 갈수록 차례로 키가 작은 초화를 심어 작은 동산을 이루는 것으로 모둠화단 이라고도 함 ※ assorted 여러가지의, 갖은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3과목 : 운영체제
41.
일반적으로 풍화한 시멘트에서 나타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비중감소
2.
응결지연
3.
강도발현 저하
4.
강열감량의 감소
정답 : [
4
] 정답률 : 58%
4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를 사용할 경우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필요한 성토량이 1000이나 1000만큼의 흙만 가져간다면 다짐하며 *0.9가 됨으로 조금 더 필요함. x*0.9=1000 임으로 파야하는 흙 양은 1111.11 그러나 1111.11 만큼 파는 와중에 1.15배 만큼 흐트러짐으로 1111.11*1.15 = 1277.7777778 반올림 해서 128 [해설작성자 : 다람쥐와개구리]
49.
활엽수재에는 있으나 침엽수재에는 없는 구성 요소로만 나열된 것은?
1.
유세포와 목섬유
2.
유세포와 도관
3.
목섬유와 도관
4.
가도관과 목섬유
정답 : [
3
] 정답률 : 63%
50.
최대계획우수유출량(m3/s)의 산정에서 합리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배수유역이 커지면 유출량도 커진다.
2.
불투수포장이 작을수록 유출량은 커진다.
3.
유출계수가 커지면 유출량이 커진다.
4.
유달시간 내의 평균강우강도가 큰 지역은 유출량이 커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51.
공사원가 계산에 있어 일반관리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관리비는 본사 경비이다.
2.
이윤 요율 적용 시 합산하여 산정하지 않는다.
3.
일반관리비 요율 적용 시 재료비는 합산하지 않는다.
4.
순공사원가 항목으로 노무관리비 성격으로 계상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일반관리비 회사가 사무실을 운영하기 위해 드는 비용, 기업유지를 위한 관리활동 부분 제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