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림원은 조선초기 태조 때 정원을 관리하는 부서 사선서는 고려충렬왕 때 음식을 담당했던 부서 [해설작성자 : 희동이]
3.
일본의 회유식 임천정원(廻遊式 林泉庭園)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책하면서 감상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못(池)에는 다리가 없다.
2.
교토(京都) 계리궁(桂離宮, 가츠라리큐)의 정원은 그 대표적인 한 예이다.
3.
그 근원을 중세 말에 두고 있으나 양식으로 정착한 것은 강호(江戶, 에도)시대이다.
4.
중국적인 조경요소가 도입되어 있는 도쿄(東京)의 소석천후락원(小石川後樂園)도 이 양식에 속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4.
아도니스원(Adonis Garde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트 가든(Pot Garden)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2.
고대 그리스에서 발달된 일종의 옥상정원이다.
3.
고대 이집트에서 발달된 일종의 사자(死者)의 정원이다.
4.
고대 그리스에서 부인들에 의해 가꾸어진 정원으로 초화류를 분(盆)에 심어 장식했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5.
중국 송나라의 휘종(徽宗) 때에 주민이 설계한 정원으로서 항주의 봉황산을 닮게 하였다고 하는 정원은?
1.
경산(景山)
2.
만세산(萬歲山)
3.
만수산(萬壽山)
4.
아미산(蛾眉山)
정답 : [
2
] 정답률 : 73%
6.
탑골(파고다)공원 내에 있는 「앙부일구(仰釜日晷)」는 무엇과 관련 있는가?
1.
사리탑
2.
불상
3.
해시계
4.
천제단
정답 : [
3
] 정답률 : 90%
7.
도산서원에 퇴계선생이 지당을 파고 연꽃을 심었던 유적은?
1.
정우당
2.
절우사
3.
몽천
4.
세연지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도산 서원 주향자: 이황 이황이 낙향하여 도산서당과 농운정사를 짓고 학문을 닦으며 후학을 양성 전학후묘의 배치로 서원영역과 서당영역을 구분
경관요소 정우당 - 서당 동남쪽에 방지(3.3m*3.3m), 꽃 중 군자라는 연꽃(주돈이 애련설)을 식재 몽천 - 정우당 동쪽에 위치한 샘, 몽매한 제자를 바른 길로 이끌어 간다는 의미 절우사 - 몽천 위쪽 기슭에 단을 만들고 매화,대나무,소나무, 국화 식재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8.
다음 중 아크로폴리스(Acropolis)와 관계없는 것은?
1.
니케 신전
2.
파르테논 신전
3.
프로필레아
4.
폼페이 신전
정답 : [
4
] 정답률 : 67%
9.
광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장은 휴식과 대화의 자리가 된다.
2.
광장은 주변에 있는 건물이나 각종 시설물이 큰 영향을 준다.
3.
광장의 성격은 자연 지향적이고 레크레이션 지향형이다.
4.
광장의 입지조건은 상업, 문화, 행정 등의 기능을 지닌 공간과 관련성이 있는 자리가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10.
조경을 계획과 설계의 개념으로 구분한 것 중 설계(design)의 개념에 가장 가까운 접근방법은?
1.
매우 체계적이며 일반론적임
2.
논리적이고 객관성 있게 접근
3.
어떤 지침서나 분석결과를 서술형식으로 표현
4.
주관적ㆍ직관적이며, 창의성과 예술성을 크게 강조
정답 : [
4
] 정답률 : 85%
11.
다음 중 대상물의 표면이 거칠거나 섬세한 상태에 의하여 판단되는 경관 인지 요소는?
1.
질감
2.
형태
3.
크기
4.
색
정답 : [
1
] 정답률 : 89%
12.
레크레이션 계획을'여가 시간에 행하는 사람들의 레크레이션 활동을 그에 적합한 공간 및 시설에 관련시키는 계회'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레크레이션의 접근 방법을 자원접근방법, 활동접근법, 경제접근법, 형태접근방법, 종합접근방법 등 5가지로 분류한 사람은?
1.
케빈 린치(Kevin Lynch)
2.
이안 맥하그(Ian McHarg)
3.
가렛 에크보(Garrett Eckbo)
4.
세이머 골드(Seymour M Gold)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조경 계획의 접근방법
S.Gold(1980)의 레크레이션 계획 접근방법
자원 접근법 물리적 자원 혹은 자연자원이 레크레이션의 유형과 양을 결정하는 방법(공급이 수요를 제한) 활용 : 강변,호수변,풍치림,자연공원 등 경관성이 뛰어난 지역의 조경계획에 유용
활동 접근법 과거의 레크레이션 활동의 참가사례가 레크레이션 기회를 결정하도록 계획하는 방법(공급이 수요를 창출) 활동유형, 참여율 등 사회적 인자가 중요 활용: 대도시주변 계획에 적합 과거의 경험에만 의존하여 새로운 레크레이션 계획의 반영이 어려움
경제 접근법 지역사외의 경제적 기반이나 예산 규모가 레크레이션의 종류`입지를 결정하는 방법 토지,시설,프로그램 공급은 비용`편익분석에 의해 방법(경제적 인자가 우선) 활용: 민자유치사업
행태 접근법 이용자의 구체적인 행동 패턴에 맞춰 계획하는 방법(미시적 접근방법) 활동접근방법에 직접 나타내는 수요에 의한 계획방법 행태접근방법 : 잠재적인 수요까지 파악
종합 접근법 네가지 접근법의 긍정적인 측면만 취하는 접근방법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13.
다음 중 주차장법상 주차장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노변주차장
2.
노상주차장
3.
노외주차장
4.
부설주차장
정답 : [
1
] 정답률 : 67%
14.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1.
공청회는 국토교통부장관, 시ㆍ도지사, 시장 또는 군수가 지명하는 사람이 주재한다.
2.
공청회개최예정일 20일 전까지 관계행정기관의 관보에 공고하여야 한다.
3.
공청회는 광역계획권 단위로 개최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광역계획권을 수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개최할 수 있다.
4.
공고 시 주요사항으로는 개최목적, 개최예정일시 및 장소, 수립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광역도시계획의 개요, 기타 필요한 사항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일간신문에 공청회 개최예정일14일전까지 1회이상공고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라이센스]
15.
다음 중 조경설계기준상의 계단돌 쌓기(자연석층계)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계단의 최고 기울기는 40~45° 정도로 한다.
2.
한 단의 높이는 15~18㎝, 단의 폭은 25~30㎝ 정도로 한다.
3.
보행에 적합하도록 비탈면에 일정한 간격과 형식으로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한다.
4.
돌계단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 또는 방향이 급 변하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너비 120㎝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계단기울기는 30~35도 [해설작성자 : 망둥어]
16.
다음 그림에서 치수 기입 방법이 잘못된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 : [
3
] 정답률 : 80%
17.
문화재에 대한 조경 대상으로서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은?
1.
무형문화재
2.
사적
3.
명승
4.
천연기념물
정답 : [
1
] 정답률 : 83%
18.
환경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경색채 디자인은 자연적인 특징과 인공적인 특징을 조화롭게 계획하여 지역 거주자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인간에게 관계되는 환경색채로서 경관색체의 의미고 인간에게 심리적, 물리적인 영향을 준다.
3.
자연과 친화된 환경일수록 풍토성이 강해지고, 지역이 고립되고 차단될수록 지역색의 특성이 강해진다.
4.
자연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아 계절색의 이미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주변 동ㆍ식물계의 생태학적 색채 또한 요소적 특징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19.
체육공원의 계획 및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휴게센터는 출입구에서 먼 곳에 배치시킨다.
2.
공원면적의 5~10%는 다목적 광장, 시설 전면적의 50~60%는 각종 경기장으로 배치한다.
3.
야구장, 궁도장 및 사격장 등의 위험시설은 정적 휴게공간 등의 다른 공간과 격리하거나 지형, 식재 또는 인공 구조물로 차단한다.
4.
운동시설은 공원 전 면적의 50% 이내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하며, 주축을 남-북 방향으로 배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20.
수목의 종류, 배치 및 기타 횡단 구성요소와 균형 및 장래에 추가 차선을 목적으로 할 경우나 경관지 식수대의 경우는 그 폭을 몇 미터까지 할 수 있는가?
1.
1.5m
2.
2.0m
3.
3.0m
4.
4.5m
정답 : [
3
] 정답률 : 63%
2과목 : 소방유체역학
21.
다음 그림 중 식재를 통한 비대칭적 균형에 의한 공간감을 조성한 것이 아닌 것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87%
22.
다음 중 피자식물에 속하는 종이 아닌 것은?
1.
은행나무
2.
뽕나무
3.
신갈나무
4.
단풍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피자식물 (被子植物) 꽃식물 가운데 밑씨가 씨방 안에 싸여 있는 식물.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로 크게 나누는데, 감나무ㆍ버드나무ㆍ벚나무ㆍ밤나무ㆍ진달래ㆍ국화ㆍ벼ㆍ난초ㆍ백합 따위 대부분의 종자식물이 이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겉씨식물(나자식물) 꽃이 피지않고, 밑씨에서 발달한 종자가 나출되는 식물군(밑씨가 씨방에 싸여있지않고 밖으로 드러나는 식물), 은행나무, 소나무,향나무,노간주나무,측백나무,소철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3.
일반적인 식재설계과정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예비계획단계→기본구상→식재설계→시공
2.
식재기본구상→관련법규 검토→식재설계→시공
3.
식재 기본구상→식재평면도 작성→유지관리→관련 법규검토
4.
예비계획단계→시공상세도 작성→사용수종 선정→관련법규 검토
정답 : [
1
] 정답률 : 64%
24.
토양의 화학적 성질 중 양이온치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이온치환능력은 토양 표면으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증가한다.
2.
강우가 거의 없는 지역의 따뜻하고 건조한 토양은 칼슘, 나트륨, 칼륨의 흡착이 많다.
3.
석회석 모재로부터 생성된 습윤한 온대지역의 토양은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다.
4.
양이온치환능력은 완충능력을 결정하기 때문에 안정된 토양산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25.
수목식재에 있어서 색채(color)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이다. 이러한 디자인요소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각 수종의 기관별 특징이 되는 색채가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자작나무 - 꽃 - 흰색
2.
흰말채나무 - 수피 - 흰색
3.
홍가시나무 - 꽃 - 홍색
4.
벽오동 - 수피 - 녹색
정답 : [
4
] 정답률 : 79%
26.
무궁화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욱과(科)에 속하는 식물이다.
2.
꽃이 개량되어 담홍, 자색, 백색, 홑꽃, 겹꽃이 다양하다.
3.
열매는 삭과로서 장타원형이고 약간의 털이 있는데 10월경에 성숙한다.
4.
잎은 대생으로 3개로 갈라지나 윗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27.
다음 수종 중 잎의 특징이 복엽인 것은?
1.
Albizia julibrissin
2.
Sorbus alnifolia
3.
Cercis chinensis
4.
Crataegus pinnatifida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Albizia julibrissin : 자귀나무 [해설작성자 : 나그네]
추가 2.팥배나무 3.박태기나무 4.산사나무 [해설작성자 : 다람쥐와개구리]
28.
고속도로 중앙분리대 녹지에서 생육이 불량한 수종은?
1.
금목서
2.
아왜나무
3.
광나무
4.
꽝꽝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중앙분리대에 적합한 수종 ㄱ 배기가스나 건조에 강한 수종 ㄴ 맹아력이 강하며, 하지 밑까지 잘 발달한 상록수가 적당 ㄷ 교목 : 가이즈가향나무, 종가시나무, 향나무, 아왜나무 ㄹ 관목 : 꽝꽝나무, 다정큼나무, 돈나무, 둥근향나무(옥향), 사철나무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9.
다음 중 멸종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종은?
1.
몸체가 작은 종
2.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
3.
지리적 분포 범위가 좁은 종
4.
개체군의 크기가 감소하고 있는 종
정답 : [
1
] 정답률 : 77%
30.
식물체 기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0개의 공변세포로 이루어졌다.
2.
증산과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3.
부유식물은 잎의 표면에, 건생식물은 함몰된 기공을 가진다.
4.
주로 잎에 많이 존재하지만 광합성을 수행하는 녹색 줄기에도 약간 존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공변세포 = 기공 양 옆에 () 모양으로 있는 세포. 두개의 공변세포로 되어있음. [해설작성자 : 다람쥐와개구리]
31.
다음 중 장미과(Rosaceae)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오미자
2.
명자나무
3.
죽단화
4.
옥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오미자 - 오미자과
32.
보통명(common name)은 습성, 특징, 산지, 용도, 전설, 외래어 등에서 유래되어 비롯된다. 다음 중 이름이 나무의 특징을 반영한 것이 아닌 것은?
어린나무의 경우 수관하부의 성숙엽에서 자줏빛으로 변색되기 시작하여 점차 안쪽과 위쪽의 잎으로 진행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73.
다음 수목관리 계획 중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토양 개량
2.
전정
3.
병해충 방제
4.
지주목 보수
정답 : [
1
] 정답률 : 62%
74.
콘크리트재 유회시설의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미관을 위한 재도장은 얼마의 기간을 두고 하는 것이 적당한가?
1.
1년
2.
3년
3.
5년
4.
8년
정답 : [
2
] 정답률 : 60%
75.
다음 중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안전점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정기점검
2.
긴급점검
3.
정밀점검
4.
임시점검
정답 : [
4
] 정답률 : 64%
76.
간척지의 다년생 우점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1.
새섬매자기
2.
올챙이고랭이
3.
물달개비
4.
뚝새풀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새섬매자기(사초과) 간척지의 습한 지역, 기수지역, 조간대 상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덩이 뿌리의 경우 겨울철새의 먹이원으로 이용된다.
2. 올챙이고랭이(사초과) 논과 저지대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3. 물달개비(물옥잠과) 논의 잡초를 대표하는 한해살잎풀
4. 뚝새풀(벼과) 이른봄부터 모내기하기 전까지 논바닥을 뒤덮는 대표적인 잡초, 해넘이한해살이로 털이 없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7.
다음 중 토양 내에 과량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금속 오염의 피해를 주지만 미량 함유되어 있으면 필수 미량원소 비료가 되는 것은?
1.
Cd
2.
Zn
3.
Pb
4.
Cr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Zn아연 식물체 내에서 아연은 식물체 내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효소 구성 성분으로 망간이나 마그네슘 등과 같이 효소를 제거하는 효소를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핍되면 단백질 합성이 억제되어 엽록체에 그라나의 발육이 나빠지고 동시에 액포가 발생한다. 또한 식물 잎에는 갈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잎이 작아지면서 생육이 저해된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8.
작물보호제(농약)의 사용방법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입제농약은 원칙적으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방법 및 사용량에 따라 사용한다.
2.
포장지의 표기사항이 이해가 되지 않거나 의문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회사에 문의한다.
3.
수화제 및 입상수화제 등 희석제농약은 사용약량을 지켜 물에 희석한 후 분무기를 이용하여 작물에 충분히 묻도록 뿌린다.
4.
'사용적기 및 방법'란에 경엽처리 등 살포방법이 특별히 명시되지 아니한 것은 반드시 농약 포장지를 확인 후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입제농약은 작은 입자로 된 농약이다.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79.
레크레이션 분야에 수용능력(carrying capacity)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1.
Wagar
2.
Lapage
3.
Lucas
4.
Ashton
정답 : [
1
] 정답률 : 68%
80.
다음 중 잔디의 피티움마름병에 방제 효과가 가장 나쁜 것은?
1.
메탈락실-엠(수)
2.
하이멕사졸(액)
3.
만코제브ㆍ메탈락실(수)
4.
다이아지논ㆍ에토펜프록스(수)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피티움마름병 방제법 : 봄철에 과도한 질소시비를 피함 물에 의해 전반되므로 배수 불량지의 배수개선 메타락실계통의 약제는 저항성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연용피함
정답은 1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군조경]
[오류신고 반론] 가장 효과가 나쁜것을 고르라면 살충제인 [다이아지논, 에토펜프록스] 두가지가 살균제인 나머지와 비교하였을때 가장 나쁜것이므로 4번이 맞는것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상림원은 조선초기 태조 때 정원을 관리하는 부서 사선서는 고려충렬왕 때 음식을 담당했던 부서 [해설작성자 : 희동이]
3.
일본의 회유식 임천정원(廻遊式 林泉庭園)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책하면서 감상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못(池)에는 다리가 없다.
2.
교토(京都) 계리궁(桂離宮, 가츠라리큐)의 정원은 그 대표적인 한 예이다.
3.
그 근원을 중세 말에 두고 있으나 양식으로 정착한 것은 강호(江戶, 에도)시대이다.
4.
중국적인 조경요소가 도입되어 있는 도쿄(東京)의 소석천후락원(小石川後樂園)도 이 양식에 속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4.
아도니스원(Adonis Garde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트 가든(Pot Garden)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2.
고대 그리스에서 발달된 일종의 옥상정원이다.
3.
고대 이집트에서 발달된 일종의 사자(死者)의 정원이다.
4.
고대 그리스에서 부인들에 의해 가꾸어진 정원으로 초화류를 분(盆)에 심어 장식했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5.
중국 송나라의 휘종(徽宗) 때에 주민이 설계한 정원으로서 항주의 봉황산을 닮게 하였다고 하는 정원은?
1.
경산(景山)
2.
만세산(萬歲山)
3.
만수산(萬壽山)
4.
아미산(蛾眉山)
정답 : [
2
] 정답률 : 73%
6.
탑골(파고다)공원 내에 있는 「앙부일구(仰釜日晷)」는 무엇과 관련 있는가?
1.
사리탑
2.
불상
3.
해시계
4.
천제단
정답 : [
3
] 정답률 : 90%
7.
도산서원에 퇴계선생이 지당을 파고 연꽃을 심었던 유적은?
1.
정우당
2.
절우사
3.
몽천
4.
세연지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도산 서원 주향자: 이황 이황이 낙향하여 도산서당과 농운정사를 짓고 학문을 닦으며 후학을 양성 전학후묘의 배치로 서원영역과 서당영역을 구분
경관요소 정우당 - 서당 동남쪽에 방지(3.3m*3.3m), 꽃 중 군자라는 연꽃(주돈이 애련설)을 식재 몽천 - 정우당 동쪽에 위치한 샘, 몽매한 제자를 바른 길로 이끌어 간다는 의미 절우사 - 몽천 위쪽 기슭에 단을 만들고 매화,대나무,소나무, 국화 식재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8.
다음 중 아크로폴리스(Acropolis)와 관계없는 것은?
1.
니케 신전
2.
파르테논 신전
3.
프로필레아
4.
폼페이 신전
정답 : [
4
] 정답률 : 67%
9.
광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장은 휴식과 대화의 자리가 된다.
2.
광장은 주변에 있는 건물이나 각종 시설물이 큰 영향을 준다.
3.
광장의 성격은 자연 지향적이고 레크레이션 지향형이다.
4.
광장의 입지조건은 상업, 문화, 행정 등의 기능을 지닌 공간과 관련성이 있는 자리가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10.
조경을 계획과 설계의 개념으로 구분한 것 중 설계(design)의 개념에 가장 가까운 접근방법은?
1.
매우 체계적이며 일반론적임
2.
논리적이고 객관성 있게 접근
3.
어떤 지침서나 분석결과를 서술형식으로 표현
4.
주관적ㆍ직관적이며, 창의성과 예술성을 크게 강조
정답 : [
4
] 정답률 : 85%
11.
다음 중 대상물의 표면이 거칠거나 섬세한 상태에 의하여 판단되는 경관 인지 요소는?
1.
질감
2.
형태
3.
크기
4.
색
정답 : [
1
] 정답률 : 89%
12.
레크레이션 계획을'여가 시간에 행하는 사람들의 레크레이션 활동을 그에 적합한 공간 및 시설에 관련시키는 계회'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레크레이션의 접근 방법을 자원접근방법, 활동접근법, 경제접근법, 형태접근방법, 종합접근방법 등 5가지로 분류한 사람은?
1.
케빈 린치(Kevin Lynch)
2.
이안 맥하그(Ian McHarg)
3.
가렛 에크보(Garrett Eckbo)
4.
세이머 골드(Seymour M Gold)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조경 계획의 접근방법
S.Gold(1980)의 레크레이션 계획 접근방법
자원 접근법 물리적 자원 혹은 자연자원이 레크레이션의 유형과 양을 결정하는 방법(공급이 수요를 제한) 활용 : 강변,호수변,풍치림,자연공원 등 경관성이 뛰어난 지역의 조경계획에 유용
활동 접근법 과거의 레크레이션 활동의 참가사례가 레크레이션 기회를 결정하도록 계획하는 방법(공급이 수요를 창출) 활동유형, 참여율 등 사회적 인자가 중요 활용: 대도시주변 계획에 적합 과거의 경험에만 의존하여 새로운 레크레이션 계획의 반영이 어려움
경제 접근법 지역사외의 경제적 기반이나 예산 규모가 레크레이션의 종류`입지를 결정하는 방법 토지,시설,프로그램 공급은 비용`편익분석에 의해 방법(경제적 인자가 우선) 활용: 민자유치사업
행태 접근법 이용자의 구체적인 행동 패턴에 맞춰 계획하는 방법(미시적 접근방법) 활동접근방법에 직접 나타내는 수요에 의한 계획방법 행태접근방법 : 잠재적인 수요까지 파악
종합 접근법 네가지 접근법의 긍정적인 측면만 취하는 접근방법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13.
다음 중 주차장법상 주차장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노변주차장
2.
노상주차장
3.
노외주차장
4.
부설주차장
정답 : [
1
] 정답률 : 67%
14.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1.
공청회는 국토교통부장관, 시ㆍ도지사, 시장 또는 군수가 지명하는 사람이 주재한다.
2.
공청회개최예정일 20일 전까지 관계행정기관의 관보에 공고하여야 한다.
3.
공청회는 광역계획권 단위로 개최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광역계획권을 수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개최할 수 있다.
4.
공고 시 주요사항으로는 개최목적, 개최예정일시 및 장소, 수립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광역도시계획의 개요, 기타 필요한 사항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일간신문에 공청회 개최예정일14일전까지 1회이상공고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라이센스]
15.
다음 중 조경설계기준상의 계단돌 쌓기(자연석층계)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계단의 최고 기울기는 40~45° 정도로 한다.
2.
한 단의 높이는 15~18㎝, 단의 폭은 25~30㎝ 정도로 한다.
3.
보행에 적합하도록 비탈면에 일정한 간격과 형식으로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한다.
4.
돌계단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 또는 방향이 급 변하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너비 120㎝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계단기울기는 30~35도 [해설작성자 : 망둥어]
16.
다음 그림에서 치수 기입 방법이 잘못된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 : [
3
] 정답률 : 80%
17.
문화재에 대한 조경 대상으로서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은?
1.
무형문화재
2.
사적
3.
명승
4.
천연기념물
정답 : [
1
] 정답률 : 83%
18.
환경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경색채 디자인은 자연적인 특징과 인공적인 특징을 조화롭게 계획하여 지역 거주자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인간에게 관계되는 환경색채로서 경관색체의 의미고 인간에게 심리적, 물리적인 영향을 준다.
3.
자연과 친화된 환경일수록 풍토성이 강해지고, 지역이 고립되고 차단될수록 지역색의 특성이 강해진다.
4.
자연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아 계절색의 이미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주변 동ㆍ식물계의 생태학적 색채 또한 요소적 특징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19.
체육공원의 계획 및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휴게센터는 출입구에서 먼 곳에 배치시킨다.
2.
공원면적의 5~10%는 다목적 광장, 시설 전면적의 50~60%는 각종 경기장으로 배치한다.
3.
야구장, 궁도장 및 사격장 등의 위험시설은 정적 휴게공간 등의 다른 공간과 격리하거나 지형, 식재 또는 인공 구조물로 차단한다.
4.
운동시설은 공원 전 면적의 50% 이내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하며, 주축을 남-북 방향으로 배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20.
수목의 종류, 배치 및 기타 횡단 구성요소와 균형 및 장래에 추가 차선을 목적으로 할 경우나 경관지 식수대의 경우는 그 폭을 몇 미터까지 할 수 있는가?
1.
1.5m
2.
2.0m
3.
3.0m
4.
4.5m
정답 : [
3
] 정답률 : 63%
2과목 : 소방유체역학
21.
다음 그림 중 식재를 통한 비대칭적 균형에 의한 공간감을 조성한 것이 아닌 것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87%
22.
다음 중 피자식물에 속하는 종이 아닌 것은?
1.
은행나무
2.
뽕나무
3.
신갈나무
4.
단풍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피자식물 (被子植物) 꽃식물 가운데 밑씨가 씨방 안에 싸여 있는 식물.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로 크게 나누는데, 감나무ㆍ버드나무ㆍ벚나무ㆍ밤나무ㆍ진달래ㆍ국화ㆍ벼ㆍ난초ㆍ백합 따위 대부분의 종자식물이 이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겉씨식물(나자식물) 꽃이 피지않고, 밑씨에서 발달한 종자가 나출되는 식물군(밑씨가 씨방에 싸여있지않고 밖으로 드러나는 식물), 은행나무, 소나무,향나무,노간주나무,측백나무,소철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3.
일반적인 식재설계과정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예비계획단계→기본구상→식재설계→시공
2.
식재기본구상→관련법규 검토→식재설계→시공
3.
식재 기본구상→식재평면도 작성→유지관리→관련 법규검토
4.
예비계획단계→시공상세도 작성→사용수종 선정→관련법규 검토
정답 : [
1
] 정답률 : 64%
24.
토양의 화학적 성질 중 양이온치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이온치환능력은 토양 표면으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증가한다.
2.
강우가 거의 없는 지역의 따뜻하고 건조한 토양은 칼슘, 나트륨, 칼륨의 흡착이 많다.
3.
석회석 모재로부터 생성된 습윤한 온대지역의 토양은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다.
4.
양이온치환능력은 완충능력을 결정하기 때문에 안정된 토양산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25.
수목식재에 있어서 색채(color)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이다. 이러한 디자인요소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각 수종의 기관별 특징이 되는 색채가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자작나무 - 꽃 - 흰색
2.
흰말채나무 - 수피 - 흰색
3.
홍가시나무 - 꽃 - 홍색
4.
벽오동 - 수피 - 녹색
정답 : [
4
] 정답률 : 79%
26.
무궁화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욱과(科)에 속하는 식물이다.
2.
꽃이 개량되어 담홍, 자색, 백색, 홑꽃, 겹꽃이 다양하다.
3.
열매는 삭과로서 장타원형이고 약간의 털이 있는데 10월경에 성숙한다.
4.
잎은 대생으로 3개로 갈라지나 윗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27.
다음 수종 중 잎의 특징이 복엽인 것은?
1.
Albizia julibrissin
2.
Sorbus alnifolia
3.
Cercis chinensis
4.
Crataegus pinnatifida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Albizia julibrissin : 자귀나무 [해설작성자 : 나그네]
추가 2.팥배나무 3.박태기나무 4.산사나무 [해설작성자 : 다람쥐와개구리]
28.
고속도로 중앙분리대 녹지에서 생육이 불량한 수종은?
1.
금목서
2.
아왜나무
3.
광나무
4.
꽝꽝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중앙분리대에 적합한 수종 ㄱ 배기가스나 건조에 강한 수종 ㄴ 맹아력이 강하며, 하지 밑까지 잘 발달한 상록수가 적당 ㄷ 교목 : 가이즈가향나무, 종가시나무, 향나무, 아왜나무 ㄹ 관목 : 꽝꽝나무, 다정큼나무, 돈나무, 둥근향나무(옥향), 사철나무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9.
다음 중 멸종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종은?
1.
몸체가 작은 종
2.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
3.
지리적 분포 범위가 좁은 종
4.
개체군의 크기가 감소하고 있는 종
정답 : [
1
] 정답률 : 77%
30.
식물체 기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0개의 공변세포로 이루어졌다.
2.
증산과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3.
부유식물은 잎의 표면에, 건생식물은 함몰된 기공을 가진다.
4.
주로 잎에 많이 존재하지만 광합성을 수행하는 녹색 줄기에도 약간 존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공변세포 = 기공 양 옆에 () 모양으로 있는 세포. 두개의 공변세포로 되어있음. [해설작성자 : 다람쥐와개구리]
31.
다음 중 장미과(Rosaceae)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오미자
2.
명자나무
3.
죽단화
4.
옥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오미자 - 오미자과
32.
보통명(common name)은 습성, 특징, 산지, 용도, 전설, 외래어 등에서 유래되어 비롯된다. 다음 중 이름이 나무의 특징을 반영한 것이 아닌 것은?
어린나무의 경우 수관하부의 성숙엽에서 자줏빛으로 변색되기 시작하여 점차 안쪽과 위쪽의 잎으로 진행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73.
다음 수목관리 계획 중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토양 개량
2.
전정
3.
병해충 방제
4.
지주목 보수
정답 : [
1
] 정답률 : 62%
74.
콘크리트재 유회시설의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미관을 위한 재도장은 얼마의 기간을 두고 하는 것이 적당한가?
1.
1년
2.
3년
3.
5년
4.
8년
정답 : [
2
] 정답률 : 60%
75.
다음 중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안전점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정기점검
2.
긴급점검
3.
정밀점검
4.
임시점검
정답 : [
4
] 정답률 : 64%
76.
간척지의 다년생 우점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1.
새섬매자기
2.
올챙이고랭이
3.
물달개비
4.
뚝새풀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새섬매자기(사초과) 간척지의 습한 지역, 기수지역, 조간대 상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덩이 뿌리의 경우 겨울철새의 먹이원으로 이용된다.
2. 올챙이고랭이(사초과) 논과 저지대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3. 물달개비(물옥잠과) 논의 잡초를 대표하는 한해살잎풀
4. 뚝새풀(벼과) 이른봄부터 모내기하기 전까지 논바닥을 뒤덮는 대표적인 잡초, 해넘이한해살이로 털이 없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7.
다음 중 토양 내에 과량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금속 오염의 피해를 주지만 미량 함유되어 있으면 필수 미량원소 비료가 되는 것은?
1.
Cd
2.
Zn
3.
Pb
4.
Cr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Zn아연 식물체 내에서 아연은 식물체 내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효소 구성 성분으로 망간이나 마그네슘 등과 같이 효소를 제거하는 효소를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핍되면 단백질 합성이 억제되어 엽록체에 그라나의 발육이 나빠지고 동시에 액포가 발생한다. 또한 식물 잎에는 갈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잎이 작아지면서 생육이 저해된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8.
작물보호제(농약)의 사용방법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입제농약은 원칙적으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방법 및 사용량에 따라 사용한다.
2.
포장지의 표기사항이 이해가 되지 않거나 의문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회사에 문의한다.
3.
수화제 및 입상수화제 등 희석제농약은 사용약량을 지켜 물에 희석한 후 분무기를 이용하여 작물에 충분히 묻도록 뿌린다.
4.
'사용적기 및 방법'란에 경엽처리 등 살포방법이 특별히 명시되지 아니한 것은 반드시 농약 포장지를 확인 후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입제농약은 작은 입자로 된 농약이다.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79.
레크레이션 분야에 수용능력(carrying capacity)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1.
Wagar
2.
Lapage
3.
Lucas
4.
Ashton
정답 : [
1
] 정답률 : 68%
80.
다음 중 잔디의 피티움마름병에 방제 효과가 가장 나쁜 것은?
1.
메탈락실-엠(수)
2.
하이멕사졸(액)
3.
만코제브ㆍ메탈락실(수)
4.
다이아지논ㆍ에토펜프록스(수)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피티움마름병 방제법 : 봄철에 과도한 질소시비를 피함 물에 의해 전반되므로 배수 불량지의 배수개선 메타락실계통의 약제는 저항성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연용피함
정답은 1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군조경]
[오류신고 반론] 가장 효과가 나쁜것을 고르라면 살충제인 [다이아지논, 에토펜프록스] 두가지가 살균제인 나머지와 비교하였을때 가장 나쁜것이므로 4번이 맞는것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②
①
③
②
③
①
④
③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④
①
②
①
③
①
④
①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①
①
①
④
④
①
①
①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④
③
④
③
②
③
①
①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④
②
③
③
②
①
③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③
④
④
④
②
③
④
③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①
④
②
①
①
④
④
②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②
①
②
④
①
②
①
①
④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