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토피어리>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친구가 발명, 1세기 부터 시행. *잎이 두꺼운 상록관목에 자주 쓰이며 초기 토피어리는 키작은 회양목의 가장자리를 단순하게 손질 했으며. 이후 원뿔형, 원추형, 나선형 등으로 회양목을 다듬어 정원 조경에 특색 부여 *토피어리에 가장 좋은 나무: 회양목속, 사이프러스, 주목/ 그 밖에 로즈메리, 감탕나무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태호석(太湖石)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한나라 때 태호석의 이용이 성행하였다.
2.
석가산 수법의 재료나 경석으로 사용되었다.
3.
태호의 물속에서 채집하여 정원석으로 사용하였다.
4.
북방지역은 화석강이라는 운반선으로 운하를 통해 운반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한나라X 당나라O [해설작성자 : JH]
태호석은 송나라때 그 이용이 성행하였습니다 [해설작성자 : 행복한 2막인생]
5.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에 있는 양산보가 조성한 정원은?
1.
선교장 정원
2.
다산초당
3.
소쇄원
4.
부용동정원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1,선교장 정원-강원도 강릉시 *이 집은 집터가 뱃머리를 연상하게 한다고 하여 선교장이라고 함 *조선후기 전주 이씨 이내번이 지었다고 함
2.다산초당-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조선후기 다산 정약용의 유배 관련 주택 (1801년 신유박해로 인해 강진으로 귀양, 18년 중 10년 동안 생활하던 집, 초당에서 알 수 있듯이 본래는 작은 초가집이었음)
3,소쇄원-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남면) *조선중기 건축된 한국 전통의 별서 정원, 다듬지 않은 자연과 어우러진다는 조선시대 특유의 조경 문화를 대표하는 곳 *소쇄원의 '소쇄'는 맑고 깨끗하다는 뜻(옛날 단어로 중화권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
4.부용동정원-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1636년(인조 14)에 윤선도가 이 곳에 정착하면서 거처할 집을 짓고 그에 딸린 정자와 연못 등 만든 정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고대 로마 폼페이 주택] *제1중정(아트리움:Artrium) ---> 제2중정(페리스틸리움:Peristylrium) --->제3중정(지스터스:Xystus)=호르투스(Hortus) *고대 로마의 주택정원 특징: 건물이 둘러싼 네모난 뜰에 조성, 내부지향적인 성격을 띔 *제1중정(아트리움): 입구에 위치에 손님을 맞이하는 외적인 공간, 돌로 포장한 바닥 때문에 식물은 심을 수 없음 *제2중정(페리스틸리움): 주생활공간으로 가족들이 사용하는 사적인 정원, 기둥이 정원을 감싸고 있는 주량식 중정, 날씨가 좋을 땐 식사를 하기도 함, 꽃과 나무를 키우고 감상을 위한 수반, 탁자 등을 놓아 가꾸었다. *후원(지스터스): 과수나 채소를 심는 실용적인 정원, 주택 부지 끝에 위치, 높은 담장과 건물로 둘러싸여 있다.(담장에 그림) 빨래 건조장으로도 사용, 식재료를 키우는 과수원, 채소밭 외에 정원시설을 갖춤, 5점형 식재를 한 것이 특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보행자도로와 차도를 동일한 공간에 설치하고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통행을 억제하는 여러 가지 기법을 도입하는 방식은?
1.
보차혼용방식
2.
보차병행방식
3.
보차공존방식
4.
보차분리방식
정답 : [
3
] 정답률 : 65%
10.
옥상정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건물전체의 건축구조설계 등 타분야와 상호연관성을 고려한다.
2.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경량골재 등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이용의 측면에서 볼 때 프라이버시 보호가 설계의 중점 사항이다.
4.
옥상은 태양 복사열을 잘 받고 미기후가 수목의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미기후: 지표면과 가까운 좁은 범위의 기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생물다양성관리계약 체결 가능 지역으로 명시되지 않은 지역은?
1.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생물다양성의 증진이 필요한 지역
3.
생물다양성의 복구가 필요한 지역
4.
생물다양성이 독특하거나 우수한 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생물 다양성 관리 계약* 멸종 위기 야생 생물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지역을 보전하기 위하여 토지의 소유자, 점유자, 관리인과 경작 방식의 변경, 화학 물질의 사용 감소, 습지의 조성, 그 밖에 토지의 관리 방법 따위를 조건으로 내세워 체결하는 계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경관의 우세요소(A), 우세원칙(B), 변화요인(C)을 순서대로 짝지은 것 중 틀린 것은?
1.
A : 형태, B : 집중, C : 규모
2.
A : 색채, B : 대조, C : 광선(light)
3.
A : 선, B : 축, C : 거리
4.
A : 질감, B : 방향, C : 연속성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경관의 우세요소: 색채, 형태, 질감, 선 우세원칙: 대조, 연속성, 축, 집중, 상대성, 조형 변화요인: 운동, 빛 , 기후조건, 계절, 거리, 관찰위치, 규모, 시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의 설명에 따르면 경관의 우세요소는 1.2.3.4.번의 A는 다 맞고 유세원칙은 1.2.3.의 B가맞고 변화요인은 2.3.번의 C가 맞으므로 정답은 2번과 3번. [해설작성자 : 미소그린]
13.
시점(A)에서 포장면(P)을 지각할 때 공간적 깊이 감을 가장 잘 줄 수 있는 포장 패턴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7%
14.
행태 조사 방법 중 물리적 흔적(physical traces)의 관찰 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일정 장소의 의자배치, 낙서, 잔디마모 등의 물리적 흔적을 관찰하는 것이다.
2.
연구하고자 하는 인간행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일반적으로 정보를 얻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비용이 많이 든다.
4.
대부분의 물리적 흔적은 비교적 장시간 변형되지 않으므로 반복적인 관찰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15.
먼셀(A.H.Munsell)의 표색계(表色系)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주요 5색은 R, Y, G, B, P 이다
2.
채도 단계에서 빨강은 8단계이고, 녹색은 14단계이다.
3.
명도축에는 1에서 14까지 번호가 붙여지고 있다.
4.
헤링(E. Hering)의 4원색설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16.
설계시 활용되는 “척도”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배척
2.
축척
3.
현척
4.
외척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배척-실물보다 확대하여 축척-실물보다 축소하여 현척-실물과 동일한 크기 NS (Not to scale)- 척도가 비례하지 않는 경우 [해설작성자 : ㅇㅇ]
17.
현대 디자인용 척도인 모듈러(Modulor)의 확립자는?
1.
라이트 (Wright)
2.
그로피우스 (Gropius)
3.
르 꼬르뷔제 (Le Corbusier)
4.
미스반델로에 (Mies van der Rohe)
정답 : [
3
] 정답률 : 82%
18.
다음 중 그늘시렁(파골라)의 배치, 형태 및 규격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태양의 고도 및 방위각을 고려하여 부재의 규격을 결정하며, 해가림 덮개의 투영 밀폐도는 50%를 기준으로 한다.
2.
공간규모와 이용자의 시각적 반응을 고려하여 규격을 결정하되 일반적으로 높이에 비해 길이가 길도록 한다.
3.
의자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의자는 하지의 12~14시를 기준으로 사람의 앉은 목 높이 이상 광선이 비추지 않도록 배치한다.
4.
조형성이 뛰어난 그늘시렁은 시각적으로 넓게 조망할 수 있는 곳이나 통경선(vista)이 끝나는 곳에 초점요소로서 배치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투명밀폐도 70% [해설작성자 : 라이센스]
19.
일반적으로 어느 색이 다른 색의 영향을 받아 단독으로 볼 때와는 달라져 보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문제 해설> <토피어리>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친구가 발명, 1세기 부터 시행. *잎이 두꺼운 상록관목에 자주 쓰이며 초기 토피어리는 키작은 회양목의 가장자리를 단순하게 손질 했으며. 이후 원뿔형, 원추형, 나선형 등으로 회양목을 다듬어 정원 조경에 특색 부여 *토피어리에 가장 좋은 나무: 회양목속, 사이프러스, 주목/ 그 밖에 로즈메리, 감탕나무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태호석(太湖石)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한나라 때 태호석의 이용이 성행하였다.
2.
석가산 수법의 재료나 경석으로 사용되었다.
3.
태호의 물속에서 채집하여 정원석으로 사용하였다.
4.
북방지역은 화석강이라는 운반선으로 운하를 통해 운반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한나라X 당나라O [해설작성자 : JH]
태호석은 송나라때 그 이용이 성행하였습니다 [해설작성자 : 행복한 2막인생]
5.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에 있는 양산보가 조성한 정원은?
1.
선교장 정원
2.
다산초당
3.
소쇄원
4.
부용동정원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1,선교장 정원-강원도 강릉시 *이 집은 집터가 뱃머리를 연상하게 한다고 하여 선교장이라고 함 *조선후기 전주 이씨 이내번이 지었다고 함
2.다산초당-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조선후기 다산 정약용의 유배 관련 주택 (1801년 신유박해로 인해 강진으로 귀양, 18년 중 10년 동안 생활하던 집, 초당에서 알 수 있듯이 본래는 작은 초가집이었음)
3,소쇄원-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남면) *조선중기 건축된 한국 전통의 별서 정원, 다듬지 않은 자연과 어우러진다는 조선시대 특유의 조경 문화를 대표하는 곳 *소쇄원의 '소쇄'는 맑고 깨끗하다는 뜻(옛날 단어로 중화권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
4.부용동정원-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1636년(인조 14)에 윤선도가 이 곳에 정착하면서 거처할 집을 짓고 그에 딸린 정자와 연못 등 만든 정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고대 로마 폼페이 주택] *제1중정(아트리움:Artrium) ---> 제2중정(페리스틸리움:Peristylrium) --->제3중정(지스터스:Xystus)=호르투스(Hortus) *고대 로마의 주택정원 특징: 건물이 둘러싼 네모난 뜰에 조성, 내부지향적인 성격을 띔 *제1중정(아트리움): 입구에 위치에 손님을 맞이하는 외적인 공간, 돌로 포장한 바닥 때문에 식물은 심을 수 없음 *제2중정(페리스틸리움): 주생활공간으로 가족들이 사용하는 사적인 정원, 기둥이 정원을 감싸고 있는 주량식 중정, 날씨가 좋을 땐 식사를 하기도 함, 꽃과 나무를 키우고 감상을 위한 수반, 탁자 등을 놓아 가꾸었다. *후원(지스터스): 과수나 채소를 심는 실용적인 정원, 주택 부지 끝에 위치, 높은 담장과 건물로 둘러싸여 있다.(담장에 그림) 빨래 건조장으로도 사용, 식재료를 키우는 과수원, 채소밭 외에 정원시설을 갖춤, 5점형 식재를 한 것이 특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보행자도로와 차도를 동일한 공간에 설치하고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통행을 억제하는 여러 가지 기법을 도입하는 방식은?
1.
보차혼용방식
2.
보차병행방식
3.
보차공존방식
4.
보차분리방식
정답 : [
3
] 정답률 : 65%
10.
옥상정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건물전체의 건축구조설계 등 타분야와 상호연관성을 고려한다.
2.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경량골재 등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이용의 측면에서 볼 때 프라이버시 보호가 설계의 중점 사항이다.
4.
옥상은 태양 복사열을 잘 받고 미기후가 수목의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미기후: 지표면과 가까운 좁은 범위의 기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생물다양성관리계약 체결 가능 지역으로 명시되지 않은 지역은?
1.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생물다양성의 증진이 필요한 지역
3.
생물다양성의 복구가 필요한 지역
4.
생물다양성이 독특하거나 우수한 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생물 다양성 관리 계약* 멸종 위기 야생 생물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지역을 보전하기 위하여 토지의 소유자, 점유자, 관리인과 경작 방식의 변경, 화학 물질의 사용 감소, 습지의 조성, 그 밖에 토지의 관리 방법 따위를 조건으로 내세워 체결하는 계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경관의 우세요소(A), 우세원칙(B), 변화요인(C)을 순서대로 짝지은 것 중 틀린 것은?
1.
A : 형태, B : 집중, C : 규모
2.
A : 색채, B : 대조, C : 광선(light)
3.
A : 선, B : 축, C : 거리
4.
A : 질감, B : 방향, C : 연속성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경관의 우세요소: 색채, 형태, 질감, 선 우세원칙: 대조, 연속성, 축, 집중, 상대성, 조형 변화요인: 운동, 빛 , 기후조건, 계절, 거리, 관찰위치, 규모, 시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의 설명에 따르면 경관의 우세요소는 1.2.3.4.번의 A는 다 맞고 유세원칙은 1.2.3.의 B가맞고 변화요인은 2.3.번의 C가 맞으므로 정답은 2번과 3번. [해설작성자 : 미소그린]
13.
시점(A)에서 포장면(P)을 지각할 때 공간적 깊이 감을 가장 잘 줄 수 있는 포장 패턴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7%
14.
행태 조사 방법 중 물리적 흔적(physical traces)의 관찰 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일정 장소의 의자배치, 낙서, 잔디마모 등의 물리적 흔적을 관찰하는 것이다.
2.
연구하고자 하는 인간행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일반적으로 정보를 얻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비용이 많이 든다.
4.
대부분의 물리적 흔적은 비교적 장시간 변형되지 않으므로 반복적인 관찰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15.
먼셀(A.H.Munsell)의 표색계(表色系)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주요 5색은 R, Y, G, B, P 이다
2.
채도 단계에서 빨강은 8단계이고, 녹색은 14단계이다.
3.
명도축에는 1에서 14까지 번호가 붙여지고 있다.
4.
헤링(E. Hering)의 4원색설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16.
설계시 활용되는 “척도”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배척
2.
축척
3.
현척
4.
외척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배척-실물보다 확대하여 축척-실물보다 축소하여 현척-실물과 동일한 크기 NS (Not to scale)- 척도가 비례하지 않는 경우 [해설작성자 : ㅇㅇ]
17.
현대 디자인용 척도인 모듈러(Modulor)의 확립자는?
1.
라이트 (Wright)
2.
그로피우스 (Gropius)
3.
르 꼬르뷔제 (Le Corbusier)
4.
미스반델로에 (Mies van der Rohe)
정답 : [
3
] 정답률 : 82%
18.
다음 중 그늘시렁(파골라)의 배치, 형태 및 규격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태양의 고도 및 방위각을 고려하여 부재의 규격을 결정하며, 해가림 덮개의 투영 밀폐도는 50%를 기준으로 한다.
2.
공간규모와 이용자의 시각적 반응을 고려하여 규격을 결정하되 일반적으로 높이에 비해 길이가 길도록 한다.
3.
의자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의자는 하지의 12~14시를 기준으로 사람의 앉은 목 높이 이상 광선이 비추지 않도록 배치한다.
4.
조형성이 뛰어난 그늘시렁은 시각적으로 넓게 조망할 수 있는 곳이나 통경선(vista)이 끝나는 곳에 초점요소로서 배치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투명밀폐도 70% [해설작성자 : 라이센스]
19.
일반적으로 어느 색이 다른 색의 영향을 받아 단독으로 볼 때와는 달라져 보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