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복과중에 나눠짐 그래서 복과 1. 다화과 복과 중 여러 개의 꽃이 모여 그 일부가 다즙질로 된 것을 말한다. 2. 구과 자작나무나 오리나무, 굴피나무와 같이 마치 솔방울처럼 모인 포린 위에 2개 이상의 소견과가 달린다. 침엽수의 열매를 구과라고도 한다. 종자를 둘러싼 과피나 껍질이 목질화되어 있다 3. 취과 집합과라고도 한다. 여러 개의 심피가 1개의 열매처럼 되어 있는 것이다. 산딸기속, 미나리아재비속과 같이 화탁 위에 다수의 씨방이 발달한 열매가 모여 전체로서 하나의 과실형을 이룬 것을 말한다. 4. 상과 뽕나무나 버즘나무와 같이 화피는 육질 또는 목질로 서로 붙어 있고, 씨방은 수과 또는 핵과상이다.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3.
발아억제물질인 coumarin이 영 부위에 존재하는 것은?
1.
사탕무
2.
보리
3.
단풍나무
4.
장미
정답 : [
2
] 정답률 : 77%
4.
( )에 알맞은 내용은?
1.
장환종자
2.
피막처리종자
3.
테이프종자
4.
펠릿종자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종자 코팅 : 미세한 종자의 크기 증대, 기계화 파종에 적합 등 종자의 취급이나 파종의 간편화를 위해 표면을 코팅하는 것 ① 필름코팅 : 농약/색소를 혼합하여 접착제로 종자 표면에 얇게 코팅 처리 ② 팰릿종자 : 기계화 파종 및 포장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점토로 코팅하여 크기 증대 ③ 피복종자 : 피복 재료 속에 살충, 살균제를 첨가하여 원형으로 처리 ④ 장환종자 : 일정한 크기의 구멍으로 압출하여 원통형으로 절단 ⑤ 종자테이프 : 분해 가능한 좁은 띠에 종자를 몇 립씩 넣어 한줄로 배치 ⑥ 종자매트 : 분해 가능한 넓은 판에 종자를 무리 짓거나 무작위로 배치 [해설작성자 : KSI]
5.
자식성 작물의 종자생산 관리체계에서 증식체계로 옳은 것은?
1.
기본식물 → 원원종 → 원종 → 보급종
2.
보급종 → 기본식물 → 원원종 → 원종
3.
보급종 → 원원종 → 원종 → 기본식물
4.
원종 → 보급종 → 원원종 → 기본식물
정답 : [
1
] 정답률 : 96%
6.
자가수정만 하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단, 자가수정 시 낮은 교잡률과 자식열세를 보이는 작물은 제외)
<문제 해설> 염화제2철을 사용하는 방법 (FEcl3) -ferric chloride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9.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삼투압검사
2.
ATP검사
3.
GADA검사
4.
와사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와사검사 : 처음에는 곡류에 종자 전염하는 Fusarium의 감염 여부를 알고자 고안한 방법이었지만 후에 종자의 불량묘 검사에 이용 [해설작성자 : Johns]
ATP검사 : 종자 발아 중 유아의 ATP 함량 변화를 확인 GADA검사 : GADA가 높으면 포장출현율이 높음 Glucose 대사 검사 : 종자의 발아에 있어 평균대사반응을 측정 테트라졸리움검사 : 살아 있는 종자 조직의 착색(빨간색) 정도 및 형태 등에 따라 구분 와사검사 : 곡류의 종자전염 Fusarium 균 감염 여부 확인 [해설작성자 : KSI]
10.
( )에 알맞은 내용은?
1.
5~8
2.
12~18
3.
20~23
4.
25~28
정답 : [
2
] 정답률 : 71%
11.
수분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배로 발달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밀감, 부추
2.
파, 달맞이꽃
3.
목화, 벼
4.
진달래, 국화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위수정생식: 수정하지 않고 난세포가 수분의 자극을 받아 배로 발달하는 것 / 담배, 목화, 벼, 밀, 보리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포믹시스 : 수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가 만들어져 종자를 형성되어 번식하는 것 - 부정배형성 : 배낭을 만들지 않고 포자체의 조직세포가 직접 배를 형성 (밀감) - 무포자생식 : 배낭을 만들지만 배낭의 조직세포가 배를 형성 (부추, 파) - 복상포자생식 : 배낭모세포가 감수분열을 못하거나 비정상적인 분열을 하여 배를 형성 (볏과, 국화) - 웅성단위 : 난세포가 들어간 정세포가 단독으로 분열하여 배를 형성 (달맞이꽃, 진달래) - 위수정생식 : 수분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배로 발달하는 것 (벼, 보리, 밀, 담배, 목화) [해설작성자 : KSI]
12.
무한화서이고, 작은 화경이 없거나 있어도 매우 짧고 화경과 함께 모여 있으며, 총포라고 불리는 포엽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은?
1.
두상화서
2.
단정화서
3.
단집산화서
4.
안목상취산화서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화축의 윗부분이 넓게 발달하여 그 위에 꽃이 여러개 달리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를 띠는 대표적인 식물이 국화과 식물이 있다.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유채의 포장검사 시 포장격리에서 산림 등 보호물이 있을 때를 제외하고 원종, 보급종은 이품종으로부터 몇 m 이상 격리되어야 하는가?
1.
300
2.
500
3.
800
4.
1000
정답 : [
4
] 정답률 : 78%
15.
( )에 알맞은 내용은?
1.
뇌수분형
2.
종자춘화형
3.
적심형
4.
무춘화형
정답 : [
4
] 정답률 : 78%
16.
여교배 중에서 F1을 양친 중 열성친과 교배하는 경우를 말하며, 주로 유전자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1.
검정교배
2.
복교배
3.
다계교배
4.
3계교배
정답 : [
1
] 정답률 : 88%
17.
제웅하지 않고 풍매 또는 충매에 의한 자연교잡을 이용하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벼, 보리
2.
수수, 토마토
3.
가지, 멜론
4.
양파, 고추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양파, 고추는 웅성불임으로 제웅하지 않고 자연교잡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제웅 - 시기 : 꽃밥이 성숙하여 갈라지기 전에 실시 - 목적 : 인공교잡시 자연교잡·자연수정 타파, 오염수분 방지 ① 절영법 : 영 선단 부위를 가위로 잘라내고 핀셋으로 수술을 끄집어 낸다 (벼, 보리, 밀) ② 개열법 : 꽃봉오리의 꽃잎을 핀셋으로 헤쳐 밀어 내고 꽃밥을 들어낸다 (콩, 감자, 고구마) ③ 화판인발법 :꽃봉오리 끝을 손으로 눌러 잡아당겨서 꽃잎과 꽃밥을 제거한다 (콩, 자운영)
<문제 해설> 계통육종법은 자식성 작물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육종법으로서, 특히 F2 세대부터 개체선발을 하기 때문에 육종가의 선발에 대한 안목이 가장 크게 요구되는 교배육종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완전히 자가수정하는 동형접합체의 1개체로부터 불어난 자손의 총칭은?
1.
유전자원
2.
유전변이체
3.
순계
4.
동질배수체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순계 : 유전적으로 분리가 없는 동형접합인 계통 내의 선발효과가 없는 계통 [해설작성자 : KSI]
23.
체세포의 염색체수가 2n인 농작물의 부위별 염색체수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왼쪽을 기준으로 배(胚), 배유(胚乳), 1핵기의 화분, 뿌리의 생장점 세포 순서임)
1.
n, 2n, 3n, 2n
2.
2n, 3n, 2n, n
3.
2n, 3n, n, 2n
4.
n, 2n, 2n, 3n
정답 : [
3
] 정답률 : 78%
24.
콩과 식물의 제웅에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화판인발법(花瓣引拔法)
2.
집단제정법(集團除精法)
3.
절영법(切潁法)
4.
수세법(水洗法)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제웅법 1. 화판인발법 : 콩, 자운영 등 꽃망울 끝의 꽃잎을 꽃밥과 함께 뽑아냄 3. 절영법 : 벼, 보리 등 영(穎)의 선단부를 잘라 꽃밥 제거 *영(穎) : 꽃 기부의 두 개 작은 잎
제정법 (꽃밥밖으로 꽃가루 나오지 않게 함) 2. 집단제정법 : 암술 기능은 유지, 수술 기능은 상실 (온탕제정법, 저온처리법, 수세법, 알코올 침윤법 등 이용) [해설작성자 : 청정봉주]
25.
불임성 중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은?
1.
순환적 불임성
2.
웅성불임성
3.
자가불화합성
4.
이형예현상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유전적 원인에 의한 불임 가) 생식기관의 성적 결함에 의한 불임성 (1) 자성불임 / 웅성불임(세포질 유전자적, 세포질적, 유전자적 웅성불임) 나) 생식기관의 형태적 결함에 의한 불임성 (1) 이형예 현상, 자웅이숙, 장벽수정 다) 불화합성에 의한 불임성 (1) 타가불화합성 (2) 자가불화합성 :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 .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동형화주형, 이형화주형) 라) 교잡에 의한 불임성 (1) 종내 잡종불임성 : 원연 품종간 교배의 경우 (2) 종외 잡종불임성 : 게놈이 서로 다른 경우 * 생식기관의 형태적 결함에 의해 자가수분이 저해되는 불임성은 한 꽃속에 암술과 수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이형예 현상(메밀)에 의한 것, 암술과 수술의 성숙시기가 서로 다른 자웅이숙에 의한 것, 암술과 수술의 위치상 수정이 불가능한 장벽수정에 의한것 등이다. * 잡종강세 육종에서 잡종 1세대의 채종재배를 할 때 웅성불임계통이나 자가불화합성인 계통을 역이 용하면 제웅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ohns]
환경적 원인 : 영양, 광선, 수분, 온도, 병충해 등 ① 다즙질 불임성 : 영양분이 과하여 생식작용이 억제 ② 쇠약질 불임성 : 다즙질 불임성의 반대 ③ 순환적 불임성 : 꽃이 너무 많이 달려 영양분배가 불충분하여 생식기관이 퇴화되고,불완전 꽃이 되거나 국부적으로 생식기능이 쇠퇴 [해설작성자 : KSI]
26.
수정을 거치지 않고 유성생식 기관 또는 거기에 부수되는 조직 및 세포로부터 배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아닌 것은?
<문제 해설> 돌연변이 육종법의 특징 * 품종 내에서 특성의 조화를 파괴하지 않고 1개의 특성만을 용이하게 치환할 수 있다., * Hetero(이형접합)로 되어 있는 영양번식식물에서 변이를 작성하기가 용이하다. * 염색체 단편을 치환시킬 수 있다. * 인위배수체의 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자가불화합, 교잡불화합을 극복할 수 있어 육종범위의 확대가 가능하다. * 새로운 유전변이를 창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산파 (散播) : 흩어뿌림. 논밭 전체에 종자를 흩어 뿌리는 방법 점파 (點播) : 점뿌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자를 1~2알씩 띄엄띄엄 파종하는 방식. 조파 (條播) : 줄뿌림. 종자를 줄지어 뿌리는 방법 적파 (摘播) : 점파를 할 때 한 곳에 여러 개의 종자를 파종할 경우
42.
토양 통기의 촉진책으로 틀린 것은?
1.
배수 촉진
2.
토양 입단 조성
3.
식질토를 이용한 객토
4.
심경
정답 : [
3
] 정답률 : 65%
43.
침수에 의한 피해가 가장 큰 벼의 생육단계는?
1.
분얼성기
2.
최고분얼기
3.
수잉기
4.
등숙기
정답 : [
3
] 정답률 : 69%
44.
추파성 맥류의 상적발육설을 주창한 사람은?
1.
다윈
2.
우장춘
3.
바빌로프
4.
리센코
정답 : [
4
] 정답률 : 70%
45.
작물체 내에서의 생리적 또는 형태적인 균형이나 비율이 작물생육의 지표로 사용되는 것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C/N 율
2.
T/R 율
3.
G-D 균형
4.
광합성-호흡
정답 : [
4
] 정답률 : 74%
46.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아지고 밀식 적응성이 큰 콩의 초형이 아닌 것은?
1.
꼬투리가 원줄기에 적게 달린 것
2.
키가 크고 도복이 안 되는 것
3.
가지를 적게 치고 마디가 짧은 것
4.
잎이 작고 가는 것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꼬투리가 많이 달려야 함 [해설작성자 : 아니면 말씀해주세요]
47.
세포막 중 중간막의 주성분으로 잎에 많이 존재하며 체 내의 이동이 어려운 것은?
1.
질소
2.
칼슘
3.
마그네슘
4.
인
정답 : [
2
] 정답률 : 67%
48.
다음 중 육묘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증수 도모
2.
종자 소비량 증대
3.
조기수확 가능
4.
토지 이용도 증대
정답 : [
2
] 정답률 : 74%
49.
좁은 범위의 일장에서만 화성이 유도 촉진되며, 2개의 한계일장을 가진 식물은?
1.
장일식물
2.
중일식물
3.
장단일식물
4.
정일식물
정답 : [
4
] 정답률 : 60%
50.
내염성 정도가 강한 작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완두, 셀러리
2.
배, 살구
3.
고구마, 감자
4.
유채, 양배추
정답 : [
4
] 정답률 : 77%
51.
다음 중 무배유 종자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벼, 밀, 옥수수
2.
벼, 콩, 팥
3.
콩, 팥, 완두
4.
옥수수, 밀, 귀리
정답 : [
3
] 정답률 : 81%
52.
광합성 연구에 활용되는 방사선 동위원소는?
1.
14C
2.
32P
3.
42K
4.
24Na
정답 : [
1
] 정답률 : 76%
53.
변온이 작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발아촉진
2.
동화물질의 축적
3.
덩이뿌리의 발달
4.
출수 및 개화의 지연
정답 : [
4
] 정답률 : 57%
54.
비료의 엽면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맞는 것은?
1.
잎의 이면보다 표피에서 더 잘 흡수된다.
2.
잎의 호흡작용이 왕성할 때에 잘 흡수된다.
3.
살포액의 pH는 알칼리인 것이 흡수가 잘 된다.
4.
엽면시비는 낮보다는 밤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55.
이랑을 세우고 낮은 골에 파종하는 방식은?
1.
휴립휴파법
2.
이랑재배
3.
평휴법
4.
휴립구파법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이 잘못 된 것 같습니다. 이랑을 세우고 하는 방식인 2번이 맞는것같은데 뭔가 착오가 있는 것 같네요
[오류신고 반론] 휴립구파 : 경작지의 흙을 돋우어 이랑을 만들고 이랑 사이에 패인 부분인 고랑에 파종하는 방법을 말한다.이랑에 파종하는 것보다 가뭄의 피해를 줄일 수 있고, 한발이 심한 때 또는 가뭄이 심한 지역 또는 장소에 따라 보수력이 나쁜 토양에서는 휴립구파가 바람직하다. 휴립휴파 : 흙을 돋우어 만든 이랑에 종자를 파종하는 것. 강우가 심한 지역 또는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는 이랑에 파종하는 것이 습해를 막을 수 있어 유리하다. 그리고 배수가 좋지 않는 경작지에서도 휴립휴파가 바람직하다.
휴립구파는 고랑! 휴립직파는 이랑! 둘 다 출제됐던 문제니 기억하고 가셨으면 좋겠어요 ㅎㅎ
<문제 해설> 질소대사 이상 - 고온에서 효소 및 단백질 변성이 일어카기 때문 [해설작성자 : 나도종자]
59.
휴면연장과 발아억제를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에스렐 처리
2.
MH 수용액 처리
3.
저온저장
4.
감마선 조사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에스렐은 휴면타파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나도종자]
60.
교잡에 의한 작물개량의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한 사람은?
1.
Camerarius
2.
Koelreuter
3.
Mendel
4.
Johannsen
정답 : [
2
] 정답률 : 54%
61.
상처가 아물도록 처리하여 저장할 경우 방제효과가 가장 큰 병은?
1.
사과 탄저병
2.
고추 탄저병
3.
사과 겹무늬썩음병
4.
고구마 검은무늬병
정답 : [
4
] 정답률 : 74%
62.
살충제에 대한 해충의 저항성이 발달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1.
살균제와 살충제를 섞어 뿌리기 때문에
2.
같은 약제를 계속해서 뿌리기 때문에
3.
약제를 농도가 진하게 만들어 조금 뿌리기 때문에
4.
약제의 계통이나 주성분이 다른 약제를 바꾸어 뿌리기 때문에
정답 : [
2
] 정답률 : 86%
63.
오염된 물보다는 주로 깨끗한 물에서 서식하는 곤충은?
1.
꽃등에
2.
나방파리
3.
모기붙이
4.
민날개강도래
정답 : [
4
] 정답률 : 74%
64.
식물병이 크게 발생한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세기 말 스리랑카에서 커피 녹병 발생
2.
1845년경 아일랜드에서 양배추 역병 발생
3.
1970년경 미국에서 옥수수 깨씨무늬병 발생
4.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에서 사탕무 갈색무늬병 발생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845년 아일랜드 감자 역병 발생
65.
농약제조용 증량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량제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농약 살포 때 살분기의 마모가 심하다.
2.
증량제 입자의 크기는 분제의 분산성, 비산성, 부착성에 영향을 미친다.
3.
농약의 저장 중 증량제에 의해 유효성분이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4.
증량제의 수분함량 및 흡습성이 높으면 살포된 농약의 응집력이 증대되어 분산성이 향상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66.
자낭균에 속하는 병균은?
1.
소나무 혹병균
2.
잣나무 털녹병균
3.
복숭아 잎오갈병균
4.
사과 붉은별무늬병균
정답 : [
3
] 정답률 : 43%
67.
주로 땅 속에서 작물의 뿌리를 가해하는 해충은?
1.
도둑나방
2.
조명나방
3.
방아벌레
4.
화랑곡나방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방아벌레: 1. 분류: 딱정벌레목, 방아벌레과 2. 가해양식: 괴경 (토양해충) 3. 발생: 1세대를 경과하는데 3년 4. 월동형태 및 장소: 유충 또는 번데기 의 형태로 땅속에서 월동 5. 특징: 철사벌레로 불리는 유충이 감자의 괴경에 구멍을 내고 그 상처로 토양병원균이 침입하여 부패의 원인이 됨 [해설작성자 : Johns]
68.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번식력이 강하며 종자 생산량이 많다.
2.
생태학적 천이과정이 극상에 이른 지역에서 많이 발생한다.
3.
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각자 고유한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
4.
한 지역에 발생하는 종의 수가 많아 다양한 유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69.
접촉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마진, PCP 등이 있다.
2.
효과가 곧바로 나타난다.
3.
주로 발아 후의 잡초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4.
약제가 부착된 세포가 파괴되는 살초효과를 보인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시마진은 이행형 [해설작성자 : 나도종자]
70.
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발달된 균사를 가지고 있다.
2.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이 있다.
3.
운동기관으로 편모를 가지고 있다.
4.
효소계가 없으며 생명체 안에서만 증식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71.
식물병 진단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체 내 주사법은 주로 세균병 진단에 사용된다.
2.
지표식물을 이용하여 일부 TMV를 진단할 수 있다.
3.
파지(phage)에 의한 일부 세균병 진단이 가능하다.
4.
혈청학적인 방법은 바이러스병 진단에 효과적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충체 내 주사법은 매개전염 바이러스병 진단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3일의 전사]
72.
잡초의 생태적 방제방법 중 경합특성 이용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관배수 조절
2.
재식밀도 조절
3.
육묘이식 재배
4.
품종 및 종자 선정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관배수 조절법은 기계, 물리적 방제법이다. [해설작성자 : 3일의 전사]
73.
고추, 담배, 땅콩 등의 작물을 재배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잡초의 방제뿐만 아니라 수분을 유지시켜 주는 장점을 지닌 방법은?
1.
추경
2.
중경
3.
담수
4.
피복
정답 : [
4
] 정답률 : 68%
74.
같은 작물을 동일한 포장에 계속 재배하였을 때 나타나는 연작장해 현상과 가장 관련이 깊은 병해는?
1.
공기전염성 병해
2.
종자전염성 병해
3.
토양전염성 병해
4.
충매전염성 병해
정답 : [
3
] 정답률 : 84%
75.
파리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다귀와 모기 등이 있다.
2.
완전변태하며 번데기는 주로 대용이다.
3.
파리목은 크게 4개의 아목으로 나눠진다.
4.
뒷날개가 퇴화되어 반시초를 이루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파리목에는 모기,파리, 각다귀, 등에,혹파리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3일의 전사]
76.
벼 줄무늬잎마름병과 벼 검은줄오갈병을 예방하기 위해 방제해야 하는 해충은?
1.
독나방
2.
애멸구
3.
혹명나방
4.
벼모기붙이
정답 : [
2
] 정답률 : 84%
77.
어떤 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150L를 살포하려 한다면 이 유제의 소요량은?
<문제 해설> 복과중에 나눠짐 그래서 복과 1. 다화과 복과 중 여러 개의 꽃이 모여 그 일부가 다즙질로 된 것을 말한다. 2. 구과 자작나무나 오리나무, 굴피나무와 같이 마치 솔방울처럼 모인 포린 위에 2개 이상의 소견과가 달린다. 침엽수의 열매를 구과라고도 한다. 종자를 둘러싼 과피나 껍질이 목질화되어 있다 3. 취과 집합과라고도 한다. 여러 개의 심피가 1개의 열매처럼 되어 있는 것이다. 산딸기속, 미나리아재비속과 같이 화탁 위에 다수의 씨방이 발달한 열매가 모여 전체로서 하나의 과실형을 이룬 것을 말한다. 4. 상과 뽕나무나 버즘나무와 같이 화피는 육질 또는 목질로 서로 붙어 있고, 씨방은 수과 또는 핵과상이다.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3.
발아억제물질인 coumarin이 영 부위에 존재하는 것은?
1.
사탕무
2.
보리
3.
단풍나무
4.
장미
정답 : [
2
] 정답률 : 77%
4.
( )에 알맞은 내용은?
1.
장환종자
2.
피막처리종자
3.
테이프종자
4.
펠릿종자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종자 코팅 : 미세한 종자의 크기 증대, 기계화 파종에 적합 등 종자의 취급이나 파종의 간편화를 위해 표면을 코팅하는 것 ① 필름코팅 : 농약/색소를 혼합하여 접착제로 종자 표면에 얇게 코팅 처리 ② 팰릿종자 : 기계화 파종 및 포장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점토로 코팅하여 크기 증대 ③ 피복종자 : 피복 재료 속에 살충, 살균제를 첨가하여 원형으로 처리 ④ 장환종자 : 일정한 크기의 구멍으로 압출하여 원통형으로 절단 ⑤ 종자테이프 : 분해 가능한 좁은 띠에 종자를 몇 립씩 넣어 한줄로 배치 ⑥ 종자매트 : 분해 가능한 넓은 판에 종자를 무리 짓거나 무작위로 배치 [해설작성자 : KSI]
5.
자식성 작물의 종자생산 관리체계에서 증식체계로 옳은 것은?
1.
기본식물 → 원원종 → 원종 → 보급종
2.
보급종 → 기본식물 → 원원종 → 원종
3.
보급종 → 원원종 → 원종 → 기본식물
4.
원종 → 보급종 → 원원종 → 기본식물
정답 : [
1
] 정답률 : 96%
6.
자가수정만 하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단, 자가수정 시 낮은 교잡률과 자식열세를 보이는 작물은 제외)
<문제 해설> 염화제2철을 사용하는 방법 (FEcl3) -ferric chloride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9.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삼투압검사
2.
ATP검사
3.
GADA검사
4.
와사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와사검사 : 처음에는 곡류에 종자 전염하는 Fusarium의 감염 여부를 알고자 고안한 방법이었지만 후에 종자의 불량묘 검사에 이용 [해설작성자 : Johns]
ATP검사 : 종자 발아 중 유아의 ATP 함량 변화를 확인 GADA검사 : GADA가 높으면 포장출현율이 높음 Glucose 대사 검사 : 종자의 발아에 있어 평균대사반응을 측정 테트라졸리움검사 : 살아 있는 종자 조직의 착색(빨간색) 정도 및 형태 등에 따라 구분 와사검사 : 곡류의 종자전염 Fusarium 균 감염 여부 확인 [해설작성자 : KSI]
10.
( )에 알맞은 내용은?
1.
5~8
2.
12~18
3.
20~23
4.
25~28
정답 : [
2
] 정답률 : 71%
11.
수분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배로 발달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밀감, 부추
2.
파, 달맞이꽃
3.
목화, 벼
4.
진달래, 국화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위수정생식: 수정하지 않고 난세포가 수분의 자극을 받아 배로 발달하는 것 / 담배, 목화, 벼, 밀, 보리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포믹시스 : 수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가 만들어져 종자를 형성되어 번식하는 것 - 부정배형성 : 배낭을 만들지 않고 포자체의 조직세포가 직접 배를 형성 (밀감) - 무포자생식 : 배낭을 만들지만 배낭의 조직세포가 배를 형성 (부추, 파) - 복상포자생식 : 배낭모세포가 감수분열을 못하거나 비정상적인 분열을 하여 배를 형성 (볏과, 국화) - 웅성단위 : 난세포가 들어간 정세포가 단독으로 분열하여 배를 형성 (달맞이꽃, 진달래) - 위수정생식 : 수분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배로 발달하는 것 (벼, 보리, 밀, 담배, 목화) [해설작성자 : KSI]
12.
무한화서이고, 작은 화경이 없거나 있어도 매우 짧고 화경과 함께 모여 있으며, 총포라고 불리는 포엽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은?
1.
두상화서
2.
단정화서
3.
단집산화서
4.
안목상취산화서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화축의 윗부분이 넓게 발달하여 그 위에 꽃이 여러개 달리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를 띠는 대표적인 식물이 국화과 식물이 있다.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유채의 포장검사 시 포장격리에서 산림 등 보호물이 있을 때를 제외하고 원종, 보급종은 이품종으로부터 몇 m 이상 격리되어야 하는가?
1.
300
2.
500
3.
800
4.
1000
정답 : [
4
] 정답률 : 78%
15.
( )에 알맞은 내용은?
1.
뇌수분형
2.
종자춘화형
3.
적심형
4.
무춘화형
정답 : [
4
] 정답률 : 78%
16.
여교배 중에서 F1을 양친 중 열성친과 교배하는 경우를 말하며, 주로 유전자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1.
검정교배
2.
복교배
3.
다계교배
4.
3계교배
정답 : [
1
] 정답률 : 88%
17.
제웅하지 않고 풍매 또는 충매에 의한 자연교잡을 이용하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벼, 보리
2.
수수, 토마토
3.
가지, 멜론
4.
양파, 고추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양파, 고추는 웅성불임으로 제웅하지 않고 자연교잡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제웅 - 시기 : 꽃밥이 성숙하여 갈라지기 전에 실시 - 목적 : 인공교잡시 자연교잡·자연수정 타파, 오염수분 방지 ① 절영법 : 영 선단 부위를 가위로 잘라내고 핀셋으로 수술을 끄집어 낸다 (벼, 보리, 밀) ② 개열법 : 꽃봉오리의 꽃잎을 핀셋으로 헤쳐 밀어 내고 꽃밥을 들어낸다 (콩, 감자, 고구마) ③ 화판인발법 :꽃봉오리 끝을 손으로 눌러 잡아당겨서 꽃잎과 꽃밥을 제거한다 (콩, 자운영)
<문제 해설> 계통육종법은 자식성 작물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육종법으로서, 특히 F2 세대부터 개체선발을 하기 때문에 육종가의 선발에 대한 안목이 가장 크게 요구되는 교배육종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완전히 자가수정하는 동형접합체의 1개체로부터 불어난 자손의 총칭은?
1.
유전자원
2.
유전변이체
3.
순계
4.
동질배수체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순계 : 유전적으로 분리가 없는 동형접합인 계통 내의 선발효과가 없는 계통 [해설작성자 : KSI]
23.
체세포의 염색체수가 2n인 농작물의 부위별 염색체수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왼쪽을 기준으로 배(胚), 배유(胚乳), 1핵기의 화분, 뿌리의 생장점 세포 순서임)
1.
n, 2n, 3n, 2n
2.
2n, 3n, 2n, n
3.
2n, 3n, n, 2n
4.
n, 2n, 2n, 3n
정답 : [
3
] 정답률 : 78%
24.
콩과 식물의 제웅에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화판인발법(花瓣引拔法)
2.
집단제정법(集團除精法)
3.
절영법(切潁法)
4.
수세법(水洗法)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제웅법 1. 화판인발법 : 콩, 자운영 등 꽃망울 끝의 꽃잎을 꽃밥과 함께 뽑아냄 3. 절영법 : 벼, 보리 등 영(穎)의 선단부를 잘라 꽃밥 제거 *영(穎) : 꽃 기부의 두 개 작은 잎
제정법 (꽃밥밖으로 꽃가루 나오지 않게 함) 2. 집단제정법 : 암술 기능은 유지, 수술 기능은 상실 (온탕제정법, 저온처리법, 수세법, 알코올 침윤법 등 이용) [해설작성자 : 청정봉주]
25.
불임성 중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은?
1.
순환적 불임성
2.
웅성불임성
3.
자가불화합성
4.
이형예현상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유전적 원인에 의한 불임 가) 생식기관의 성적 결함에 의한 불임성 (1) 자성불임 / 웅성불임(세포질 유전자적, 세포질적, 유전자적 웅성불임) 나) 생식기관의 형태적 결함에 의한 불임성 (1) 이형예 현상, 자웅이숙, 장벽수정 다) 불화합성에 의한 불임성 (1) 타가불화합성 (2) 자가불화합성 :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 .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동형화주형, 이형화주형) 라) 교잡에 의한 불임성 (1) 종내 잡종불임성 : 원연 품종간 교배의 경우 (2) 종외 잡종불임성 : 게놈이 서로 다른 경우 * 생식기관의 형태적 결함에 의해 자가수분이 저해되는 불임성은 한 꽃속에 암술과 수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이형예 현상(메밀)에 의한 것, 암술과 수술의 성숙시기가 서로 다른 자웅이숙에 의한 것, 암술과 수술의 위치상 수정이 불가능한 장벽수정에 의한것 등이다. * 잡종강세 육종에서 잡종 1세대의 채종재배를 할 때 웅성불임계통이나 자가불화합성인 계통을 역이 용하면 제웅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ohns]
환경적 원인 : 영양, 광선, 수분, 온도, 병충해 등 ① 다즙질 불임성 : 영양분이 과하여 생식작용이 억제 ② 쇠약질 불임성 : 다즙질 불임성의 반대 ③ 순환적 불임성 : 꽃이 너무 많이 달려 영양분배가 불충분하여 생식기관이 퇴화되고,불완전 꽃이 되거나 국부적으로 생식기능이 쇠퇴 [해설작성자 : KSI]
26.
수정을 거치지 않고 유성생식 기관 또는 거기에 부수되는 조직 및 세포로부터 배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아닌 것은?
<문제 해설> 돌연변이 육종법의 특징 * 품종 내에서 특성의 조화를 파괴하지 않고 1개의 특성만을 용이하게 치환할 수 있다., * Hetero(이형접합)로 되어 있는 영양번식식물에서 변이를 작성하기가 용이하다. * 염색체 단편을 치환시킬 수 있다. * 인위배수체의 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자가불화합, 교잡불화합을 극복할 수 있어 육종범위의 확대가 가능하다. * 새로운 유전변이를 창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산파 (散播) : 흩어뿌림. 논밭 전체에 종자를 흩어 뿌리는 방법 점파 (點播) : 점뿌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자를 1~2알씩 띄엄띄엄 파종하는 방식. 조파 (條播) : 줄뿌림. 종자를 줄지어 뿌리는 방법 적파 (摘播) : 점파를 할 때 한 곳에 여러 개의 종자를 파종할 경우
42.
토양 통기의 촉진책으로 틀린 것은?
1.
배수 촉진
2.
토양 입단 조성
3.
식질토를 이용한 객토
4.
심경
정답 : [
3
] 정답률 : 65%
43.
침수에 의한 피해가 가장 큰 벼의 생육단계는?
1.
분얼성기
2.
최고분얼기
3.
수잉기
4.
등숙기
정답 : [
3
] 정답률 : 69%
44.
추파성 맥류의 상적발육설을 주창한 사람은?
1.
다윈
2.
우장춘
3.
바빌로프
4.
리센코
정답 : [
4
] 정답률 : 70%
45.
작물체 내에서의 생리적 또는 형태적인 균형이나 비율이 작물생육의 지표로 사용되는 것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C/N 율
2.
T/R 율
3.
G-D 균형
4.
광합성-호흡
정답 : [
4
] 정답률 : 74%
46.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아지고 밀식 적응성이 큰 콩의 초형이 아닌 것은?
1.
꼬투리가 원줄기에 적게 달린 것
2.
키가 크고 도복이 안 되는 것
3.
가지를 적게 치고 마디가 짧은 것
4.
잎이 작고 가는 것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꼬투리가 많이 달려야 함 [해설작성자 : 아니면 말씀해주세요]
47.
세포막 중 중간막의 주성분으로 잎에 많이 존재하며 체 내의 이동이 어려운 것은?
1.
질소
2.
칼슘
3.
마그네슘
4.
인
정답 : [
2
] 정답률 : 67%
48.
다음 중 육묘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증수 도모
2.
종자 소비량 증대
3.
조기수확 가능
4.
토지 이용도 증대
정답 : [
2
] 정답률 : 74%
49.
좁은 범위의 일장에서만 화성이 유도 촉진되며, 2개의 한계일장을 가진 식물은?
1.
장일식물
2.
중일식물
3.
장단일식물
4.
정일식물
정답 : [
4
] 정답률 : 60%
50.
내염성 정도가 강한 작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완두, 셀러리
2.
배, 살구
3.
고구마, 감자
4.
유채, 양배추
정답 : [
4
] 정답률 : 77%
51.
다음 중 무배유 종자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벼, 밀, 옥수수
2.
벼, 콩, 팥
3.
콩, 팥, 완두
4.
옥수수, 밀, 귀리
정답 : [
3
] 정답률 : 81%
52.
광합성 연구에 활용되는 방사선 동위원소는?
1.
14C
2.
32P
3.
42K
4.
24Na
정답 : [
1
] 정답률 : 76%
53.
변온이 작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발아촉진
2.
동화물질의 축적
3.
덩이뿌리의 발달
4.
출수 및 개화의 지연
정답 : [
4
] 정답률 : 57%
54.
비료의 엽면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맞는 것은?
1.
잎의 이면보다 표피에서 더 잘 흡수된다.
2.
잎의 호흡작용이 왕성할 때에 잘 흡수된다.
3.
살포액의 pH는 알칼리인 것이 흡수가 잘 된다.
4.
엽면시비는 낮보다는 밤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55.
이랑을 세우고 낮은 골에 파종하는 방식은?
1.
휴립휴파법
2.
이랑재배
3.
평휴법
4.
휴립구파법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이 잘못 된 것 같습니다. 이랑을 세우고 하는 방식인 2번이 맞는것같은데 뭔가 착오가 있는 것 같네요
[오류신고 반론] 휴립구파 : 경작지의 흙을 돋우어 이랑을 만들고 이랑 사이에 패인 부분인 고랑에 파종하는 방법을 말한다.이랑에 파종하는 것보다 가뭄의 피해를 줄일 수 있고, 한발이 심한 때 또는 가뭄이 심한 지역 또는 장소에 따라 보수력이 나쁜 토양에서는 휴립구파가 바람직하다. 휴립휴파 : 흙을 돋우어 만든 이랑에 종자를 파종하는 것. 강우가 심한 지역 또는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는 이랑에 파종하는 것이 습해를 막을 수 있어 유리하다. 그리고 배수가 좋지 않는 경작지에서도 휴립휴파가 바람직하다.
휴립구파는 고랑! 휴립직파는 이랑! 둘 다 출제됐던 문제니 기억하고 가셨으면 좋겠어요 ㅎㅎ
<문제 해설> 질소대사 이상 - 고온에서 효소 및 단백질 변성이 일어카기 때문 [해설작성자 : 나도종자]
59.
휴면연장과 발아억제를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에스렐 처리
2.
MH 수용액 처리
3.
저온저장
4.
감마선 조사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에스렐은 휴면타파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나도종자]
60.
교잡에 의한 작물개량의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한 사람은?
1.
Camerarius
2.
Koelreuter
3.
Mendel
4.
Johannsen
정답 : [
2
] 정답률 : 54%
61.
상처가 아물도록 처리하여 저장할 경우 방제효과가 가장 큰 병은?
1.
사과 탄저병
2.
고추 탄저병
3.
사과 겹무늬썩음병
4.
고구마 검은무늬병
정답 : [
4
] 정답률 : 74%
62.
살충제에 대한 해충의 저항성이 발달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1.
살균제와 살충제를 섞어 뿌리기 때문에
2.
같은 약제를 계속해서 뿌리기 때문에
3.
약제를 농도가 진하게 만들어 조금 뿌리기 때문에
4.
약제의 계통이나 주성분이 다른 약제를 바꾸어 뿌리기 때문에
정답 : [
2
] 정답률 : 86%
63.
오염된 물보다는 주로 깨끗한 물에서 서식하는 곤충은?
1.
꽃등에
2.
나방파리
3.
모기붙이
4.
민날개강도래
정답 : [
4
] 정답률 : 74%
64.
식물병이 크게 발생한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세기 말 스리랑카에서 커피 녹병 발생
2.
1845년경 아일랜드에서 양배추 역병 발생
3.
1970년경 미국에서 옥수수 깨씨무늬병 발생
4.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에서 사탕무 갈색무늬병 발생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845년 아일랜드 감자 역병 발생
65.
농약제조용 증량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량제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농약 살포 때 살분기의 마모가 심하다.
2.
증량제 입자의 크기는 분제의 분산성, 비산성, 부착성에 영향을 미친다.
3.
농약의 저장 중 증량제에 의해 유효성분이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4.
증량제의 수분함량 및 흡습성이 높으면 살포된 농약의 응집력이 증대되어 분산성이 향상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66.
자낭균에 속하는 병균은?
1.
소나무 혹병균
2.
잣나무 털녹병균
3.
복숭아 잎오갈병균
4.
사과 붉은별무늬병균
정답 : [
3
] 정답률 : 43%
67.
주로 땅 속에서 작물의 뿌리를 가해하는 해충은?
1.
도둑나방
2.
조명나방
3.
방아벌레
4.
화랑곡나방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방아벌레: 1. 분류: 딱정벌레목, 방아벌레과 2. 가해양식: 괴경 (토양해충) 3. 발생: 1세대를 경과하는데 3년 4. 월동형태 및 장소: 유충 또는 번데기 의 형태로 땅속에서 월동 5. 특징: 철사벌레로 불리는 유충이 감자의 괴경에 구멍을 내고 그 상처로 토양병원균이 침입하여 부패의 원인이 됨 [해설작성자 : Johns]
68.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번식력이 강하며 종자 생산량이 많다.
2.
생태학적 천이과정이 극상에 이른 지역에서 많이 발생한다.
3.
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각자 고유한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
4.
한 지역에 발생하는 종의 수가 많아 다양한 유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69.
접촉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마진, PCP 등이 있다.
2.
효과가 곧바로 나타난다.
3.
주로 발아 후의 잡초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4.
약제가 부착된 세포가 파괴되는 살초효과를 보인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시마진은 이행형 [해설작성자 : 나도종자]
70.
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발달된 균사를 가지고 있다.
2.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이 있다.
3.
운동기관으로 편모를 가지고 있다.
4.
효소계가 없으며 생명체 안에서만 증식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71.
식물병 진단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체 내 주사법은 주로 세균병 진단에 사용된다.
2.
지표식물을 이용하여 일부 TMV를 진단할 수 있다.
3.
파지(phage)에 의한 일부 세균병 진단이 가능하다.
4.
혈청학적인 방법은 바이러스병 진단에 효과적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충체 내 주사법은 매개전염 바이러스병 진단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3일의 전사]
72.
잡초의 생태적 방제방법 중 경합특성 이용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관배수 조절
2.
재식밀도 조절
3.
육묘이식 재배
4.
품종 및 종자 선정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관배수 조절법은 기계, 물리적 방제법이다. [해설작성자 : 3일의 전사]
73.
고추, 담배, 땅콩 등의 작물을 재배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잡초의 방제뿐만 아니라 수분을 유지시켜 주는 장점을 지닌 방법은?
1.
추경
2.
중경
3.
담수
4.
피복
정답 : [
4
] 정답률 : 68%
74.
같은 작물을 동일한 포장에 계속 재배하였을 때 나타나는 연작장해 현상과 가장 관련이 깊은 병해는?
1.
공기전염성 병해
2.
종자전염성 병해
3.
토양전염성 병해
4.
충매전염성 병해
정답 : [
3
] 정답률 : 84%
75.
파리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다귀와 모기 등이 있다.
2.
완전변태하며 번데기는 주로 대용이다.
3.
파리목은 크게 4개의 아목으로 나눠진다.
4.
뒷날개가 퇴화되어 반시초를 이루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파리목에는 모기,파리, 각다귀, 등에,혹파리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3일의 전사]
76.
벼 줄무늬잎마름병과 벼 검은줄오갈병을 예방하기 위해 방제해야 하는 해충은?
1.
독나방
2.
애멸구
3.
혹명나방
4.
벼모기붙이
정답 : [
2
] 정답률 : 84%
77.
어떤 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150L를 살포하려 한다면 이 유제의 소요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