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요수량[ 要水量 , water requirement] 작물의 건물(乾物) 1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수분량(g)을 요수량이라고 하며, 건물 1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증산량을 증산계수(蒸散係数, transpiration coefficient)라고 한다. 수분소비량의 거의 전부가 증산되므로 요수량과 증산계수는 동의어(同義語)로 사용되고 있다. 요수량이나 증산계수와 반대로, 일정량의 수분을 증산하여 축적된 건물량을 증산능률(蒸散能率, efficiency of transpiration)이라고 한다. 대체로 요수량이 작은 작물이 건조한 토양과 한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요수량 [要水量, water requirement]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6.
형질이 다른 두 품종을 양친으로 교배하여 자손 중에서 양친의 좋은 형질이 조합된 개체를 선발하고 우량 품종을 육성하거나 양친이 가지고 있는 형질보다도 더 개선된 형질을 가진 품종으로 육성하는 육종법은?
1.
선발육종법
2.
교잡육종법
3.
도입육종법
4.
조직배양육종법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선발육종법 [selection breeding, 選拔育種法, せんばついくしゅほう] 재래의 개체군 속에 들어 있는 형질 중에서 특정한 것을 선출하여 신품종으로 만들어 내는 것. 분리육종법.
2. 교잡육종 [ 交雜育種 , cross breeding, breeding by crossing] 선발하려고 하는 목표형질의 변이를 기존 품종 중에서 찾을 수 없을 때, 인공적으로 변이를 유도하기 위하여 교배를 이용하여 품종을 육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교잡육종은 어떤 품종이라 비교적 가까운 다른 종이나 다른 속 중에 들어 있는 유용한 유전자를 교배를 통해 적당히 새 품종으로 조합함으로써, 기존품종이 지니는 특성보다 우수한 목표형질을 가진 새로운 품종을 창출해 내는 방법으로 각종 작물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육종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교잡육종 [交雜育種, cross breeding, breeding by crossing]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3. 도입육종 [introduction breeding, 導入育種, どうにゅういくしゅ]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농작물이나 가축을 다른 지방 또는 다른 나라에서 도입하여 그가 가지고 있는 특성 또는 유전질을 새로운 육종재료로서 이용하거나 도입품종을 그대로 재배에 이용하는 것.
4. 조직배양 다세포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조직의 일부나 세포를 분리하여 유리용기 내에서 생존시키거나 증식시키는 것
<문제 해설> 논에서 탈질에 의한 시비질소의 손실이 크며 1ha당 탈질량은 20~30kg·N으로 추정된다. 논에서 탈질이 많은 이유는 논토양 표층이 산화층과 환원층으로 나뉘어져, 산화층에서 질산화균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 질산태 질소가 환원층에서 탈질균의 작용에 의해 탈질되기 때문이다. 호기적 상태인 밭토양에서는 탈질이 많이 일어나지 않으나, 다량의 강우나 관개수의 침투에 의해 일시적으로 혐기 상태가 되는 경우, 또는 입단 내부처럼 미시적 혐기 부위에서 탈질이 일어난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물적 탈질작용 [生物的 脫窒作用, biological denitrification]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해설작성자 : 정종삼]
32.
다음 중 밭토양이나 삼림지에서 유실이 가장 빠른 원소는?
1.
Na
2.
Ca
3.
Mg
4.
K
정답 : [
1
] 정답률 : 46%
33.
토양 구조의 발달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요인은?
1.
석회물질의 시용
2.
퇴비의 시용
3.
토양의 피복관리
4.
빈번한 경운
정답 : [
4
] 정답률 : 84%
34.
일반적으로 유기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토양은 대부분 어떤 빛깔을 띠는가?
1.
흑색
2.
흰색
3.
적색
4.
녹색
정답 : [
1
] 정답률 : 81%
35.
다음 중 질소기아현상을 옳게 설명한 것으로 묶은 것은?
1.
①, ②
2.
②, ③, ④
3.
①, ②, ③, ④
4.
①, ③, ④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질소기아[ 窒素飢峨 , nitrogen starvation] 토양미생물도 양분으로서 질소를 필요로 하는데 특정조건에서 탄수화물의 공급이 활발하면 토양미생물이 급격히 번식하여 토양 중 유효태 무기질소를 대량 흡수하게 된다. 그러면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질소가 크게 부족하여 질소기아상태에 빠지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질소기아 [窒素飢峨, nitrogen starvation]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36.
토양염기에 포함되는 치환성양이온이 아닌 것은?
1.
Na+
2.
S++
3.
K+
4.
Ca++
정답 : [
2
] 정답률 : 60%
37.
포장용수량과 위조계수가 각각 40%, 5% 일 때 이 토양의 유효수분은?
1.
5%
2.
35%
3.
40%
4.
45%
정답 : [
2
] 정답률 : 68%
38.
다음 토양 중 투수가 잘 되어 토양의 환원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되지 못하는 토양은?
1.
저습지토양
2.
유기물이 많은 토양
3.
점질토양
4.
사질토양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사질토양이란 '모래 사' 즉 모래 형태의 토양을 말합니다. 반대로 점질토양이란 점토함유량이 많은 토양을 말합니다. 점질토양과 비교했을 때 사질토양이 물빠짐이 쉽겠죠? 그렇기에 투수가 잘 됩니다. 물이 쉽게 빠져나가기에 토양 내의 유기물 등이 오래동안 환원하지 못하고 빠뎌나가게 됩니다.
39.
토양의 공극이 수분으로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 이 토양의 pF는?
1.
0
2.
3
3.
4.18
4.
7
정답 : [
1
] 정답률 : 66%
40.
벼를 재배하고 있는 논토양의 색깔이 청회색을 나타내면 어떠한 조치를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유기물을 투여한다.
2.
배수를 한다.
3.
유안비료를 시용한다.
4.
물을 깊이 대어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41.
과수원에서 쓸 수 있는 유기재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현미식초
2.
생선액비
3.
생장촉진제
4.
광합성 세균
정답 : [
3
] 정답률 : 79%
42.
다음 중 과수분류상 인과류에 속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무화과, 복숭아
2.
포도, 비파
3.
사과, 배
4.
밤, 포도
정답 : [
3
] 정답률 : 82%
43.
멘델의 법칙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분리의 법칙
2.
독립의 법칙
3.
지배의 법칙
4.
최소의 법칙
정답 : [
4
] 정답률 : 79%
44.
오리농법에 의한 벼재배에서 오리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잡초를 못 자라게 한다.
2.
해충을 잡아 먹는다.
3.
도열병균을 잡아 먹는다.
4.
배설물은 유기질비료가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45.
유기농업애서는 화학비료를 대신하여 유기물을 사용하는데 유기물의 시용효과가 아닌 것은?
1.
완충능 증대
2.
미생물의 번식 조장
3.
보수 및 보비력 증대
4.
지온 감소 및 염류집적
정답 : [
4
] 정답률 : 80%
46.
품종의 보호요건 항목이 아닌 것은?
1.
구별성
2.
내염성
3.
균일성
4.
안정성
정답 : [
2
] 정답률 : 75%
47.
남부지방의 논에 녹비작물로 이용되며 뿌리혹박테리아로 질소를 고정하는 식물은?
1.
진주조
2.
자운영
3.
호밀
4.
유채
정답 : [
2
] 정답률 : 72%
48.
답전윤환 체계로 논을 밭으로 이용할 때, 유기물이 분해되어 무기태질소가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산화작용
2.
환원작용
3.
건토효과
4.
윤작효과
정답 : [
3
] 정답률 : 47%
49.
다음 농산물 중 친환경농산물로 품질인증이 되지 않는 것은?
1.
천연우수농산물
2.
저농약농산물
3.
전환기유기농산물
4.
유기농산물
정답 : [
1
] 정답률 : 61%
50.
다음 중 윤작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지력의 유지 증강
2.
기지 현상의 회피
3.
병해충 경감
4.
잡초의 번성
정답 : [
4
] 정답률 : 88%
51.
계속하여 볏짚을 논에 투입하는 유기벼 재배에서 가장 결핍될 것으로 예상되는 토양 양분은?
1.
질소
2.
인산
3.
칼리
4.
칼슘
정답 : [
1
] 정답률 : 41%
52.
다음 작물 중 C/N율이 가장 높은 것은?
1.
화본과 작물
2.
두류 작물
3.
서류 작물
4.
채소류 작물
정답 : [
1
] 정답률 : 52%
53.
다음 중 물리적 종자 소독방법이 아닌 것은?
1.
냉수온탕법
2.
욕탕침법
3.
온탕침법
4.
분의소독법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분의법 [seed-dressing, 粉衣法, ふんいほう]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종자 소독을 위해 분제 또는 종자처리제를 종자의 외피에다 골고루 묻혀서 살균 또는 살충하는 방법.
54.
다음 중 세균성 병원균이 주원인인 병은?
1.
벼 도열병
2.
사과, 배의 검은별무늬병
3.
토마토의 풋마름병
4.
담배모자이크병
정답 : [
3
] 정답률 : 55%
55.
미부숙 퇴비가 작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원균의 생존으로 식물에 침해를 줄 수가 있다.
2.
악취를 발생하여 인축에 위해성을 유발할 수가 있다.
3.
가스가 발생하여 작물에 해를 입힐 수 있다.
4.
토양산소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56.
다음에서 육종의 단계가 순서에 맞게 배열된 것은?
1.
변이탐구와 변이창성 – 변이선택과 고정 – 종자증식과 종자보급
2.
변이선택과 고정 – 변이탐구와 변이창성 – 종자증식과 종자보급
3.
종자증식과 종자보급 – 변이탐구와 변이창성 – 변이선택과 고정
4.
종자증식과 종자보급 – 변이선택과 고정 - 변이탐구와 변이창성
정답 : [
1
] 정답률 : 68%
57.
볍씨의 발아최적온도는?
1.
8~13℃
2.
15~20℃
3.
30~34℃
4.
40~44℃
정답 : [
3
] 정답률 : 75%
58.
시설 내의 약광조건 하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 경종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엽채류를 재배하는 것은 아주 불리함
2.
재식 간격을 좁히는 것이 매우 유리함
3.
덩굴성 작물은 직립재배보다는 포복재배하는 것이 유리함
4.
온도를 높게 관리하고 내음성 작물 보다는 내양성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함
정답 : [
3
] 정답률 : 66%
59.
밀폐된 창고나 온실에서 약제를 가스로 발생시켜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법은?
1.
연무법
2.
미량살포법
3.
훈증법
4.
관주법
정답 : [
3
] 정답률 : 61%
60.
초생재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토양의 단립화
2.
토양침식 방지
3.
지력증진
4.
미생물증식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초생재배 - 과수원 같은 곳에서 깨끗이 김을 매주는 대신에 목초, 녹비 등을 나무밑에 가꾸는 재배법. 토양 침식방지, 제초노력절감, 지력증진, 수분보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블루문]
<문제 해설> 요수량[ 要水量 , water requirement] 작물의 건물(乾物) 1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수분량(g)을 요수량이라고 하며, 건물 1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증산량을 증산계수(蒸散係数, transpiration coefficient)라고 한다. 수분소비량의 거의 전부가 증산되므로 요수량과 증산계수는 동의어(同義語)로 사용되고 있다. 요수량이나 증산계수와 반대로, 일정량의 수분을 증산하여 축적된 건물량을 증산능률(蒸散能率, efficiency of transpiration)이라고 한다. 대체로 요수량이 작은 작물이 건조한 토양과 한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요수량 [要水量, water requirement]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6.
형질이 다른 두 품종을 양친으로 교배하여 자손 중에서 양친의 좋은 형질이 조합된 개체를 선발하고 우량 품종을 육성하거나 양친이 가지고 있는 형질보다도 더 개선된 형질을 가진 품종으로 육성하는 육종법은?
1.
선발육종법
2.
교잡육종법
3.
도입육종법
4.
조직배양육종법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선발육종법 [selection breeding, 選拔育種法, せんばついくしゅほう] 재래의 개체군 속에 들어 있는 형질 중에서 특정한 것을 선출하여 신품종으로 만들어 내는 것. 분리육종법.
2. 교잡육종 [ 交雜育種 , cross breeding, breeding by crossing] 선발하려고 하는 목표형질의 변이를 기존 품종 중에서 찾을 수 없을 때, 인공적으로 변이를 유도하기 위하여 교배를 이용하여 품종을 육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교잡육종은 어떤 품종이라 비교적 가까운 다른 종이나 다른 속 중에 들어 있는 유용한 유전자를 교배를 통해 적당히 새 품종으로 조합함으로써, 기존품종이 지니는 특성보다 우수한 목표형질을 가진 새로운 품종을 창출해 내는 방법으로 각종 작물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육종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교잡육종 [交雜育種, cross breeding, breeding by crossing]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3. 도입육종 [introduction breeding, 導入育種, どうにゅういくしゅ]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농작물이나 가축을 다른 지방 또는 다른 나라에서 도입하여 그가 가지고 있는 특성 또는 유전질을 새로운 육종재료로서 이용하거나 도입품종을 그대로 재배에 이용하는 것.
4. 조직배양 다세포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조직의 일부나 세포를 분리하여 유리용기 내에서 생존시키거나 증식시키는 것
<문제 해설> 논에서 탈질에 의한 시비질소의 손실이 크며 1ha당 탈질량은 20~30kg·N으로 추정된다. 논에서 탈질이 많은 이유는 논토양 표층이 산화층과 환원층으로 나뉘어져, 산화층에서 질산화균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 질산태 질소가 환원층에서 탈질균의 작용에 의해 탈질되기 때문이다. 호기적 상태인 밭토양에서는 탈질이 많이 일어나지 않으나, 다량의 강우나 관개수의 침투에 의해 일시적으로 혐기 상태가 되는 경우, 또는 입단 내부처럼 미시적 혐기 부위에서 탈질이 일어난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물적 탈질작용 [生物的 脫窒作用, biological denitrification]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해설작성자 : 정종삼]
32.
다음 중 밭토양이나 삼림지에서 유실이 가장 빠른 원소는?
1.
Na
2.
Ca
3.
Mg
4.
K
정답 : [
1
] 정답률 : 46%
33.
토양 구조의 발달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요인은?
1.
석회물질의 시용
2.
퇴비의 시용
3.
토양의 피복관리
4.
빈번한 경운
정답 : [
4
] 정답률 : 84%
34.
일반적으로 유기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토양은 대부분 어떤 빛깔을 띠는가?
1.
흑색
2.
흰색
3.
적색
4.
녹색
정답 : [
1
] 정답률 : 81%
35.
다음 중 질소기아현상을 옳게 설명한 것으로 묶은 것은?
1.
①, ②
2.
②, ③, ④
3.
①, ②, ③, ④
4.
①, ③, ④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질소기아[ 窒素飢峨 , nitrogen starvation] 토양미생물도 양분으로서 질소를 필요로 하는데 특정조건에서 탄수화물의 공급이 활발하면 토양미생물이 급격히 번식하여 토양 중 유효태 무기질소를 대량 흡수하게 된다. 그러면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질소가 크게 부족하여 질소기아상태에 빠지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질소기아 [窒素飢峨, nitrogen starvation]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36.
토양염기에 포함되는 치환성양이온이 아닌 것은?
1.
Na+
2.
S++
3.
K+
4.
Ca++
정답 : [
2
] 정답률 : 60%
37.
포장용수량과 위조계수가 각각 40%, 5% 일 때 이 토양의 유효수분은?
1.
5%
2.
35%
3.
40%
4.
45%
정답 : [
2
] 정답률 : 68%
38.
다음 토양 중 투수가 잘 되어 토양의 환원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되지 못하는 토양은?
1.
저습지토양
2.
유기물이 많은 토양
3.
점질토양
4.
사질토양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사질토양이란 '모래 사' 즉 모래 형태의 토양을 말합니다. 반대로 점질토양이란 점토함유량이 많은 토양을 말합니다. 점질토양과 비교했을 때 사질토양이 물빠짐이 쉽겠죠? 그렇기에 투수가 잘 됩니다. 물이 쉽게 빠져나가기에 토양 내의 유기물 등이 오래동안 환원하지 못하고 빠뎌나가게 됩니다.
39.
토양의 공극이 수분으로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 이 토양의 pF는?
1.
0
2.
3
3.
4.18
4.
7
정답 : [
1
] 정답률 : 66%
40.
벼를 재배하고 있는 논토양의 색깔이 청회색을 나타내면 어떠한 조치를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유기물을 투여한다.
2.
배수를 한다.
3.
유안비료를 시용한다.
4.
물을 깊이 대어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41.
과수원에서 쓸 수 있는 유기재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현미식초
2.
생선액비
3.
생장촉진제
4.
광합성 세균
정답 : [
3
] 정답률 : 79%
42.
다음 중 과수분류상 인과류에 속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무화과, 복숭아
2.
포도, 비파
3.
사과, 배
4.
밤, 포도
정답 : [
3
] 정답률 : 82%
43.
멘델의 법칙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분리의 법칙
2.
독립의 법칙
3.
지배의 법칙
4.
최소의 법칙
정답 : [
4
] 정답률 : 79%
44.
오리농법에 의한 벼재배에서 오리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잡초를 못 자라게 한다.
2.
해충을 잡아 먹는다.
3.
도열병균을 잡아 먹는다.
4.
배설물은 유기질비료가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45.
유기농업애서는 화학비료를 대신하여 유기물을 사용하는데 유기물의 시용효과가 아닌 것은?
1.
완충능 증대
2.
미생물의 번식 조장
3.
보수 및 보비력 증대
4.
지온 감소 및 염류집적
정답 : [
4
] 정답률 : 80%
46.
품종의 보호요건 항목이 아닌 것은?
1.
구별성
2.
내염성
3.
균일성
4.
안정성
정답 : [
2
] 정답률 : 75%
47.
남부지방의 논에 녹비작물로 이용되며 뿌리혹박테리아로 질소를 고정하는 식물은?
1.
진주조
2.
자운영
3.
호밀
4.
유채
정답 : [
2
] 정답률 : 72%
48.
답전윤환 체계로 논을 밭으로 이용할 때, 유기물이 분해되어 무기태질소가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산화작용
2.
환원작용
3.
건토효과
4.
윤작효과
정답 : [
3
] 정답률 : 47%
49.
다음 농산물 중 친환경농산물로 품질인증이 되지 않는 것은?
1.
천연우수농산물
2.
저농약농산물
3.
전환기유기농산물
4.
유기농산물
정답 : [
1
] 정답률 : 61%
50.
다음 중 윤작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지력의 유지 증강
2.
기지 현상의 회피
3.
병해충 경감
4.
잡초의 번성
정답 : [
4
] 정답률 : 88%
51.
계속하여 볏짚을 논에 투입하는 유기벼 재배에서 가장 결핍될 것으로 예상되는 토양 양분은?
1.
질소
2.
인산
3.
칼리
4.
칼슘
정답 : [
1
] 정답률 : 41%
52.
다음 작물 중 C/N율이 가장 높은 것은?
1.
화본과 작물
2.
두류 작물
3.
서류 작물
4.
채소류 작물
정답 : [
1
] 정답률 : 52%
53.
다음 중 물리적 종자 소독방법이 아닌 것은?
1.
냉수온탕법
2.
욕탕침법
3.
온탕침법
4.
분의소독법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분의법 [seed-dressing, 粉衣法, ふんいほう]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종자 소독을 위해 분제 또는 종자처리제를 종자의 외피에다 골고루 묻혀서 살균 또는 살충하는 방법.
54.
다음 중 세균성 병원균이 주원인인 병은?
1.
벼 도열병
2.
사과, 배의 검은별무늬병
3.
토마토의 풋마름병
4.
담배모자이크병
정답 : [
3
] 정답률 : 55%
55.
미부숙 퇴비가 작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원균의 생존으로 식물에 침해를 줄 수가 있다.
2.
악취를 발생하여 인축에 위해성을 유발할 수가 있다.
3.
가스가 발생하여 작물에 해를 입힐 수 있다.
4.
토양산소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56.
다음에서 육종의 단계가 순서에 맞게 배열된 것은?
1.
변이탐구와 변이창성 – 변이선택과 고정 – 종자증식과 종자보급
2.
변이선택과 고정 – 변이탐구와 변이창성 – 종자증식과 종자보급
3.
종자증식과 종자보급 – 변이탐구와 변이창성 – 변이선택과 고정
4.
종자증식과 종자보급 – 변이선택과 고정 - 변이탐구와 변이창성
정답 : [
1
] 정답률 : 68%
57.
볍씨의 발아최적온도는?
1.
8~13℃
2.
15~20℃
3.
30~34℃
4.
40~44℃
정답 : [
3
] 정답률 : 75%
58.
시설 내의 약광조건 하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 경종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엽채류를 재배하는 것은 아주 불리함
2.
재식 간격을 좁히는 것이 매우 유리함
3.
덩굴성 작물은 직립재배보다는 포복재배하는 것이 유리함
4.
온도를 높게 관리하고 내음성 작물 보다는 내양성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함
정답 : [
3
] 정답률 : 66%
59.
밀폐된 창고나 온실에서 약제를 가스로 발생시켜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법은?
1.
연무법
2.
미량살포법
3.
훈증법
4.
관주법
정답 : [
3
] 정답률 : 61%
60.
초생재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토양의 단립화
2.
토양침식 방지
3.
지력증진
4.
미생물증식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초생재배 - 과수원 같은 곳에서 깨끗이 김을 매주는 대신에 목초, 녹비 등을 나무밑에 가꾸는 재배법. 토양 침식방지, 제초노력절감, 지력증진, 수분보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블루문]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④
①
③
①
②
④
②
④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②
②
②
④
④
④
②
①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③
②
③
③
③
③
②
④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④
①
①
②
②
④
①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③
④
③
④
②
②
③
①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①
④
③
④
①
③
③
③
①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7월16일(4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