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하드닝 [ hardening음성듣기 ] 식물체를 그다지 심하지 않은 건조 환경하에서 기르든가, 아니면 식물체를 일시적인 위조상태에서 자라게 하면 그 식물체의 내한성은 현저하게 증대한다. 이것을 하드닝, 내한성 증강, 경화라고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하드닝 [hardening]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유효온도 [有效溫度, effective temperature]작물의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를 유효온도라고 한다.
작물 생육과 관련된 온도는 유효온도와 적산온도로 구분한다. 1) 유호온도 - 최저온도,최적온도, 최고온도를 주요 3온도로 본다 2) 적산온도[積算溫度 , accumulated temperature] 기후와 식생 또는 토양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후지수의 하나로서 0℃ 이상인 일평균기온의 평균치를 연간 합산한 값으로 토양지리학에서는 10℃ 이상의 적산치를 이용한다. 또한 적산온도는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열량을 나타낼 때 이용되기도 한다. 이때 일평균기온은 해당 작물이 활동할 수 있는 최저온도(기준온도)이상의 것만을 택한다. 최저온도는 작물에 따라 다르지만 가을채소와 같이 저온에서도 자라는 것은 5℃, 일반적인 온대지방의 여름철 작물은 10℃, 고온을 필요로 하는 작물은 15℃라고 한다. 작물별 적산온도의 최솟값은 감자 1,000℃, 보리 1,600℃, 벼 2,500℃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적산온도 [積算溫度, accumulated temperature] (자연지리학사전, 2006. 5. 25., 한국지리정보연구회)
2.
기지현상을 경감하거나 방지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연작
2.
담수
3.
다비
4.
무경운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기지현상 [sickness of soil, 忌地現像, きちげんしょう]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동일한 포장에 같은 작물을 계속 재배하는 경우 현저한 생육장해가 나타나는 현상. 그 원인으로는 ① 토양전염병의 해 ② 토양선충 번성 ③ 유독물질의 축척 ④ 염류의 집적 ⑤ 토양비료분의 소모 ⑥ 토양의 물리적 성질 악화 ⑦ 잡초의 번성 등을 들 수 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작 : 연속해서 작물을 재배하는 것. 담수 : 저수지나 댐 따위에 물을 채워 그 물로 식물을 가꾸는 일. 다비 :보통보다 많은 양의 비료를 주어 재배하는 것. 무경운 : 토양을 갈지 않고 그대로 작물을 파종하여 재배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화성 유도의 주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양분
2.
식물호르몬
3.
광
4.
영양상태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유도일장 [inductive day length, induction day length, 誘導日長, ゆうどうにっちょう]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식물은 일장의 장단에 따라 개화가 촉진 또는 억제되는데 식물의 화성을 유도 할수 있는 일장을 유도 일장이라고 함.
<문제 해설> 1. 분얼기-분얼이란 일종의 가지치기다. 생장점이 줄기 꼭짓점에 있는 쌍떡잎 식물과 달리 줄기 맨 아래의 마디 사이에 있고, 일종의 자기복제처럼 어미줄기(주간)와 똑같이 생긴 줄기가 나와서 포기치기, 또는 새끼치기라고도 한다. 쌍떡잎 식물은 가지가 넓게 퍼져 나가는 모습인 반면, 벼와 같은 외떡잎 식물은 생장점이 땅속에 있으면서 어미줄기와 똑같은 놈이 나오므로 포기가 점점 불어나는 모습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분얼과 벼의 생장 (강대인의 유기농 벼농사, 2005. 6. 3., 강대인) 2) 유수분화기-화본과식물의 이삭목이 분화되는 시기이며 유수분화기라고 한다. 3. 출수기- 화본과 식물에서 개화에 앞서 이삭목마디 사이가 신장하여 지엽의 잎집에서 이삭이 나오는 시기. 이 시기는 재배상 생육과정의 한 지표로서 중요시된다. 출수기를 정하는 데는 일정 농장 내의 20 %가 출수한 때를 출수시작, 70∼80 % 출수한 때를 수전기(穗揃期)라 하며, 넓은 뜻으로는 수전기를 출수기라고 한다. 4. 유숙기 - 유숙기 [乳熟期, milk-ripe stage]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출수 후 개화수정이 완료되면 알곡이 차기 시작한다. 이때 초기의 내용물은 우유와 같고 수분함량이 높다. 이와 같은 등숙의 초기단계를 유숙기라 한다.
9.
작물 충해를 줄이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당벌레와 같은 천적이 많게 해준다.
2.
해충 유인등만 설치하고 포획하지 않는다.
3.
황색 끈끈이를 설치한다.
4.
혼식재배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10.
2012년 기준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사료용 포항, %)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1.6%
2.
23.6%
3.
33.5%
4.
44.5%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하 농산물시장정보시스템(AMIS)의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사료용 곡물 포함)은 최근 3개년(2015~2017년) 평균 23%에 그쳤다. 쌀·보리·밀 등 각종 먹을거리를 포함하는 식량자급률은 2017년 기준 48%대에 불과했다. 또 우리가 먹는 밀, 옥수수, 콩은 90% 이상이 수입품이다. 반면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들은 곡물을 충분히 생산하며 식량안보를 철저히 하고 있다. 2015~2017년 평균 호주의 곡물자급률은 289.6%, 캐나다는 177.8%, 미국은 125.2%로 높은 곡물자급률을 자랑하고 있다.출처 : 충청투데이
11.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관여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계절
2.
암거(暗渠)
3.
바람
4.
식생(植生)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암거 지하에 매설 혹은 복개를 해서 수면이 보이지 않도록 한 통수로
암거 [culvert, 暗渠] 용수나 배수용의 수로가 도로, 철도, 제방 등의 아래에 매설 되었을 때를 암거라 한다. 도관(陶管)이나 철근 콘크리트관의 관거(管渠)와 박스 암거나 아치 암거와 같은 석조나 철근 콘크리트가 있다. 박스...
암거 [closed conduit, 暗渠] 지하에 매설하든지, 지표에 있으면 복개를 해서 수면이 보이지 않도록 한 통수로로 은거 또는 속도랑이라고도 한다. 도시의 도로 아래에는 크고 작은 하수관거가 종횡으로 부설되어 하수를 흘려보낸다.
<문제 해설> 1. 토양 수분 표시는 어떻게 할까? - pF(토양수분장력)이다. - 1기압은 pF=3이다. - 최대(포화)용수량 pF=0 > 포장(최소)용수량 pF=1.7~2.7 > 영구위조점 pF=4.2 *최대용수량에서 중력수가 제거 된 상태가 포장용수량이다. 2. 유효수분과 무효수분 - 식물의 유효수분은 pF=2.7 ~ 4.2이다. 즉 포장용수량에서~영구위조점까지 *유효수분은 토양입자가 작을수록 많아진다. *최적함수량은 최대용수량의 60%~80%이다. 3. 토양수분의 분류 결합수-흡습수-모관수...중력수 *식물의 유효수분은 모관수이다.
15.
작물의 병 발생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잦은 강우
2.
비가림 재배
3.
연작 재배
4.
밀식 재배
정답 : [
2
] 정답률 : 78%
16.
추락현상이 나타나는 논이 아닌 것은?
1.
노후화답
2.
누수답
3.
유기물이 많은 저습답
4.
건답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이 현상은 고온기에 환원상태가 발달할 때 발생하는 황화수소가 뿌리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심하면 근부현상을 일으켜 생식생장기에 양분흡수 특히 염기(K, Ca, Mg) 및 규산(SiO2) 등의 흡수가 저하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추락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논을 추락답(秋落畓)이라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염기와 철분이 용탈된 사력질의 노후화 토양 또는 중점질의 식질답에서 발생하기 쉽다. [네이버 지식백과] 추락현상 [秋落現像, autumn decline, akiochi phenomena]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해설작성자 : 정종삼]
<문제 해설> 1.인셉티솔 [inceptisols, インセプティゾ-ル] 신토양 분류의 목의 하나, 토양의 발달 정도가 낮은 토양,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함. 2. 엔티솔 [Entisols] Soil Taxonomy에서의 12개 토양목 중 하나. 생성 연대가 오래되지 않아 구조의 발달이나 용탈, 집적 등의 흔적이 없는 미숙 또는 발달되지 않은 토양 3.젤리솔 [gelisols] Soil Taxonomy에서의 12개 토양목 중의 하나. 토심 100cm 이내에 영구 동결층을 가지거나 토심 100cm 내에 젤릭 물질을 가지면서 토심 200cm 내에 영구 동결층을 가지는 토양임. 4.몰리솔 -아습윤기후(亞濕潤氣候)하에서 초생지(草生地)에 나타나는 토양이다. 염기 포화도가 높고 암색을 띠며, 구조가 잘 발달한 표층(몰릭 표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밤색토‧프레리토(브루니젬)‧체르노젬 등을 말한다. 미국 토양분류체계에서는 5목(目)에 속한다. 밤색토는 아스틀, 프레리토는 유들, 체르노젬은 보롤에 해당한다.[네이버 지식백과] 몰리솔 [mollisol, モリゾル] (자연지리학사전, 2006. 5. 25., 한국지리정보연구회) ***제리솔은 우리나라에 분포하지 않는다.
27.
토양의 구조 중 입단의 세로축보다 가로축의 길이가 길고, 딱딱하여 토양의 투수성과 통기성을 나쁘게 하는 것은?
1.
주상구조
2.
괴상구조
3.
구상구조
4.
판상구조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주상구조 : 가로세로 크기가 다름, 모양 : 각주상 또는 원주상 괴상구조 : 밭토양과 산림의 하층토에 많이 분포함. 구상구조(=입상구조): 유기물이 많은 작토에서 많이 생산됨, 공극의 형성이 좋지 않음. [해설작성자 : 김유리]
28.
염해지토양의 경우 바닷물의 영향을 받아 염류함량이 많으며, 이에 벼의 생육도 불량하다. 일반적인 영해지 토양의 전기전도도(dS/m)는?
<문제 해설> 1.얼티졸(Ultisol):과숙토.오랜기간 안정 지면을 유지하며 생긴 성숙토가 더욱 용탈작용을 받아 심토까지 염기가 유실도어 척박한 토양 2.아리디솔(Aridisol):연중강수량보다 증발산량이 많고 물이 부족한 곳에서 발생 용탈량이 적어 염의 농도가 높은 토양. 3.안디솔(Andisol):회산회를 주축으로 생성된 토양으로 흑색이고 유기물햠량이 높아 용적비중이 낮음. 제주도에 많이 분포. 4.알피졸(Alfisol):성숙토.오랜 기간동안 안정 지면을 유지하여 집적층이 명료하게 발달한 토양. 석회세탈되어 Al,Fe가 하층에 집적된 토양 [해설작성자 : 바늘당생이]
30.
단위 무게당 비표면적이 가장 큰 토양입자는?
1.
조사
2.
중간사
3.
극세사
4.
미사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모든 단위는 밀리미터임) 자갈 2.0 > 조사 0.2 > 세사 0.02 > 미사 0.002 >점토 0.002이하 조사-거친 모래 세사-가는 모래 미사 고운 모래
[추가 해설] 비표면적[ 比表面積 , specific surface area] 어떤 입자의 단위질량 또는 단위부피당 전표면적을 비표면적이라 한다. 비표면적은 입자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다르다. 토양이 지닌 성질의 대부분은 액상과 고상간의 계면에서 나타나는 표면 현상에 기인하며 이는 토양의 비표면적과 서로 관계가 있다. 토양입자의 비표면적은 토양이 기본적으로 지닌 성질로, 양이온 교환 및 보유, 양분 및 오염원의 조절, 팽창, 수분 보유, 소성 및 응집 등 입자의 기계적 성질과 연관된 여러 현상을 조절한다. ...알갱이 크기가 작을 수록 비표면적이 크다/[네이버 지식백과] 비표면적 [比表面積, specific surface area]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31.
논토양과 밭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답에서는 특수성분결핍토양이 존재할 수 있다.
2.
새로 개간한 밭토양은 인산흡수계수의 5%, 논토양은 인산흡수계수의 2% 사용으로 기경지와 유사한 작물수량을 얻을 수 있다.
3.
밭 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작물생육에 해를 끼칠 수 있어 임계유기물함량 이상 유기물을 시용해서는 안 된다.
4.
우리나라 밭 토양은 여름철 고온다우의 영향을 받아 염기의 용탈이 많아서 pH가 평균 5.7의 산성토양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3. 밭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높을수록 유리하다. 즉 "유기물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작물생육에 해를 끼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ㅇㅇ]
32.
토양 미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양미생물은 세균, 사상균, 방선균, 조류 등이 있다.
2.
세균은 토양 미생물 중에서 수(서식수/m2)가 가장 적다.
3.
방선균은 다세포로 되어 있고 균사를 갖고 있다.
4.
사상균은 산성에 약하여 pH가 5 이하가 되면 활동이 중지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토양 미생물은, 세균, 사상균, 방선균, 조류 등이 존재한다.
개체군은 세균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방선균이 많고, 사상균은 세균에 비해 수 는 적지만, 생체 중량에 있어서는 가장많다. [해설작성자 : 스마트팜 도시농업과 21학번 박재형]
33.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의 산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2.
토양의 보수성이나 통기성을 결정하는 특성이다.
3.
토양의 비표면적과 보비력을 결정하는 특성이다.
4.
작물의 병해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토성은 토양이 양분을 보유 공급하는 능력과 보수성, 배수성, 통기성, 경운의 난이 등 식물생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매우 중요한 토양의 기본적 성질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34.
작물의 생육에 대한 산성토양의 해(害)작용이 아닌 것은?
1.
H+에 의하여 수분 흡수력이 저하된다.
2.
중금속의 유효도가 증가되어 식물에 광독 작용이 나타난다.
3.
Al이온의 유효도가 증가되고 인산이 해리되어 인산유효도가 증가된다.
4.
유용미생물이 감소하고 토양생물의 활성이 감퇴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산성토양에서는 인산이 해리되어 인산의 유효도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인산의 흡수가 억제되어 인산의 유효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인산이 해리되어 인산유효도가 증가된다" 대신에 "인산의 흡수가 억제되어 인산유효도가 감소된다"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다. [해설작성자 : ㅇㅇ]
35.
토양의 pH가 낮을수록 유효도가 증가되는 성분은?
1.
인산
2.
망간
3.
몰리브덴
4.
붕소
정답 : [
2
] 정답률 : 36%
36.
토양생성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윤한 지역에서는 지하수위가 낮으면 유기물 분해가 잘 된다.
2.
고온다습한 지역은 철 또는 알루미늄 집적 토양생성이 잘 된다.
3.
습윤하고 배수가 양호한 지역은 규반비가 낮은 토양 생성이 잘 된다.
4.
건조한 지역에서는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산성토양생성 이 잘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37.
토성을 결정할 때 자갈과 모래로 구분되는 분류 기준(지름)은?
1.
5㎜
2.
2㎜
3.
1㎜
4.
0.5㎜
정답 : [
2
] 정답률 : 78%
38.
대기의 공기 조성에 비하여 토양공기에 특히 많은 성분은?
1.
이산화탄소(CO2)
2.
산소(O2)
3.
질소(N2)
4.
아르곤(Ar)
정답 : [
1
] 정답률 : 64%
39.
토양미생물 중 뿌리의 유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수분과 양분 특히 인산의 흡수이용 증대에 관여하는 것은?
1.
근류균
2.
균근균
3.
황세균
4.
남조류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균근균 [ 菌根菌 , mycorrhizal fungi] 기주식물과 함께 균근을 형성하는 사상균의 일종. 식물뿌리에 침입한 후 식물의 광합성산물을 이용하여 생활하면서 기주식물에는 뿌리가 직접 닿지 않는 먼 곳의 토양무기성분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 준다.
기주식물에 대해서는 양분의 공급기능 외에 토양전염성병원균의 침해 억제와 작토층에 축적된 염류 및 중금속류의 독성물질에의 내성 증대, 한발내성의 증대 등에 도움을 주며 원예작물의 이식재배시에 뿌리 손상의 피해를 줄여 준다. 특히, VA균근균은 유효인산이 부족한 토양에서 난용성 인산을 유효화시켜 작물의 생장을 돕는다. 균근균의 기주식물 감염률은 인산함량이 낮은 토양에서 높은 편이다.
<문제 해설> 3. β-4-xylanase는 식물 섬유소 분해에 사용되는 효소로서, 식물 섬유소를 분해하여 소화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즉 생균제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42.
포도재배 시 화진현상(꽃떨이현상) 예방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붕소를 시비한다.
2.
질소질을 많이 준다.
3.
칼슘을 충분하계 준다.
4.
개화 5~7일전에 생장점을 적심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화진현상(꽃떨이현상) - 개화기 이후 포도송이가 정상적으로 착립되지 않고, 심한 탈립으로 포도송이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이다. - 조기낙엽, 질소과용, 과다결실을 피하여 저장양분을 축적시킨다. - 붕소결핍을 방지하기 위해서 2년마다 붕사 2~3kg/10a 시용 및 개화 1주 전 붕사 0.2~0.3%액을 엽면살포한다. - 세력이 강한 신초는 4~5일 전 신초의 선단을 적심한다. [해설작성자 : 서영서영]
43.
지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녹비작물 네마장황(클로타라리아)의 10g당 적정 파종량은?
1.
10~100g
2.
1~2㎏
3.
6~8㎏
4.
10~20㎏
정답 : [
3
] 정답률 : 49%
44.
유기농업의 원예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수분의 형태는?
1.
모세관수
2.
결합수
3.
중력수
4.
흡습수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2, 3, 4번: 작물이 흡수 혹은 이용하지 못하는 형태의 토양수분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45.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 중 보조사료가 아닌 것은?
1.
활성탄
2.
올리고당
3.
요소
4.
비타민A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22. 7. 22. 시행) 제5조의 별표2(보조사료의 범위)를 참조하여 해설을 작성 1. 활성탄은 보조사료 중 항응고제에 속한다. 2. 올리고당은 보조사료 중 사료종류 14번인 올리고당이다. 4. 비타민A는 보조사료 중 비타민제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복교배라고도 하며 [(×)×(×)]에서와 같이 두 개의 단교배 F1끼리 교배하는 것을 말함.
47.
관행축산과 비교하여 유기축산에서 더 중요시 하는 축사의 조건은?
1.
온습도 유지
2.
적당한 환기
3.
적절한 단열
4.
충분한 공간
정답 : [
4
] 정답률 : 79%
48.
유기농업 벼농사에서 이용할 수 있는 종자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온수에 종자를 침지하는 온탕소독
2.
마늘가루 같은 식물체 종자 코팅
3.
길항작용 곰팡이 분의처리
4.
종자소독약에 종자 침지
정답 : [
4
] 정답률 : 70%
49.
생물적 방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가 액비 제조 이용
2.
천적 곤충의 이용
3.
천적 미생물의 이용
4.
식물의 타감작용 이용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생물적 방제는 천적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선지1번의 액비 제조 및 살포는 화학적 방제방법에 속하므로 틀린 선지이다. [해설작성자 : sunong-e]
50.
딸기의 우량 품종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1.
자연적으로 교잡된 종자를 사용한다.
2.
재배했던 식물의 종자를 사용한다.
3.
영양번식으로 증식한다.
4.
저온으로 저장된 종자는 퇴화되어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영양번식 [營養繁殖] vegetative propagation えいようはんしょく 营养繁殖 영양번식 영양생식 영양증식 영양생식과 비슷한 말로서 식물의 모체로부터 영양기관의 일부가 분리되어 독립적인 새로운 개체가 탄생되는 과정. ↔ 포자번식 농업용어사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녹비작물의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양유기물 함량 증가
2.
작물 내병성 증가
3.
무기성분의 유효도 증가
4.
토양미생물 활동 증가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녹비는 비료로서 직접적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토양 중의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키고 무기성분의 유효도를 증가시키는 이외에 심토(深土)의 경토화(耕土化)를 촉진하며 미생물의 활동을 조장하는 등 간접적 효과도 크다. [네이버 지식백과] 녹비 [綠肥]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블루문]
녹비작물을 이용하여 토양의 물리적,화학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지만, 작물의 병을 방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해설작성자 : 서영서영]
<문제 해설> 시설재배토양은 염류가 집적되어 알칼리성을 띠는 경향이 있다. [해설작성자 : ㅎㅎ]
59.
친환경 농업형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속적 농업
2.
고투입농업
3.
대체농업
4.
자연농법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고투입농업은 화학비료, 농약, 시설 등 투입비용을 늘려 재배하는 형태임 지속적농업은 자연농업과 비슷하게 화학비료나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해서 재배하는 형태임, 대체농업은 기존 일반농법을 대체하여 재배하는 형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국가별 전체 경지면적 대비 유기 농경지 비중이 다음 중 가장 높은 국가는?
1.
쿠바
2.
스위스
3.
오스트리아
4.
포클랜드제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포클랜드 제도 36.3%, 리히텐슈타인 30.9%, 오스트리아 19.4%, 스웨덴 16.4%, 스위스 12.7% [해설작성자 : ㅎㅎ]
<문제 해설> 하드닝 [ hardening음성듣기 ] 식물체를 그다지 심하지 않은 건조 환경하에서 기르든가, 아니면 식물체를 일시적인 위조상태에서 자라게 하면 그 식물체의 내한성은 현저하게 증대한다. 이것을 하드닝, 내한성 증강, 경화라고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하드닝 [hardening]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유효온도 [有效溫度, effective temperature]작물의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를 유효온도라고 한다.
작물 생육과 관련된 온도는 유효온도와 적산온도로 구분한다. 1) 유호온도 - 최저온도,최적온도, 최고온도를 주요 3온도로 본다 2) 적산온도[積算溫度 , accumulated temperature] 기후와 식생 또는 토양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후지수의 하나로서 0℃ 이상인 일평균기온의 평균치를 연간 합산한 값으로 토양지리학에서는 10℃ 이상의 적산치를 이용한다. 또한 적산온도는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열량을 나타낼 때 이용되기도 한다. 이때 일평균기온은 해당 작물이 활동할 수 있는 최저온도(기준온도)이상의 것만을 택한다. 최저온도는 작물에 따라 다르지만 가을채소와 같이 저온에서도 자라는 것은 5℃, 일반적인 온대지방의 여름철 작물은 10℃, 고온을 필요로 하는 작물은 15℃라고 한다. 작물별 적산온도의 최솟값은 감자 1,000℃, 보리 1,600℃, 벼 2,500℃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적산온도 [積算溫度, accumulated temperature] (자연지리학사전, 2006. 5. 25., 한국지리정보연구회)
2.
기지현상을 경감하거나 방지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연작
2.
담수
3.
다비
4.
무경운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기지현상 [sickness of soil, 忌地現像, きちげんしょう]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동일한 포장에 같은 작물을 계속 재배하는 경우 현저한 생육장해가 나타나는 현상. 그 원인으로는 ① 토양전염병의 해 ② 토양선충 번성 ③ 유독물질의 축척 ④ 염류의 집적 ⑤ 토양비료분의 소모 ⑥ 토양의 물리적 성질 악화 ⑦ 잡초의 번성 등을 들 수 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작 : 연속해서 작물을 재배하는 것. 담수 : 저수지나 댐 따위에 물을 채워 그 물로 식물을 가꾸는 일. 다비 :보통보다 많은 양의 비료를 주어 재배하는 것. 무경운 : 토양을 갈지 않고 그대로 작물을 파종하여 재배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화성 유도의 주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양분
2.
식물호르몬
3.
광
4.
영양상태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유도일장 [inductive day length, induction day length, 誘導日長, ゆうどうにっちょう]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식물은 일장의 장단에 따라 개화가 촉진 또는 억제되는데 식물의 화성을 유도 할수 있는 일장을 유도 일장이라고 함.
<문제 해설> 1. 분얼기-분얼이란 일종의 가지치기다. 생장점이 줄기 꼭짓점에 있는 쌍떡잎 식물과 달리 줄기 맨 아래의 마디 사이에 있고, 일종의 자기복제처럼 어미줄기(주간)와 똑같이 생긴 줄기가 나와서 포기치기, 또는 새끼치기라고도 한다. 쌍떡잎 식물은 가지가 넓게 퍼져 나가는 모습인 반면, 벼와 같은 외떡잎 식물은 생장점이 땅속에 있으면서 어미줄기와 똑같은 놈이 나오므로 포기가 점점 불어나는 모습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분얼과 벼의 생장 (강대인의 유기농 벼농사, 2005. 6. 3., 강대인) 2) 유수분화기-화본과식물의 이삭목이 분화되는 시기이며 유수분화기라고 한다. 3. 출수기- 화본과 식물에서 개화에 앞서 이삭목마디 사이가 신장하여 지엽의 잎집에서 이삭이 나오는 시기. 이 시기는 재배상 생육과정의 한 지표로서 중요시된다. 출수기를 정하는 데는 일정 농장 내의 20 %가 출수한 때를 출수시작, 70∼80 % 출수한 때를 수전기(穗揃期)라 하며, 넓은 뜻으로는 수전기를 출수기라고 한다. 4. 유숙기 - 유숙기 [乳熟期, milk-ripe stage]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출수 후 개화수정이 완료되면 알곡이 차기 시작한다. 이때 초기의 내용물은 우유와 같고 수분함량이 높다. 이와 같은 등숙의 초기단계를 유숙기라 한다.
9.
작물 충해를 줄이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당벌레와 같은 천적이 많게 해준다.
2.
해충 유인등만 설치하고 포획하지 않는다.
3.
황색 끈끈이를 설치한다.
4.
혼식재배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10.
2012년 기준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사료용 포항, %)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1.6%
2.
23.6%
3.
33.5%
4.
44.5%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하 농산물시장정보시스템(AMIS)의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사료용 곡물 포함)은 최근 3개년(2015~2017년) 평균 23%에 그쳤다. 쌀·보리·밀 등 각종 먹을거리를 포함하는 식량자급률은 2017년 기준 48%대에 불과했다. 또 우리가 먹는 밀, 옥수수, 콩은 90% 이상이 수입품이다. 반면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들은 곡물을 충분히 생산하며 식량안보를 철저히 하고 있다. 2015~2017년 평균 호주의 곡물자급률은 289.6%, 캐나다는 177.8%, 미국은 125.2%로 높은 곡물자급률을 자랑하고 있다.출처 : 충청투데이
11.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관여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계절
2.
암거(暗渠)
3.
바람
4.
식생(植生)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암거 지하에 매설 혹은 복개를 해서 수면이 보이지 않도록 한 통수로
암거 [culvert, 暗渠] 용수나 배수용의 수로가 도로, 철도, 제방 등의 아래에 매설 되었을 때를 암거라 한다. 도관(陶管)이나 철근 콘크리트관의 관거(管渠)와 박스 암거나 아치 암거와 같은 석조나 철근 콘크리트가 있다. 박스...
암거 [closed conduit, 暗渠] 지하에 매설하든지, 지표에 있으면 복개를 해서 수면이 보이지 않도록 한 통수로로 은거 또는 속도랑이라고도 한다. 도시의 도로 아래에는 크고 작은 하수관거가 종횡으로 부설되어 하수를 흘려보낸다.
<문제 해설> 1. 토양 수분 표시는 어떻게 할까? - pF(토양수분장력)이다. - 1기압은 pF=3이다. - 최대(포화)용수량 pF=0 > 포장(최소)용수량 pF=1.7~2.7 > 영구위조점 pF=4.2 *최대용수량에서 중력수가 제거 된 상태가 포장용수량이다. 2. 유효수분과 무효수분 - 식물의 유효수분은 pF=2.7 ~ 4.2이다. 즉 포장용수량에서~영구위조점까지 *유효수분은 토양입자가 작을수록 많아진다. *최적함수량은 최대용수량의 60%~80%이다. 3. 토양수분의 분류 결합수-흡습수-모관수...중력수 *식물의 유효수분은 모관수이다.
15.
작물의 병 발생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잦은 강우
2.
비가림 재배
3.
연작 재배
4.
밀식 재배
정답 : [
2
] 정답률 : 78%
16.
추락현상이 나타나는 논이 아닌 것은?
1.
노후화답
2.
누수답
3.
유기물이 많은 저습답
4.
건답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이 현상은 고온기에 환원상태가 발달할 때 발생하는 황화수소가 뿌리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심하면 근부현상을 일으켜 생식생장기에 양분흡수 특히 염기(K, Ca, Mg) 및 규산(SiO2) 등의 흡수가 저하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추락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논을 추락답(秋落畓)이라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염기와 철분이 용탈된 사력질의 노후화 토양 또는 중점질의 식질답에서 발생하기 쉽다. [네이버 지식백과] 추락현상 [秋落現像, autumn decline, akiochi phenomena]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해설작성자 : 정종삼]
<문제 해설> 1.인셉티솔 [inceptisols, インセプティゾ-ル] 신토양 분류의 목의 하나, 토양의 발달 정도가 낮은 토양,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함. 2. 엔티솔 [Entisols] Soil Taxonomy에서의 12개 토양목 중 하나. 생성 연대가 오래되지 않아 구조의 발달이나 용탈, 집적 등의 흔적이 없는 미숙 또는 발달되지 않은 토양 3.젤리솔 [gelisols] Soil Taxonomy에서의 12개 토양목 중의 하나. 토심 100cm 이내에 영구 동결층을 가지거나 토심 100cm 내에 젤릭 물질을 가지면서 토심 200cm 내에 영구 동결층을 가지는 토양임. 4.몰리솔 -아습윤기후(亞濕潤氣候)하에서 초생지(草生地)에 나타나는 토양이다. 염기 포화도가 높고 암색을 띠며, 구조가 잘 발달한 표층(몰릭 표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밤색토‧프레리토(브루니젬)‧체르노젬 등을 말한다. 미국 토양분류체계에서는 5목(目)에 속한다. 밤색토는 아스틀, 프레리토는 유들, 체르노젬은 보롤에 해당한다.[네이버 지식백과] 몰리솔 [mollisol, モリゾル] (자연지리학사전, 2006. 5. 25., 한국지리정보연구회) ***제리솔은 우리나라에 분포하지 않는다.
27.
토양의 구조 중 입단의 세로축보다 가로축의 길이가 길고, 딱딱하여 토양의 투수성과 통기성을 나쁘게 하는 것은?
1.
주상구조
2.
괴상구조
3.
구상구조
4.
판상구조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주상구조 : 가로세로 크기가 다름, 모양 : 각주상 또는 원주상 괴상구조 : 밭토양과 산림의 하층토에 많이 분포함. 구상구조(=입상구조): 유기물이 많은 작토에서 많이 생산됨, 공극의 형성이 좋지 않음. [해설작성자 : 김유리]
28.
염해지토양의 경우 바닷물의 영향을 받아 염류함량이 많으며, 이에 벼의 생육도 불량하다. 일반적인 영해지 토양의 전기전도도(dS/m)는?
<문제 해설> 1.얼티졸(Ultisol):과숙토.오랜기간 안정 지면을 유지하며 생긴 성숙토가 더욱 용탈작용을 받아 심토까지 염기가 유실도어 척박한 토양 2.아리디솔(Aridisol):연중강수량보다 증발산량이 많고 물이 부족한 곳에서 발생 용탈량이 적어 염의 농도가 높은 토양. 3.안디솔(Andisol):회산회를 주축으로 생성된 토양으로 흑색이고 유기물햠량이 높아 용적비중이 낮음. 제주도에 많이 분포. 4.알피졸(Alfisol):성숙토.오랜 기간동안 안정 지면을 유지하여 집적층이 명료하게 발달한 토양. 석회세탈되어 Al,Fe가 하층에 집적된 토양 [해설작성자 : 바늘당생이]
30.
단위 무게당 비표면적이 가장 큰 토양입자는?
1.
조사
2.
중간사
3.
극세사
4.
미사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모든 단위는 밀리미터임) 자갈 2.0 > 조사 0.2 > 세사 0.02 > 미사 0.002 >점토 0.002이하 조사-거친 모래 세사-가는 모래 미사 고운 모래
[추가 해설] 비표면적[ 比表面積 , specific surface area] 어떤 입자의 단위질량 또는 단위부피당 전표면적을 비표면적이라 한다. 비표면적은 입자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다르다. 토양이 지닌 성질의 대부분은 액상과 고상간의 계면에서 나타나는 표면 현상에 기인하며 이는 토양의 비표면적과 서로 관계가 있다. 토양입자의 비표면적은 토양이 기본적으로 지닌 성질로, 양이온 교환 및 보유, 양분 및 오염원의 조절, 팽창, 수분 보유, 소성 및 응집 등 입자의 기계적 성질과 연관된 여러 현상을 조절한다. ...알갱이 크기가 작을 수록 비표면적이 크다/[네이버 지식백과] 비표면적 [比表面積, specific surface area]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31.
논토양과 밭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답에서는 특수성분결핍토양이 존재할 수 있다.
2.
새로 개간한 밭토양은 인산흡수계수의 5%, 논토양은 인산흡수계수의 2% 사용으로 기경지와 유사한 작물수량을 얻을 수 있다.
3.
밭 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작물생육에 해를 끼칠 수 있어 임계유기물함량 이상 유기물을 시용해서는 안 된다.
4.
우리나라 밭 토양은 여름철 고온다우의 영향을 받아 염기의 용탈이 많아서 pH가 평균 5.7의 산성토양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3. 밭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높을수록 유리하다. 즉 "유기물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작물생육에 해를 끼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ㅇㅇ]
32.
토양 미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양미생물은 세균, 사상균, 방선균, 조류 등이 있다.
2.
세균은 토양 미생물 중에서 수(서식수/m2)가 가장 적다.
3.
방선균은 다세포로 되어 있고 균사를 갖고 있다.
4.
사상균은 산성에 약하여 pH가 5 이하가 되면 활동이 중지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토양 미생물은, 세균, 사상균, 방선균, 조류 등이 존재한다.
개체군은 세균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방선균이 많고, 사상균은 세균에 비해 수 는 적지만, 생체 중량에 있어서는 가장많다. [해설작성자 : 스마트팜 도시농업과 21학번 박재형]
33.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의 산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2.
토양의 보수성이나 통기성을 결정하는 특성이다.
3.
토양의 비표면적과 보비력을 결정하는 특성이다.
4.
작물의 병해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토성은 토양이 양분을 보유 공급하는 능력과 보수성, 배수성, 통기성, 경운의 난이 등 식물생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매우 중요한 토양의 기본적 성질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34.
작물의 생육에 대한 산성토양의 해(害)작용이 아닌 것은?
1.
H+에 의하여 수분 흡수력이 저하된다.
2.
중금속의 유효도가 증가되어 식물에 광독 작용이 나타난다.
3.
Al이온의 유효도가 증가되고 인산이 해리되어 인산유효도가 증가된다.
4.
유용미생물이 감소하고 토양생물의 활성이 감퇴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산성토양에서는 인산이 해리되어 인산의 유효도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인산의 흡수가 억제되어 인산의 유효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인산이 해리되어 인산유효도가 증가된다" 대신에 "인산의 흡수가 억제되어 인산유효도가 감소된다"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다. [해설작성자 : ㅇㅇ]
35.
토양의 pH가 낮을수록 유효도가 증가되는 성분은?
1.
인산
2.
망간
3.
몰리브덴
4.
붕소
정답 : [
2
] 정답률 : 36%
36.
토양생성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윤한 지역에서는 지하수위가 낮으면 유기물 분해가 잘 된다.
2.
고온다습한 지역은 철 또는 알루미늄 집적 토양생성이 잘 된다.
3.
습윤하고 배수가 양호한 지역은 규반비가 낮은 토양 생성이 잘 된다.
4.
건조한 지역에서는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산성토양생성 이 잘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37.
토성을 결정할 때 자갈과 모래로 구분되는 분류 기준(지름)은?
1.
5㎜
2.
2㎜
3.
1㎜
4.
0.5㎜
정답 : [
2
] 정답률 : 78%
38.
대기의 공기 조성에 비하여 토양공기에 특히 많은 성분은?
1.
이산화탄소(CO2)
2.
산소(O2)
3.
질소(N2)
4.
아르곤(Ar)
정답 : [
1
] 정답률 : 64%
39.
토양미생물 중 뿌리의 유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수분과 양분 특히 인산의 흡수이용 증대에 관여하는 것은?
1.
근류균
2.
균근균
3.
황세균
4.
남조류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균근균 [ 菌根菌 , mycorrhizal fungi] 기주식물과 함께 균근을 형성하는 사상균의 일종. 식물뿌리에 침입한 후 식물의 광합성산물을 이용하여 생활하면서 기주식물에는 뿌리가 직접 닿지 않는 먼 곳의 토양무기성분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 준다.
기주식물에 대해서는 양분의 공급기능 외에 토양전염성병원균의 침해 억제와 작토층에 축적된 염류 및 중금속류의 독성물질에의 내성 증대, 한발내성의 증대 등에 도움을 주며 원예작물의 이식재배시에 뿌리 손상의 피해를 줄여 준다. 특히, VA균근균은 유효인산이 부족한 토양에서 난용성 인산을 유효화시켜 작물의 생장을 돕는다. 균근균의 기주식물 감염률은 인산함량이 낮은 토양에서 높은 편이다.
<문제 해설> 3. β-4-xylanase는 식물 섬유소 분해에 사용되는 효소로서, 식물 섬유소를 분해하여 소화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즉 생균제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42.
포도재배 시 화진현상(꽃떨이현상) 예방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붕소를 시비한다.
2.
질소질을 많이 준다.
3.
칼슘을 충분하계 준다.
4.
개화 5~7일전에 생장점을 적심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화진현상(꽃떨이현상) - 개화기 이후 포도송이가 정상적으로 착립되지 않고, 심한 탈립으로 포도송이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이다. - 조기낙엽, 질소과용, 과다결실을 피하여 저장양분을 축적시킨다. - 붕소결핍을 방지하기 위해서 2년마다 붕사 2~3kg/10a 시용 및 개화 1주 전 붕사 0.2~0.3%액을 엽면살포한다. - 세력이 강한 신초는 4~5일 전 신초의 선단을 적심한다. [해설작성자 : 서영서영]
43.
지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녹비작물 네마장황(클로타라리아)의 10g당 적정 파종량은?
1.
10~100g
2.
1~2㎏
3.
6~8㎏
4.
10~20㎏
정답 : [
3
] 정답률 : 49%
44.
유기농업의 원예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수분의 형태는?
1.
모세관수
2.
결합수
3.
중력수
4.
흡습수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2, 3, 4번: 작물이 흡수 혹은 이용하지 못하는 형태의 토양수분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45.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 중 보조사료가 아닌 것은?
1.
활성탄
2.
올리고당
3.
요소
4.
비타민A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22. 7. 22. 시행) 제5조의 별표2(보조사료의 범위)를 참조하여 해설을 작성 1. 활성탄은 보조사료 중 항응고제에 속한다. 2. 올리고당은 보조사료 중 사료종류 14번인 올리고당이다. 4. 비타민A는 보조사료 중 비타민제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복교배라고도 하며 [(×)×(×)]에서와 같이 두 개의 단교배 F1끼리 교배하는 것을 말함.
47.
관행축산과 비교하여 유기축산에서 더 중요시 하는 축사의 조건은?
1.
온습도 유지
2.
적당한 환기
3.
적절한 단열
4.
충분한 공간
정답 : [
4
] 정답률 : 79%
48.
유기농업 벼농사에서 이용할 수 있는 종자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온수에 종자를 침지하는 온탕소독
2.
마늘가루 같은 식물체 종자 코팅
3.
길항작용 곰팡이 분의처리
4.
종자소독약에 종자 침지
정답 : [
4
] 정답률 : 70%
49.
생물적 방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가 액비 제조 이용
2.
천적 곤충의 이용
3.
천적 미생물의 이용
4.
식물의 타감작용 이용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생물적 방제는 천적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선지1번의 액비 제조 및 살포는 화학적 방제방법에 속하므로 틀린 선지이다. [해설작성자 : sunong-e]
50.
딸기의 우량 품종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1.
자연적으로 교잡된 종자를 사용한다.
2.
재배했던 식물의 종자를 사용한다.
3.
영양번식으로 증식한다.
4.
저온으로 저장된 종자는 퇴화되어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영양번식 [營養繁殖] vegetative propagation えいようはんしょく 营养繁殖 영양번식 영양생식 영양증식 영양생식과 비슷한 말로서 식물의 모체로부터 영양기관의 일부가 분리되어 독립적인 새로운 개체가 탄생되는 과정. ↔ 포자번식 농업용어사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녹비작물의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양유기물 함량 증가
2.
작물 내병성 증가
3.
무기성분의 유효도 증가
4.
토양미생물 활동 증가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녹비는 비료로서 직접적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토양 중의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키고 무기성분의 유효도를 증가시키는 이외에 심토(深土)의 경토화(耕土化)를 촉진하며 미생물의 활동을 조장하는 등 간접적 효과도 크다. [네이버 지식백과] 녹비 [綠肥]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블루문]
녹비작물을 이용하여 토양의 물리적,화학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지만, 작물의 병을 방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해설작성자 : 서영서영]
<문제 해설> 시설재배토양은 염류가 집적되어 알칼리성을 띠는 경향이 있다. [해설작성자 : ㅎㅎ]
59.
친환경 농업형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속적 농업
2.
고투입농업
3.
대체농업
4.
자연농법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고투입농업은 화학비료, 농약, 시설 등 투입비용을 늘려 재배하는 형태임 지속적농업은 자연농업과 비슷하게 화학비료나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해서 재배하는 형태임, 대체농업은 기존 일반농법을 대체하여 재배하는 형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국가별 전체 경지면적 대비 유기 농경지 비중이 다음 중 가장 높은 국가는?
1.
쿠바
2.
스위스
3.
오스트리아
4.
포클랜드제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포클랜드 제도 36.3%, 리히텐슈타인 30.9%, 오스트리아 19.4%, 스웨덴 16.4%, 스위스 12.7% [해설작성자 : ㅎㅎ]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②
①
③
④
④
④
②
②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②
③
②
④
②
④
③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③
②
③
③
④
④
④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①
①
③
②
④
②
①
②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②
③
①
③
④
④
④
①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③
①
①
④
②
②
②
②
④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