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pF : 토양이 물을 흡착 유지하려는 힘을 나타내는 중력단위. 결국 토양수분장력을 표시하는 단위이다. 토양수가 입자에 흡착되어 있는 강도를 흡착력에 상당하는 수주(水柱, water column)의 높이로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토양수분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그 수치가 너무 크기 때문에 영국의 토양물리학자 Schofield(1935)는 수주높이 H(cm)의 상용대수를 취하여 pF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pF=log10(H). 토양수분장력이 1기압(1atm)이면 수주의 높이로는 대략 1,000cm(10m)로서 pF 3이다. 포장용수량의 수분장력은 pF 2.5, 위조점의 수분장력은 pF 4.2에 해당한다./[네이버 지식백과] pF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풍건 [風乾, air dry] 토양비료 용어사전 시료를 자연 상태의 그늘에서 말린 상태. 토양 시료는 풍건하여 2mm 체를 통과한 세토를 분석 시료로 함. 식물체 등의 시료는 풍건한 경우 건물 함량이 약 85%임.
2.
빛과 작물의 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이 조사(照射)되면 온도가 상승하여 증산이 조장된다.
2.
광합성에 의하여 호흡기질이 생성된다.
3.
식물의 한쪽에 광을 조사하면 반대쪽의 옥신 농도가 낮아진다.
4.
녹색식물은 광을 받으면 엽록소 생성이 촉진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3.
다음의 여러 가지 파종방법 중에서 노동력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것은?
1.
적파(摘播)
2.
점뿌림(點播)
3.
골뿌림(條播)
4.
흩어뿌림(散播)
정답 : [
4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노동력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이유는 그냥 말그대로 흩어뿌리면 되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굼주]
1.적파 [摘播] 종자를 몇 알씩 모아 군데 군데 뿌림. 2.점파 [點播] 일정한 간격의 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종자를 1립 또는 2∼3립씩 뿌리는 것으로 균등히 발아하면 개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균일하여서 적당한 생육조건이 만들어지기 쉬움. 3.조파 [條播] 줄뿌림. 발아력이 강하고 생장이 빠르며 해가림이 필요없는 수종의 종자를 일정간격의 줄로 뿌리는 방법.
4.
다음 중 종자의 수명이 가장 짧은 것은?
1.
나팔꽃
2.
백일홍
3.
데이지
4.
베고니아
정답 : [
4
] 정답률 : 73%
5.
참외밭의 둘레에 옥수수를 심는 경우의 작부체계는?
1.
간작
2.
혼작
3.
교호작
4.
주위작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간작 - 한 가지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줄사이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 앞작물과 간작물의 생육기간이 일부만 겹친다. 2. 혼작 - 생육기간이 거의 같은 2종류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포장에 섞어서 재배하는 것. 3. 교호작 - 생육기간이 비슷한 작물들을 교호로 재배하는 방식. 4. 주위작 - 포장의 주위에 포장 내의 작물과 다른 작물들을 재배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작물의 유전적인 유연관계의 구명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교잡에 의한 방법
2.
염색체에 의한 방법
3.
면역학적 방법
4.
생물학적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유연관계 [類緣關係] 생물들이 분류학적으로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관계. [생물 분류와 유연관계] 특정 기준에 따라 생물들을 나누는 것을 생물 분류라고 한다. 유연관계 [類緣―] 유연(類 무리, 緣 인연)관계 생물들이 분류학적으로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관계 유연관계 [類緣關係] 동식물에 있어서 혈통이 비슷한 것을 말한다. 분류에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작물의 생육과 관련된 3대 주요온도가 아닌 것은?
1.
최저온도
2.
평균온도
3.
최적온도
4.
최고온도
정답 : [
2
] 정답률 : 90%
8.
고립 상태에서 온도와 CO2 농도가 제한조건이 아닐 때 광포화점이 가장 높은 작물은?
1.
옥수수
2.
콩
3.
벼
4.
감자
정답 : [
1
] 정답률 : 70%
9.
우리나라의 농업이 국내외 농업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당면과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생산성 향상과 품질 고급화
2.
종류 및 작형의 단순화와 저장성 향상
3.
유통구조 개선과 국제 경쟁력 강화
4.
저투입ㆍ지속적 농업의 실천과 농산물 수출 강화
정답 : [
2
] 정답률 : 73%
10.
생력재배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노동투하시간의 절감
2.
단위수량의 증대
3.
작부체계의 개선
4.
농구비(農具費) 절감
정답 : [
4
] 정답률 : 75%
11.
철, 망간, 칼륨, 칼슘 등이 작토층에서 용탈되어 결핍된 논토양은?
1.
습답
2.
노후답
3.
중점토답
4.
염류집적답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노후답 뜻 : 작토층의 무기성분이 용탈되어 결핍된 논토양 생성조건 : 토양모재가 Fe, Mg 적고 규산 많은 산성암(화강암) → 우리나라 토양 투수가 잘되는 토양으로 podzol화 조건과 같다 - 용탈집적과 추락현상 ① 논토양의 토층분화 : 담수로 환원되면 Fe+3 → Fe+2, Mn+4 → Mn+2로 용해도 증가하여 물따라 하층이동 ② 무기성분의 용탈과 집적 : 이때 K, Ca, Mg, Si, P, 점토도 용탈되어 심토의 산화층에 집적 ③ 노후화 현상 - 배수양호한 논 : 작토층은 환원되지만 심토층은 산화상태 - 환원으로 가용화 된 Fe+2, Mn+2이 물의 하강이동에 의해 산화상태인 하층에 운반 - 침전되어 적갈색의 집적층이 생기는 것 → podzol화와 비슷하여 나 중에는 노후화답이 된다 [해설작성자 : 푸른달]
<문제 해설> 논토양의 탈질현상:암모니아태질소 산화층 시비 NO NO-N0- N 대기 중으로 나가는 현상, 질소시비효과가 떨어진대대책: 전층, 심층시비, 환원층시비). [해설작성자 : 쩡가]
23.
다음 중 토양유실량이 가장 큰 작물은?
1.
옥수수
2.
참깨
3.
콩
4.
고구마
정답 : [
1
] 정답률 : 64%
24.
하천이나 호소의 부영양화로 조류가 많이 발생되는 현상과 관련이 깊은 토양 오염 물질은?
1.
비소
2.
수은
3.
인산
4.
세슘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부영양화[ 富榮養化 , eutrophication] 부영양화는 "영양물질이 풍부하게 공급되었다"는 뜻의 용어로 강이나 호수, 바다와 같은 수체에 생활하수나 가축분뇨 등의 유입으로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풍부해진 것을 의미...하천이나 호소를 부영양화 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가정에서 내보내는 생활하수 중 세제 성분에 의한 인의 유입이 전체의 60%를 차지한다는 보고가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부영양화 [富榮養化, eutrophication] (물백과사전)
엽록소를 형성하고 잎의 색이 녹색을 띠는데 필요하며, 단백질 합성을 위한 아미노산의 구성 성분은?
1.
질소
2.
인산
3.
칼륨
4.
규산
정답 : [
1
] 정답률 : 59%
44.
쌀겨를 이용한 논잡초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슬이 말랐을 때 쌀겨를 사용한다.
2.
살포면적이 넓으면 쌀겨를 펠렛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3.
쌀겨를 뿌리면 논주변에 악취가 발생한다.
4.
쌀겨는 잡초종자의 발아를 완전 억제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45.
내설(비닐하우스 등)의 환기효과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실내온도를 낮추어 준다.
2.
공중습도를 높여준다.
3.
탄산가스를 공급한다.
4.
유해가스를 배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공중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준다
46.
세계에서 유기농업이 가장 발달한 유럽 유기농업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농지면적당 가축사육규모의 자유
2.
가급적 유기질 비료의 지급
3.
외국으로부터의 사료의존 지양
4.
환경보전적인 기능 수행
정답 : [
1
] 정답률 : 67%
47.
다음 중 IFOAM 이란?
1.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
2.
무역의 기술적 장애에 관한 협정
3.
위생식품검역 적용에 관한 협정
4.
국제유기식품규정
정답 : [
1
] 정답률 : 88%
48.
다음 유기농업이 추구하는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환경생태계 교란의 최적화
2.
합성화학물질 사용의 최소화
3.
토양활성화와 토양단립구조의 최적화
4.
생물학적 생산성의 최적화
정답 : [
4
] 정답률 : 46%
49.
과수재배에서 바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상엽을 흔들어 하엽도 햇볕을 쬐게 한다.
2.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광합성을 왕성하게 한다.
3.
증산작용을 촉진시켜 양분과 수분의 흡수 상승을 돕는다.
4.
고온 다습한 시기에 병충해의 발생이 많아지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50.
토양 피복(mulching)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토양내 수분 유지
2.
병해충 발생 방지
3.
미생물 활동 촉진
4.
온도 유지
정답 : [
2
] 정답률 : 60%
51.
일반적인 퇴비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물에 영양분 공급
2.
작물생장 토양의 이화학성 개선
3.
토양 중 생물의 활성 유지 및 증진
4.
속성재배 효과 및 살충 효과
정답 : [
4
] 정답률 : 82%
52.
집약축산에 의한 농업환경오염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메탄가스 발생 오염
2.
토양 생태계 오염
3.
수중 생태계 오염
4.
이산화탄소 발생 오염
정답 : [
4
] 정답률 : 63%
53.
소의 제1종가축전염병으로 법정전염병은?
1.
전염성 위장염
2.
추백리
3.
광견병
4.
구제역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가축전염병 예방법 제2조] 2. “가축전염병”이란 다음의 제1종 가축전염병, 제2종 가축전염병 및 제3종 가축전염병을 말한다. 가. 제1종 가축전염병: 우역(牛疫), 우폐역(牛肺疫), 구제역(口蹄疫), 가성우역(假性牛疫), 블루텅병, 리프트계곡열, 럼피스킨병, 양두(羊痘), 수포성구내염(水疱性口內炎), 아프리카마역(馬疫),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 돼지수포병(水疱病), 뉴캣슬병, 고병원성 조류(鳥類)인플루엔자 및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질병으로서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가축의 전염성 질병 [해설작성자 : ㅇㅇ]
54.
유기축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질의 유기사료 공급
2.
가축의 생리적 욕구 존중
3.
유전공학을 이용한 번식기법 사용
4.
환경과 가축간의 조화로운 관계 발전
정답 : [
3
] 정답률 : 81%
55.
유기농업에서 예방적 잡초제어방법이 아닌 것은?
1.
윤작
2.
동물방목
3.
완숙퇴비 사용
4.
두과작물 재배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3번입니다 완숙퇴비는 잡초 씨앗을 제거하고 토양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예방적 잡초 제어 방법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예방적 잡초 제어 방법에는 윤작, 동물 방목, 두과작물 재배 등이 포함됩니다. [해설작성자 : 꿀멍냥]
56.
여교배육종에 대한 기호 표시로서 옳은 것은?
1.
(A × A) × C
2.
((A × B) × B) × B
3.
(A × B) × C
4.
(A × B) × (C × D)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여교배[ 戾交配 , back cross음성듣기 ] 실용적이 아닌 품종의 단순유전을 하는 유용형질을 실용품종에 옮겨 넣을 목적으로 비실용 품종을 1회친으로 하고 실용품종을 반복친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순환적으로 교배하는 것을 여교배라 하고, 여교배를 통해 얻어진 유용형질이 도입된 우량개체를 선발해서 새 품종으로 고정해가는 육종법을 여교잡육종법이라고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여교배 [戾交配, back cross]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57.
지력이 감퇴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토양의 산성화
2.
토양의 영양 불균형화
3.
특수비료의 과다사용
4.
부식의 시용
정답 : [
4
] 정답률 : 80%
58.
다음의 조건에 맞는 육종법은?
1.
계통분리육종법
2.
순계분리육종법
3.
여교배(잡)육종법
4.
도입육종법
정답 : [
3
] 정답률 : 65%
59.
밭토양의 시비효과 및 비옥도 증진을 위한 두과녹비작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헤어리베치
2.
밭벼
3.
옥수수
4.
수단그라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녹비작물 - 콩과(두과): 자운영, 헤어리베치 등 - 볏과(화본과): 호밀 등 [해설작성자 : 농린이]
<문제 해설> pF : 토양이 물을 흡착 유지하려는 힘을 나타내는 중력단위. 결국 토양수분장력을 표시하는 단위이다. 토양수가 입자에 흡착되어 있는 강도를 흡착력에 상당하는 수주(水柱, water column)의 높이로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토양수분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그 수치가 너무 크기 때문에 영국의 토양물리학자 Schofield(1935)는 수주높이 H(cm)의 상용대수를 취하여 pF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pF=log10(H). 토양수분장력이 1기압(1atm)이면 수주의 높이로는 대략 1,000cm(10m)로서 pF 3이다. 포장용수량의 수분장력은 pF 2.5, 위조점의 수분장력은 pF 4.2에 해당한다./[네이버 지식백과] pF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풍건 [風乾, air dry] 토양비료 용어사전 시료를 자연 상태의 그늘에서 말린 상태. 토양 시료는 풍건하여 2mm 체를 통과한 세토를 분석 시료로 함. 식물체 등의 시료는 풍건한 경우 건물 함량이 약 85%임.
2.
빛과 작물의 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이 조사(照射)되면 온도가 상승하여 증산이 조장된다.
2.
광합성에 의하여 호흡기질이 생성된다.
3.
식물의 한쪽에 광을 조사하면 반대쪽의 옥신 농도가 낮아진다.
4.
녹색식물은 광을 받으면 엽록소 생성이 촉진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3.
다음의 여러 가지 파종방법 중에서 노동력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것은?
1.
적파(摘播)
2.
점뿌림(點播)
3.
골뿌림(條播)
4.
흩어뿌림(散播)
정답 : [
4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노동력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이유는 그냥 말그대로 흩어뿌리면 되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굼주]
1.적파 [摘播] 종자를 몇 알씩 모아 군데 군데 뿌림. 2.점파 [點播] 일정한 간격의 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종자를 1립 또는 2∼3립씩 뿌리는 것으로 균등히 발아하면 개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균일하여서 적당한 생육조건이 만들어지기 쉬움. 3.조파 [條播] 줄뿌림. 발아력이 강하고 생장이 빠르며 해가림이 필요없는 수종의 종자를 일정간격의 줄로 뿌리는 방법.
4.
다음 중 종자의 수명이 가장 짧은 것은?
1.
나팔꽃
2.
백일홍
3.
데이지
4.
베고니아
정답 : [
4
] 정답률 : 73%
5.
참외밭의 둘레에 옥수수를 심는 경우의 작부체계는?
1.
간작
2.
혼작
3.
교호작
4.
주위작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간작 - 한 가지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줄사이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 앞작물과 간작물의 생육기간이 일부만 겹친다. 2. 혼작 - 생육기간이 거의 같은 2종류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포장에 섞어서 재배하는 것. 3. 교호작 - 생육기간이 비슷한 작물들을 교호로 재배하는 방식. 4. 주위작 - 포장의 주위에 포장 내의 작물과 다른 작물들을 재배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작물의 유전적인 유연관계의 구명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교잡에 의한 방법
2.
염색체에 의한 방법
3.
면역학적 방법
4.
생물학적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유연관계 [類緣關係] 생물들이 분류학적으로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관계. [생물 분류와 유연관계] 특정 기준에 따라 생물들을 나누는 것을 생물 분류라고 한다. 유연관계 [類緣―] 유연(類 무리, 緣 인연)관계 생물들이 분류학적으로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관계 유연관계 [類緣關係] 동식물에 있어서 혈통이 비슷한 것을 말한다. 분류에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작물의 생육과 관련된 3대 주요온도가 아닌 것은?
1.
최저온도
2.
평균온도
3.
최적온도
4.
최고온도
정답 : [
2
] 정답률 : 90%
8.
고립 상태에서 온도와 CO2 농도가 제한조건이 아닐 때 광포화점이 가장 높은 작물은?
1.
옥수수
2.
콩
3.
벼
4.
감자
정답 : [
1
] 정답률 : 70%
9.
우리나라의 농업이 국내외 농업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당면과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생산성 향상과 품질 고급화
2.
종류 및 작형의 단순화와 저장성 향상
3.
유통구조 개선과 국제 경쟁력 강화
4.
저투입ㆍ지속적 농업의 실천과 농산물 수출 강화
정답 : [
2
] 정답률 : 73%
10.
생력재배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노동투하시간의 절감
2.
단위수량의 증대
3.
작부체계의 개선
4.
농구비(農具費) 절감
정답 : [
4
] 정답률 : 75%
11.
철, 망간, 칼륨, 칼슘 등이 작토층에서 용탈되어 결핍된 논토양은?
1.
습답
2.
노후답
3.
중점토답
4.
염류집적답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노후답 뜻 : 작토층의 무기성분이 용탈되어 결핍된 논토양 생성조건 : 토양모재가 Fe, Mg 적고 규산 많은 산성암(화강암) → 우리나라 토양 투수가 잘되는 토양으로 podzol화 조건과 같다 - 용탈집적과 추락현상 ① 논토양의 토층분화 : 담수로 환원되면 Fe+3 → Fe+2, Mn+4 → Mn+2로 용해도 증가하여 물따라 하층이동 ② 무기성분의 용탈과 집적 : 이때 K, Ca, Mg, Si, P, 점토도 용탈되어 심토의 산화층에 집적 ③ 노후화 현상 - 배수양호한 논 : 작토층은 환원되지만 심토층은 산화상태 - 환원으로 가용화 된 Fe+2, Mn+2이 물의 하강이동에 의해 산화상태인 하층에 운반 - 침전되어 적갈색의 집적층이 생기는 것 → podzol화와 비슷하여 나 중에는 노후화답이 된다 [해설작성자 : 푸른달]
<문제 해설> 논토양의 탈질현상:암모니아태질소 산화층 시비 NO NO-N0- N 대기 중으로 나가는 현상, 질소시비효과가 떨어진대대책: 전층, 심층시비, 환원층시비). [해설작성자 : 쩡가]
23.
다음 중 토양유실량이 가장 큰 작물은?
1.
옥수수
2.
참깨
3.
콩
4.
고구마
정답 : [
1
] 정답률 : 64%
24.
하천이나 호소의 부영양화로 조류가 많이 발생되는 현상과 관련이 깊은 토양 오염 물질은?
1.
비소
2.
수은
3.
인산
4.
세슘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부영양화[ 富榮養化 , eutrophication] 부영양화는 "영양물질이 풍부하게 공급되었다"는 뜻의 용어로 강이나 호수, 바다와 같은 수체에 생활하수나 가축분뇨 등의 유입으로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풍부해진 것을 의미...하천이나 호소를 부영양화 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가정에서 내보내는 생활하수 중 세제 성분에 의한 인의 유입이 전체의 60%를 차지한다는 보고가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부영양화 [富榮養化, eutrophication] (물백과사전)
엽록소를 형성하고 잎의 색이 녹색을 띠는데 필요하며, 단백질 합성을 위한 아미노산의 구성 성분은?
1.
질소
2.
인산
3.
칼륨
4.
규산
정답 : [
1
] 정답률 : 59%
44.
쌀겨를 이용한 논잡초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슬이 말랐을 때 쌀겨를 사용한다.
2.
살포면적이 넓으면 쌀겨를 펠렛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3.
쌀겨를 뿌리면 논주변에 악취가 발생한다.
4.
쌀겨는 잡초종자의 발아를 완전 억제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45.
내설(비닐하우스 등)의 환기효과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실내온도를 낮추어 준다.
2.
공중습도를 높여준다.
3.
탄산가스를 공급한다.
4.
유해가스를 배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공중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준다
46.
세계에서 유기농업이 가장 발달한 유럽 유기농업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농지면적당 가축사육규모의 자유
2.
가급적 유기질 비료의 지급
3.
외국으로부터의 사료의존 지양
4.
환경보전적인 기능 수행
정답 : [
1
] 정답률 : 67%
47.
다음 중 IFOAM 이란?
1.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
2.
무역의 기술적 장애에 관한 협정
3.
위생식품검역 적용에 관한 협정
4.
국제유기식품규정
정답 : [
1
] 정답률 : 88%
48.
다음 유기농업이 추구하는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환경생태계 교란의 최적화
2.
합성화학물질 사용의 최소화
3.
토양활성화와 토양단립구조의 최적화
4.
생물학적 생산성의 최적화
정답 : [
4
] 정답률 : 46%
49.
과수재배에서 바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상엽을 흔들어 하엽도 햇볕을 쬐게 한다.
2.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광합성을 왕성하게 한다.
3.
증산작용을 촉진시켜 양분과 수분의 흡수 상승을 돕는다.
4.
고온 다습한 시기에 병충해의 발생이 많아지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50.
토양 피복(mulching)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토양내 수분 유지
2.
병해충 발생 방지
3.
미생물 활동 촉진
4.
온도 유지
정답 : [
2
] 정답률 : 60%
51.
일반적인 퇴비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물에 영양분 공급
2.
작물생장 토양의 이화학성 개선
3.
토양 중 생물의 활성 유지 및 증진
4.
속성재배 효과 및 살충 효과
정답 : [
4
] 정답률 : 82%
52.
집약축산에 의한 농업환경오염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메탄가스 발생 오염
2.
토양 생태계 오염
3.
수중 생태계 오염
4.
이산화탄소 발생 오염
정답 : [
4
] 정답률 : 63%
53.
소의 제1종가축전염병으로 법정전염병은?
1.
전염성 위장염
2.
추백리
3.
광견병
4.
구제역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가축전염병 예방법 제2조] 2. “가축전염병”이란 다음의 제1종 가축전염병, 제2종 가축전염병 및 제3종 가축전염병을 말한다. 가. 제1종 가축전염병: 우역(牛疫), 우폐역(牛肺疫), 구제역(口蹄疫), 가성우역(假性牛疫), 블루텅병, 리프트계곡열, 럼피스킨병, 양두(羊痘), 수포성구내염(水疱性口內炎), 아프리카마역(馬疫),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 돼지수포병(水疱病), 뉴캣슬병, 고병원성 조류(鳥類)인플루엔자 및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질병으로서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가축의 전염성 질병 [해설작성자 : ㅇㅇ]
54.
유기축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질의 유기사료 공급
2.
가축의 생리적 욕구 존중
3.
유전공학을 이용한 번식기법 사용
4.
환경과 가축간의 조화로운 관계 발전
정답 : [
3
] 정답률 : 81%
55.
유기농업에서 예방적 잡초제어방법이 아닌 것은?
1.
윤작
2.
동물방목
3.
완숙퇴비 사용
4.
두과작물 재배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3번입니다 완숙퇴비는 잡초 씨앗을 제거하고 토양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예방적 잡초 제어 방법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예방적 잡초 제어 방법에는 윤작, 동물 방목, 두과작물 재배 등이 포함됩니다. [해설작성자 : 꿀멍냥]
56.
여교배육종에 대한 기호 표시로서 옳은 것은?
1.
(A × A) × C
2.
((A × B) × B) × B
3.
(A × B) × C
4.
(A × B) × (C × D)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여교배[ 戾交配 , back cross음성듣기 ] 실용적이 아닌 품종의 단순유전을 하는 유용형질을 실용품종에 옮겨 넣을 목적으로 비실용 품종을 1회친으로 하고 실용품종을 반복친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순환적으로 교배하는 것을 여교배라 하고, 여교배를 통해 얻어진 유용형질이 도입된 우량개체를 선발해서 새 품종으로 고정해가는 육종법을 여교잡육종법이라고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여교배 [戾交配, back cross]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57.
지력이 감퇴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토양의 산성화
2.
토양의 영양 불균형화
3.
특수비료의 과다사용
4.
부식의 시용
정답 : [
4
] 정답률 : 80%
58.
다음의 조건에 맞는 육종법은?
1.
계통분리육종법
2.
순계분리육종법
3.
여교배(잡)육종법
4.
도입육종법
정답 : [
3
] 정답률 : 65%
59.
밭토양의 시비효과 및 비옥도 증진을 위한 두과녹비작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헤어리베치
2.
밭벼
3.
옥수수
4.
수단그라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녹비작물 - 콩과(두과): 자운영, 헤어리베치 등 - 볏과(화본과): 호밀 등 [해설작성자 : 농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