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형성기부터 개화기까지, 특히 생식세포의 감수분열기의 냉온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생식기관이 형성되지 못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2번: 지연형 냉해에 대한 설명이다. 3번: 병해형 냉해에 대한 설명이다. 4번: 장해형 냉해에 대한 설명이다(정답). [해설작성자 : ㅇㅇ]
12.
작물의 재배기술 중 제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초제는 생리작용에 따라 선택성과 비선택성으로 분류한다.
2.
2,4-D(이사디)는 대표적인 비선택성 제초제이다.
3.
제초제는 작용성에 따라 접촉성과 이행성으로 분류한다.
4.
제초제는 잡초의 생리기능을 교란시켜 세포원형질을 파괴 또는 분리시켜 고사하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이사디[ 2,4-D] 요약모노클로로아세트산과 2,4-다이클로로페놀과의 반응으로 합성되는 제초제 농약으로 주성분은 2,4-다이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이다. 무색의 가루 모양 물질로 페놀 냄새가 난다. 녹는점은 140.5℃, 증기압은 0.4mmHg(160℃)이다. 물(25℃)에는 620mg/ℓ 정도 녹으며 알칼리용액이나 알코올·다이에틸에테르에는 녹으나 석유에는 녹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2,4-D에스터를 2,4-P로, 2,4-D아민염을 2,4-D로 고시되어 사용하고 있다. 2,4-D는 페녹시계(系)의 호르몬형 침투이행성 제초제로서 그 사용량에 따라 살초작용과 생장조절제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국에서는 논의 광엽잡초 방제약제로 사용되고 있다. 쥐에 대한 급성경구독성 LD50은 375mg/kg으로서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은 낮다./[네이버 지식백과] 이사디 [2,4-D] (두산백과)
13.
광합성에 조사광량이 높아도 광합성속도가 증대하지 않게 된 것을 뜻하는 것은?
1.
광포화
2.
보상점
3.
진정광합성
4.
외견상광합성
정답 : [
1
] 정답률 : 82%
14.
대기의 조성과 작물의 생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기 중 질소의 함량비는 약 79%이다.
2.
대기 중 산소의 함량비는 약 46%이다.
3.
콩과작물의 근류균은 혐기성세균 이다.
4.
대기의 산소농도가 낮아지면 C3 작물의 광호흡이 커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15.
발아억제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암모니아
2.
질산염
3.
시안화수소
4.
ABA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발아억제물질[ germination inhibitor, 發芽抑制物質 , はつがよくせいぶっじつ ] 발아의 본질적인 과정을 억제하는, 종자에 존재하는 특수한 유기분자의 총칭으로 ABA, phenolic acid 등이 있음. [네이버 지식백과] 발아억제물질 [germination inhibitor, 發芽抑制物質, はつがよくせいぶっじつ]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16.
작물을 재배할 때 도복의 피해 양상이 아닌 것은?
1.
수량감소
2.
품질저하
3.
수발아 방지
4.
수확작업 곤란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도복은 수발아 조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작물의 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가 높아질수록 동화량은 증가한다.
2.
광합성 속도에는 이산화탄소 농도 뿐만 아니라 광의 강도도 관계한다.
3.
광합성은 온도, 광도,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대한다.
4.
광합성에 의한 유기물의 생성속도와 호흡에 의한 유기물의 소모속도가 같아지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산화탄소 보상점이라고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광합성이 온도,광도,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은 맞지만 한계점이 존재해 계속 증대하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농부가 꿈인 산림청직원]
18.
적응된 유전형들이 안정 상태를 유지하려면 적응형 상호간에 유전적 교섭이 생기지 말아야 하는데, 다음 중 생리적 격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해설> 황세균 [ sulfur bacteria, 黃細菌 ] 황을 산화하여 황산을 만들고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산을 고정하는 독립영양세균. 때로는 환원적 환경에서 황을 황화수소로 환원하여 생육하는 세균까지도 포함하여 총칭하기도 한다. 고세균에는 호기적 환경에서 황을 산화하고 혐기적 환경에서는 황화수소를 생성하여 생육하는 세균도 있다. 황세균은 세균을 이용한 금속의 정련, 즉 세균 금속침출에 사용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세균 [sulfur bacteria, 黃細菌]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문제 해설> 토양입자의 입경별 조성(入徑別組成)을 나타내는 것. 국제토양학회법에 의하면, 먼저 흙의 입자를 입경 2mm 이하에서 1/10씩 잘라 입경구분을 하는데, 2~0.02mm를 모래, 0.02~0.002mm를 실트(微砂), 그 이하를 점토(粘土)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에너지를 얻는 수단에 따른 분류에서 타급영양(유기영양) 세균이 아닌 것은?
1.
암모니아화성균
2.
섬유소분해균
3.
근류균
4.
질산화성균
정답 : [
4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타급영양세균[ 他給營養細菌 ] 유기 영양세균이라고도 하며 토양 중 각종 유기물의 변화와 분해를 일으켜 질소를 이용하는 세균을 말하는데 산소의 요구성에 따라 호기성과 혐기성으로 나눌 수 있다. 유기물을 산화해서 에너지를 얻는다./[네이버 지식백과] 타급영양세균 [他給營養細菌]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유수형성기부터 개화기까지, 특히 생식세포의 감수분열기의 냉온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생식기관이 형성되지 못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2번: 지연형 냉해에 대한 설명이다. 3번: 병해형 냉해에 대한 설명이다. 4번: 장해형 냉해에 대한 설명이다(정답). [해설작성자 : ㅇㅇ]
12.
작물의 재배기술 중 제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초제는 생리작용에 따라 선택성과 비선택성으로 분류한다.
2.
2,4-D(이사디)는 대표적인 비선택성 제초제이다.
3.
제초제는 작용성에 따라 접촉성과 이행성으로 분류한다.
4.
제초제는 잡초의 생리기능을 교란시켜 세포원형질을 파괴 또는 분리시켜 고사하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이사디[ 2,4-D] 요약모노클로로아세트산과 2,4-다이클로로페놀과의 반응으로 합성되는 제초제 농약으로 주성분은 2,4-다이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이다. 무색의 가루 모양 물질로 페놀 냄새가 난다. 녹는점은 140.5℃, 증기압은 0.4mmHg(160℃)이다. 물(25℃)에는 620mg/ℓ 정도 녹으며 알칼리용액이나 알코올·다이에틸에테르에는 녹으나 석유에는 녹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2,4-D에스터를 2,4-P로, 2,4-D아민염을 2,4-D로 고시되어 사용하고 있다. 2,4-D는 페녹시계(系)의 호르몬형 침투이행성 제초제로서 그 사용량에 따라 살초작용과 생장조절제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국에서는 논의 광엽잡초 방제약제로 사용되고 있다. 쥐에 대한 급성경구독성 LD50은 375mg/kg으로서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은 낮다./[네이버 지식백과] 이사디 [2,4-D] (두산백과)
13.
광합성에 조사광량이 높아도 광합성속도가 증대하지 않게 된 것을 뜻하는 것은?
1.
광포화
2.
보상점
3.
진정광합성
4.
외견상광합성
정답 : [
1
] 정답률 : 82%
14.
대기의 조성과 작물의 생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기 중 질소의 함량비는 약 79%이다.
2.
대기 중 산소의 함량비는 약 46%이다.
3.
콩과작물의 근류균은 혐기성세균 이다.
4.
대기의 산소농도가 낮아지면 C3 작물의 광호흡이 커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15.
발아억제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암모니아
2.
질산염
3.
시안화수소
4.
ABA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발아억제물질[ germination inhibitor, 發芽抑制物質 , はつがよくせいぶっじつ ] 발아의 본질적인 과정을 억제하는, 종자에 존재하는 특수한 유기분자의 총칭으로 ABA, phenolic acid 등이 있음. [네이버 지식백과] 발아억제물질 [germination inhibitor, 發芽抑制物質, はつがよくせいぶっじつ]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16.
작물을 재배할 때 도복의 피해 양상이 아닌 것은?
1.
수량감소
2.
품질저하
3.
수발아 방지
4.
수확작업 곤란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도복은 수발아 조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작물의 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가 높아질수록 동화량은 증가한다.
2.
광합성 속도에는 이산화탄소 농도 뿐만 아니라 광의 강도도 관계한다.
3.
광합성은 온도, 광도,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대한다.
4.
광합성에 의한 유기물의 생성속도와 호흡에 의한 유기물의 소모속도가 같아지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산화탄소 보상점이라고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광합성이 온도,광도,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은 맞지만 한계점이 존재해 계속 증대하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농부가 꿈인 산림청직원]
18.
적응된 유전형들이 안정 상태를 유지하려면 적응형 상호간에 유전적 교섭이 생기지 말아야 하는데, 다음 중 생리적 격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해설> 황세균 [ sulfur bacteria, 黃細菌 ] 황을 산화하여 황산을 만들고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산을 고정하는 독립영양세균. 때로는 환원적 환경에서 황을 황화수소로 환원하여 생육하는 세균까지도 포함하여 총칭하기도 한다. 고세균에는 호기적 환경에서 황을 산화하고 혐기적 환경에서는 황화수소를 생성하여 생육하는 세균도 있다. 황세균은 세균을 이용한 금속의 정련, 즉 세균 금속침출에 사용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세균 [sulfur bacteria, 黃細菌]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문제 해설> 토양입자의 입경별 조성(入徑別組成)을 나타내는 것. 국제토양학회법에 의하면, 먼저 흙의 입자를 입경 2mm 이하에서 1/10씩 잘라 입경구분을 하는데, 2~0.02mm를 모래, 0.02~0.002mm를 실트(微砂), 그 이하를 점토(粘土)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에너지를 얻는 수단에 따른 분류에서 타급영양(유기영양) 세균이 아닌 것은?
1.
암모니아화성균
2.
섬유소분해균
3.
근류균
4.
질산화성균
정답 : [
4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타급영양세균[ 他給營養細菌 ] 유기 영양세균이라고도 하며 토양 중 각종 유기물의 변화와 분해를 일으켜 질소를 이용하는 세균을 말하는데 산소의 요구성에 따라 호기성과 혐기성으로 나눌 수 있다. 유기물을 산화해서 에너지를 얻는다./[네이버 지식백과] 타급영양세균 [他給營養細菌]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