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신고 반론] 위에 두 분도 공부좀 하셔야 할 듯 건연소가스량도 질소는 계산함. 질소값이 포함 되지 않는 이유는 이론공기량으로 연소한 것이 아닌 이론산소량으로 연소했기 때문임. 공기에는 질소가 포함되어 있어 그거에 해당하는 값을 계산해 주지만 이론산소량으로만 연소하는 경우라면 질소발생 값을 넣지 않아유~ 알고 말~
습증기 엔트로피가 아니라 건도 구하는문제입니다 설명좀 제대로 해주세요 습증기건도 = (습증기 엔트로피-포화수엔트로피)/(포화증기엔트로피-포화수엔트로피) [해설작성자 : 에관기필기기출딸2주가즈아]
22.
스로틀링(throtting)밸브를 이용하여 Joule-Thomson 효과를 보고자 한다.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온도가 반드시 감소하려면 Joule-Thomson 계수 μ는 어떤 값을 가져야 하는가?
1.
μ=0
2.
μ> 0
3.
μ<0
4.
μ≠0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줄 톰슨 효과 : 고압의 기체를 좁은 구멍으로 통과시키면 압력이 낮아지고, 이때 온도도 함께 변한다. 줄 톱슨 계수 : 줄 톰슨 효과가 압력 감소에 따라 온도 변화가 얼마나 일어나는지르 알려주는 값. μ(양수) > 0 : 압력이 감소하면 온도가 감소 μ(음수)< 0 : 압력이 감소하면 온도가 상승 [해설작성자 : 에너지]
23.
이상적인 증기압축식 냉동장치에서 압축기 입구를 1, 응축기 입구를 2, 팽창밸브 입구를 3, 증발기 입구를 4로 나타낼 때 온도(T)-엔트로피(S) 선도(수직축 T, 수평축 S)에서 수직선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1.
1 - 2 과정
2.
2 - 3 과정
3.
3 - 4 과정
4.
4 - 1 과정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2 : 압축기의 압축과정 - 압축 시 온도가 수직상승 2-3 : 응충기의 응축과정 3-4 : 팽창밸브의 팽창과정 4-1 : 증발기의 증발과정 [해설작성자 : 에너지]
24.
이상기체로 구성된 밀폐계의 변화과정을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 (단, δq는 계로 들어온 순열량, dh는 엔탈피 변화량, δw는 계가 한 순일, du는 내부에너지의 변화량, ds는 엔트로피 변화량을 나타낸다.
1.
등온과정에서 δq=δw
2.
단열과정에서 δq=0
3.
정압과정에서 δq=ds
4.
정적과정에서 δq=du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정압 dq=dh 엔탈피변화량과 같다 [해설작성자 : 장롱]
정적과정 : δq = du + p x δv {압력이 증가하지만 부피가 일정하면(δv = 0), 일을 하지 않으므로[w(p x δv) = 0]} -> δq = du (열을 받으면 온도가 높아지므로 내부에너지가 열을 받은만큼 증가) 정압과정 : δq = du + p x δv (압력이 일정하고(p = 0) 부피가 증가하면, 일을 하므로) -> δq = du + δw (열을 받으면 온도가 높아지므로 내부에너지가 열을 받은만큼 증가, 부피가 증가하면 일을 함) 등온과정 : δq = du + p x δv [열을 받지만 온도가 일정하면(δT = 0), 내부에너지는 변하지 않으므로(du = 0)] -> δq = δw [부피가 증가하면 일을 함(w = p x δv)] 단열과정 : δq = du + p x δv [열의 출입이 없는 상태에서(δq = 0) 내부에너지를 소모하여(- du) 일을 함] -> δw = - du [해설작성자 : 에너지]
25.
공기의 기체상수가 0.287 kJ(kgㆍK)일 때 표준상태(0 ℃, 1기압)에서 밀도는 약 몇 kg/m3인가?
1.
1.29
2.
1.87
3.
2.14
4.
2.48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표준상태 공기 1kmol = 22.4m^3 = 29kg 따라서 밀도 = 29/22.4 = 1.29kg/m^3 [해설작성자 : ㅉㅎ]
26.
랭킨(Rankine) 사이클에서 재열을 사용하는 목적은?
1.
응축기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2.
터빈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3.
보일러 압력을 낮추기 위해서
4.
열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습증기의 습도를 감소하기 위하여 팽창 도중의 증기를 터빈으로부터 뽑아내어 다시 가열시켜 과열도를 높이면 사이클의 이론적 열효율이 증가하며 날개의 부식을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밀도차]
랭킨사이클에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재열을 함.(재열 : 보일러를 다시 가열) -> 터빈에서 나오는 증기를 다시 가열.(온도가 높아지면 압력이 증가) [해설작성자 : 에너지]
27.
불꽃 점화 기관의 기본 사이클인 오토사이클에서 압축비가 10이고, 기체의 비열비는 1.4일 때 이 사이클의 효율은 약 몇 %인가?
110kPa, 20℃의 공기가 정압과정으로 온도가 50℃만큼 상승한 다음(즉 70℃가 됨), 등온과정으로 압력이 반으로 줄어들었다. 최종 비체적은 최초 비체적의 약 몇 배인가?
1.
0.585
2.
1.17
3.
1.71
4.
2.34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공기니까 이상기체로 가정하고 PV=mRT 에서 비체적=>V/m=RT/P 최종 비체적/최초 비체적 을 넣고 구하면 4번 [해설작성자 : 에관기 공부 첫날]
29.
초기조건이 100kPa, 60℃인 공기를 정적과정을 통해 가열한 후 정압에서 냉각과정을 통하여 500kPa, 60℃로 냉각할 때 이 과정에서 전체 열량의 변화는 약 몇 kJ/kmol 인가? (단, 정적비열은 20kJ/(kmolㆍK), 정압비열은 28kJ/(kmolㆍK)이며,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1.
-964
2.
-1964
3.
-10656
4.
-20656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초기조건에서 가열한 상태의 공기는 온도는 모르지만 정적과정으로 압력이 500Kpa이 된것은 알수 있다 (T2/T1)=(P2/P1) 을 이용하여 가열후 온도를 구하면 1665K T1, T2, T3 를 구했음으로 정적과정에서 열량변화 Q=U+W에서 W=0이므로 Q=U=CV(T2-T1) = 26640 정압과정에서 열량변화 Q=(U+W+WT)-WT=H=CP(T3-T2)=-37296 최정 열량변화는 둘을 더하면 -10656 [해설작성자 : 에관기 공부 첫날]
30.
최저 온도, 압축비 및 공급 열량이 같을 경우 사이클의 효율이 큰 것부터 작은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오토사이클>디젤사이클>사바테사이클
2.
사바테사이클>오토사이클>디젤사이클
3.
디젤사이클>오토사이클>사바테사이클
4.
오토사이클>사바테사이클>디젤사이클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오토사이클 : 정적사이클, 일정한 체적 하에서 연소하는 사이클. 가솔린 기관에 이용 디젤사이클 : 정압사이클, 일정한 압력 하에서 연소하는 사이클. 저/중속 디젤 기관에 이용 사바테사이클 : 복합사이클, 일정한 압력 및 체적하에서 연소하는 사이클. 고속 디젤 기관에 이용
오토사이클의 정적 연소 방식은 동일 압축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열효율을 갖고 있음. 이상적인 사이클은 압축착화방식을 취하면서 오토사이클로 작동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에너지]
31.
냉매가 구비해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1.
증발열이 클 것
2.
비체적이 작을 것
3.
임계온도가 높을 것
4.
비열비(정압비열/정적비열)가 클 것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냉매는 증발열이 크고, 비체적은 작아야 하고 임계온도가 높아야 함. 비열비는 작아야 함. [해설작성자 : KGW]
1. 증발잠열이 크면 냉매가 증발될 때 흡수하는 열량이 많아지므로 적은 양의 냉매로 높은 냉동 효과를 얻음. 2. 비체적이 작을수록 압축기의 피스톤 토출량이 적어도 되므로 압축기를 소형화함 3. 임계온도는 물질이 액화될 수 있는 가장 높은 온도.임계온도를 지나면 분자 운동이 활발해서 아무리 압력을 가해도 액화되지 않음. 냉매의 임계온도가 충분히 높아야 냉매가스를 쉽게 응축함. [해설작성자 : 에너지]
4. 기체의 비열비가 작으면 압축하여도 가스의 온도 상승이 적어 압축비를 크게 할 수 있음. 비열비(정압비열/정적비열)에서 정적비열이 크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많이 축적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열량 중 많은 부분을 내부에너지 증가에 사용할 수 있음. 따라서 비열비가 작다는 것은 열량을 내부에너지 증가에 사용하는 것이고, 비열비가 크다는 것은 기체의 온도상승이 커져서 하는 일이 많다는 것임. [해설작성자 : 에너지]
32.
보일러로부터 압력 1MPa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건도가 0.95일 때 이 수증기 1kg당 엔탈피는 약 몇 kcal인가? (단, 1MPa에서 포화액의 비엔탈피는 181.2kcal/kg, 포화증기의 엔탈피는 662.9kcal/kg이다.)
단일성분의 물질이 기상, 액상, 고상 중 임의의 2상이 공존할 때 상태의 자유도는 1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P+F=C+2 여기서, P:공존상의 수 F:자유도 C:계가 구성하는 독립적인 화학물질의 수
깁스의 상의 규칙:1878년 평형조건을 사용해서 J.W.Gibbs에 의해 유도된 규칙. 계에서 공존상 P의 수는 다음처럼 주어진다.(P+F=C+2) [해설작성자 : 같은비증]
⑴깁스의 상률 - 상(Phase) : 동일한 계 내에서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 균일한 부분 →여기서 동일한 성질이란 화학적 성질(자성 등)이나 결정구조(동소체 등)이 같은 것을 의미한다 ex)H, O, C, N 모두 다른 상 / Water, Ice, Steem 모두 H2O의 상(같은 상) - 성분(Component) : 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 ex)Cu-Ni계 = 성분 2분 물+기름 : 2성분계 2상 물+알코올 : 2성분계 1상(물과 알코올은 완전히 섞여 동일한 성질을 띠는 균일한 부분 형성) - 상평형 : 하나 이상의 상이 존재하는 계의 평형 - 상률 : (평형상태인 닫힌계에서의)상의 법칙 ①자유도(defree of freedo) : 평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변수의 수 *평형상태를 유지한다는 것 = 상의 수가 변하지 않도록, 즉 존재하던 상이 없어지거나 새로운 상이 생기지 않게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세기 변수의 수 *모든 물체는 평형 상태를 도달달하려고 함(같은 열,위치에너지⇒같은 원자 조성, 등온이 되려) ③깁스의 상률 : 물질에 여러개의 상이 있을 때, 상들 사이의 열적 평형 관계를 설명하는 것 F=C-P+2 여기서 F=자유도, C는 성분의 수, P는 상의 수, 2는 평형을 좌우시키는 요인, 변수(온도와 압력) [해설작성자 : 에너지]
34.
열역학 제2법칙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100%의 열효율을 갖는 열기관은 존재할 수 없다.
2.
단일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사이클 과정을 통해 모두 일로 변화시킬수 있는 열기관이 존재할 수 있다.
3.
열은 저온부로부터 고온부로 자연적으로 전달되지는 않는다.
4.
고립계에서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게 보존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2. 열기관이 고열원에서 흡수한 열 중에서 일부는 반드시 저열원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열기관의 열효율은 100%가 될 수 없다. 고열원에서 받은 열을 모두 일로 바꾸고,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열기관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4. 고립계에서 총 엔트로피의 변화는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며 절대로 감소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35.
1MPa, 400℃인 큰 용기 속의 공기가 노즐을 통하여 100KPa까지 등엔트로피 팽창을 한다. 출구속도는 약 몇 m/s인가? (단, 비열비는 1.4이고, 정압비열은 1.0kJ/(kgㆍK)이며, 노즐 입구에서의 속도는 무시한다.)
1.
569
2.
805
3.
910
4.
1107
정답 : [
2
] 정답률 : 40%
36.
온도가 400℃인 열원과 300℃인 열원 사이에서 작동하는 카르노 열기관이 있다. 이 열기관에서 방출되는 300℃의 열은 또 다른 카르노 열기관으로 공급되어, 300℃의 열원과 100℃의 열원 사이에서 작동한다. 이와 같은 복합 카르노 열기관의 전체 효율은 약 몇 % 인가?
1.
44.57%
2.
59.43%
3.
74.29%
4.
29.72%
정답 : [
1
] 정답률 : 44%
37.
온도가 각각 -20℃, 30℃인 두 열원 사이에서 작동하는 냉동사이클이 이상적인 역카르노사이클을 이루고 있다. 냉동기에 공급된 일이 15KW이면 냉동용량(냉각열량)은 약 몇 kW인가?
<문제 해설> IC : 철-콘스탄탄 , CC : 구리-콘스탄탄 , CA : 크로멜-알루멜 , PR : 백금-로듐 [해설작성자 : 에너지]
44.
2000℃까지 고온 측정이 가능한 온도계는?
1.
방사 온도계
2.
백금저항 온도계
3.
바이메탈 온도계
4.
Pt-Rh 열전식 온도계
정답 : [
1
] 정답률 : 75%
45.
다음 그림과 같은 경사관식 압력계에서 P2는 50kg/m2일 때 측정압력 P1은 약 몇 kg/m2인가? (단, 액체의 비중은 1이다.)
1.
130
2.
180
3.
320
4.
530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P1=50+(1000 x 0.5 x sin15)=179.409 => 180 [해설작성자 : matroosCH]
46.
SI 기본단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시간-분
2.
질량-그램
3.
길이-밀리미터
4.
전류-암페어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외우면 좋은 바른 표현 시간-초 질량-킬로그램 길이-미터 [해설작성자 : 딱한번만더푼다]
47.
전자유량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응답이 빠른 편이다.
2.
압력손실이 거의 없다.
3.
높은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모든 액체의 유량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전자유량계 ■ 도전성 액체에서 전자유도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순간유량을 측정.
측정원리 : 패러데이 법칙 (전자유도법칙)
1. 도전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순간유량을 측정. 2. 측정관 내에 장애물이 없으며 압력손실이 거의 없다. 3. 액체의 온도, 압력, 밀도, 점도의 영향이 적으며 체적유량의 측정이 가능하다. 4. 유량계의 출력이 유량에 비례하며 응답이 매우 빠르다. 5. 관 내에 적절한 라이닝 재질을 선정하면 슬러리나 부식성의 액체의 측정이 용이하다. 6. 가격이 고가이다. ----------------------------------------------------------------------- ▶ 전자유량계는 전자유도법칙을 이용하여 측정하므로, 도전성 액체가 아니면 측정이 불가하다. ※도전성(=전기전도성) : 전기가 잘 흐르는 정도를 말함. [해설작성자 : 화이팅]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 흡수 = 수산화칼륨 KOH 30% 용액 탄화수소 = 발연황산 산소 = 알칼리성 피로갈롤 용액 CO = 암모니아성 염화구리 용액 CH4 = 연소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정량화 질소 = 3,76 * 산소로 계산 [해설작성자 : 승현님.]
57.
차압식 유량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벤투리
2.
오리피스
3.
터빈유량계
4.
플로우 노즐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터빈유량계 원통상의 유로속에 로터(회전날개)를 설치, 이것에 유체가 흐르면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에 비례한 회전속도로 로터가 회전한다. 이 로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유량을 구하는 원리 [해설작성자 : 합격했다]
58.
단열식 열량계로 석탄 1.5g을 연소시켰더니 온도가 4℃ 상승하였다. 통내의 유량이 2000g, 열량계의 물당량이 500g 일 때 이 석탄의 발열량은 약 몇 J/g인가? (단, 물의 비열은 4.19J/gㆍK이다.)
1.
2.23×104
2.
2.79×104
3.
4.19×104
4.
6.98×104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000+500) X 4.19 X 4 / 1.5g = 27933 = 2.79 * 10^4 [해설작성자 : 승현님.]
59.
2원자분자를 제외한 CO2, CO, CH4등의 가스를 분석할 수 있으며, 선택성이 우수하고 저농도 분석에 적합한 가스 분석법은?
1.
적외선법
2.
음향법
3.
열전도율법
4.
도전율법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적외선법은 수소,산소,질소,염소 등 2원자 분자는 적외선을 흡수하지 않으므로 분석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열빛전]
질소, 산소와 같은 대칭형 2원자 분자를 제외하고, 모든 가스는 적외부에 그 가스 고유의 흡수를 가지기 때문에 이 현상을 이용한다. 선택성 검출기를 이용하여 시중의 특정 성분에 의한 적외선의 흡수량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 중에 들어있는 특정 성분의 농도를 구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에너지]
60.
국제단위계(SI)에서 길이단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본단위이다.
2.
기호는 K이다.
3.
명칭은 미터이다.
4.
빛이 진공에서 1/299792458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SI 단위계에서 길이의 단위는 m이다. 온도(K) 질량(kg) 전류(A) 물질량(mg) 광도(cd) [해설작성자 : 냉씨]
61.
샤모트(chamotte) 벽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가공률이 크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연화되며 내스폴링성이 좋다.
2.
흑연질 등을 사용하며 내화도와 하중연화점이 높고 열 및 전기전도도가 크다.
3.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크며 내화도는 SK 35 이상으로 주로 고온부에 사용된다.
4.
하중 연화점이 높고 가소성이 커 염기성 제강로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샤모트 벽돌은 샤모트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내화 벽돌로 1,600~1,700℃ 정도의 내화도를 가지며 축로재로 널리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건환산회]
기공률이 크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연화되며 내스폴링이 좋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62.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최대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
1.
검사대상기기조종자를 정당한 사유 없이 선임하지 아니한 자
2.
검사대상기기의 검사를 정당한 사유없이 받지 아니한 자
3.
검사에 불합격한 검사대상기기를 임의로 사용한 자
4.
최저소비효율기준에 미달된 효율관리기자재를 생산한 자
정답 : [
4
] 정답률 : 69%
63.
배관설비의 지지를 위한 필요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도의 변화에 따른 배관신축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2.
배관 시공 시 필요한 배관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3.
배관설비의 진동과 소음을 외부로 쉽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4.
수격현상 및 외부로부터 진동과 힘에 대하여 견고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소음진동 외부전달x [해설작성자 : 장롱]
64.
길이 7m, 외경 200mm, 내경 190mm의 탄소강관에 360℃ 과열증기를 통과시키면 이 때 늘어나는 관의 길이는 몇 mm인가? (단, 주위온도는 20℃이고, 관의 선팽창계수는 0.000013 mm/mmㆍ℃이다.)
1.
21.15
2.
25.71
3.
30.94
4.
36.48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늘어난 길이 = aL△T = 0.000013 x 7000 x 340 = 30.94 mm [해설작성자 : 잠실여신]
65.
에너지이용 합리와법에 따라 에너지사용계획을 수립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민간사업주관자의 기준은?
1.
연간 5백만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
2.
연간 1천만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
3.
연간 1천 5백만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
4.
연간 2천만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
정답 : [
4
] 정답률 : 77%
66.
관의 신축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축량은 관의 열팽창계수, 길이, 온도차에 반비례한다.
2.
신축량은 관의 열팽창계수, 길이, 온도차에 비례한다.
3.
신축량은 관의 길이, 온도차에는 비례하지만, 열팽창계수에는 반비례한다.
4.
신축량은 관의 열팽창계수에 비례하고 온도차와 길이에 반비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열팽창계수는 어떤 재료의 온도가 1℃ 변했을 때 단위길이 당 길이가 얼마나 변했는지 나타낸 값. [해설작성자 : 에너지]
67.
에너지이용 합리와법에 따라 인정검사대상기기 조종자의 교육을 이수한 자가 조종할 수 없는 것은?
1.
압력 용기
2.
용량이 581.5킬로와트인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3.
용량이 700 킬로와트의 온수발생 보일러
4.
최고사용압력이 1MPa 이하이고, 전열면적이 10 제곱미터 이하인 증기보일러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보일러는 무조건 581.5 킬로와트 이내입니다. [해설작성자 : 승현님.]
인정검사대상기기관리자의 교육을 이수한 자 1. 증기보일러로서 최고사용압력이 1㎫ 이하이고, 전열면적이 10 제곱미터 이하인 것 2. 온수발생 및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로서 용량이 581.5킬로와트 이하인 것 3. 압력용기 [해설작성자 : 에너지]
68.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의 “목표에너지원단위”란?
1.
열사용기기당 단위시간에 사용할 열의 사용목표량
2.
각 회사마다 단위기간 동안 사용할 열의 사용목표량
3.
에너지를 사용하여 만드는 제품의 단위당 에너지사용목표량
4.
보일러에서 증기 1톤을 발생할 때 사용할 연료의 사용목표량
정답 : [
3
] 정답률 : 80%
69.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의 효율관리기자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기철도
2.
삼상유도전동기
3.
전기세탁기
4.
자동차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삼상유도전동기 전기세탁기 자동차 전기냉장고 전기냉방기 조명기기 그밖에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그 효율의 향상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기자재 및 설비 [해설작성자 : 박진호]
<문제 해설> 주철제 보일러, 금소둔로, 2종 압력용기 - 2번 주금 (쉽게외우자) [해설작성자 : 인종 롯데몰]
81.
급수에서 ppm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 1mL 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g으로 표시한 것
2.
물 100mL 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mg으로 표시한 것
3.
물 1000mL 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g으로 표시한 것
4.
물 1000mL 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mg으로 표시한 것
정답 : [
4
] 정답률 : 81%
82.
그림과 같이 가로×세로×높이가 3×1.5×0.03m 인 탄소 강판이 놓여 있다. 열전도계(K)가 43W/mㆍK이며, 표면온도는 20℃였다. 이 때 탄소강판 아래 면에 열유속(q“=q/A) 600kcal/m2ㆍh을 가할 경우, 탄소강판에 대한 표면온도 상승[△T(℃)]은?
1.
0.243℃
2.
0.264℃
3.
0.486℃
4.
1.973℃
정답 : [
3
] 정답률 : 40%
83.
금속판을 전열체로 하여 유체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열팽창에 대한 염려가 없고 플랜지이음으로 되어 있어 내부수리가 용이한 열교환기 형식은?
<문제 해설> 저온부식은 황 성분을 필두로해서 부식됩니다. 황을 더 넣으면 안되겠죠. 반대로 고온부식은 바나듐 성분으로 인하여 부식됩니다. [해설작성자 : 승현님.]
연료 중의 유황분이 연소에 의해 산화하여 아황산 가스(SO2)로 되고, 그 일부가 다시 산화하여 무수황산(SO3)으로 된다. 이 SO3의 노점(露点)은 150℃ 이하인데, 전열면에서는 자칫하면 150℃ 이하로 되기 쉬우며 이 저온부에서 SO3가 연소 가스 속의 수증기(H2O)와 화합, 응축하여 황산(H2SO4)을 생성하고, 저온 전열면에 부착하여 이 부분을 부식시키는 현상. 연돌로부터 배출하는 연소 배기 가스 온도를 200℃ 이상으로 하고, SO3의 노점 보다 높게하여 SO3가 수증기와 화합하여 황산으로 되지 않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88.
보일러 송풍장치의 회전수 변환을 통한 급기풍량 제어를 위하여 2극 유도전동기에 인버터를 설치하였다. 주파수가 55Hz일 대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오류신고 반론] 위에 두 분도 공부좀 하셔야 할 듯 건연소가스량도 질소는 계산함. 질소값이 포함 되지 않는 이유는 이론공기량으로 연소한 것이 아닌 이론산소량으로 연소했기 때문임. 공기에는 질소가 포함되어 있어 그거에 해당하는 값을 계산해 주지만 이론산소량으로만 연소하는 경우라면 질소발생 값을 넣지 않아유~ 알고 말~
습증기 엔트로피가 아니라 건도 구하는문제입니다 설명좀 제대로 해주세요 습증기건도 = (습증기 엔트로피-포화수엔트로피)/(포화증기엔트로피-포화수엔트로피) [해설작성자 : 에관기필기기출딸2주가즈아]
22.
스로틀링(throtting)밸브를 이용하여 Joule-Thomson 효과를 보고자 한다.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온도가 반드시 감소하려면 Joule-Thomson 계수 μ는 어떤 값을 가져야 하는가?
1.
μ=0
2.
μ> 0
3.
μ<0
4.
μ≠0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줄 톰슨 효과 : 고압의 기체를 좁은 구멍으로 통과시키면 압력이 낮아지고, 이때 온도도 함께 변한다. 줄 톱슨 계수 : 줄 톰슨 효과가 압력 감소에 따라 온도 변화가 얼마나 일어나는지르 알려주는 값. μ(양수) > 0 : 압력이 감소하면 온도가 감소 μ(음수)< 0 : 압력이 감소하면 온도가 상승 [해설작성자 : 에너지]
23.
이상적인 증기압축식 냉동장치에서 압축기 입구를 1, 응축기 입구를 2, 팽창밸브 입구를 3, 증발기 입구를 4로 나타낼 때 온도(T)-엔트로피(S) 선도(수직축 T, 수평축 S)에서 수직선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1.
1 - 2 과정
2.
2 - 3 과정
3.
3 - 4 과정
4.
4 - 1 과정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2 : 압축기의 압축과정 - 압축 시 온도가 수직상승 2-3 : 응충기의 응축과정 3-4 : 팽창밸브의 팽창과정 4-1 : 증발기의 증발과정 [해설작성자 : 에너지]
24.
이상기체로 구성된 밀폐계의 변화과정을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 (단, δq는 계로 들어온 순열량, dh는 엔탈피 변화량, δw는 계가 한 순일, du는 내부에너지의 변화량, ds는 엔트로피 변화량을 나타낸다.
1.
등온과정에서 δq=δw
2.
단열과정에서 δq=0
3.
정압과정에서 δq=ds
4.
정적과정에서 δq=du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정압 dq=dh 엔탈피변화량과 같다 [해설작성자 : 장롱]
정적과정 : δq = du + p x δv {압력이 증가하지만 부피가 일정하면(δv = 0), 일을 하지 않으므로[w(p x δv) = 0]} -> δq = du (열을 받으면 온도가 높아지므로 내부에너지가 열을 받은만큼 증가) 정압과정 : δq = du + p x δv (압력이 일정하고(p = 0) 부피가 증가하면, 일을 하므로) -> δq = du + δw (열을 받으면 온도가 높아지므로 내부에너지가 열을 받은만큼 증가, 부피가 증가하면 일을 함) 등온과정 : δq = du + p x δv [열을 받지만 온도가 일정하면(δT = 0), 내부에너지는 변하지 않으므로(du = 0)] -> δq = δw [부피가 증가하면 일을 함(w = p x δv)] 단열과정 : δq = du + p x δv [열의 출입이 없는 상태에서(δq = 0) 내부에너지를 소모하여(- du) 일을 함] -> δw = - du [해설작성자 : 에너지]
25.
공기의 기체상수가 0.287 kJ(kgㆍK)일 때 표준상태(0 ℃, 1기압)에서 밀도는 약 몇 kg/m3인가?
1.
1.29
2.
1.87
3.
2.14
4.
2.48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표준상태 공기 1kmol = 22.4m^3 = 29kg 따라서 밀도 = 29/22.4 = 1.29kg/m^3 [해설작성자 : ㅉㅎ]
26.
랭킨(Rankine) 사이클에서 재열을 사용하는 목적은?
1.
응축기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2.
터빈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3.
보일러 압력을 낮추기 위해서
4.
열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습증기의 습도를 감소하기 위하여 팽창 도중의 증기를 터빈으로부터 뽑아내어 다시 가열시켜 과열도를 높이면 사이클의 이론적 열효율이 증가하며 날개의 부식을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밀도차]
랭킨사이클에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재열을 함.(재열 : 보일러를 다시 가열) -> 터빈에서 나오는 증기를 다시 가열.(온도가 높아지면 압력이 증가) [해설작성자 : 에너지]
27.
불꽃 점화 기관의 기본 사이클인 오토사이클에서 압축비가 10이고, 기체의 비열비는 1.4일 때 이 사이클의 효율은 약 몇 %인가?
110kPa, 20℃의 공기가 정압과정으로 온도가 50℃만큼 상승한 다음(즉 70℃가 됨), 등온과정으로 압력이 반으로 줄어들었다. 최종 비체적은 최초 비체적의 약 몇 배인가?
1.
0.585
2.
1.17
3.
1.71
4.
2.34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공기니까 이상기체로 가정하고 PV=mRT 에서 비체적=>V/m=RT/P 최종 비체적/최초 비체적 을 넣고 구하면 4번 [해설작성자 : 에관기 공부 첫날]
29.
초기조건이 100kPa, 60℃인 공기를 정적과정을 통해 가열한 후 정압에서 냉각과정을 통하여 500kPa, 60℃로 냉각할 때 이 과정에서 전체 열량의 변화는 약 몇 kJ/kmol 인가? (단, 정적비열은 20kJ/(kmolㆍK), 정압비열은 28kJ/(kmolㆍK)이며,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1.
-964
2.
-1964
3.
-10656
4.
-20656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초기조건에서 가열한 상태의 공기는 온도는 모르지만 정적과정으로 압력이 500Kpa이 된것은 알수 있다 (T2/T1)=(P2/P1) 을 이용하여 가열후 온도를 구하면 1665K T1, T2, T3 를 구했음으로 정적과정에서 열량변화 Q=U+W에서 W=0이므로 Q=U=CV(T2-T1) = 26640 정압과정에서 열량변화 Q=(U+W+WT)-WT=H=CP(T3-T2)=-37296 최정 열량변화는 둘을 더하면 -10656 [해설작성자 : 에관기 공부 첫날]
30.
최저 온도, 압축비 및 공급 열량이 같을 경우 사이클의 효율이 큰 것부터 작은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오토사이클>디젤사이클>사바테사이클
2.
사바테사이클>오토사이클>디젤사이클
3.
디젤사이클>오토사이클>사바테사이클
4.
오토사이클>사바테사이클>디젤사이클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오토사이클 : 정적사이클, 일정한 체적 하에서 연소하는 사이클. 가솔린 기관에 이용 디젤사이클 : 정압사이클, 일정한 압력 하에서 연소하는 사이클. 저/중속 디젤 기관에 이용 사바테사이클 : 복합사이클, 일정한 압력 및 체적하에서 연소하는 사이클. 고속 디젤 기관에 이용
오토사이클의 정적 연소 방식은 동일 압축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열효율을 갖고 있음. 이상적인 사이클은 압축착화방식을 취하면서 오토사이클로 작동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에너지]
31.
냉매가 구비해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1.
증발열이 클 것
2.
비체적이 작을 것
3.
임계온도가 높을 것
4.
비열비(정압비열/정적비열)가 클 것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냉매는 증발열이 크고, 비체적은 작아야 하고 임계온도가 높아야 함. 비열비는 작아야 함. [해설작성자 : KGW]
1. 증발잠열이 크면 냉매가 증발될 때 흡수하는 열량이 많아지므로 적은 양의 냉매로 높은 냉동 효과를 얻음. 2. 비체적이 작을수록 압축기의 피스톤 토출량이 적어도 되므로 압축기를 소형화함 3. 임계온도는 물질이 액화될 수 있는 가장 높은 온도.임계온도를 지나면 분자 운동이 활발해서 아무리 압력을 가해도 액화되지 않음. 냉매의 임계온도가 충분히 높아야 냉매가스를 쉽게 응축함. [해설작성자 : 에너지]
4. 기체의 비열비가 작으면 압축하여도 가스의 온도 상승이 적어 압축비를 크게 할 수 있음. 비열비(정압비열/정적비열)에서 정적비열이 크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많이 축적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열량 중 많은 부분을 내부에너지 증가에 사용할 수 있음. 따라서 비열비가 작다는 것은 열량을 내부에너지 증가에 사용하는 것이고, 비열비가 크다는 것은 기체의 온도상승이 커져서 하는 일이 많다는 것임. [해설작성자 : 에너지]
32.
보일러로부터 압력 1MPa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건도가 0.95일 때 이 수증기 1kg당 엔탈피는 약 몇 kcal인가? (단, 1MPa에서 포화액의 비엔탈피는 181.2kcal/kg, 포화증기의 엔탈피는 662.9kcal/kg이다.)
단일성분의 물질이 기상, 액상, 고상 중 임의의 2상이 공존할 때 상태의 자유도는 1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P+F=C+2 여기서, P:공존상의 수 F:자유도 C:계가 구성하는 독립적인 화학물질의 수
깁스의 상의 규칙:1878년 평형조건을 사용해서 J.W.Gibbs에 의해 유도된 규칙. 계에서 공존상 P의 수는 다음처럼 주어진다.(P+F=C+2) [해설작성자 : 같은비증]
⑴깁스의 상률 - 상(Phase) : 동일한 계 내에서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 균일한 부분 →여기서 동일한 성질이란 화학적 성질(자성 등)이나 결정구조(동소체 등)이 같은 것을 의미한다 ex)H, O, C, N 모두 다른 상 / Water, Ice, Steem 모두 H2O의 상(같은 상) - 성분(Component) : 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 ex)Cu-Ni계 = 성분 2분 물+기름 : 2성분계 2상 물+알코올 : 2성분계 1상(물과 알코올은 완전히 섞여 동일한 성질을 띠는 균일한 부분 형성) - 상평형 : 하나 이상의 상이 존재하는 계의 평형 - 상률 : (평형상태인 닫힌계에서의)상의 법칙 ①자유도(defree of freedo) : 평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변수의 수 *평형상태를 유지한다는 것 = 상의 수가 변하지 않도록, 즉 존재하던 상이 없어지거나 새로운 상이 생기지 않게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세기 변수의 수 *모든 물체는 평형 상태를 도달달하려고 함(같은 열,위치에너지⇒같은 원자 조성, 등온이 되려) ③깁스의 상률 : 물질에 여러개의 상이 있을 때, 상들 사이의 열적 평형 관계를 설명하는 것 F=C-P+2 여기서 F=자유도, C는 성분의 수, P는 상의 수, 2는 평형을 좌우시키는 요인, 변수(온도와 압력) [해설작성자 : 에너지]
34.
열역학 제2법칙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100%의 열효율을 갖는 열기관은 존재할 수 없다.
2.
단일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사이클 과정을 통해 모두 일로 변화시킬수 있는 열기관이 존재할 수 있다.
3.
열은 저온부로부터 고온부로 자연적으로 전달되지는 않는다.
4.
고립계에서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게 보존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2. 열기관이 고열원에서 흡수한 열 중에서 일부는 반드시 저열원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열기관의 열효율은 100%가 될 수 없다. 고열원에서 받은 열을 모두 일로 바꾸고,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열기관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4. 고립계에서 총 엔트로피의 변화는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며 절대로 감소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35.
1MPa, 400℃인 큰 용기 속의 공기가 노즐을 통하여 100KPa까지 등엔트로피 팽창을 한다. 출구속도는 약 몇 m/s인가? (단, 비열비는 1.4이고, 정압비열은 1.0kJ/(kgㆍK)이며, 노즐 입구에서의 속도는 무시한다.)
1.
569
2.
805
3.
910
4.
1107
정답 : [
2
] 정답률 : 40%
36.
온도가 400℃인 열원과 300℃인 열원 사이에서 작동하는 카르노 열기관이 있다. 이 열기관에서 방출되는 300℃의 열은 또 다른 카르노 열기관으로 공급되어, 300℃의 열원과 100℃의 열원 사이에서 작동한다. 이와 같은 복합 카르노 열기관의 전체 효율은 약 몇 % 인가?
1.
44.57%
2.
59.43%
3.
74.29%
4.
29.72%
정답 : [
1
] 정답률 : 44%
37.
온도가 각각 -20℃, 30℃인 두 열원 사이에서 작동하는 냉동사이클이 이상적인 역카르노사이클을 이루고 있다. 냉동기에 공급된 일이 15KW이면 냉동용량(냉각열량)은 약 몇 kW인가?
<문제 해설> IC : 철-콘스탄탄 , CC : 구리-콘스탄탄 , CA : 크로멜-알루멜 , PR : 백금-로듐 [해설작성자 : 에너지]
44.
2000℃까지 고온 측정이 가능한 온도계는?
1.
방사 온도계
2.
백금저항 온도계
3.
바이메탈 온도계
4.
Pt-Rh 열전식 온도계
정답 : [
1
] 정답률 : 75%
45.
다음 그림과 같은 경사관식 압력계에서 P2는 50kg/m2일 때 측정압력 P1은 약 몇 kg/m2인가? (단, 액체의 비중은 1이다.)
1.
130
2.
180
3.
320
4.
530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P1=50+(1000 x 0.5 x sin15)=179.409 => 180 [해설작성자 : matroosCH]
46.
SI 기본단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시간-분
2.
질량-그램
3.
길이-밀리미터
4.
전류-암페어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외우면 좋은 바른 표현 시간-초 질량-킬로그램 길이-미터 [해설작성자 : 딱한번만더푼다]
47.
전자유량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응답이 빠른 편이다.
2.
압력손실이 거의 없다.
3.
높은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모든 액체의 유량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전자유량계 ■ 도전성 액체에서 전자유도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순간유량을 측정.
측정원리 : 패러데이 법칙 (전자유도법칙)
1. 도전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순간유량을 측정. 2. 측정관 내에 장애물이 없으며 압력손실이 거의 없다. 3. 액체의 온도, 압력, 밀도, 점도의 영향이 적으며 체적유량의 측정이 가능하다. 4. 유량계의 출력이 유량에 비례하며 응답이 매우 빠르다. 5. 관 내에 적절한 라이닝 재질을 선정하면 슬러리나 부식성의 액체의 측정이 용이하다. 6. 가격이 고가이다. ----------------------------------------------------------------------- ▶ 전자유량계는 전자유도법칙을 이용하여 측정하므로, 도전성 액체가 아니면 측정이 불가하다. ※도전성(=전기전도성) : 전기가 잘 흐르는 정도를 말함. [해설작성자 : 화이팅]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 흡수 = 수산화칼륨 KOH 30% 용액 탄화수소 = 발연황산 산소 = 알칼리성 피로갈롤 용액 CO = 암모니아성 염화구리 용액 CH4 = 연소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정량화 질소 = 3,76 * 산소로 계산 [해설작성자 : 승현님.]
57.
차압식 유량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벤투리
2.
오리피스
3.
터빈유량계
4.
플로우 노즐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터빈유량계 원통상의 유로속에 로터(회전날개)를 설치, 이것에 유체가 흐르면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에 비례한 회전속도로 로터가 회전한다. 이 로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유량을 구하는 원리 [해설작성자 : 합격했다]
58.
단열식 열량계로 석탄 1.5g을 연소시켰더니 온도가 4℃ 상승하였다. 통내의 유량이 2000g, 열량계의 물당량이 500g 일 때 이 석탄의 발열량은 약 몇 J/g인가? (단, 물의 비열은 4.19J/gㆍK이다.)
1.
2.23×104
2.
2.79×104
3.
4.19×104
4.
6.98×104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000+500) X 4.19 X 4 / 1.5g = 27933 = 2.79 * 10^4 [해설작성자 : 승현님.]
59.
2원자분자를 제외한 CO2, CO, CH4등의 가스를 분석할 수 있으며, 선택성이 우수하고 저농도 분석에 적합한 가스 분석법은?
1.
적외선법
2.
음향법
3.
열전도율법
4.
도전율법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적외선법은 수소,산소,질소,염소 등 2원자 분자는 적외선을 흡수하지 않으므로 분석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열빛전]
질소, 산소와 같은 대칭형 2원자 분자를 제외하고, 모든 가스는 적외부에 그 가스 고유의 흡수를 가지기 때문에 이 현상을 이용한다. 선택성 검출기를 이용하여 시중의 특정 성분에 의한 적외선의 흡수량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 중에 들어있는 특정 성분의 농도를 구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에너지]
60.
국제단위계(SI)에서 길이단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본단위이다.
2.
기호는 K이다.
3.
명칭은 미터이다.
4.
빛이 진공에서 1/299792458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SI 단위계에서 길이의 단위는 m이다. 온도(K) 질량(kg) 전류(A) 물질량(mg) 광도(cd) [해설작성자 : 냉씨]
61.
샤모트(chamotte) 벽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가공률이 크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연화되며 내스폴링성이 좋다.
2.
흑연질 등을 사용하며 내화도와 하중연화점이 높고 열 및 전기전도도가 크다.
3.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크며 내화도는 SK 35 이상으로 주로 고온부에 사용된다.
4.
하중 연화점이 높고 가소성이 커 염기성 제강로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샤모트 벽돌은 샤모트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내화 벽돌로 1,600~1,700℃ 정도의 내화도를 가지며 축로재로 널리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건환산회]
기공률이 크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연화되며 내스폴링이 좋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62.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최대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
1.
검사대상기기조종자를 정당한 사유 없이 선임하지 아니한 자
2.
검사대상기기의 검사를 정당한 사유없이 받지 아니한 자
3.
검사에 불합격한 검사대상기기를 임의로 사용한 자
4.
최저소비효율기준에 미달된 효율관리기자재를 생산한 자
정답 : [
4
] 정답률 : 69%
63.
배관설비의 지지를 위한 필요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도의 변화에 따른 배관신축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2.
배관 시공 시 필요한 배관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3.
배관설비의 진동과 소음을 외부로 쉽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4.
수격현상 및 외부로부터 진동과 힘에 대하여 견고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소음진동 외부전달x [해설작성자 : 장롱]
64.
길이 7m, 외경 200mm, 내경 190mm의 탄소강관에 360℃ 과열증기를 통과시키면 이 때 늘어나는 관의 길이는 몇 mm인가? (단, 주위온도는 20℃이고, 관의 선팽창계수는 0.000013 mm/mmㆍ℃이다.)
1.
21.15
2.
25.71
3.
30.94
4.
36.48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늘어난 길이 = aL△T = 0.000013 x 7000 x 340 = 30.94 mm [해설작성자 : 잠실여신]
65.
에너지이용 합리와법에 따라 에너지사용계획을 수립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민간사업주관자의 기준은?
1.
연간 5백만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
2.
연간 1천만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
3.
연간 1천 5백만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
4.
연간 2천만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
정답 : [
4
] 정답률 : 77%
66.
관의 신축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축량은 관의 열팽창계수, 길이, 온도차에 반비례한다.
2.
신축량은 관의 열팽창계수, 길이, 온도차에 비례한다.
3.
신축량은 관의 길이, 온도차에는 비례하지만, 열팽창계수에는 반비례한다.
4.
신축량은 관의 열팽창계수에 비례하고 온도차와 길이에 반비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열팽창계수는 어떤 재료의 온도가 1℃ 변했을 때 단위길이 당 길이가 얼마나 변했는지 나타낸 값. [해설작성자 : 에너지]
67.
에너지이용 합리와법에 따라 인정검사대상기기 조종자의 교육을 이수한 자가 조종할 수 없는 것은?
1.
압력 용기
2.
용량이 581.5킬로와트인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3.
용량이 700 킬로와트의 온수발생 보일러
4.
최고사용압력이 1MPa 이하이고, 전열면적이 10 제곱미터 이하인 증기보일러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보일러는 무조건 581.5 킬로와트 이내입니다. [해설작성자 : 승현님.]
인정검사대상기기관리자의 교육을 이수한 자 1. 증기보일러로서 최고사용압력이 1㎫ 이하이고, 전열면적이 10 제곱미터 이하인 것 2. 온수발생 및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로서 용량이 581.5킬로와트 이하인 것 3. 압력용기 [해설작성자 : 에너지]
68.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의 “목표에너지원단위”란?
1.
열사용기기당 단위시간에 사용할 열의 사용목표량
2.
각 회사마다 단위기간 동안 사용할 열의 사용목표량
3.
에너지를 사용하여 만드는 제품의 단위당 에너지사용목표량
4.
보일러에서 증기 1톤을 발생할 때 사용할 연료의 사용목표량
정답 : [
3
] 정답률 : 80%
69.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의 효율관리기자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기철도
2.
삼상유도전동기
3.
전기세탁기
4.
자동차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삼상유도전동기 전기세탁기 자동차 전기냉장고 전기냉방기 조명기기 그밖에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그 효율의 향상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기자재 및 설비 [해설작성자 : 박진호]
<문제 해설> 주철제 보일러, 금소둔로, 2종 압력용기 - 2번 주금 (쉽게외우자) [해설작성자 : 인종 롯데몰]
81.
급수에서 ppm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 1mL 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g으로 표시한 것
2.
물 100mL 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mg으로 표시한 것
3.
물 1000mL 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g으로 표시한 것
4.
물 1000mL 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mg으로 표시한 것
정답 : [
4
] 정답률 : 81%
82.
그림과 같이 가로×세로×높이가 3×1.5×0.03m 인 탄소 강판이 놓여 있다. 열전도계(K)가 43W/mㆍK이며, 표면온도는 20℃였다. 이 때 탄소강판 아래 면에 열유속(q“=q/A) 600kcal/m2ㆍh을 가할 경우, 탄소강판에 대한 표면온도 상승[△T(℃)]은?
1.
0.243℃
2.
0.264℃
3.
0.486℃
4.
1.973℃
정답 : [
3
] 정답률 : 40%
83.
금속판을 전열체로 하여 유체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열팽창에 대한 염려가 없고 플랜지이음으로 되어 있어 내부수리가 용이한 열교환기 형식은?
<문제 해설> 저온부식은 황 성분을 필두로해서 부식됩니다. 황을 더 넣으면 안되겠죠. 반대로 고온부식은 바나듐 성분으로 인하여 부식됩니다. [해설작성자 : 승현님.]
연료 중의 유황분이 연소에 의해 산화하여 아황산 가스(SO2)로 되고, 그 일부가 다시 산화하여 무수황산(SO3)으로 된다. 이 SO3의 노점(露点)은 150℃ 이하인데, 전열면에서는 자칫하면 150℃ 이하로 되기 쉬우며 이 저온부에서 SO3가 연소 가스 속의 수증기(H2O)와 화합, 응축하여 황산(H2SO4)을 생성하고, 저온 전열면에 부착하여 이 부분을 부식시키는 현상. 연돌로부터 배출하는 연소 배기 가스 온도를 200℃ 이상으로 하고, SO3의 노점 보다 높게하여 SO3가 수증기와 화합하여 황산으로 되지 않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88.
보일러 송풍장치의 회전수 변환을 통한 급기풍량 제어를 위하여 2극 유도전동기에 인버터를 설치하였다. 주파수가 55Hz일 대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