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한 수집ㆍ운반시스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검토해야 할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집구역
2.
배출방법
3.
수집빈도
4.
최종처분
정답 : [
4
] 정답률 : 88%
2.
혐기성소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수분해, 산생성, 메탄생성 단계로 구분된다.
2.
처리속도가 느리고 고농도 처리에 적합하다.
3.
호기성처리에 비해 동력비 및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4.
유기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처리효율이 좋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유기산 축적에 의하여 pH가 저하된 경우에는 유기산이 완전히 분해될 때까지 슬러지 유입속도를 줄이는 방법과 라임(Ca(OH)2), NaHCO3 또는 NaOH, KOH 등을 주입하여 pH를 정상적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3.
폐기물 선별과정에서 회전방식에 의해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1.
Reciprocating Screen
2.
Air Classifier
3.
Ballistic Separator
4.
Trommel Screen
정답 : [
4
] 정답률 : 91%
4.
수거차의 대기시간이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적하를 마치므로 적환장 내ㆍ외에서 교통체증 현상을 감소시켜주는 적환 시스템은?
1.
직접투하방식
2.
저장투하방식
3.
간접투하방식
4.
압축투하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83%
5.
트롬멜 스크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평으로 회전하는 직경 3미터 정도의 원통형태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크린의 하나이다.
2.
최적회전속도는 임계회전속도의 45% 정도이다.
3.
도시폐기물 처리 시 적정회전속도는 100~180rpm이다.
4.
경사도는 대개 2~3˚를 채택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스크린 중에서 선별효율이 좋고 유지관리상 문제가 적어 도시폐기물의 선별작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 원통의 경사도가 크면 선별효율이 떨어지고 부하율도 커진다 (2~3도 or 5도 내외) - 트롬멜의 경사각,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선별효율이 저하 - 최적회전속도 = 임계회전속도x0.45 - 임계속도 = 1/2π*√(g/r) rpm, g : 중력가속도(9.8m/s^2), r : 스크린의 반경(m) - 원통의 직경 및 길이가 길면 동력소모가 많고 효율은 증가한다 (스크린 개방면적 : 53%, 길이 : 4m) - 회전속도의 경우 어느 정도까지는 증가할수록 선별효율이 증가하나 그 이상이 되면 원심력에 의해 막힘현상이 일어남(회전속도 : 11~30rpm) - 스크린 앞에 분쇄기를 설치하여 분리된 폐기물을 주입, 분쇄함으로써 입도를 균일하게 한다 - 수분의 함량이 높을수록 분리효율이 저하된다 (단, 슬러리 형태가 되면 분리가 용이) - 원통 내로 압축공기를 송입할 수 있다 - 원통 내 부하율(폐기물)이 증가하면 선별효율은 감소 - 파쇄입경의 차이가 작을수록 선별효과가 적어져 선별효율이 낮아지므로 분별공정이 잘 진행되지 못한다
[추가 해설] 도시 폐기물의 경우 회전속도는 10~18rpm이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없어내가함]
6.
굴림통 분쇄기(Roll Crushe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회수과정에서 유리같이 깨지기 쉬운 물질을 분쇄할 때 이용된다.
2.
퍼짐성이 있는 금속캔류는 단순히 납작하게 된다.
3.
유리와 금속류가 섞인 폐기물을 굴림통분쇄기에 투입하면 분쇄된 유리를 체로 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4.
분쇄는 투입물 선별 과정과 이것을 압축시키는 두 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분쇄는 투입물을 포집하는 과정과 이것을 굴림 통 사이로 통과시키는 두 가지 과정 [해설작성자 : 22년 환경직 공무원 합격자]
7.
도시폐기물의 물리적 특성 중 하나인 겉보기 밀도의 대표값이 가장 높은 것은? (단, 비압축 상태 기준)
1.
재
2.
고무류
3.
가죽류
4.
알루미늄캔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가벼운 물질이 겉보기 밀도가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김태진]
8.
분뇨처리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의 (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단, Se : 유출수의 휘발성 고형물질 농도(mg/L), So : 유입수의 휘발성 고형물질 농도(mg/L), So : 유입수의 휘발성 고형물질 농도(mg/L), SRT : 고형물질의 체류시간)
1.
생물학적 분해 가능한 유기물질 분율
2.
생물학적 분해 불가능한 휘발성 고형물질 분율
3.
생물학적 분해 가능한 무기물질 분율
4.
생물학적 분해 불가능한 유기물질 분율
정답 : [
2
] 정답률 : 83%
9.
다음 유기물 중 분해가 가장 빠른 것은?
1.
리그닌
2.
단백질
3.
셀룰로오즈
4.
헤미셀룰로오즈
정답 : [
2
] 정답률 : 69%
10.
분뇨를 혐기성 소화공법으로 처리할 때 발생하는 CH4가스의 부피는 분뇨투입량의 약 8배라고 한다. 1일 분뇨 500kL/day씩 처리하는 소화시설에서 발생하는 CH4가스를 포함하여 24시간 균등연소 시킬 때 시간당 발열량(kcal/hr)은? (단, CH4가스의 발열량 = 약 5500 kcal/m3)
제거된 TS(kg) = 1 m^3 * 1,000 kg/m^3 * 0.04 * 0.3 = 12 kg ∴ 슬러지(SL, kg) = 12 kg / 0.2 = 60 kg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27.
다이옥신과 퓨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VC 또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합성물질을 연소시킬 때 발생한다.
2.
여러 개의 염소원자와 1~2개의 수소원자가 결합된 두 개의 벤젠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3.
다이옥신의 이성체는 75개이고, 퓨란은 135개이다.
4.
2, 3, 7, 8 PCDD의 독성계수가 1이며 여타 이성체는 1보다 작은 등가계수를 갖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두 개의 벤젠고리에 염소가 1개 이상 붙어 있는 화합물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개의 산소원자와 1~8개의 염소원자가 결합된 두 개의 벤젠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28.
뒤집기 퇴비단공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건조가 빠르다.
2.
병원균 파괴율이 높다.
3.
많은 양을 다룰 수 있다.
4.
상대적으로 투자비가 낮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장점 - 건조가 빠르다 - 다량 처리 가능 - 안정된 퇴비 생산 - 저투자비 단점 - 공정 중 악취 발생 가능 - 고유지비 - 기후조건 민감 - 부피 큼 [해설작성자 : 앙앙이]
29.
혐기성 분해 시 메탄균은 pH에 민감하다. 메탄균의 최적 환경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강산성 상태
2.
약산성 상태
3.
약알칼리성 상태
4.
강알칼리성 상태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최적의 pH값은 7~7.2 [해설작성자 : 앙앙이]
30.
고형물농도 80kg/m3의 농축 슬러지를 1시간에 8m3 탈수시키려 한다. 슬러지 중의 고형물 당 소석회 첨가량을 중량기준으로 20% 첨가했을 때 함수율 90%의 탈수 cake가 얻어졌다. 이 탈수 cake의 겉보기 비중량을 1000kg/m3로 할 경우 발생 cake의 부피(m3/hr)는?
<문제 해설> 유동상식 소각로의 장단점 장점 1. 소각시간이 짧다(노부하율이 높다!) 2. 과잉공기율이 작고 연소효율이 높다. 3. 노 내 기계적 가동부분이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4. 노 내의 온도 자동제어와 열회수가 용이하다. 5. 2차 연소실이 필요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겁나헷갈리네 ㅜㅜ]
층내 압력손실이 크다 [해설작성자 : 국화]
43.
저위발열량 10,000kcal/Sm3인 기체연료 연소 시, 이론습연소가스량이 20Sm3/Sm3이고 이론연소온도는 2,500℃라고 한다. 연료연소가스의 평균 정압비열(kcal/Sm3ㆍ℃)은? (단, 연소용 공기, 연료 온도=15℃)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수은을 측정하고자 한다. 분석절차(전처리) 과정 중 과잉의 과망간산칼륨을 분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액은?
1.
10W/V% 염화하이드록시암모늄용액
2.
(1+4) 암모니아수
3.
10W/V% 아염화주석용액
4.
10W/V% 과황산칼륨
정답 : [
1
] 정답률 : 55%
79.
시료의 조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돌멩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입경이 5mm 이상인 것은 분쇄하여 체로 거른 후 입경이 0.5~5mm로 한다.
2.
시료의 축소방법으로는 구획법, 교호삽법, 원추4분법이 있다.
3.
원추4분법을 3회 시행하면 원래 양의 1/3이 된다.
4.
교호삽법과 원추4분법은 축소과정에서 공히 원추를 쌓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원추4분법을 3회 시행하면 원래 양의 1/8이 된다. 원추4분법을 1회 시행할수록 원래 양의 1/2로 감소 (1/2)^3 = 1/8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80.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폐기물 시료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은?
1.
원추2분법
2.
원추4분법
3.
교호삽법
4.
구획법
정답 : [
3
] 정답률 : 67%
81.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를 마친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검사기관으로부터 검사를 받아야 한다. 멸균분쇄시설의 검사기관이 아닌 것은?
1.
한국기계연구원
2.
보건환경연구원
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4.
한국환경공단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한국기계연구원은 소각시설 및 시멘트소성로의 검사기관이다. +한국환경공단은 모든 시설의 검사기관에 포함된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매립시설을 제외한 시설의 검사기관에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82.
폐기물관리법의 제정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 발생을 최대한 억제
2.
발생한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
3.
환경보전과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
4.
발생 폐기물의 신속한 수거ㆍ이송처리
정답 : [
4
] 정답률 : 64%
83.
관리형 매립시설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배출허용기준(BOD - SS 순서)은? (단, 가 지역, 단위 mg/L)
1.
30 – 30
2.
30 - 50
3.
50 – 50
4.
50 - 70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BOD와 SS 모두 청정지역 30, 가지역 50, 나지역 70 [해설작성자 : k-곤죽]
84.
폐기물부담금 및 재활용부담금의 용도로 틀린 것은?
1.
재활용가능자원의 구입 및 비축
2.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의 지원
3.
폐기물부담금(가산금을 제외한다) 또는 재활용부과금(가산금을 제외한다)의 징수비용 교부
4.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사업 및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지원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3. 가산금을 제외 > 가산금을 포함 [해설작성자 : cookie]
85.
폐기물처리업의 업종구분과 영업내용을 연결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 수집ㆍ운반업 - 폐기물을 수집하여 재활용 또는 처분 장소로 운반하거나 폐기물을 수출하기 위하여 수집ㆍ운반하는 영업
2.
폐기물 중간처분업 - 폐기물 중간처분시설 및 최종처분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소각ㆍ중화ㆍ파쇄ㆍ고형화 등의 방법에 의하여 중간처분 및 중간가공 폐기물을 만드는 영업
3.
폐기물 최종처분업 - 폐기물 최종처분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매립 등(해역 배출은 제외한다)의 방법으로 최종처분하는 영업
4.
폐기물 종합처분업 - 폐기물 중간처분시설 및 최종처분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의 중간처분과 최종처분을 함께 하는 영업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폐기물 중간처분업 - 폐기물 중간처분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소각 처분, 기계적 처분, 화학적 처분, 생물학적 처분, 그 밖에 환경부장관이 폐기물을 안전하게 중간처분할 수 있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중간처분하는 영업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86.
폐기물 재활용업자가 시ㆍ도지사로부터 승인받은 임시보관시설에 태반을 보관하는 경우, 시ㆍ도지사가 입시보관시설을 승인할 때 따라야 하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폐기물처리사업장 외의 장소에서의 폐기물 보관시설 기준)
1.
폐기물 재활용업자는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제조업 허가를 받은 자일 것
2.
태반의 배출장소와 그 태반 재활용시설이 있는 사업장의 거리가 100킬로미터 이상일 것
3.
임시보관시설에서의 태반 보관 허용량은 1톤 미만일 것
4.
임시보관시설에서의 태반 보관 기간은 태반이 임시보관시설에 도착한 날부터 5일 이내일 것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3. 1톤 미만 > 5톤 미만 [해설작성자 : cookie]
87.
환경부장과 또는 시ㆍ도지사가 폐기물처리 공제조합에 처리를 명할 수 있는 방치폐기물의 처리량 기준으로 ( )에 맞는 것은?(2021년 06월15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5배
2.
2.0배
3.
2.5배
4.
3.0배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법이 개정되어서 2배가 맞습니다. 참고로 비슷한 유형으로 처리기간 범위도 같이 나오는데 2-2로 외우시면 됩니다.
제23조(방치폐기물의 처리량과 처리기간) ① 법 제40조제11항에 따라 폐기물 처리 공제조합에 처리를 명할 수 있는 방치폐기물의 처리량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1.9.7, 2021.6.15> 1. 폐기물처리업자가 방치한 폐기물의 경우 : 그 폐기물처리업자의 폐기물 허용보관량의 2배 이내 2. 폐기물처리 신고자가 방치한 폐기물의 경우 : 그 폐기물처리 신고자의 폐기물 보관량의 2배 이내 ② 환경부장관이나 시ㆍ도지사는 폐기물 처리 공제조합에 방치폐기물의 처리를 명하려면 주변환경의 오염 우려 정도와 방치폐기물의 처리량 등을 고려하여 2개월의 범위에서 그 처리기간을 정해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로 처리기간 내에 방치폐기물을 처리하기 곤란하다고 환경부장관이나 시ㆍ도지사가 인정하면 1개월의 범위에서 한 차례만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개정 2021.6.15> [해설작성자 : 혁인]
88.
매립시설의 사후관리기준 및 방법에 관한 내용 중 발생가스 관리방법(유기성폐기물을 매립한 폐기물매립시설만 해당된다.)에 관한 내용이다. ( )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4
] 정답률 : 57%
89.
해당 폐기물처리 신고자가 보관 중이 폐기물 또는 그 폐기물처리의 이용자가 보관 중인 폐기물의 적체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인근지역 주민의 건강에 위해가 발생되거나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경우, 그 처리금지를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은?
1.
2천만원 이하
2.
5천만원 이하
3.
1억원 이하
4.
2억원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시·도지사는 폐기물처리 신고자가 저146조제7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처리금지를 명령하여야 하는 경우 그 처리금지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처리금지를 갈음하여 2천만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1. 해당 처리금지로 인하여 그 폐기물처리의 이용자가 폐기물을 위탁처리하지 못하여 폐기물이 사업장 안에 적체됨으로써 이용자의 사업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2. 해당 폐기물처리 신고자가 보관 중인 폐기물 또는 그 폐기물처리의 이용자가 보관 중인 폐기물의 적체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인근지역 주민의 건강에 위해가 발생되거나 발생될 우려가 있는경우 3.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해당 폐기물처리를 계속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알씨피]
90.
폐기물의 에너지회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너지 회수효율(회수에너지 총량을 투입에너지 총량으로 나눈 비율)이 75퍼센트 이상일 것
2.
다른 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해당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이 킬로그램당 3천 킬로칼로리 이상일 것
3.
폐기물의 50% 이상을 원료 또는 재료로 재활용하고 나머지를 에너지회수에 이용할 것
4.
회수열을 모두 열원으로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급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50% 이상 > 30% 이상 [해설작성자 : cookie]
91.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ㆍ운영을 위탁받을 수 있는 자의 기준 중 소각시설인 경우, 보유하여야 하는 기술인력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폐기물처리기술사 1명
2.
폐기물처리기술사 또는 대기환경기사 1명
3.
토목기사 1명
4.
시공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자 2명(폐기물 처분시설의 설치를 위탁받으려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폐기물처리시술사 1명 폐기물처리기사 또는 대기환경기가 1명 일반기계기사 1명 시공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자 2명(폐기물처분시설 설치를 위탁받으려는 경우에만 해당) 1일 50톤 이상의 폐기물소각시설에서 천정크레인을 1년 이상 운전한 자 1명과 천정크레인 외의 처분시설의 운전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자 2명(폐기물처분시설 운영을 위탁받으려는 경우에만 해당) [해설작성자 : k-곤죽]
92.
폐기물처리시설 주변 지역 영향조사 기준 중 조사지점에 관한 사항으로 ( )에 옳은 것은?
1.
2개소
2.
3개소
3.
4개소
4.
5개소
정답 : [
3
] 정답률 : 53%
93.
폐기물의 광역관리를 위해 광역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또는 운영을 위탁할 수 없는 자는?
1.
해당 광역 폐기물처리시설을 발주한 지자체
2.
한국환경공단
3.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4.
폐기물의 광역처리를 위해 설립된 지방자치단체조합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해당 광역 폐기물처리시설을 시공한 자(그 시설의 운영을 위탁한 경우에만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94.
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분시설 규모기준으로 ( )에 맞는 것은?
1.
5톤
2.
10톤
3.
50톤
4.
100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행규칙 제38조(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리시설): 톤 단위는 모두 100톤 (1)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지정폐기물의 경우 10톤)미만인 시설 (2)고온소각시설·열분해시설·고온용융시설·열처리조합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100kg 미만인 시설 (3)기계적 처분·재활용시설 중 증발·농축, 정제 또는 유수분리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25kg 미만인 시설 (4)기계적 처분·재활용시설 중 압축, 압출, 성형, 주조, 파쇄, 분쇄, 절단, 용융, 용해, 연료화, 소성 또는 탄화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00톤 미만인 시설 (5)기계적 처분·재활용시설 중 탈수·건조시설, 멸균분쇄시설 및 화학적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 (6)생물학적 처분·재활용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00톤 미만인 시설 [해설작성자 : k-곤죽]
95.
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할 폐기물처리시설이 아닌 것은?
1.
시간당 처분능력이 120킬로그램인 의료폐기물 대상 소각시설
2.
면적이 4천 제곱미터인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3.
절단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200톤인 시설
4.
연료화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7톤인 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 면적 3300 제곱미터 이상 3. 절단시설 > 1일 처분능력 100톤 이상 4. 연료화시설 > 5톤 이상 [해설작성자 : cookie]
1. 소각시설로서 의료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처분능력이 200kg 이상인 시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군인]
의료폐기물은 200kg이상 제15조(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할 폐기물처리시설) 법 제34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이란 다음 각 호의 시설을 말한다. 다만, 폐기물처리업자가 운영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은 제외한다. <개정 2007. 12. 28., 2011. 9. 7., 2012. 9. 24.> 1. 매립시설의 경우 가. 지정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로서 면적이 3천300 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다만, 별표 3의 제2호 최종처분시설 중 가목의 1)차단형 매립시설에서는 면적이 330 제곱미터 이상이거나 매립용적이 1천 세제곱미터 이상인 시설로 한다. 나.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로서 면적이 1만 제곱미터 이상이거나 매립용적이 3만 세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2. 소각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600킬로그램(의료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소각시설의 경우에는 200킬로그램)이상인 시설 3. 압축ㆍ파쇄ㆍ분쇄 또는 절단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00톤 이상인 시설 4. 사료화ㆍ퇴비화 또는 연료화시설로서 1일 재활용능력이 5톤 이상인 시설 5. 멸균분쇄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1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 6. 시멘트 소성로 7. 용해로(폐기물에서 비철금속을 추출하는 경우로 한정한다)로서 시간당 재활용능력이 6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 8. 소각열회수시설로서 시간당 재활용능력이 6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 [해설작성자 : 고네]
96.
폐기물관리의 기본원칙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은 소각, 매립 등의 처분을 하기 보다는 우선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생산성의 향상에 이바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2.
국내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가능하면 국내에서 처리되어야 하고, 폐기물은 수입할 수 없다.
3.
누구든지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주변 환경이나 주민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지 아니하도록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4.
사업자는 제품의 생산방식 등을 개선하여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발생한 폐기물을 스스로 재활용함으로써 폐기물의 배출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 폐기물은 수입할 수 없다 > 폐기물의 수입은 되도록 억제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okie]
97.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에 있어서 승인을 받았거나 신고한 사항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 변경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승인 받은 사항을 변경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3
] 정답률 : 41%
98.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처리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로 폐기물처리업자가 설치ㆍ운영하는 시설)
1.
시멘트 소성로(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2.
매립면적 15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3.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1일 처분능력이 50톤 이상인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같은 사업장에 여러 개의 소각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각 소각시설의 1일 처분능력의 합계가 50톤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 >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 [해설작성자 : cookie]
99.
폐기물 처리시설의 사후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을 사용종료하거나 폐쇄하려는 자는 검사기관으로부터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검사에서 적합판정을 받아야 한다.
2.
매립시설의 사용을 끝내거나 폐쇄하려는 자는 그 시설의 사용종료일 또는 폐쇄예정일 1개월 이전에 사용종료ㆍ폐쇄신고서를 시ㆍ도지사나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폐기물 매립시설을 사용종료하거나 폐쇄한 자는 그 시설로 인한 주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침출수 처리시설을 설치ㆍ가동하는 등의 사후관리를 하여야 한다.
4.
시ㆍ도지사나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사후관리 시정명령을 하려면 그 시정에 필요한 조치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6개월 범위에서 그 이행기간을 정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 매립시설 ~ 폐쇄예정일 1개월 이전 > 3개월 이전 [해설작성자 : cookie]
적정한 수집ㆍ운반시스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검토해야 할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집구역
2.
배출방법
3.
수집빈도
4.
최종처분
정답 : [
4
] 정답률 : 88%
2.
혐기성소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수분해, 산생성, 메탄생성 단계로 구분된다.
2.
처리속도가 느리고 고농도 처리에 적합하다.
3.
호기성처리에 비해 동력비 및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4.
유기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처리효율이 좋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유기산 축적에 의하여 pH가 저하된 경우에는 유기산이 완전히 분해될 때까지 슬러지 유입속도를 줄이는 방법과 라임(Ca(OH)2), NaHCO3 또는 NaOH, KOH 등을 주입하여 pH를 정상적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3.
폐기물 선별과정에서 회전방식에 의해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1.
Reciprocating Screen
2.
Air Classifier
3.
Ballistic Separator
4.
Trommel Screen
정답 : [
4
] 정답률 : 91%
4.
수거차의 대기시간이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적하를 마치므로 적환장 내ㆍ외에서 교통체증 현상을 감소시켜주는 적환 시스템은?
1.
직접투하방식
2.
저장투하방식
3.
간접투하방식
4.
압축투하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83%
5.
트롬멜 스크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평으로 회전하는 직경 3미터 정도의 원통형태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크린의 하나이다.
2.
최적회전속도는 임계회전속도의 45% 정도이다.
3.
도시폐기물 처리 시 적정회전속도는 100~180rpm이다.
4.
경사도는 대개 2~3˚를 채택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스크린 중에서 선별효율이 좋고 유지관리상 문제가 적어 도시폐기물의 선별작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 원통의 경사도가 크면 선별효율이 떨어지고 부하율도 커진다 (2~3도 or 5도 내외) - 트롬멜의 경사각,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선별효율이 저하 - 최적회전속도 = 임계회전속도x0.45 - 임계속도 = 1/2π*√(g/r) rpm, g : 중력가속도(9.8m/s^2), r : 스크린의 반경(m) - 원통의 직경 및 길이가 길면 동력소모가 많고 효율은 증가한다 (스크린 개방면적 : 53%, 길이 : 4m) - 회전속도의 경우 어느 정도까지는 증가할수록 선별효율이 증가하나 그 이상이 되면 원심력에 의해 막힘현상이 일어남(회전속도 : 11~30rpm) - 스크린 앞에 분쇄기를 설치하여 분리된 폐기물을 주입, 분쇄함으로써 입도를 균일하게 한다 - 수분의 함량이 높을수록 분리효율이 저하된다 (단, 슬러리 형태가 되면 분리가 용이) - 원통 내로 압축공기를 송입할 수 있다 - 원통 내 부하율(폐기물)이 증가하면 선별효율은 감소 - 파쇄입경의 차이가 작을수록 선별효과가 적어져 선별효율이 낮아지므로 분별공정이 잘 진행되지 못한다
[추가 해설] 도시 폐기물의 경우 회전속도는 10~18rpm이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없어내가함]
6.
굴림통 분쇄기(Roll Crushe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회수과정에서 유리같이 깨지기 쉬운 물질을 분쇄할 때 이용된다.
2.
퍼짐성이 있는 금속캔류는 단순히 납작하게 된다.
3.
유리와 금속류가 섞인 폐기물을 굴림통분쇄기에 투입하면 분쇄된 유리를 체로 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4.
분쇄는 투입물 선별 과정과 이것을 압축시키는 두 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분쇄는 투입물을 포집하는 과정과 이것을 굴림 통 사이로 통과시키는 두 가지 과정 [해설작성자 : 22년 환경직 공무원 합격자]
7.
도시폐기물의 물리적 특성 중 하나인 겉보기 밀도의 대표값이 가장 높은 것은? (단, 비압축 상태 기준)
1.
재
2.
고무류
3.
가죽류
4.
알루미늄캔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가벼운 물질이 겉보기 밀도가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김태진]
8.
분뇨처리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의 (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단, Se : 유출수의 휘발성 고형물질 농도(mg/L), So : 유입수의 휘발성 고형물질 농도(mg/L), So : 유입수의 휘발성 고형물질 농도(mg/L), SRT : 고형물질의 체류시간)
1.
생물학적 분해 가능한 유기물질 분율
2.
생물학적 분해 불가능한 휘발성 고형물질 분율
3.
생물학적 분해 가능한 무기물질 분율
4.
생물학적 분해 불가능한 유기물질 분율
정답 : [
2
] 정답률 : 83%
9.
다음 유기물 중 분해가 가장 빠른 것은?
1.
리그닌
2.
단백질
3.
셀룰로오즈
4.
헤미셀룰로오즈
정답 : [
2
] 정답률 : 69%
10.
분뇨를 혐기성 소화공법으로 처리할 때 발생하는 CH4가스의 부피는 분뇨투입량의 약 8배라고 한다. 1일 분뇨 500kL/day씩 처리하는 소화시설에서 발생하는 CH4가스를 포함하여 24시간 균등연소 시킬 때 시간당 발열량(kcal/hr)은? (단, CH4가스의 발열량 = 약 5500 kcal/m3)
제거된 TS(kg) = 1 m^3 * 1,000 kg/m^3 * 0.04 * 0.3 = 12 kg ∴ 슬러지(SL, kg) = 12 kg / 0.2 = 60 kg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27.
다이옥신과 퓨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VC 또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합성물질을 연소시킬 때 발생한다.
2.
여러 개의 염소원자와 1~2개의 수소원자가 결합된 두 개의 벤젠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3.
다이옥신의 이성체는 75개이고, 퓨란은 135개이다.
4.
2, 3, 7, 8 PCDD의 독성계수가 1이며 여타 이성체는 1보다 작은 등가계수를 갖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두 개의 벤젠고리에 염소가 1개 이상 붙어 있는 화합물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개의 산소원자와 1~8개의 염소원자가 결합된 두 개의 벤젠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28.
뒤집기 퇴비단공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건조가 빠르다.
2.
병원균 파괴율이 높다.
3.
많은 양을 다룰 수 있다.
4.
상대적으로 투자비가 낮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장점 - 건조가 빠르다 - 다량 처리 가능 - 안정된 퇴비 생산 - 저투자비 단점 - 공정 중 악취 발생 가능 - 고유지비 - 기후조건 민감 - 부피 큼 [해설작성자 : 앙앙이]
29.
혐기성 분해 시 메탄균은 pH에 민감하다. 메탄균의 최적 환경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강산성 상태
2.
약산성 상태
3.
약알칼리성 상태
4.
강알칼리성 상태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최적의 pH값은 7~7.2 [해설작성자 : 앙앙이]
30.
고형물농도 80kg/m3의 농축 슬러지를 1시간에 8m3 탈수시키려 한다. 슬러지 중의 고형물 당 소석회 첨가량을 중량기준으로 20% 첨가했을 때 함수율 90%의 탈수 cake가 얻어졌다. 이 탈수 cake의 겉보기 비중량을 1000kg/m3로 할 경우 발생 cake의 부피(m3/hr)는?
<문제 해설> 유동상식 소각로의 장단점 장점 1. 소각시간이 짧다(노부하율이 높다!) 2. 과잉공기율이 작고 연소효율이 높다. 3. 노 내 기계적 가동부분이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4. 노 내의 온도 자동제어와 열회수가 용이하다. 5. 2차 연소실이 필요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겁나헷갈리네 ㅜㅜ]
층내 압력손실이 크다 [해설작성자 : 국화]
43.
저위발열량 10,000kcal/Sm3인 기체연료 연소 시, 이론습연소가스량이 20Sm3/Sm3이고 이론연소온도는 2,500℃라고 한다. 연료연소가스의 평균 정압비열(kcal/Sm3ㆍ℃)은? (단, 연소용 공기, 연료 온도=15℃)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수은을 측정하고자 한다. 분석절차(전처리) 과정 중 과잉의 과망간산칼륨을 분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액은?
1.
10W/V% 염화하이드록시암모늄용액
2.
(1+4) 암모니아수
3.
10W/V% 아염화주석용액
4.
10W/V% 과황산칼륨
정답 : [
1
] 정답률 : 55%
79.
시료의 조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돌멩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입경이 5mm 이상인 것은 분쇄하여 체로 거른 후 입경이 0.5~5mm로 한다.
2.
시료의 축소방법으로는 구획법, 교호삽법, 원추4분법이 있다.
3.
원추4분법을 3회 시행하면 원래 양의 1/3이 된다.
4.
교호삽법과 원추4분법은 축소과정에서 공히 원추를 쌓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원추4분법을 3회 시행하면 원래 양의 1/8이 된다. 원추4분법을 1회 시행할수록 원래 양의 1/2로 감소 (1/2)^3 = 1/8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80.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폐기물 시료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은?
1.
원추2분법
2.
원추4분법
3.
교호삽법
4.
구획법
정답 : [
3
] 정답률 : 67%
81.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를 마친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검사기관으로부터 검사를 받아야 한다. 멸균분쇄시설의 검사기관이 아닌 것은?
1.
한국기계연구원
2.
보건환경연구원
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4.
한국환경공단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한국기계연구원은 소각시설 및 시멘트소성로의 검사기관이다. +한국환경공단은 모든 시설의 검사기관에 포함된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매립시설을 제외한 시설의 검사기관에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82.
폐기물관리법의 제정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 발생을 최대한 억제
2.
발생한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
3.
환경보전과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
4.
발생 폐기물의 신속한 수거ㆍ이송처리
정답 : [
4
] 정답률 : 64%
83.
관리형 매립시설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배출허용기준(BOD - SS 순서)은? (단, 가 지역, 단위 mg/L)
1.
30 – 30
2.
30 - 50
3.
50 – 50
4.
50 - 70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BOD와 SS 모두 청정지역 30, 가지역 50, 나지역 70 [해설작성자 : k-곤죽]
84.
폐기물부담금 및 재활용부담금의 용도로 틀린 것은?
1.
재활용가능자원의 구입 및 비축
2.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의 지원
3.
폐기물부담금(가산금을 제외한다) 또는 재활용부과금(가산금을 제외한다)의 징수비용 교부
4.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사업 및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지원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3. 가산금을 제외 > 가산금을 포함 [해설작성자 : cookie]
85.
폐기물처리업의 업종구분과 영업내용을 연결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 수집ㆍ운반업 - 폐기물을 수집하여 재활용 또는 처분 장소로 운반하거나 폐기물을 수출하기 위하여 수집ㆍ운반하는 영업
2.
폐기물 중간처분업 - 폐기물 중간처분시설 및 최종처분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소각ㆍ중화ㆍ파쇄ㆍ고형화 등의 방법에 의하여 중간처분 및 중간가공 폐기물을 만드는 영업
3.
폐기물 최종처분업 - 폐기물 최종처분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매립 등(해역 배출은 제외한다)의 방법으로 최종처분하는 영업
4.
폐기물 종합처분업 - 폐기물 중간처분시설 및 최종처분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의 중간처분과 최종처분을 함께 하는 영업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폐기물 중간처분업 - 폐기물 중간처분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소각 처분, 기계적 처분, 화학적 처분, 생물학적 처분, 그 밖에 환경부장관이 폐기물을 안전하게 중간처분할 수 있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중간처분하는 영업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86.
폐기물 재활용업자가 시ㆍ도지사로부터 승인받은 임시보관시설에 태반을 보관하는 경우, 시ㆍ도지사가 입시보관시설을 승인할 때 따라야 하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폐기물처리사업장 외의 장소에서의 폐기물 보관시설 기준)
1.
폐기물 재활용업자는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제조업 허가를 받은 자일 것
2.
태반의 배출장소와 그 태반 재활용시설이 있는 사업장의 거리가 100킬로미터 이상일 것
3.
임시보관시설에서의 태반 보관 허용량은 1톤 미만일 것
4.
임시보관시설에서의 태반 보관 기간은 태반이 임시보관시설에 도착한 날부터 5일 이내일 것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3. 1톤 미만 > 5톤 미만 [해설작성자 : cookie]
87.
환경부장과 또는 시ㆍ도지사가 폐기물처리 공제조합에 처리를 명할 수 있는 방치폐기물의 처리량 기준으로 ( )에 맞는 것은?(2021년 06월15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5배
2.
2.0배
3.
2.5배
4.
3.0배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법이 개정되어서 2배가 맞습니다. 참고로 비슷한 유형으로 처리기간 범위도 같이 나오는데 2-2로 외우시면 됩니다.
제23조(방치폐기물의 처리량과 처리기간) ① 법 제40조제11항에 따라 폐기물 처리 공제조합에 처리를 명할 수 있는 방치폐기물의 처리량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1.9.7, 2021.6.15> 1. 폐기물처리업자가 방치한 폐기물의 경우 : 그 폐기물처리업자의 폐기물 허용보관량의 2배 이내 2. 폐기물처리 신고자가 방치한 폐기물의 경우 : 그 폐기물처리 신고자의 폐기물 보관량의 2배 이내 ② 환경부장관이나 시ㆍ도지사는 폐기물 처리 공제조합에 방치폐기물의 처리를 명하려면 주변환경의 오염 우려 정도와 방치폐기물의 처리량 등을 고려하여 2개월의 범위에서 그 처리기간을 정해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로 처리기간 내에 방치폐기물을 처리하기 곤란하다고 환경부장관이나 시ㆍ도지사가 인정하면 1개월의 범위에서 한 차례만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개정 2021.6.15> [해설작성자 : 혁인]
88.
매립시설의 사후관리기준 및 방법에 관한 내용 중 발생가스 관리방법(유기성폐기물을 매립한 폐기물매립시설만 해당된다.)에 관한 내용이다. ( )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4
] 정답률 : 57%
89.
해당 폐기물처리 신고자가 보관 중이 폐기물 또는 그 폐기물처리의 이용자가 보관 중인 폐기물의 적체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인근지역 주민의 건강에 위해가 발생되거나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경우, 그 처리금지를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은?
1.
2천만원 이하
2.
5천만원 이하
3.
1억원 이하
4.
2억원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시·도지사는 폐기물처리 신고자가 저146조제7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처리금지를 명령하여야 하는 경우 그 처리금지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처리금지를 갈음하여 2천만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1. 해당 처리금지로 인하여 그 폐기물처리의 이용자가 폐기물을 위탁처리하지 못하여 폐기물이 사업장 안에 적체됨으로써 이용자의 사업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2. 해당 폐기물처리 신고자가 보관 중인 폐기물 또는 그 폐기물처리의 이용자가 보관 중인 폐기물의 적체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인근지역 주민의 건강에 위해가 발생되거나 발생될 우려가 있는경우 3.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해당 폐기물처리를 계속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알씨피]
90.
폐기물의 에너지회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너지 회수효율(회수에너지 총량을 투입에너지 총량으로 나눈 비율)이 75퍼센트 이상일 것
2.
다른 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해당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이 킬로그램당 3천 킬로칼로리 이상일 것
3.
폐기물의 50% 이상을 원료 또는 재료로 재활용하고 나머지를 에너지회수에 이용할 것
4.
회수열을 모두 열원으로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급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50% 이상 > 30% 이상 [해설작성자 : cookie]
91.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ㆍ운영을 위탁받을 수 있는 자의 기준 중 소각시설인 경우, 보유하여야 하는 기술인력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폐기물처리기술사 1명
2.
폐기물처리기술사 또는 대기환경기사 1명
3.
토목기사 1명
4.
시공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자 2명(폐기물 처분시설의 설치를 위탁받으려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폐기물처리시술사 1명 폐기물처리기사 또는 대기환경기가 1명 일반기계기사 1명 시공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자 2명(폐기물처분시설 설치를 위탁받으려는 경우에만 해당) 1일 50톤 이상의 폐기물소각시설에서 천정크레인을 1년 이상 운전한 자 1명과 천정크레인 외의 처분시설의 운전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자 2명(폐기물처분시설 운영을 위탁받으려는 경우에만 해당) [해설작성자 : k-곤죽]
92.
폐기물처리시설 주변 지역 영향조사 기준 중 조사지점에 관한 사항으로 ( )에 옳은 것은?
1.
2개소
2.
3개소
3.
4개소
4.
5개소
정답 : [
3
] 정답률 : 53%
93.
폐기물의 광역관리를 위해 광역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또는 운영을 위탁할 수 없는 자는?
1.
해당 광역 폐기물처리시설을 발주한 지자체
2.
한국환경공단
3.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4.
폐기물의 광역처리를 위해 설립된 지방자치단체조합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해당 광역 폐기물처리시설을 시공한 자(그 시설의 운영을 위탁한 경우에만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94.
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분시설 규모기준으로 ( )에 맞는 것은?
1.
5톤
2.
10톤
3.
50톤
4.
100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행규칙 제38조(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리시설): 톤 단위는 모두 100톤 (1)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지정폐기물의 경우 10톤)미만인 시설 (2)고온소각시설·열분해시설·고온용융시설·열처리조합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100kg 미만인 시설 (3)기계적 처분·재활용시설 중 증발·농축, 정제 또는 유수분리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25kg 미만인 시설 (4)기계적 처분·재활용시설 중 압축, 압출, 성형, 주조, 파쇄, 분쇄, 절단, 용융, 용해, 연료화, 소성 또는 탄화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00톤 미만인 시설 (5)기계적 처분·재활용시설 중 탈수·건조시설, 멸균분쇄시설 및 화학적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 (6)생물학적 처분·재활용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00톤 미만인 시설 [해설작성자 : k-곤죽]
95.
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할 폐기물처리시설이 아닌 것은?
1.
시간당 처분능력이 120킬로그램인 의료폐기물 대상 소각시설
2.
면적이 4천 제곱미터인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3.
절단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200톤인 시설
4.
연료화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7톤인 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 면적 3300 제곱미터 이상 3. 절단시설 > 1일 처분능력 100톤 이상 4. 연료화시설 > 5톤 이상 [해설작성자 : cookie]
1. 소각시설로서 의료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처분능력이 200kg 이상인 시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군인]
의료폐기물은 200kg이상 제15조(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할 폐기물처리시설) 법 제34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이란 다음 각 호의 시설을 말한다. 다만, 폐기물처리업자가 운영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은 제외한다. <개정 2007. 12. 28., 2011. 9. 7., 2012. 9. 24.> 1. 매립시설의 경우 가. 지정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로서 면적이 3천300 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다만, 별표 3의 제2호 최종처분시설 중 가목의 1)차단형 매립시설에서는 면적이 330 제곱미터 이상이거나 매립용적이 1천 세제곱미터 이상인 시설로 한다. 나.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로서 면적이 1만 제곱미터 이상이거나 매립용적이 3만 세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2. 소각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600킬로그램(의료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소각시설의 경우에는 200킬로그램)이상인 시설 3. 압축ㆍ파쇄ㆍ분쇄 또는 절단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00톤 이상인 시설 4. 사료화ㆍ퇴비화 또는 연료화시설로서 1일 재활용능력이 5톤 이상인 시설 5. 멸균분쇄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1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 6. 시멘트 소성로 7. 용해로(폐기물에서 비철금속을 추출하는 경우로 한정한다)로서 시간당 재활용능력이 6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 8. 소각열회수시설로서 시간당 재활용능력이 6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 [해설작성자 : 고네]
96.
폐기물관리의 기본원칙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은 소각, 매립 등의 처분을 하기 보다는 우선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생산성의 향상에 이바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2.
국내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가능하면 국내에서 처리되어야 하고, 폐기물은 수입할 수 없다.
3.
누구든지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주변 환경이나 주민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지 아니하도록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4.
사업자는 제품의 생산방식 등을 개선하여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발생한 폐기물을 스스로 재활용함으로써 폐기물의 배출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 폐기물은 수입할 수 없다 > 폐기물의 수입은 되도록 억제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okie]
97.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에 있어서 승인을 받았거나 신고한 사항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 변경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승인 받은 사항을 변경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3
] 정답률 : 41%
98.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처리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로 폐기물처리업자가 설치ㆍ운영하는 시설)
1.
시멘트 소성로(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2.
매립면적 15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3.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1일 처분능력이 50톤 이상인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같은 사업장에 여러 개의 소각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각 소각시설의 1일 처분능력의 합계가 50톤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 >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 [해설작성자 : cookie]
99.
폐기물 처리시설의 사후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을 사용종료하거나 폐쇄하려는 자는 검사기관으로부터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검사에서 적합판정을 받아야 한다.
2.
매립시설의 사용을 끝내거나 폐쇄하려는 자는 그 시설의 사용종료일 또는 폐쇄예정일 1개월 이전에 사용종료ㆍ폐쇄신고서를 시ㆍ도지사나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폐기물 매립시설을 사용종료하거나 폐쇄한 자는 그 시설로 인한 주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침출수 처리시설을 설치ㆍ가동하는 등의 사후관리를 하여야 한다.
4.
시ㆍ도지사나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사후관리 시정명령을 하려면 그 시정에 필요한 조치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6개월 범위에서 그 이행기간을 정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 매립시설 ~ 폐쇄예정일 1개월 이전 > 3개월 이전 [해설작성자 : cookie]
100.
한국폐기물협회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한국폐기물협회를 설립할 수 있다.
2.
한국폐기물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3.
한국폐기물협회의 업무, 조직,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4.
폐기물산업의 발전을 위한 지도 및 조사ㆍ연구 업무를 수행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3. 환경부령 > 대통령령 [해설작성자 : cookie]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④
④
②
③
④
①
②
②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④
③
④
②
①
③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④
③
④
②
③
②
②
③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④
②
②
③
③
③
④
①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②
①
③
④
①
④
②
②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③
②
③
③
④
①
③
④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②
④
②
①
②
③
①
②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④
④
②
①
④
②
①
③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④
③
③
②
③
②
④
①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③
①
④
①
②
③
①
②
③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