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용융점이란 열을 가하면 그 금속이 녹아서 액체로 될때의 온도를 말한다. -> 물질의 액상과 고상의 평형온도이다. 순금속에서 압력이 일정할 때 용융점은 일정하다. 저융점금속은 용융점이 231.9도 이하인 금속을 통칭한다. (즉,Sn의 융점을 기준으로 한다.) 고융점금속은 용융점이 2000도 이상의 금속을 뜻한다. 금속은 순금속을 뜻합니다. 특징으로 상온에서 보통 고체상태로 존해하고(수은제외) 연성,전성이 크기때문에 가공하는데 우수함. 광택이 존재하며 빛을 반사하는 능력이 우수함. 열전도율과 전기전도성이 우수함. 비중,경도가 크고 용융점이 높음. 합금은 탄소강에 한가지 이상의 원소를 첨가시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 금속이며 연성 및 전성이 작고 열전도율,전기전도성이 떨어진다. 용융점이 낮고 강도,경도,담금질 효과가 크다. 내열성,내산성,주조성이 뛰어남. -> 융점온도 1. 아연(Zn): 419도 , 2. Pb(납) : 327.6도 , 3. 몰리브덴(Mo) :2610도 , 4. 주석(Sn) : 232도 [해설작성자 : alloves]
2.
보자력이 큰 경질 자성재료에 해당되는 것은?
1.
희토류계자석
2.
규소강판
3.
퍼멀로이
4.
센더스트
정답 : [
1
] 정답률 : 70%
3.
36%Ni, 12%Cr이 함유된 철합금으로 온도 변화에 따른 탄성율의 변화가 거의 없어 지진계의 부품, 정밀 저울의 스프링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칸달(Kanthal)
2.
인바(invar)
3.
엘린바(elinvar)
4.
슈퍼인바(Super Invar)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칸달(Kanthal) : 전열선(電熱線) 재료의 하나. 철-크롬-알루미늄-코발트 합금인데, 철이 주성분이며 크롬 20%, 알루미늄 5%, 코발트 2%를 함유한다. 전열선으로는 니크롬선이 1,000℃ 정도까지의 용도에 널리 사용되나 칸탈선은 니크롬선보다 약간 내산화성이 뛰어나 1,250℃ 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다.
2.인바(invar) : 프랑스에서 발명한 Fe-Ni합금으로써 팽창계수가 극히 낮아,시계,계기 등에 쓰이고 있다. 성분함량은 Fe 63.5% , Ni 36% , Mn 0.5% 으로 녹는점은 1425도 이다. Ni 36%를 함유하는 Fe-Ni함금으로 상온에서 열팽창계수가 매우적고 내식성이 좋다. 사용으로는 줄자 , 시계의 진자 , 바이메탈 등
3.엘린바(elinvar) : Ni 36% , Cr 12%를 함유하는 Ni합금으로 상온에 있어서 실용상 탄성률이 불변하며 열팽창계수가 적기 때문에 크로노미터(항해하는 선박에서 사용하는 정밀시계) 등 단일 금속 밸런스로 사용된다.
4.슈퍼인바(Super Invar) : Ni 30.5~32.5%, Co 4~6% 와 Fe의 합금으로 열팽창 계수는 0.1 x 10 -6 (20도에서) 이다.
5.플라티나이트(platinite) : Ni 40~50% 와 Fe의 합금으로 열팽창계수가 5~910 -6 이며 전구의 도입선으로 사용된다. 또한 코버트, 페르니코 등도 이 종류의 합금이다.
6.퍼멀로이(Permalloy) : Ni 35~80% 함유한 Ni-Fe합금으로 , 고투자율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박판(0.35mm~0.025mm 두께)으로 공급되며 몰리브덴, 크롬 , 동 등등 첨가한 다원소 퍼멀로이도 있다. Ni 75~80%, Co 0.5% 함유, 약학 자장으로 큰 투자율을 가진다. 사용으로 해저전선의 장하코일용 , 자기헤드 , 쵸크 코일 , 변성기 ,릴레이 [해설작성자 : alloves]
4.
탄소강에서 가장 취약해지는 청열취성이 나타나는 온도 구간으로 옳은 것은?
1.
50~100℃
2.
200~300℃
3.
350~450℃
4.
500~600℃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청열취성은 yield drop이 일어나는 취성이다. 250 ∼ 400℃에서의 가공에서는 청열취성이 일어난다.
-탄소강의 탄성 계수,탄성 한계,항복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인장력은 200~300℃까지는 증가하지만 그 후에는 점차 감소한다. 신축 정도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여 인장력이 최대가 되는 점에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점차 다시 커진다. 또한 충격치는 200~300℃에서 가장 적다. 따라서 탄소강은 200~300℃에서 가장 취약해지며 이 온도 범위에서 생기는 산화막이 청색이기 때문에 청열 취성이라 한다. 따라서 청열취성 온도 구간에서 가공을 하게 되면 강선을 파단시키기 쉬운 까닭에 그 온도구간을 피해서 작업을 해야 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alloves]
5.
금속재료를 냉간가공 할 때 성질 변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항복강도가 증가한다.
2.
피로강도가 증가한다.
3.
전기전도율이 커진다.
4.
격자가 변형되어 이방성을 가지게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재질 및 조직의 변화 : 금속을 냉간에서 가공하면 조직의 미세화, 강도,경도의 증가, 치수 정도가 우수하며, 표면이 매끄러워지는 등 냉간 가공 정도에 따라 여러가지 성질이 변화한다. 냉간 가공 이전의 결정입자는 금속 내부에 남아있는 비금속 개재물 등과 함께 가공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며 방향성을 가진 섬유조직(fiber structure)으로 된다.
냉간 가공한 금속을 다시 가열하면 재결정이 형성되어 가공전의 연한 상태로 되돌아가는데 재결정이 끝난 결정 입자의 크기는 가공도와 가열온도, 가공전의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가열온도가 높을 수록 입자의 크기는 커지며, 금속의 결정구조에 따라 가공의 정도가 달라진다. 가장 가공하기 쉬운 결정은 면심 입방 격자이며, 체심 입방 격자, 조밀 육방 격자 순으로 작아진다.
- 기계적, 물리적 성질의 변화 : 냉간 가공도에 따른 기계적 성질의 변화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냉간 가공도에 따라 경도와 인장 강도, 항복 강도(내력)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연신율과 단면 수축율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물리적 성질인 전기 전도율이나 온도 계수는 가공도가 커짐에 따라서 경화할수록 낮아지며 전기 저항은 커진다. [해설작성자 : alloves]
소성가공도가 증가 → 내부조직에 전위 증가(자유전자의 이동을 방해) → 전기전도도 감소 [해설작성자 : 무적해병 황찬우]
6.
다음 중 전기 비저항이 가장 큰 것은?
1.
Ag
2.
Cu
3.
W
4.
Al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전기 비저항이 클수록 전기전도율은 감소합니다. 전기전도도 순서 : 은 > 구리> 금 > 알루미늄 > 마그네슘 > 아연 > 니켈 > 철 > ··· 텅스텐 [해설작성자 : 무적해병 황찬우]
7.
일반적인 분말 야금 공정의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성형→분말제조→소결→후가공
2.
분말제조→성형→소결→후가공
3.
성형→소결→분말제조→후가공
4.
분말제조→후가공→소결→성형
정답 : [
2
] 정답률 : 76%
8.
중(重)금속에 해당하는 것은?
1.
Al
2.
Mg
3.
Be
4.
Cu
정답 : [
4
] 정답률 : 64%
9.
수소저장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에틸렌을 수소화할 때 촉매로 쓸 수 있다.
2.
수소를 흡수·저장할 때 수축하고, 방출시 팽창한다.
3.
저장된 수소를 이용할 때에는 금속수소화물에서 방출시킨다.
4.
수소가 방출되면 금속수소화물은 원래의 수소저장합금으로 되돌아간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수소 흡수,저장 시 팽창하고 방출 시 수축합니다 [해설작성자 : 태연]
10.
다이스강보다 더 우수한 금형재료이고, 소형물에 주로 사용하며 그 기호를 SKH로 사용하는 강은?
1.
탄소공구강
2.
합금공구강
3.
고속도공구강
4.
구상흑연주철
정답 : [
3
] 정답률 : 82%
11.
내열용 Al합금으로서 조성은 Al-Cu-Mg-Ni이며, 주로 피스톤에 사용되는 합금은?
1.
Y합금
2.
켈밋
3.
오일라이트
4.
화이트메탈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켈밋 : 주석 합금 오일라이트 : 구리 합금 화이트엠탈 : 주석 합금 [해설작성자 : 무적해병 황찬우]
<문제 해설> 용융점이란 열을 가하면 그 금속이 녹아서 액체로 될때의 온도를 말한다. -> 물질의 액상과 고상의 평형온도이다. 순금속에서 압력이 일정할 때 용융점은 일정하다. 저융점금속은 용융점이 231.9도 이하인 금속을 통칭한다. (즉,Sn의 융점을 기준으로 한다.) 고융점금속은 용융점이 2000도 이상의 금속을 뜻한다. 금속은 순금속을 뜻합니다. 특징으로 상온에서 보통 고체상태로 존해하고(수은제외) 연성,전성이 크기때문에 가공하는데 우수함. 광택이 존재하며 빛을 반사하는 능력이 우수함. 열전도율과 전기전도성이 우수함. 비중,경도가 크고 용융점이 높음. 합금은 탄소강에 한가지 이상의 원소를 첨가시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 금속이며 연성 및 전성이 작고 열전도율,전기전도성이 떨어진다. 용융점이 낮고 강도,경도,담금질 효과가 크다. 내열성,내산성,주조성이 뛰어남. -> 융점온도 1. 아연(Zn): 419도 , 2. Pb(납) : 327.6도 , 3. 몰리브덴(Mo) :2610도 , 4. 주석(Sn) : 232도 [해설작성자 : alloves]
2.
보자력이 큰 경질 자성재료에 해당되는 것은?
1.
희토류계자석
2.
규소강판
3.
퍼멀로이
4.
센더스트
정답 : [
1
] 정답률 : 70%
3.
36%Ni, 12%Cr이 함유된 철합금으로 온도 변화에 따른 탄성율의 변화가 거의 없어 지진계의 부품, 정밀 저울의 스프링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칸달(Kanthal)
2.
인바(invar)
3.
엘린바(elinvar)
4.
슈퍼인바(Super Invar)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칸달(Kanthal) : 전열선(電熱線) 재료의 하나. 철-크롬-알루미늄-코발트 합금인데, 철이 주성분이며 크롬 20%, 알루미늄 5%, 코발트 2%를 함유한다. 전열선으로는 니크롬선이 1,000℃ 정도까지의 용도에 널리 사용되나 칸탈선은 니크롬선보다 약간 내산화성이 뛰어나 1,250℃ 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다.
2.인바(invar) : 프랑스에서 발명한 Fe-Ni합금으로써 팽창계수가 극히 낮아,시계,계기 등에 쓰이고 있다. 성분함량은 Fe 63.5% , Ni 36% , Mn 0.5% 으로 녹는점은 1425도 이다. Ni 36%를 함유하는 Fe-Ni함금으로 상온에서 열팽창계수가 매우적고 내식성이 좋다. 사용으로는 줄자 , 시계의 진자 , 바이메탈 등
3.엘린바(elinvar) : Ni 36% , Cr 12%를 함유하는 Ni합금으로 상온에 있어서 실용상 탄성률이 불변하며 열팽창계수가 적기 때문에 크로노미터(항해하는 선박에서 사용하는 정밀시계) 등 단일 금속 밸런스로 사용된다.
4.슈퍼인바(Super Invar) : Ni 30.5~32.5%, Co 4~6% 와 Fe의 합금으로 열팽창 계수는 0.1 x 10 -6 (20도에서) 이다.
5.플라티나이트(platinite) : Ni 40~50% 와 Fe의 합금으로 열팽창계수가 5~910 -6 이며 전구의 도입선으로 사용된다. 또한 코버트, 페르니코 등도 이 종류의 합금이다.
6.퍼멀로이(Permalloy) : Ni 35~80% 함유한 Ni-Fe합금으로 , 고투자율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박판(0.35mm~0.025mm 두께)으로 공급되며 몰리브덴, 크롬 , 동 등등 첨가한 다원소 퍼멀로이도 있다. Ni 75~80%, Co 0.5% 함유, 약학 자장으로 큰 투자율을 가진다. 사용으로 해저전선의 장하코일용 , 자기헤드 , 쵸크 코일 , 변성기 ,릴레이 [해설작성자 : alloves]
4.
탄소강에서 가장 취약해지는 청열취성이 나타나는 온도 구간으로 옳은 것은?
1.
50~100℃
2.
200~300℃
3.
350~450℃
4.
500~600℃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청열취성은 yield drop이 일어나는 취성이다. 250 ∼ 400℃에서의 가공에서는 청열취성이 일어난다.
-탄소강의 탄성 계수,탄성 한계,항복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인장력은 200~300℃까지는 증가하지만 그 후에는 점차 감소한다. 신축 정도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여 인장력이 최대가 되는 점에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점차 다시 커진다. 또한 충격치는 200~300℃에서 가장 적다. 따라서 탄소강은 200~300℃에서 가장 취약해지며 이 온도 범위에서 생기는 산화막이 청색이기 때문에 청열 취성이라 한다. 따라서 청열취성 온도 구간에서 가공을 하게 되면 강선을 파단시키기 쉬운 까닭에 그 온도구간을 피해서 작업을 해야 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alloves]
5.
금속재료를 냉간가공 할 때 성질 변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항복강도가 증가한다.
2.
피로강도가 증가한다.
3.
전기전도율이 커진다.
4.
격자가 변형되어 이방성을 가지게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재질 및 조직의 변화 : 금속을 냉간에서 가공하면 조직의 미세화, 강도,경도의 증가, 치수 정도가 우수하며, 표면이 매끄러워지는 등 냉간 가공 정도에 따라 여러가지 성질이 변화한다. 냉간 가공 이전의 결정입자는 금속 내부에 남아있는 비금속 개재물 등과 함께 가공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며 방향성을 가진 섬유조직(fiber structure)으로 된다.
냉간 가공한 금속을 다시 가열하면 재결정이 형성되어 가공전의 연한 상태로 되돌아가는데 재결정이 끝난 결정 입자의 크기는 가공도와 가열온도, 가공전의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가열온도가 높을 수록 입자의 크기는 커지며, 금속의 결정구조에 따라 가공의 정도가 달라진다. 가장 가공하기 쉬운 결정은 면심 입방 격자이며, 체심 입방 격자, 조밀 육방 격자 순으로 작아진다.
- 기계적, 물리적 성질의 변화 : 냉간 가공도에 따른 기계적 성질의 변화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냉간 가공도에 따라 경도와 인장 강도, 항복 강도(내력)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연신율과 단면 수축율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물리적 성질인 전기 전도율이나 온도 계수는 가공도가 커짐에 따라서 경화할수록 낮아지며 전기 저항은 커진다. [해설작성자 : alloves]
소성가공도가 증가 → 내부조직에 전위 증가(자유전자의 이동을 방해) → 전기전도도 감소 [해설작성자 : 무적해병 황찬우]
6.
다음 중 전기 비저항이 가장 큰 것은?
1.
Ag
2.
Cu
3.
W
4.
Al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전기 비저항이 클수록 전기전도율은 감소합니다. 전기전도도 순서 : 은 > 구리> 금 > 알루미늄 > 마그네슘 > 아연 > 니켈 > 철 > ··· 텅스텐 [해설작성자 : 무적해병 황찬우]
7.
일반적인 분말 야금 공정의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성형→분말제조→소결→후가공
2.
분말제조→성형→소결→후가공
3.
성형→소결→분말제조→후가공
4.
분말제조→후가공→소결→성형
정답 : [
2
] 정답률 : 76%
8.
중(重)금속에 해당하는 것은?
1.
Al
2.
Mg
3.
Be
4.
Cu
정답 : [
4
] 정답률 : 64%
9.
수소저장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에틸렌을 수소화할 때 촉매로 쓸 수 있다.
2.
수소를 흡수·저장할 때 수축하고, 방출시 팽창한다.
3.
저장된 수소를 이용할 때에는 금속수소화물에서 방출시킨다.
4.
수소가 방출되면 금속수소화물은 원래의 수소저장합금으로 되돌아간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수소 흡수,저장 시 팽창하고 방출 시 수축합니다 [해설작성자 : 태연]
10.
다이스강보다 더 우수한 금형재료이고, 소형물에 주로 사용하며 그 기호를 SKH로 사용하는 강은?
1.
탄소공구강
2.
합금공구강
3.
고속도공구강
4.
구상흑연주철
정답 : [
3
] 정답률 : 82%
11.
내열용 Al합금으로서 조성은 Al-Cu-Mg-Ni이며, 주로 피스톤에 사용되는 합금은?
1.
Y합금
2.
켈밋
3.
오일라이트
4.
화이트메탈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켈밋 : 주석 합금 오일라이트 : 구리 합금 화이트엠탈 : 주석 합금 [해설작성자 : 무적해병 황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