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석, 암석 및 광물성 분진(석면분진제외) 중의 유리규산(SIO2)함유율을 분석하는 방법?
1.
불꽃광전자 검출기 (FPD)법
2.
계수법
3.
X-선 회절 분석법
4.
위상차 현미경법
정답 : [
3
] 정답률 : 51%
34.
다음은 작업장 소음 측정시간 및 횟수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 기준)
1.
2회 이상
2.
3회 이상
3.
4회 이상
4.
5회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소음측정 시간 및 횟수 기준 1. 단위작업장소에서 소음수준은 규정된 측정위치 및 지점에서 11일 작업시간 동안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하거나 작업 시간을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6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다만, 소음의 발생특성이 연속음으로서 측정치가 변동이 없다고 자격자 또는 지정측정기관이 판단한 경우에는 1시간 동안을 등간격으로 나누어 3회 이상 측정할 수 있다. 2. 단위작업장소에서의 소음발생시간이 6시간 이내인 경우나 소음발생원에서의 발생 시간이 간헐적인 경우에는 발생시간 동안 연속측정하거나 등간격으로 나누어 4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뗭이,, 아 더워]
35.
지역시료채취의 용어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 기준)
1.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중기, 분진, 흄, 미스트 등을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2.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 등을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3.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 등을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 등을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지역시료(areasampling) 1.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할 때 시료채취의 한 방법으로서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 증기, 분진, 흄, 미스트 등 유해인자를 근로자의 정상 작업위치 또는 작업행동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즉 단위작업장소에 시료채취기를 설치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이다. 2.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유해인자의 배경농도와 시간별 변화 등을 평가하며, 개인시료채취가 곤란한 경우 등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3. 지역시료채취기는 개인시료채취를 대신할 수 없으며 근로자의 노출정도를 평가할 수 없다. 4. 지역시료채취 적용 경우 - 유해물질의 오염원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환기시설의 성능을 평가하는 경우(작업환경 개선의 효과 측정) -개인시료채취가 곤란한 경우 -특정 공정의 계절별 농도변화 및 공정의 주기별 농도변화를 확인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뗭이의 타자연습]
36.
다음 중 표준기구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옳은 내용은?
1.
± 1%
2.
± 3%
3.
± 5%
4.
± 10%
정답 : [
1
] 정답률 : 53%
37.
작업환경측정 분석 시 발생하는 계통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불안정한 기기반응
2.
부적절한 표준액의 제조
3.
시약의 오염
4.
분석물질의 낮은 회수율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계통오차의 원인 1. 부적절한 표준물질 제조(시약의 오염) 2. 표준시료의 분해 3. 잘못된 검량선 4. 부적절한 기구 보정 5. 분석물질의 낮을 회수율 적용 6. 부적절한 시료채취 여재의 사용 [해설작성자 : 뗭이의 아이폰]
38.
TLV(Threshold Limit Values)는 ACGIH에서 권장하는 작업장의 노출농도기준으로써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TLV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기오염의 평가 및 관리에 적용하지 않는다.
2.
기존의 질병이나 육체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될 수 없으며 안전과 위험농도를 구분하는 경계선이 아니다.
3.
근로자가 주기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역 건강 효과가 있는 농도의 최대치로 정의 된다.
4.
정상작업시간을 초과한 노출에 대한 독성평가에는 적용할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39.
작업장내에서 발생되는 분진, 흄의 농도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석, 암석 및 광물성분진(석면분진 제외)의 농도는 여과포집방법에 의한 중량분석방법으로 측정한다.
2.
흄의 농도는 여과포집방법에 의한 중량분석 방법으로 측정하다.
3.
호흡성분진은 분립장치를 이용한 여과포집방법으로 측정한다.
4.
면분진의 농도는 여과포집방법을 이용하여 시료공기를 채취하고 계수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40.
회수율 실험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채취한 금속을 분석하는데 보정하는 실험이다. 다음 중 회수율을 구하는 식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3%
41.
유해한 작업환경에 대한 개선대책인 대치(substitution)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정의 변경
2.
시설의 변경
3.
작업자의 변경
4.
물질의 변경
정답 : [
3
] 정답률 : 80%
42.
일반적으로 작업장 신축 시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1.
1/2 ~ 1/3
2.
1/3 ~ 1/4
3.
1/5 ~ 1/7
4.
1/7 ~ 1/9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채광을 위한 창의 면적은 방바닥 면적의 15~20% (1/5 ~ 1/6)가 이상적이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방꾸미기]
43.
모 작업공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읍압수준이 110dB(A)이고 근로자는 귀덮개(NRR=17)를 착용하고 있다면 근로자에게 실제 노출되는 음압수준은?
공기 중에 발산된 분진입자는 중력에 의하여 침강하는데 stoke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Stoke 종말침전속도 식으로 맞는 것은? (단, P1:먼지밀도 P:공기밀도 u:공기의 동점성계수 y(다시check):먼지직경, g:중력가속도)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2%
45.
방진마스크의 올바른 사용법이라 할수 없는 것은?
1.
보관은 전용의 보관상자에 넣거나 깨끗한 비닐봉지에 넣는다.
2.
면체의 손질은 중성세제로 닦아 말리고 고무부분은 햇빛에 잘 말려 사용한다.
3.
필터의 수명은 환경상태나 보관정도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1개월 이내에 바꾸어 착용한다.
4.
필터에 부착된 분진은 세게 털지 말고 가볍게 털어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46.
작업환경개선의 기본원칙 중 대치(substitution)의 관리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정변경
2.
작업위치변경
3.
유해물질변경
4.
시설변경
정답 : [
2
] 정답률 : 58%
47.
가로15m, 세로 25m, 높이 3m인 어느 작업장의 음의 잔향시간을 측정해 보니 0.238sec였다. 이작업장의 총흡음력(sound absorption)을 51.6%로 증가시키면 잔향시간은 몇 sec가 되겠는가?
1.
0.157
2.
0.183
3.
0.196
4.
0.217
정답 : [
1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잔향시간(T) = 0.161 x V / A 0.238 = 0.161 x (15 x 25 x 3)m^3 총 흡음력(A) = 761.03m^2 (sabins) = 0.161 x (15 x 25 x 3) / 761.03 x (1.516) =0.157sec [해설작성자 : 뗭이의 math]
48.
작업장에서 발생된 분진에 대한 작업환경관리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소배기 장치의 설치
2.
발생원의 밀폐
3.
방독마스크의 지급 및 착용
4.
전체환기
정답 : [
3
] 정답률 : 80%
49.
작업호나경관리의 유해요인 중에서 물리학적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진
2.
전리방사선
3.
기온
4.
조명
정답 : [
1
] 정답률 : 42%
50.
전리방사선의 장애와 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선 노출수준을 거리에 반비례하여 증가하므로 발생원과의 거리를 관리하여야 한다.
2.
방사선의 측정은 Geiger Muller counte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3.
개인 근로자의 피폭량은 pocket dosimeter, film badge등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4.
기준 초과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경보 장치를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51.
열증증 질환 중 열피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혈 중 염소농도는 정상이다.
2.
체온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
말초혈관 확장에 따른 요구 증대만큼의 혈관운동 조절이나 심박출력의 증대가 없을 때 발생한다.
4.
탈수로 인하여 혈장량이 급격히 증가할 때 발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혈장량이 급격히 증가 X 혈장량이 감소 O [해설작성자 : 김효준]
52.
고압환경의 영향 중 2차적인 가압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질소마취
2.
산소중독
3.
폐내 가스 팽창
4.
이산화탄소 중독
정답 : [
3
] 정답률 : 79%
53.
비중 5인 입자의 직경이 3um인 먼지가 다른 방해기류가 없이 층류이동을 할 때 50cm의 침강 챔버에 가라앉는 시간을 이론적으로 계산하면 얼마가 되는가?
1.
약3분
2.
약6분
3.
약12분
4.
약24분
정답 : [
2
] 정답률 : 50%
54.
다음 조건에서 방독마스크의 사용 가능 시간은?(단, 공기중의 사염화탄소 농도는 0.2%, 사용 정화통의 정화능력은 사염화탄소 0.71%에서 50분간 사용가능)
다음 중 일반적으로 송풍기의 소요동력 (Kw)을 구하고자 할 때 관여되는 주요 인자로 볼수 없는 것은?
1.
풍량
2.
송풍기의 유효전압
3.
송풍기의 효율
4.
송풍기의 종류
정답 : [
4
] 정답률 : 70%
70.
작업장의 크기가 12m×22m×45m 인 곳에서 톨루엔 농도가 400ppm이다. 이 작업장으로 600m3/min의 공기가 유입되고 있다면 톨루엔 농도를 100ppm까지 낮추는데 필요한 환기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와 톨루엔은 완전 혼합된다고 가정 한다.)
1.
27.45분
2.
31.44분
3.
35.45분
4.
39.44분
정답 : [
1
] 정답률 : 38%
71.
다음 중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판송풍기는 타 송풍기에 비하여 효율이 낮아 미분탄, 톱밥 등을 비롯한 고농도 분진이나 마모성이 강한 분진의 이송용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2.
원심송풍기로는 다익팬, 레이디얼팬, 터보팬 등이 해당된다.
3.
터보형 송풍기는 압력 변동이 있어서 풍량의 변화가 비교적 작다.
4.
다익형 송풍기는 구조상 고속회전이 어렵고, 큰 동력의 용도에서 적합하지 않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 있어서 를 있어도 로 수정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72.
접착제를 사용하는 A공정에서는 메틸에틸케톤(MEK)과 톨루엔이 발생, 공기 중으로 완전 혼합된다. 두 물질은 모두 마취작용을 나타내므로 상가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며, 각 물질의 사용정보가 다음과 같을 떄 필요한환기량(m3/min)은 약 얼마 인가? (단, 주위는 25℃, 1기압 상태이다.)
1.
181.9
2.
557.0
3.
764.5
4.
946.4
정답 : [
4
] 정답률 : 44%
73.
그림과 같이 Q1과 Q2에서 유입된 기류가 합류관인 Q3로 흘러갈 때, Q3의 유량(m3/min)은 약 얼마인가? (단, 합류와 확대에 의한 압력손실은 무시한다.)
1.
33.7
2.
36.3
3.
38.5
4.
40.2
정답 : [
1
] 정답률 : 55%
74.
국소배기장치 검사에 공기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유속계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
그네 날개형
2.
회전 날개형
3.
열선 풍속계
4.
연기 발생기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열선 풍속계 1. 미세한 백금 또는 텅스텐의 금속선이 공기와 접촉하여 금속의 온도가 변하고 이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하여 유속을 측정한다. 따라서 기류속도가 낮을 때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2. 가열된 공기가 지나가면서 빼앗는 열의 양은 공기의 속도에 비례한다는 원리를 이용하며 국소배기장치 검사에 공기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 중 가장 많이 사용된다. 3. 속도센서 및 온도센서로 구성된 프로브를 사용하며 프로브는 급기, 배기 개구부에서 직접 공기의 속도 측정, 저유속 측정, 실내공기 흐름 측정, 후드 유속을 측정하는 데 사용한다. 4. 부식성 환경, 가연성 환경, 분진량이 많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저스트두잇]
75.
다음 중 필요환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후드의 선택 지침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가급적이면 공정을 많이 포위한다.
2.
포집형 후드는 가급적 배출 오염원 가까이에 설치한다.
3.
후드 개구면의 속도는 빠를수록 효율적이다.
4.
후드 개구면에서 기류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설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후드 선택 시 유의사항(후드의 선택지침) 1. 필요환기량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2. 작업자의 호흡영역을 유해물질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3. ACGIH 및 OSHA의 설계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4. 작업자의 작업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5. 상당거리 떨어져 있어도 제어할 수 있다는 생각, 공기보다 무거운 증기는 후드 설치위치를 작업장 바닥에 설치해야 한다는 생각의 설계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6. 후드는 덕트보다 두꺼운 재질을 선택하고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고려하여 후드 재료를 선정한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풋사과]
76.
다음 중 제어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어속도가 높을수록 경제적이다.
2.
제어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송풍기 용량의 증가는 불가피하다.
3.
외부식 후드에서 후드와 작업지점과의 거리를 줄이면 제어속도가 증가한다.
4.
유해물질을 실내의 공기 중으로 분산시키지 않고 후드 내로 흡인하는데 필요한 최대기류 속도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77.
후드의 유입손실계수가 0.8, 덕트 내의 공기흐름속도가 20m/s 일 때 후드의 유입압력손실은 약 몇 mmH2O인가? (단, 공기의 비중량은 1.2Kgf/m3이다.)
전자부품을 납땜하는 공정에 외부식 국소배기 장치를 설치하려 한다. 후드의 규격은 가로세로 각각 400mm 이고, 제어거리는 20cm, 제어속도는 0.5m/s, 반응속도를 1200m/min으로 하고자 할 때 필요소요풍량(m3/min)은 약 얼마인가? (단, 플랜지는 없으며 공간에 설치한다.)
1.
13.2
2.
15.6
3.
16.8
4.
18.4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토석, 암석 및 광물성 분진(석면분진제외) 중의 유리규산(SIO2)함유율을 분석하는 방법?
1.
불꽃광전자 검출기 (FPD)법
2.
계수법
3.
X-선 회절 분석법
4.
위상차 현미경법
정답 : [
3
] 정답률 : 51%
34.
다음은 작업장 소음 측정시간 및 횟수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 기준)
1.
2회 이상
2.
3회 이상
3.
4회 이상
4.
5회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소음측정 시간 및 횟수 기준 1. 단위작업장소에서 소음수준은 규정된 측정위치 및 지점에서 11일 작업시간 동안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하거나 작업 시간을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6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다만, 소음의 발생특성이 연속음으로서 측정치가 변동이 없다고 자격자 또는 지정측정기관이 판단한 경우에는 1시간 동안을 등간격으로 나누어 3회 이상 측정할 수 있다. 2. 단위작업장소에서의 소음발생시간이 6시간 이내인 경우나 소음발생원에서의 발생 시간이 간헐적인 경우에는 발생시간 동안 연속측정하거나 등간격으로 나누어 4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뗭이,, 아 더워]
35.
지역시료채취의 용어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 기준)
1.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중기, 분진, 흄, 미스트 등을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2.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 등을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3.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 등을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 등을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지역시료(areasampling) 1.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할 때 시료채취의 한 방법으로서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 증기, 분진, 흄, 미스트 등 유해인자를 근로자의 정상 작업위치 또는 작업행동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즉 단위작업장소에 시료채취기를 설치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이다. 2.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유해인자의 배경농도와 시간별 변화 등을 평가하며, 개인시료채취가 곤란한 경우 등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3. 지역시료채취기는 개인시료채취를 대신할 수 없으며 근로자의 노출정도를 평가할 수 없다. 4. 지역시료채취 적용 경우 - 유해물질의 오염원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환기시설의 성능을 평가하는 경우(작업환경 개선의 효과 측정) -개인시료채취가 곤란한 경우 -특정 공정의 계절별 농도변화 및 공정의 주기별 농도변화를 확인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뗭이의 타자연습]
36.
다음 중 표준기구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옳은 내용은?
1.
± 1%
2.
± 3%
3.
± 5%
4.
± 10%
정답 : [
1
] 정답률 : 53%
37.
작업환경측정 분석 시 발생하는 계통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불안정한 기기반응
2.
부적절한 표준액의 제조
3.
시약의 오염
4.
분석물질의 낮은 회수율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계통오차의 원인 1. 부적절한 표준물질 제조(시약의 오염) 2. 표준시료의 분해 3. 잘못된 검량선 4. 부적절한 기구 보정 5. 분석물질의 낮을 회수율 적용 6. 부적절한 시료채취 여재의 사용 [해설작성자 : 뗭이의 아이폰]
38.
TLV(Threshold Limit Values)는 ACGIH에서 권장하는 작업장의 노출농도기준으로써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TLV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기오염의 평가 및 관리에 적용하지 않는다.
2.
기존의 질병이나 육체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될 수 없으며 안전과 위험농도를 구분하는 경계선이 아니다.
3.
근로자가 주기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역 건강 효과가 있는 농도의 최대치로 정의 된다.
4.
정상작업시간을 초과한 노출에 대한 독성평가에는 적용할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39.
작업장내에서 발생되는 분진, 흄의 농도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석, 암석 및 광물성분진(석면분진 제외)의 농도는 여과포집방법에 의한 중량분석방법으로 측정한다.
2.
흄의 농도는 여과포집방법에 의한 중량분석 방법으로 측정하다.
3.
호흡성분진은 분립장치를 이용한 여과포집방법으로 측정한다.
4.
면분진의 농도는 여과포집방법을 이용하여 시료공기를 채취하고 계수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40.
회수율 실험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채취한 금속을 분석하는데 보정하는 실험이다. 다음 중 회수율을 구하는 식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3%
41.
유해한 작업환경에 대한 개선대책인 대치(substitution)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정의 변경
2.
시설의 변경
3.
작업자의 변경
4.
물질의 변경
정답 : [
3
] 정답률 : 80%
42.
일반적으로 작업장 신축 시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1.
1/2 ~ 1/3
2.
1/3 ~ 1/4
3.
1/5 ~ 1/7
4.
1/7 ~ 1/9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채광을 위한 창의 면적은 방바닥 면적의 15~20% (1/5 ~ 1/6)가 이상적이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방꾸미기]
43.
모 작업공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읍압수준이 110dB(A)이고 근로자는 귀덮개(NRR=17)를 착용하고 있다면 근로자에게 실제 노출되는 음압수준은?
공기 중에 발산된 분진입자는 중력에 의하여 침강하는데 stoke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Stoke 종말침전속도 식으로 맞는 것은? (단, P1:먼지밀도 P:공기밀도 u:공기의 동점성계수 y(다시check):먼지직경, g:중력가속도)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2%
45.
방진마스크의 올바른 사용법이라 할수 없는 것은?
1.
보관은 전용의 보관상자에 넣거나 깨끗한 비닐봉지에 넣는다.
2.
면체의 손질은 중성세제로 닦아 말리고 고무부분은 햇빛에 잘 말려 사용한다.
3.
필터의 수명은 환경상태나 보관정도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1개월 이내에 바꾸어 착용한다.
4.
필터에 부착된 분진은 세게 털지 말고 가볍게 털어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46.
작업환경개선의 기본원칙 중 대치(substitution)의 관리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정변경
2.
작업위치변경
3.
유해물질변경
4.
시설변경
정답 : [
2
] 정답률 : 58%
47.
가로15m, 세로 25m, 높이 3m인 어느 작업장의 음의 잔향시간을 측정해 보니 0.238sec였다. 이작업장의 총흡음력(sound absorption)을 51.6%로 증가시키면 잔향시간은 몇 sec가 되겠는가?
1.
0.157
2.
0.183
3.
0.196
4.
0.217
정답 : [
1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잔향시간(T) = 0.161 x V / A 0.238 = 0.161 x (15 x 25 x 3)m^3 총 흡음력(A) = 761.03m^2 (sabins) = 0.161 x (15 x 25 x 3) / 761.03 x (1.516) =0.157sec [해설작성자 : 뗭이의 math]
48.
작업장에서 발생된 분진에 대한 작업환경관리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소배기 장치의 설치
2.
발생원의 밀폐
3.
방독마스크의 지급 및 착용
4.
전체환기
정답 : [
3
] 정답률 : 80%
49.
작업호나경관리의 유해요인 중에서 물리학적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진
2.
전리방사선
3.
기온
4.
조명
정답 : [
1
] 정답률 : 42%
50.
전리방사선의 장애와 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선 노출수준을 거리에 반비례하여 증가하므로 발생원과의 거리를 관리하여야 한다.
2.
방사선의 측정은 Geiger Muller counte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3.
개인 근로자의 피폭량은 pocket dosimeter, film badge등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4.
기준 초과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경보 장치를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51.
열증증 질환 중 열피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혈 중 염소농도는 정상이다.
2.
체온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
말초혈관 확장에 따른 요구 증대만큼의 혈관운동 조절이나 심박출력의 증대가 없을 때 발생한다.
4.
탈수로 인하여 혈장량이 급격히 증가할 때 발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혈장량이 급격히 증가 X 혈장량이 감소 O [해설작성자 : 김효준]
52.
고압환경의 영향 중 2차적인 가압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질소마취
2.
산소중독
3.
폐내 가스 팽창
4.
이산화탄소 중독
정답 : [
3
] 정답률 : 79%
53.
비중 5인 입자의 직경이 3um인 먼지가 다른 방해기류가 없이 층류이동을 할 때 50cm의 침강 챔버에 가라앉는 시간을 이론적으로 계산하면 얼마가 되는가?
1.
약3분
2.
약6분
3.
약12분
4.
약24분
정답 : [
2
] 정답률 : 50%
54.
다음 조건에서 방독마스크의 사용 가능 시간은?(단, 공기중의 사염화탄소 농도는 0.2%, 사용 정화통의 정화능력은 사염화탄소 0.71%에서 50분간 사용가능)
다음 중 일반적으로 송풍기의 소요동력 (Kw)을 구하고자 할 때 관여되는 주요 인자로 볼수 없는 것은?
1.
풍량
2.
송풍기의 유효전압
3.
송풍기의 효율
4.
송풍기의 종류
정답 : [
4
] 정답률 : 70%
70.
작업장의 크기가 12m×22m×45m 인 곳에서 톨루엔 농도가 400ppm이다. 이 작업장으로 600m3/min의 공기가 유입되고 있다면 톨루엔 농도를 100ppm까지 낮추는데 필요한 환기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와 톨루엔은 완전 혼합된다고 가정 한다.)
1.
27.45분
2.
31.44분
3.
35.45분
4.
39.44분
정답 : [
1
] 정답률 : 38%
71.
다음 중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판송풍기는 타 송풍기에 비하여 효율이 낮아 미분탄, 톱밥 등을 비롯한 고농도 분진이나 마모성이 강한 분진의 이송용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2.
원심송풍기로는 다익팬, 레이디얼팬, 터보팬 등이 해당된다.
3.
터보형 송풍기는 압력 변동이 있어서 풍량의 변화가 비교적 작다.
4.
다익형 송풍기는 구조상 고속회전이 어렵고, 큰 동력의 용도에서 적합하지 않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 있어서 를 있어도 로 수정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72.
접착제를 사용하는 A공정에서는 메틸에틸케톤(MEK)과 톨루엔이 발생, 공기 중으로 완전 혼합된다. 두 물질은 모두 마취작용을 나타내므로 상가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며, 각 물질의 사용정보가 다음과 같을 떄 필요한환기량(m3/min)은 약 얼마 인가? (단, 주위는 25℃, 1기압 상태이다.)
1.
181.9
2.
557.0
3.
764.5
4.
946.4
정답 : [
4
] 정답률 : 44%
73.
그림과 같이 Q1과 Q2에서 유입된 기류가 합류관인 Q3로 흘러갈 때, Q3의 유량(m3/min)은 약 얼마인가? (단, 합류와 확대에 의한 압력손실은 무시한다.)
1.
33.7
2.
36.3
3.
38.5
4.
40.2
정답 : [
1
] 정답률 : 55%
74.
국소배기장치 검사에 공기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유속계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
그네 날개형
2.
회전 날개형
3.
열선 풍속계
4.
연기 발생기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열선 풍속계 1. 미세한 백금 또는 텅스텐의 금속선이 공기와 접촉하여 금속의 온도가 변하고 이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하여 유속을 측정한다. 따라서 기류속도가 낮을 때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2. 가열된 공기가 지나가면서 빼앗는 열의 양은 공기의 속도에 비례한다는 원리를 이용하며 국소배기장치 검사에 공기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 중 가장 많이 사용된다. 3. 속도센서 및 온도센서로 구성된 프로브를 사용하며 프로브는 급기, 배기 개구부에서 직접 공기의 속도 측정, 저유속 측정, 실내공기 흐름 측정, 후드 유속을 측정하는 데 사용한다. 4. 부식성 환경, 가연성 환경, 분진량이 많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저스트두잇]
75.
다음 중 필요환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후드의 선택 지침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가급적이면 공정을 많이 포위한다.
2.
포집형 후드는 가급적 배출 오염원 가까이에 설치한다.
3.
후드 개구면의 속도는 빠를수록 효율적이다.
4.
후드 개구면에서 기류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설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후드 선택 시 유의사항(후드의 선택지침) 1. 필요환기량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2. 작업자의 호흡영역을 유해물질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3. ACGIH 및 OSHA의 설계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4. 작업자의 작업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5. 상당거리 떨어져 있어도 제어할 수 있다는 생각, 공기보다 무거운 증기는 후드 설치위치를 작업장 바닥에 설치해야 한다는 생각의 설계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6. 후드는 덕트보다 두꺼운 재질을 선택하고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고려하여 후드 재료를 선정한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풋사과]
76.
다음 중 제어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어속도가 높을수록 경제적이다.
2.
제어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송풍기 용량의 증가는 불가피하다.
3.
외부식 후드에서 후드와 작업지점과의 거리를 줄이면 제어속도가 증가한다.
4.
유해물질을 실내의 공기 중으로 분산시키지 않고 후드 내로 흡인하는데 필요한 최대기류 속도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77.
후드의 유입손실계수가 0.8, 덕트 내의 공기흐름속도가 20m/s 일 때 후드의 유입압력손실은 약 몇 mmH2O인가? (단, 공기의 비중량은 1.2Kgf/m3이다.)
전자부품을 납땜하는 공정에 외부식 국소배기 장치를 설치하려 한다. 후드의 규격은 가로세로 각각 400mm 이고, 제어거리는 20cm, 제어속도는 0.5m/s, 반응속도를 1200m/min으로 하고자 할 때 필요소요풍량(m3/min)은 약 얼마인가? (단, 플랜지는 없으며 공간에 설치한다.)
1.
13.2
2.
15.6
3.
16.8
4.
18.4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