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상가적 유전자 작용은 비대립 유전자간에 일어나는 우성도가 불완전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유전자의 수에 비례해 여러 가지 정도의 중간형 형질이 발현되는 작용입니다. 우성 유전자 작용은 대립 유전자간 일어나는 현상으로, 우성 유전자를 보유한 경우 수에 관계 없이 같은 형질이 발현됩니다. 상위성 유전자 작용은 비대립 유전자간 일어나는 한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가리거나 바꾸는 현상입니다. 비대립 유전자간 상호작용의 유형으로는 보족, 조건, 피복, 중복, 복수, 억제 유전자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쿤]
9.
다음 중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형질을 지배하는 현상을 설명한 것은?
1.
유전자의 다면작용
2.
두 유전자좌간의 연관
3.
유전자 상위성
4.
혈액형 유전자좌에서의 이형접합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다면작용은 단 1개의 유전자가 2개 이상의 형지발현에 관계하는 경우의 유전자작용이다.
작용이 비슷하여 동일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동일한 혈질을 나타내는 두 쌍 이상의 독립유전자를 동의 유전자(polymery)라고 한다. 다음 중 동의 유전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상위유전자(epistatic gene)
2.
복다유전자(multiple gene)
3.
중다유전자(poly gene)
4.
중복유전자(duplicate gene)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0. 동의유전자: 중복유전자, 복다유전자, 중자유전자
13.
흑색무각인 애버딘앵거스종(♀)을 적색유각인 레드쇼트혼종(♂)과 교배시켰더니 10두의 송아지 중 6두는 흑색무각이였고, 4두는 흑색유각 송아지였다. 모색은 흑색 유전자(B)가 적색유전자(b)에 대하여 우성으로 작용하며, 뿔은 무각 유전자(P)가 유각 유전자 (p)에 대하여 우성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흑색 무각인 애버딘앵거스종 소의 유전자형은?
1.
BBPP
2.
BBPp
3.
BbPP
4.
BbPp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흑색무각과 적색유각(bbpp)를 교배한 F1에서 유각(pp)이 나왔으므로 흑색무각에 p 유전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흑색무각에서 무각은 Pp. F1에서 전부 흑색이 나왔으므로, 흑색무각에서 흑색이 BB여야 적색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므로 흑색무각의 유전자형은 BBPp [해설작성자 : 애봉]
14.
근친교배의 위험성을 가장 적게 할 수 있는 교배법은?
1.
가계선발
2.
후대검정
3.
가계 내 선발
4.
상반반복 선발법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가계내 선발은 가계선발과 정반대 선발방법, 가계능력을 무시하고 가계 내 개체들의 능력을 비교하여 선발, 폐쇄된 집단 내에서 선발 실시할때 근교계수의 상응을 낮게하는데 가장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쉼표]
15.
돼지의 품종간 교배에서 잡종강세 효과가 가장 현저한 형질은?
1.
사료효율
2.
생존 자돈의 생시체중
3.
1복당 이유시 전체체중
4.
1복당 생존 자돈의 수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잡종강세 효과가 낮은 형질은 유전력이 낮은 형질로 볼 수 있다. 돼지의 유전력의 크기를 비교하면 등지방두께>체장>사료효율>산자수>이유시체중 순이므로 유전력이 가장 낮은 1복당 이유시 전체 체중이 잡종강세 효과가 낮다고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다쿤]
16.
유전상관이 부(負)의 관계인 형질들은?
1.
닭의 산란수와 초산일령
2.
돼지의 체중과 등지방층 두께
3.
소의 체중과 사료섭취량
4.
닭의 체중과 난중
정답 : [
1
] 정답률 : 70%
17.
어떤 양계장에서 산란계의 수수가 6월 1일에 100수였는데 6월 5일에 2수, 6월 15일에 3수가 죽었으며, 7월 중 총 산란수가 2280개라면 이 양계장의 6월 중산란지수(hen house egg production)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중산란지수 = 7월 총 산란수 / 6월 평균 산란계 수 = 2280개 / 96.67수 = 약 23.58개/수 [해설작성자 : nllab]
18.
근친교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번식능력 저하
2.
이형접합체의 비율 감소
3.
동형접합체의 비율 증가
4.
강건한 자손 생산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근친교배의 유전적 효과 -유전자의 호모성(동형접합체)을 증가, 헤테로성(이형접합체)을 감소시킨다. -가축에 있어서 근친도가 높아짐에 따라 각종 치사유전자와 기형 발현빈도가 높아지며, 번식능력,성장률,산란능력,생존율 등이 저하된다. [해설작성자 : aldo96]
19.
다음 혈통도에서 A의 근교계수는 얼마인가?(단, 반형매간 교배에 의하여 생산된 자손의 근교계수를 나타낸다.)
1.
0.5
2.
0.25
3.
0.125
4.
0.0625
정답 : [
3
] 정답률 : 73%
20.
다음 선발방법 중 가계선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계별 평균 능력을 계산하고 우수한 가계를 선발 한다.
2.
전체 집단에서 능력이 우수한 개체만을 선발한다.
3.
각 가계 내에서 우수한 개체를 골라 선발한다.
4.
가급적 많은 수의 가계를 선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21.
소에 있어서 비외과적 방법으로 수정란 이식을 하기 위하여 채란하는 적절한 시기는?
1.
수정 후 6~8일
2.
수정 후 4~5일
3.
수정 후 2~3일
4.
수정 후 9~10일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비외과적으로 수정란을 회수하기 위하여 수정란 이식에 가장 적합한 수정란의 채란시기는 수정 후 6~7일이다.
22.
포유동물에서 배란직전에 혈중농도가 급상승하여 배란을 유도하는 정의 피드백작용을 하는 뇌하수체 호르몬과 난소 호르몬을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1.
LH, progesterone
2.
LH, estrogen
3.
FSH, progesterone
4.
FSH, estrogen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FSH에 의해 난포가 성장을 하고 성장된 난포에선 에스트로겐이 분비되며 난포로부터 분비된 에스트로겐은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LH를 분비하게 한다. 황체 형성 호르몬인 LH는 난자 배출인 배란을 유도하고, 난자가 배출된 후 난포가 사라지며 에스트로겐 농도가 낮아지고 황체로 변화한 뒤 착상을 돕기 위해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한다. 더 시간이 지나면 황체는 백체가 되어 프로게스테론 분비도 줄어든다. 배란을 유도하는 정의 피드백 호르몬은 난소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뇌하수체 호르몬인 LH이다. [해설작성자 : 다쿤]
<문제 해설> 소의 발정 지속시간은 평균 20시간이고 정상적인 사양관리를 하는 소는 18~20시간 정도이다.
29.
제1차 성숙분열이 완성되기 전에 배란이 일어나는 동물은?
1.
개
2.
소
3.
닭
4.
돼지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1차 성숙분열 난모세포 : 개, 여우 - 1차 성숙분열(감수분열) 전기 : 많은 곤충 - 2차 성숙분열(감수분열) 중기 : 사람, 포유동물 - 성숙한 난자 : 말미잘, 성게 - 갯지렁이는 종에 따라 배란 및 수정되는 시기가 다름 [해설작성자 : 원큐에]
30.
대부분의 포유동물에서 사정되는 정액 중 대부분은 이곳에서 분비되며 특히 정액에서 검출되는 prostaglandin 도 이곳에서 분비된다. 이곳이란 어느 부위인가?
1.
정낭선
2.
전립선
3.
카우퍼선
4.
정소상체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장기나 체액 속에 널리 분포하면서 극히 미량으로 생리작용을 한다. PG라고 약칭한다. 1930년 미국의 산부인과 이사인 클츠록이 사람의 정액에 자궁을 수축,이완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후에 그 유효성분이 전립선에서 나온다고 생각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1950년대에 들어 스웨덴의 S.베리스트렘이 양의 정낭성에서 PG를 추출하고 결정화하는데 성공하였으며, 현재는 화학적 합성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처음 prostaglandin을 발견했을 때 전립선(Prostate)에서 나온다고 생각해서 명칭을 prostaglandin이라고 지었는데 이후 전립선이 아니라 정낭선에서 분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해설작성자 : 강세구]
31.
정자가 암가축의 생식기관 내에서 수정능력을 획득할 때 주로 변화되는 부분은?
1.
두부
2.
중편부
3.
주부
4.
종부
정답 : [
1
] 정답률 : 80%
32.
태아순환과 모체순환을 이간시키고 있는 조직층을 태반장벽(placental barrier)이라 하는데 이 장벽의 구조에 따라 태반을 조직학적으로 분류한다. 다음 중 토끼에 해당하는 것은?
1.
혈액내피성태반
2.
혈액융모성태반
3.
내피융모성태반
4.
상피융모성태반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0. 태반의 형태 - 조직층의 수에 따라 - 상피융모성 태반: 말, 돼지 - 인대융모성 태반: 소, 면양, 산양 - 내피융모성 태반: 고양이, 개, 족제비류 - 형액융모성 태반: 영장류 - 혈액내피성 태반: 토끼, 기니피그와같은 설치류
33.
다음 중 가축의 성성숙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동일한 가축에서 체구가 작은 품종이 큰 품종보다 성성숙이 빠르다.
2.
순종가축보다 잡종가축이 성성숙이 빠르다.
3.
저영양수준은 성성숙을 빠르게 한다.
4.
체중보다 연령이 성성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성성숙 도달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빠름: 수명이 짧을수록, 체구가 작을수록, 교잡종일수록, 영양수준이 높을수록, 적정온도일 때, 암수 합사일 경우 느림: 수명이 길수록, 체구가 클수록, 순종일수록, 영양수준이 낮을수록, 극단적인 고온 or 저온일 때, 암수 합사를 하지 않을 경우
여기서 보기를 보면 '1번)동일한 가축에서 체구가 작은 품종이 큰 품종보다 성성숙이 빠르다'는 맞는 표현입니다 그러나, '2번)순종가축보다 잡종가축이 성성숙이 빠르다' 또한 맞는 표현이기 때문에 정답은 1번과 2번 모두 복수정답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문제정답 확인 시 1번이 정답으로 표시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2번의 올바른 표현은 '잡종가축보다 순종가축이 성성숙이 빠르다' 또는 '순종가축보다 잡종가축이 성성숙이 느리다' 둘 중 하나의 표현으로 고치는 것이 수험생들의 혼선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옳은 것을 고르는 문제이기에 틀린 지문으로 바꾼다면) [해설작성자 : 얼룩이]
[추가 오류 신고] 1,2 번 둘다 답 [해설작성자 : 샤샤]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반추동물에 있어서 위(胃) 내용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희석된 상태의 내용물을 농축시켜 다음 소화기관에서 소화작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곳은?
1.
제1위
2.
제2위
3.
제3위
4.
제4위
정답 : [
3
] 정답률 : 53%
55.
반추위내 미생물이 생성하는 휘발성 지방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휘발성 지방산의 조성은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에 따라 크게 변한다.
2.
조사료의 급여비율이 높아지면 대사효율이 가장 높은 프로피온산 생성량이 증가한다.
3.
pH가 낮으면 휘발성지방산은 이온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빨리 흡수된다.
4.
젖소에 있어서 휘발성지방산의 일일 총생산량은 건우유가 30~40mol, 착우유가 108mol 정도라고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조사료의 비율이 높아지면 초산이 증가하고 농후사료의 비율이 높으면 프로피온산이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해공지로]
56.
유지방합성에 중요한 전구물질은?
1.
propionic acid
2.
palmitic acid
3.
acetic acid
4.
butyric aicd
정답 : [
3
] 정답률 : 70%
57.
몰가드(Mollgard) 사료단위는 소의 비육에 있어서 1kg의 전분가는 몇 kcal의 정미에너지에 해당하는가?
1.
2265kcal
2.
2365kcal
3.
2465kcal
4.
2565kcal
정답 : [
2
] 정답률 : 61%
58.
가축의 생명활동과 생산활동에 미치는 요인 중 기후는 매우 중요하다. 고온다습한 우리나라의 여름철 가축의 관리에 있어서 그날의 불쾌지수를 계산하여 가축의 스트레스 정도를 예측하여 적절한 조치를 해주어야 한다. 축사 내에 걸어둔 온도계를 보니 건구가 31°C 습구가 25°C였다. 이 때의 불쾌지수는 얼마인가?
1.
80.92
2.
83.30
3.
84.28
4.
85.4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0. 불쾌지수: (건구온도+습구온도)*0.72+40.6
- (31+25)*0.72+40.6 = 80.92
59.
다음 사료 중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1.
채종박
2.
대두박
3.
아마박
4.
임자박
정답 : [
2
] 정답률 : 81%
60.
다음 지용성 비타민 중 결핍시에 야맹증이나 안질 장해를 유도하는 물질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D
3.
비타민 E
4.
비타민 K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비타민A-야맹증,안질장애,번식장애,상피세포 및 점막의 경화 비타민D-구루병,비정상적인 골격 형성 비타민E-번식장애,근육위축증 비타민K-혈액응고지연,내출혈
61.
우량건초의 품질로서 부적당한 것은?
1.
감촉이 유연하고 탄력이 있다.
2.
잎의 비율이 높고 녹색을 띤다.
3.
수분함량이 30%정도이고 갈색을 띤다.
4.
엽부비율은 레드클로버에서 출뢰기에 40% 이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건초는 수분함량이 15% 이하이고 자연색에 가까운 녹색을 띠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bb]
62.
사료작물을 청예용으로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종류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수단그라스, 리드커너리그래스
2.
켄터키블루그래스, 귀리, 호밀
3.
오차드그라스, 티머시, 페레니얼라이그래스
4.
옥수수, 벤트그래스, 화이트클로버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알팔파, 오처드그래스, 브롬그래스,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수단그래스, 호밀, 귀리, 유채 등이 청예로 이용할 수 있는 초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것은?
1.
열대성 작물로 기온이 높은 기후를 좋아한다.
2.
환경 적응범위가 넓어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다.
3.
가소화 양분수량이 많고 파종에서 수확까지 기계화 작업이 용이하다.
4.
단백질의 함량이 높아 사일리지를 제조하기에 유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옥수수는 다른 곡류에 비해 단백질이 낮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은 사일리지 제조에 알맞지 않다. [해설작성자 : 유월]
64.
다음 중 소화율이 가장 낮은 세포벽 구성 물질은?
1.
전분
2.
펙틴
3.
가소화단백질
4.
셀룰로오스
정답 : [
4
] 정답률 : 69%
65.
사일리지 제조시 재료를 세절하는 이유가 될 수 없는 것은?
1.
재료의 압착
2.
공기의 배제
3.
첨가물의 균일한 혼합
4.
절단기의 활용
정답 : [
4
] 정답률 : 66%
66.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기술을 서술한 것 중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가능한 한 파종시기를 늦게한다.
2.
모든 품종은 파종량을 늘릴수록 수량이 많다.
3.
인력 및 기계 파종간격은 최대한 좁게 한다.
4.
사질토양은 다른 토양보다 파종 깊이를 깊게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옥수수는 가능한 일찍 파종해야한다.
어린 싹이 늦서리의 피해를 받지 않는 벙위 내에서 가능한 일찍 파종해야한다. 이랑폭 인력파종은 60cm, 기계화파종은 70~75cm, 포기사이 15~20cm 사질토양은 다른 토양보다 파종깊이를 깊게 한다.
67.
겉뿌림법으로 초지를 조성하려 한다. 옳은 순서대로 된 것은?
1.
A → C → D → B
2.
C → D → B → A
3.
B → A → C → D
4.
D → C → A →B
정답 : [
2
] 정답률 : 72%
68.
방목개시 적기와 관계가 먼 것은?
1.
초장이 20~25cm일 때
2.
일시적인 가공 및 저장이 어려운 조건이라면 ha당 생초생산량이 3톤일 때
3.
과잉생산된 목초가 일시에 처리가 가능한 조건에서는 ha당 생초생산량이 5톤일 때
4.
초기생육이 빠른 라이그라스가 혼파 된 초지라면 늦게 방목을 시작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 늦게x -> 일찍 방목 시작 [해설작성자 : 유월]
69.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잡초문제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목초의 파종 시기는?
1.
봄철 해빙기가 지난 3월 말경
2.
장마기가 끝나는 7월 말경
3.
가을철 장마기인 8월 말 ~ 9월 중순경
4.
추위 전인 10월 중순 ~ 11월 초순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잡초와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가을에 파종한다. [해설작성자 : bb]
70.
사료작물과 건초조제를 위한 수확적기가 틀린 것은?
1.
호밀 : 수잉기 ~ 출수초기
2.
오처드그라스 : 절간신장기
3.
레드크로버 : 출뢰초기
4.
알팔라 : 1차는 출뢰기(꽃봉오리기), 2차는 1/10개화기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오처드그라스의 수확적기는 출수기이다.
71.
지상에 나와 있는 수평의 기어가는 줄기(stolons, 포복경)로 번식을 하는 초종은?
1.
버뮤다그라스(Bermudagrass)
2.
브로움그라스(Bromegrasss)
3.
티머시(Timothy)
4.
오차드그라스(Orchardgrass)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버뮤다그래스는 포복경에 의한 수평생장이 활발하다. *구근(양분을 저장하는 장소)의 종류 - 구근의 형태에 따라 -지하경:Kentucky Bluegrass, Bromegrass, Tall Fescue, Reed Canarygrass -포복경:잔디, White Clover, Bermudagrass -직근 또는 관부:Alfalfa, Red Clover, Birds-foottrefoil -줄기기부:Orchardgrass, Ryegrass -안경:Timothy, 파, 양파, 백합 [해설작성자 : aldo96]
72.
다음 중 십자화과(十字花科)로 분류되는 초종은?
1.
알팔파
2.
호밀
3.
유채
4.
해바라기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벼과-일반 벼과 목초류, 화곡류, 잡곡류, 피 등 콩과-클로버류, 베치류, 콩류, 알팔파류, 자운영 등 십자화과-유채, 무, 배추, 갓, 순무 등 국화과-해바라기, 돼지감자 기타-고구마 줄기 등 [해설작성자 : aldo96]
7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일년생 또는 월년생의 벼과 사료작물이다.
2.
가축의 기호성이 좋고 정착이 잘되어 답리작으로도 많이 재배된다.
3.
목초 중 내한성이 강하여 우리나라 전역에서 안심하고 재배할 수 있다.
4.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2배체보다는 4배체가 초장과 잎이 크고 수량이 높은 편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이탈리안라이그래스(Italian Ryegrass) ① 일년생 또는 월년생의 벼과 사료작물이다. ② 가축의 기호성이 좋고, 정착이 잘되어 답리작으로도 많이 재배된다. ③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2배체보다는 4배체가 초장과 잎이 크고 수량이 높은 편이다. ④ 유식물(Seedling) 활력과 발아 후 초기 생육이 좋아 파종이 쉽다. ⑤ 서늘하고 습한 환경에서 가장 잘 자라나 산성토양, 척박지, 가뭄과 저온에 잘 견디지 못한다. ⑥ 단기간의 수량도 높으나 월동률이 다소 떨어진다. ⑦ 유식물의 억압력 지수가 가장 높다. ⑧ 지중해 지방이 원산지이다. ⑨ 초장이 60~120cm에 달하는 다발형 상번초이다. ⑩ 종자에 까락이 있다. ⑪ 줄기는 2~4개의 마디가 있고, 꽃차례는 수상꽃차례이다. ⑫ 내한성이 약한 편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2회 수확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ㅅㄱㅇㅅ]
<문제 해설> 우리나라 산지토양의 특성 -산성토양:우리나 토양 모재는 대부분 화강암 또는 화강편마암이고, 여름철 집중강우에 의해 산성토양이다. -유기물 부족:농경지(3%)에 비해 산악지의 토양은 유기물함량이 1% 이하 -낮은 유효인산함량:산지토양의 유효인산함량은 11.3%로 농경지의 약 1/10 수준 -낮은 양이온치환용량과 염기포화도:산지토양은 칼슘,마그네슘,칼륨 등 양이온이 낮고 포화도도 낮다.
<문제 해설> 상가적 유전자 작용은 비대립 유전자간에 일어나는 우성도가 불완전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유전자의 수에 비례해 여러 가지 정도의 중간형 형질이 발현되는 작용입니다. 우성 유전자 작용은 대립 유전자간 일어나는 현상으로, 우성 유전자를 보유한 경우 수에 관계 없이 같은 형질이 발현됩니다. 상위성 유전자 작용은 비대립 유전자간 일어나는 한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가리거나 바꾸는 현상입니다. 비대립 유전자간 상호작용의 유형으로는 보족, 조건, 피복, 중복, 복수, 억제 유전자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쿤]
9.
다음 중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형질을 지배하는 현상을 설명한 것은?
1.
유전자의 다면작용
2.
두 유전자좌간의 연관
3.
유전자 상위성
4.
혈액형 유전자좌에서의 이형접합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다면작용은 단 1개의 유전자가 2개 이상의 형지발현에 관계하는 경우의 유전자작용이다.
작용이 비슷하여 동일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동일한 혈질을 나타내는 두 쌍 이상의 독립유전자를 동의 유전자(polymery)라고 한다. 다음 중 동의 유전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상위유전자(epistatic gene)
2.
복다유전자(multiple gene)
3.
중다유전자(poly gene)
4.
중복유전자(duplicate gene)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0. 동의유전자: 중복유전자, 복다유전자, 중자유전자
13.
흑색무각인 애버딘앵거스종(♀)을 적색유각인 레드쇼트혼종(♂)과 교배시켰더니 10두의 송아지 중 6두는 흑색무각이였고, 4두는 흑색유각 송아지였다. 모색은 흑색 유전자(B)가 적색유전자(b)에 대하여 우성으로 작용하며, 뿔은 무각 유전자(P)가 유각 유전자 (p)에 대하여 우성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흑색 무각인 애버딘앵거스종 소의 유전자형은?
1.
BBPP
2.
BBPp
3.
BbPP
4.
BbPp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흑색무각과 적색유각(bbpp)를 교배한 F1에서 유각(pp)이 나왔으므로 흑색무각에 p 유전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흑색무각에서 무각은 Pp. F1에서 전부 흑색이 나왔으므로, 흑색무각에서 흑색이 BB여야 적색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므로 흑색무각의 유전자형은 BBPp [해설작성자 : 애봉]
14.
근친교배의 위험성을 가장 적게 할 수 있는 교배법은?
1.
가계선발
2.
후대검정
3.
가계 내 선발
4.
상반반복 선발법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가계내 선발은 가계선발과 정반대 선발방법, 가계능력을 무시하고 가계 내 개체들의 능력을 비교하여 선발, 폐쇄된 집단 내에서 선발 실시할때 근교계수의 상응을 낮게하는데 가장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쉼표]
15.
돼지의 품종간 교배에서 잡종강세 효과가 가장 현저한 형질은?
1.
사료효율
2.
생존 자돈의 생시체중
3.
1복당 이유시 전체체중
4.
1복당 생존 자돈의 수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잡종강세 효과가 낮은 형질은 유전력이 낮은 형질로 볼 수 있다. 돼지의 유전력의 크기를 비교하면 등지방두께>체장>사료효율>산자수>이유시체중 순이므로 유전력이 가장 낮은 1복당 이유시 전체 체중이 잡종강세 효과가 낮다고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다쿤]
16.
유전상관이 부(負)의 관계인 형질들은?
1.
닭의 산란수와 초산일령
2.
돼지의 체중과 등지방층 두께
3.
소의 체중과 사료섭취량
4.
닭의 체중과 난중
정답 : [
1
] 정답률 : 70%
17.
어떤 양계장에서 산란계의 수수가 6월 1일에 100수였는데 6월 5일에 2수, 6월 15일에 3수가 죽었으며, 7월 중 총 산란수가 2280개라면 이 양계장의 6월 중산란지수(hen house egg production)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중산란지수 = 7월 총 산란수 / 6월 평균 산란계 수 = 2280개 / 96.67수 = 약 23.58개/수 [해설작성자 : nllab]
18.
근친교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번식능력 저하
2.
이형접합체의 비율 감소
3.
동형접합체의 비율 증가
4.
강건한 자손 생산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근친교배의 유전적 효과 -유전자의 호모성(동형접합체)을 증가, 헤테로성(이형접합체)을 감소시킨다. -가축에 있어서 근친도가 높아짐에 따라 각종 치사유전자와 기형 발현빈도가 높아지며, 번식능력,성장률,산란능력,생존율 등이 저하된다. [해설작성자 : aldo96]
19.
다음 혈통도에서 A의 근교계수는 얼마인가?(단, 반형매간 교배에 의하여 생산된 자손의 근교계수를 나타낸다.)
1.
0.5
2.
0.25
3.
0.125
4.
0.0625
정답 : [
3
] 정답률 : 73%
20.
다음 선발방법 중 가계선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계별 평균 능력을 계산하고 우수한 가계를 선발 한다.
2.
전체 집단에서 능력이 우수한 개체만을 선발한다.
3.
각 가계 내에서 우수한 개체를 골라 선발한다.
4.
가급적 많은 수의 가계를 선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21.
소에 있어서 비외과적 방법으로 수정란 이식을 하기 위하여 채란하는 적절한 시기는?
1.
수정 후 6~8일
2.
수정 후 4~5일
3.
수정 후 2~3일
4.
수정 후 9~10일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비외과적으로 수정란을 회수하기 위하여 수정란 이식에 가장 적합한 수정란의 채란시기는 수정 후 6~7일이다.
22.
포유동물에서 배란직전에 혈중농도가 급상승하여 배란을 유도하는 정의 피드백작용을 하는 뇌하수체 호르몬과 난소 호르몬을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1.
LH, progesterone
2.
LH, estrogen
3.
FSH, progesterone
4.
FSH, estrogen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FSH에 의해 난포가 성장을 하고 성장된 난포에선 에스트로겐이 분비되며 난포로부터 분비된 에스트로겐은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LH를 분비하게 한다. 황체 형성 호르몬인 LH는 난자 배출인 배란을 유도하고, 난자가 배출된 후 난포가 사라지며 에스트로겐 농도가 낮아지고 황체로 변화한 뒤 착상을 돕기 위해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한다. 더 시간이 지나면 황체는 백체가 되어 프로게스테론 분비도 줄어든다. 배란을 유도하는 정의 피드백 호르몬은 난소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뇌하수체 호르몬인 LH이다. [해설작성자 : 다쿤]
<문제 해설> 소의 발정 지속시간은 평균 20시간이고 정상적인 사양관리를 하는 소는 18~20시간 정도이다.
29.
제1차 성숙분열이 완성되기 전에 배란이 일어나는 동물은?
1.
개
2.
소
3.
닭
4.
돼지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1차 성숙분열 난모세포 : 개, 여우 - 1차 성숙분열(감수분열) 전기 : 많은 곤충 - 2차 성숙분열(감수분열) 중기 : 사람, 포유동물 - 성숙한 난자 : 말미잘, 성게 - 갯지렁이는 종에 따라 배란 및 수정되는 시기가 다름 [해설작성자 : 원큐에]
30.
대부분의 포유동물에서 사정되는 정액 중 대부분은 이곳에서 분비되며 특히 정액에서 검출되는 prostaglandin 도 이곳에서 분비된다. 이곳이란 어느 부위인가?
1.
정낭선
2.
전립선
3.
카우퍼선
4.
정소상체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장기나 체액 속에 널리 분포하면서 극히 미량으로 생리작용을 한다. PG라고 약칭한다. 1930년 미국의 산부인과 이사인 클츠록이 사람의 정액에 자궁을 수축,이완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후에 그 유효성분이 전립선에서 나온다고 생각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1950년대에 들어 스웨덴의 S.베리스트렘이 양의 정낭성에서 PG를 추출하고 결정화하는데 성공하였으며, 현재는 화학적 합성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처음 prostaglandin을 발견했을 때 전립선(Prostate)에서 나온다고 생각해서 명칭을 prostaglandin이라고 지었는데 이후 전립선이 아니라 정낭선에서 분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해설작성자 : 강세구]
31.
정자가 암가축의 생식기관 내에서 수정능력을 획득할 때 주로 변화되는 부분은?
1.
두부
2.
중편부
3.
주부
4.
종부
정답 : [
1
] 정답률 : 80%
32.
태아순환과 모체순환을 이간시키고 있는 조직층을 태반장벽(placental barrier)이라 하는데 이 장벽의 구조에 따라 태반을 조직학적으로 분류한다. 다음 중 토끼에 해당하는 것은?
1.
혈액내피성태반
2.
혈액융모성태반
3.
내피융모성태반
4.
상피융모성태반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0. 태반의 형태 - 조직층의 수에 따라 - 상피융모성 태반: 말, 돼지 - 인대융모성 태반: 소, 면양, 산양 - 내피융모성 태반: 고양이, 개, 족제비류 - 형액융모성 태반: 영장류 - 혈액내피성 태반: 토끼, 기니피그와같은 설치류
33.
다음 중 가축의 성성숙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동일한 가축에서 체구가 작은 품종이 큰 품종보다 성성숙이 빠르다.
2.
순종가축보다 잡종가축이 성성숙이 빠르다.
3.
저영양수준은 성성숙을 빠르게 한다.
4.
체중보다 연령이 성성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성성숙 도달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빠름: 수명이 짧을수록, 체구가 작을수록, 교잡종일수록, 영양수준이 높을수록, 적정온도일 때, 암수 합사일 경우 느림: 수명이 길수록, 체구가 클수록, 순종일수록, 영양수준이 낮을수록, 극단적인 고온 or 저온일 때, 암수 합사를 하지 않을 경우
여기서 보기를 보면 '1번)동일한 가축에서 체구가 작은 품종이 큰 품종보다 성성숙이 빠르다'는 맞는 표현입니다 그러나, '2번)순종가축보다 잡종가축이 성성숙이 빠르다' 또한 맞는 표현이기 때문에 정답은 1번과 2번 모두 복수정답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문제정답 확인 시 1번이 정답으로 표시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2번의 올바른 표현은 '잡종가축보다 순종가축이 성성숙이 빠르다' 또는 '순종가축보다 잡종가축이 성성숙이 느리다' 둘 중 하나의 표현으로 고치는 것이 수험생들의 혼선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옳은 것을 고르는 문제이기에 틀린 지문으로 바꾼다면) [해설작성자 : 얼룩이]
[추가 오류 신고] 1,2 번 둘다 답 [해설작성자 : 샤샤]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반추동물에 있어서 위(胃) 내용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희석된 상태의 내용물을 농축시켜 다음 소화기관에서 소화작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곳은?
1.
제1위
2.
제2위
3.
제3위
4.
제4위
정답 : [
3
] 정답률 : 53%
55.
반추위내 미생물이 생성하는 휘발성 지방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휘발성 지방산의 조성은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에 따라 크게 변한다.
2.
조사료의 급여비율이 높아지면 대사효율이 가장 높은 프로피온산 생성량이 증가한다.
3.
pH가 낮으면 휘발성지방산은 이온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빨리 흡수된다.
4.
젖소에 있어서 휘발성지방산의 일일 총생산량은 건우유가 30~40mol, 착우유가 108mol 정도라고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조사료의 비율이 높아지면 초산이 증가하고 농후사료의 비율이 높으면 프로피온산이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해공지로]
56.
유지방합성에 중요한 전구물질은?
1.
propionic acid
2.
palmitic acid
3.
acetic acid
4.
butyric aicd
정답 : [
3
] 정답률 : 70%
57.
몰가드(Mollgard) 사료단위는 소의 비육에 있어서 1kg의 전분가는 몇 kcal의 정미에너지에 해당하는가?
1.
2265kcal
2.
2365kcal
3.
2465kcal
4.
2565kcal
정답 : [
2
] 정답률 : 61%
58.
가축의 생명활동과 생산활동에 미치는 요인 중 기후는 매우 중요하다. 고온다습한 우리나라의 여름철 가축의 관리에 있어서 그날의 불쾌지수를 계산하여 가축의 스트레스 정도를 예측하여 적절한 조치를 해주어야 한다. 축사 내에 걸어둔 온도계를 보니 건구가 31°C 습구가 25°C였다. 이 때의 불쾌지수는 얼마인가?
1.
80.92
2.
83.30
3.
84.28
4.
85.4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0. 불쾌지수: (건구온도+습구온도)*0.72+40.6
- (31+25)*0.72+40.6 = 80.92
59.
다음 사료 중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1.
채종박
2.
대두박
3.
아마박
4.
임자박
정답 : [
2
] 정답률 : 81%
60.
다음 지용성 비타민 중 결핍시에 야맹증이나 안질 장해를 유도하는 물질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D
3.
비타민 E
4.
비타민 K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비타민A-야맹증,안질장애,번식장애,상피세포 및 점막의 경화 비타민D-구루병,비정상적인 골격 형성 비타민E-번식장애,근육위축증 비타민K-혈액응고지연,내출혈
61.
우량건초의 품질로서 부적당한 것은?
1.
감촉이 유연하고 탄력이 있다.
2.
잎의 비율이 높고 녹색을 띤다.
3.
수분함량이 30%정도이고 갈색을 띤다.
4.
엽부비율은 레드클로버에서 출뢰기에 40% 이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건초는 수분함량이 15% 이하이고 자연색에 가까운 녹색을 띠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bb]
62.
사료작물을 청예용으로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종류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수단그라스, 리드커너리그래스
2.
켄터키블루그래스, 귀리, 호밀
3.
오차드그라스, 티머시, 페레니얼라이그래스
4.
옥수수, 벤트그래스, 화이트클로버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알팔파, 오처드그래스, 브롬그래스,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수단그래스, 호밀, 귀리, 유채 등이 청예로 이용할 수 있는 초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것은?
1.
열대성 작물로 기온이 높은 기후를 좋아한다.
2.
환경 적응범위가 넓어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다.
3.
가소화 양분수량이 많고 파종에서 수확까지 기계화 작업이 용이하다.
4.
단백질의 함량이 높아 사일리지를 제조하기에 유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옥수수는 다른 곡류에 비해 단백질이 낮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은 사일리지 제조에 알맞지 않다. [해설작성자 : 유월]
64.
다음 중 소화율이 가장 낮은 세포벽 구성 물질은?
1.
전분
2.
펙틴
3.
가소화단백질
4.
셀룰로오스
정답 : [
4
] 정답률 : 69%
65.
사일리지 제조시 재료를 세절하는 이유가 될 수 없는 것은?
1.
재료의 압착
2.
공기의 배제
3.
첨가물의 균일한 혼합
4.
절단기의 활용
정답 : [
4
] 정답률 : 66%
66.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기술을 서술한 것 중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가능한 한 파종시기를 늦게한다.
2.
모든 품종은 파종량을 늘릴수록 수량이 많다.
3.
인력 및 기계 파종간격은 최대한 좁게 한다.
4.
사질토양은 다른 토양보다 파종 깊이를 깊게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옥수수는 가능한 일찍 파종해야한다.
어린 싹이 늦서리의 피해를 받지 않는 벙위 내에서 가능한 일찍 파종해야한다. 이랑폭 인력파종은 60cm, 기계화파종은 70~75cm, 포기사이 15~20cm 사질토양은 다른 토양보다 파종깊이를 깊게 한다.
67.
겉뿌림법으로 초지를 조성하려 한다. 옳은 순서대로 된 것은?
1.
A → C → D → B
2.
C → D → B → A
3.
B → A → C → D
4.
D → C → A →B
정답 : [
2
] 정답률 : 72%
68.
방목개시 적기와 관계가 먼 것은?
1.
초장이 20~25cm일 때
2.
일시적인 가공 및 저장이 어려운 조건이라면 ha당 생초생산량이 3톤일 때
3.
과잉생산된 목초가 일시에 처리가 가능한 조건에서는 ha당 생초생산량이 5톤일 때
4.
초기생육이 빠른 라이그라스가 혼파 된 초지라면 늦게 방목을 시작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 늦게x -> 일찍 방목 시작 [해설작성자 : 유월]
69.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잡초문제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목초의 파종 시기는?
1.
봄철 해빙기가 지난 3월 말경
2.
장마기가 끝나는 7월 말경
3.
가을철 장마기인 8월 말 ~ 9월 중순경
4.
추위 전인 10월 중순 ~ 11월 초순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잡초와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가을에 파종한다. [해설작성자 : bb]
70.
사료작물과 건초조제를 위한 수확적기가 틀린 것은?
1.
호밀 : 수잉기 ~ 출수초기
2.
오처드그라스 : 절간신장기
3.
레드크로버 : 출뢰초기
4.
알팔라 : 1차는 출뢰기(꽃봉오리기), 2차는 1/10개화기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오처드그라스의 수확적기는 출수기이다.
71.
지상에 나와 있는 수평의 기어가는 줄기(stolons, 포복경)로 번식을 하는 초종은?
1.
버뮤다그라스(Bermudagrass)
2.
브로움그라스(Bromegrasss)
3.
티머시(Timothy)
4.
오차드그라스(Orchardgrass)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버뮤다그래스는 포복경에 의한 수평생장이 활발하다. *구근(양분을 저장하는 장소)의 종류 - 구근의 형태에 따라 -지하경:Kentucky Bluegrass, Bromegrass, Tall Fescue, Reed Canarygrass -포복경:잔디, White Clover, Bermudagrass -직근 또는 관부:Alfalfa, Red Clover, Birds-foottrefoil -줄기기부:Orchardgrass, Ryegrass -안경:Timothy, 파, 양파, 백합 [해설작성자 : aldo96]
72.
다음 중 십자화과(十字花科)로 분류되는 초종은?
1.
알팔파
2.
호밀
3.
유채
4.
해바라기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벼과-일반 벼과 목초류, 화곡류, 잡곡류, 피 등 콩과-클로버류, 베치류, 콩류, 알팔파류, 자운영 등 십자화과-유채, 무, 배추, 갓, 순무 등 국화과-해바라기, 돼지감자 기타-고구마 줄기 등 [해설작성자 : aldo96]
7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일년생 또는 월년생의 벼과 사료작물이다.
2.
가축의 기호성이 좋고 정착이 잘되어 답리작으로도 많이 재배된다.
3.
목초 중 내한성이 강하여 우리나라 전역에서 안심하고 재배할 수 있다.
4.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2배체보다는 4배체가 초장과 잎이 크고 수량이 높은 편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이탈리안라이그래스(Italian Ryegrass) ① 일년생 또는 월년생의 벼과 사료작물이다. ② 가축의 기호성이 좋고, 정착이 잘되어 답리작으로도 많이 재배된다. ③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2배체보다는 4배체가 초장과 잎이 크고 수량이 높은 편이다. ④ 유식물(Seedling) 활력과 발아 후 초기 생육이 좋아 파종이 쉽다. ⑤ 서늘하고 습한 환경에서 가장 잘 자라나 산성토양, 척박지, 가뭄과 저온에 잘 견디지 못한다. ⑥ 단기간의 수량도 높으나 월동률이 다소 떨어진다. ⑦ 유식물의 억압력 지수가 가장 높다. ⑧ 지중해 지방이 원산지이다. ⑨ 초장이 60~120cm에 달하는 다발형 상번초이다. ⑩ 종자에 까락이 있다. ⑪ 줄기는 2~4개의 마디가 있고, 꽃차례는 수상꽃차례이다. ⑫ 내한성이 약한 편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2회 수확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ㅅㄱㅇㅅ]
<문제 해설> 우리나라 산지토양의 특성 -산성토양:우리나 토양 모재는 대부분 화강암 또는 화강편마암이고, 여름철 집중강우에 의해 산성토양이다. -유기물 부족:농경지(3%)에 비해 산악지의 토양은 유기물함량이 1% 이하 -낮은 유효인산함량:산지토양의 유효인산함량은 11.3%로 농경지의 약 1/10 수준 -낮은 양이온치환용량과 염기포화도:산지토양은 칼슘,마그네슘,칼륨 등 양이온이 낮고 포화도도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