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놀 수지 : 경질이고 내열성이 있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전기기구, 기어 및 프로펠러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5.
상온이나 고온에서 단조성이 좋아지므로 고온가공이 용이하며 강도를 요하는 부분에 사용하는 황동은?
가.
톰백
나.
6-4황동
다.
7-3황동
라.
함석황동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6:4황동(muntz metal): 상온이나 고온에서 단조성이 좋아지므로 고온가공이 용이하며, 강도를 요하는 부분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Noh_]
톰백:구리와 아연의 합금. 구리가 70~92% 들어 있으며, 금빛을 띠고 늘어나는 성질이 있다. 금의 모조품이나 금박 대용품을 만드는 데 쓴다. [해설작성자 : 주기율표를외우자]
6.
철강의 열처리 목적으로 틀린 것은?
가.
내부의 응력과 변형을 증가시킨다.
나.
강도, 연성,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킨다.
다.
표면을 강화시키는 등의 성질을 변화시킨다.
라.
조직을 미세화하고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열처리 목적 - 내부응력 제거 및 변형 방지
내부 응력과 변형을 감소하기 위해 열처리를 하는데 내부 응력 제거를 위해 불림처리를 한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1. 내부의 응력과 변형을 감소할 목적으로 열처리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응력은 어떤 기계적 활동을 할 때 소재에 남은 에너지입니다. 잔류 응력이 많을 수록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열처리를 통해 잔류 응력을 제거해줍니다. 그런 목적으로 열처리를 하는데 오히려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키는 목적으로 접근하면 열처리를 하는 의미가 없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율하대장 안미경]
7.
탄소강에 함유되는 원소 중 강도, 연신율, 충격치를 감소시키며 적열취성의 원인이 되는 것은?
가.
Mn
나.
Si
다.
P
라.
S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황(S): 인장강도, 연신율, 충격치를 감소시키며, 적열취성의 원인이 된다. [해설작성자 : Noh_]
적열취성 : 강철이 빨갛게 달았을 때 나타나는 부스러지는 성질을 뜻한다고 합니다
적열취성이 생길때, 즉 금속이 달구어질때 소리가 스sssss~소리가 나면서 취성이 생겨서 깨진다고 보면된다. [해설작성자 : 문둥이]
[추가해설] 적하 급유법 : 기름통에서 일정한 양이 떨어지도로 한 방식으로 비교적 고속회전에 이용 패드 급유법 : 기름이 패드에 흡수되어 급유하는 방법 오일링 급유법 : 회전축에 링을 달아 고속 주축의 급유를 균등히 할 목적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더 큰힘을 전달할 수 있는데다가 진동과 소음이 적다 하지만 추력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코케인]
추력 : 회전에 의하여 생기는 추진력. 앞으로 나아가는 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체인 전동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가.
속도비가 일정하다.
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다.
내열, 내유, 내습성이 강하다.
라.
진동과 소음이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체인의 떨림으로 인해 진동과 소음이 생기기 쉽다. [해설작성자 : 정호영]
고속 전동에서는 진동과 소음이 생기기 쉽다.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2과목 :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1.
8KN의 인장하중을 받는 정사각봉의 단면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이 5 MPa이다. 이 정사각봉의 한 변의 길이는 약 몇 mm인가?
가.
40
나.
60
다.
80
라.
100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5M에서 M을 제거한 이유가 미터에서 밀리미터로 변경했기 때문일 표시해주었으면합니다.
[추가 해설]
MPa 는 mm2(제곱밀리미터)당 1N을 뜻합니다. 5Mpa면 mm2당 5N이므로, 1600mm2 당 8000N(8KN)이죠. 40*40=1600이므로 답이 1번이네요.
[추가 해설] 1Pa = 1N/m^2, 1MPa = 1N/mm^2 이니까 이 문제에서는 굳이 위에 추가해설해 놓으신 대로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가 없이 MPa 단위를 N/mm^2으로 바로 환산해서 풀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강쇠]
12.
회전체의 균형을 좋게 하거나 너트를 외부에 돌출시키지 않으려고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너트는?
가.
캡 너트
나.
둥근 너트
다.
육각 너트
라.
와셔붙이 너트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회전체가 중심을 잘잡으려면 둥근형태가 안정적 [해설작성자 : 리마인드]
둥근 너트 : 회전체의 균형을 좋게 하거나 너트를 외부에 돌출시키지 않으려고 할 때 주로 사용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캡 :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막을 때 사용 둥근 : 회전체의 중심을 잘 잡고 너트의 외부 돌출을 방지 육각 : 가장 많이 사용 와셔붙이 : 나사가 빠지지 않도록 할때 사용 [해설작성자 : 포철공고 기계과 1등]
13.
핀(pin)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테이퍼 핀은 보통 1/50 정도의 테이퍼를 가지며, 축에 보스를 고정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나.
평행핀은 분해ㆍ조립하는 부품의 맞춤면의 관계 위치를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 주로 사용된다.
다.
분할핀은 한쪽 끝이 2가닥으로 갈라진 핀으로 축에 끼워진 부품이 빠지는 것을 막는데 사용할 수 있다.
라.
스프링 핀은 2개의 봉을 연결하기 위해 구멍에 수직으로 핀을 끼워 2개의 봉이 상대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한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핀(pin)의 종류 ① 테이퍼 핀:50분의 1의 테이퍼[傾斜]가 달려 있는 핀. 구멍에 박아 부품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며, 크고 작은 여러 종류가 있다. ② 평행 핀:테이퍼가 붙어 있지 않은 핀. 빠질 염려가 없는 곳에 사용된다. 지름이 1 mm인 작은 것에서부터 50 mm까지 있다. ③ 조인트 핀:2개 부품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핀. 이 핀 부분에서 회전한다. ④ 분할 핀: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개로 쪼갤 수 있게 만든 핀. 구멍에 꽂아 넣고 앞끝은 둘로 벌려 둔다. 너트가 볼트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하려고 할 때 흔히 사용한다. ⑤ 스프링 핀:스프링 강대를 원통형으로 성형, 종방향으로 틈새를 부여한 것으로 이것을 핀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구멍경에 삽입함으로써 구멍의 주변에 내압이 작용하여 핀의 이탈을 방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스프링 핀은 세로 방향으로 갈라져 있으므로 바깥지름보다 작은 구멍에 끼워 넣고, 스프링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기계부품을 결합한다.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한쪽은 오른나사, 다른 한쪽은 왼나사로 되어 양끝을 서로 당기거나 밀거나 할 때 사용하는 기계요소는?
가.
아이 볼트
나.
세트 스크류
다.
플레이트 너트
라.
턴 버클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턴 버클 :두 점 사이에 연결된 강삭(鋼索) 등을 죄는 데 사용하는 죔기구의 하나. 좌우에 나사막대가 있고 나사부가 공통 너트로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수나사는 오른나사이고, 다른쪽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다. 암나사가 있는 부분, 즉 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진다(출처 : 네이버) [해설작성자 : omj]
턴 버클 : 한쪽은 오른나사, 다른 한족은 왼나사로 되어 양끝을 서로 당기거나 밀거나 할 때 사용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16.
가공할 구멍이 매우 클 때, 구멍 전체를 절삭하지 않고 내부에는 심재가 남도록 환형의 홉으로 가공하는 방식으로 판재에 큰 구멍을 가공하거나 포신 등의 가공에 적합한 보링 머신은?
가.
보통 보링머신
나.
수직 보링머신
다.
지그 보링머신
라.
코어 보링머신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지그(jig)보링머신: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가공물, 정밀기계의 구멍 가공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항온, 항습실에 설치하는 보링머신 수평 보링머신: 테이블형, 플레이너형, 플로우형으로 나뉜다. 수직 보링머신: 스핀들이 수직인 구조 코어 보링머신: 구멍의 중심부는 남기고 둘레만 가공 [해설작성자 : 만나면 좋은 친구]
코어 보링 머신 : 가공할 구멍이 매우 클 때, 구멍 전체를 절삭하지 않고 내부에는 심재가 남도록 환형의 홈으로 가공하는 방식으로 판재에 큰 구멍을 가공하거나 포신 등의 가공에 적합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17.
그림과 같은 환봉의 테이퍼를 선반에서 복식공구대를 회전시켜 가공하려 할 때 공구대를 회전시켜야 할 각도는? (단, 각도는 아래 표를 참고한다.)
가.
3
나.
5°5‘
다.
11°45’
라.
23°35‘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8.
전해 연마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가공면에 방향성이 없다.
나.
복잡한 형상의 제품은 가공할 수 없다.
다.
가공 변질층이 없고 평활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라.
연질의 알루미늄, 구리 등도 쉽게 광택면을 가공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복잡한 모양의 것도 연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추가해설] 전기분해할 때 양극의 금속 표면에 미세한 볼록 부분이 다른 표면 부분에 의해 선택적으로 용해하는 것을 이용한 금속연마법. 복잡하고 정밀한 기계 부품을 가공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19.
CNC 선반에서 휴지기능(G04)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휴지기능은 홈 가공에서 많이 사용된다.
나.
휴지기능은 진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
휴지기능은 깨끗한 표면을 가공할 수 있다.
라.
휴지기능은 정밀한 나사를 가공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휴지기능(G04) ① 지령된 시간동안 프로그램의 진행을 정지 시킬 수 있는 기능 ② 드릴가공, 홈가공, 모서리 다듬질 가공시 양호한 가공면을 얻기 위해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홈 가공이나 드릴작업 등에서 간헐이송으로 침을 절단하거나, 목표점에 도달한 후 즉시 후퇴할 때 생기는 이송량 만큼의 단차를 제거함으로써 진원도 향상 및 깨끗한 표면을 얻기 위해 사용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20.
금형부품과 같은 복잡한 형상을 고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는 연삭기는?
가.
성형 연삭기
나.
평면 연삭기
다.
센터리스 연삭기
라.
만능 공구 연삭기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성형 연삭기 : 복잡한 형상을 고정밀도로 가공할 때 사용 센터리스 연삭기 : 센터를 사용하지 않고, 연삭용 숫돌차 외에 공작물에 회전과 이송을 주는 조정 숫돌바퀴를 사용하여, 가늘고 긴 환봉을 연삭하는 공작기계 만능공구 연삭기 : 각종 커터, 호브, 리머, 등의 절삭공구의 날을 연삭하는 만능 연삭기 [해설작성자 : 꺄아ㅇ]
성형 연삭기 : 복잡한 형상을 고정밀도로 가공할 때 사용한다. 센터리스 연삭기 : 센터를 사용하지 않고, 연삭용 숫돌차 외에 공작물에 회전과 이송을 주는 조정 숫돌바퀴를 사용하여, 가늘고 긴 환봉을 연삭하는 공작기계 이다. 만능공구 연삭기 : 각종 커터, 호브, 리머, 등의 절삭공구의 날을 연삭하는 만능 연삭기 등등 [해설작성자 : 폴리텍 김정배짱 교수]
21.
그림과 같이 테이퍼를 가공할 때 심압대의 편위량은 몇 mm 인가?
가.
3.0
나.
3.25
다.
3.75
라.
5.25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2.
마이크로미터의 구조에서 구성부품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앤빌
나.
스핀들
다.
슬리브
라.
스크라이버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스크라이버-하이트게이지
마이크로 미터 구조 구성부품 - 앤빌 / 스핀들 / 내측슬리브 / 외측슬리브 / 클램프레버 / 프레임 / 래치스톱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23.
윤활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냉각 작용
나.
방청 작용
다.
청정 작용
라.
용해 작용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윤활제(절삭유)의 목적 냉각작용, 윤활작용, 방청 및 세척작용
24.
기어 절삭기로 가공된 기어의 면을 매끄럽고 정밀하게 다듬질하는 가공은?
가.
래핑
나.
호닝
다.
폴리싱
라.
기어 셰이빙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기어 셰이빙 : 피니언 커터 또는 랙 커터를 사용하여 기어를 정밀하게 다듬질한다 [해설작성자 : 꺄아ㅇ]
래핑 : 랩이라는 공구와 랩제를 사용하여 마모와 연삭 작용에 의해 공작물을 다듬질하는 정밀 가공법. 호닝 : 숫돌로 공작물을 가볍게 문질러 정밀다듬질을 하는 기계가공법 폴리싱 : 버프 연삭(硏削)에서 공작물 표면에 윤을 내는 연마 작업. 천, 가죽, 펠트 등으로 만들어진 버프(buff)에 연마제를 고정하여 연마한다. [해설작성자 : 보거미내꺼]
25.
밀링 가공에서 분할대를 이용하여 원주면을 등분하려고 한다. 직접 분할법에서 직접 분할핀의 구멍수는?
가.
12개
나.
24개
다.
30개
라.
36개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직접 분할법 24개의 구멍, 간접 분할법은 40/N으로 구한다. N = 분할수 [해설작성자 : 박세희]
26.
제품의 표면 거칠기를 나타낼 때 표면 조직의 파라미터를 “평가된 프로파일의 산술 평균 높이”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그 기호로 옳은 것은 ?
가.
Rt
나.
Rq
다.
Rz
라.
Ra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산술 평균 높이는 Ra 10점 평균 거칠기는 Rz 최대 높이는 Ry 입니당~~ㅋ [해설작성자 : 정밀기계과 박권능]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산술평균높이는 Rt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산술평균높이는 Ra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기계설계전문가 홍관의]
[오류신고 반론] 산술평균높이는 Ra 가 맞습니다.
[추가 오류 신고] Ra : 산술 평균 거칠기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오류신고 반론] Ra는 산술평균높이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오류신고내용]
[오류신고 반론] 산술 평균 조도(Ra), 최대 높이(Ry), 십점 평균 조도(Rz) 등으로 규정 [해설작성자 : 정민]
27.
다음은 어떤 물체를 제 3각법으로 투상한 것이다. 이 물체의 등각 투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각법으로 투상한 사진을보면 4번도 정답이 될수있다고 생각합니다만 ...
[오류신고 반론] 4번이 답이 되려면 정면도 기준 평면도 기준 왼쪽 윗부분이 평평해서 우측면도에 숨은선 한 개가 더 나와있어야 할 것.
<문제 해설> 절단선은 가는1점쇄선을 쓰고 절단선이 꺾이는 부분은 굵은실선으로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시저]
29.
재료의 기호와 명칭이 맞는 것은?
가.
STC : 기계 구조용 탄소 강재
나.
STKM :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다.
SPHD : 탄소 공구 강재
라.
SS :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① STC : 탄소 공구 강재 ② STKM : 기계구조용 탄소강관 ③ SPHD : 열간압연 강재 ④ SS :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30.
도면이 구비하여야 할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가.
무역 및 기술의 국제적인 통용성
나.
제도자의 독창적인 제도법에 대한 창의성
다.
면의 표면, 재료, 가공 방법 등의 정보성
라.
대상물의 도형, 크기, 모양, 자세, 위치 등의 정보성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도면이 구비하여야 할 요건 ➀ 대상물의 도형과 함께 필요로 하는 크기. 모양. 자세.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 면의 표면, 재료 가공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 ➁ ➀의 정보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표현. ➂ 애매한 해석이 생기지 않도록 표현상 명확한 뜻. ➃ 기술의 각 분야 교류의 입장에서 가능한 한 넓은 분야에 걸쳐 정합성. 보편성. ➄ 무역 및 기술의 국제 교류의 입장에서 국제성. ➅ 마이크로필름 촬영 등을 포함한 복사 및 도면의 보존. 검색 이용이 확실히 되도록 내용과 양식을 구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기술의 각 분야에 걸쳐 정확성,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31.
투상도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가.
조립도 등 주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대상물을 사용하는 상태로 표시한다.
나.
물체의 중요한 면은 가급적 투상면에 평행하거나 수직이 되도록 표시한다.
다.
물품의 형상이나 기능을 가장 명료하게 나타내는 면을 주 투상도가 아닌 보조 투상도로 선정한다.
라.
가공을 위한 도면은 가공량이 많은 공정을 기준으로 가공할 때 놓여진 상태와 같은 방향으로 표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물품의 형상이나 기능을 가장 명료하게 나타내는 면은 정면도이고, 주 투상도라고도 한다.
32.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투상법은?
가.
투시 투상법
나.
등각 투상법
다.
사 투상법
라.
정 투상법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정 투상법: 투사선이 평행하게 물체를 지나 투상면에 수직으로 닿고 투상된 물체가 투상면에 나란하기 때문에 어떤 물체의 형상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Noh_]
1각법,3각법 - 정투상도 [해설작성자 : 김근현]
33.
아래 그림과 같은 치수 기입 방법은?
가.
직렬 치수 기입 방법
나.
병렬 치수 기입 방법
다.
누진 치수 기입 방법
라.
복합 치수 기입 방법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도면관리에 필요한 사항과 도면내용에 관한 중요한 사항이 기입되어 있는 도면 양식으로 도명이나 도면번호와 같은 정보가 있는 것은?
가.
재단마크
나.
표제란
다.
비교눈금
라.
중심마크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표제란 : 도면번호, 도면 작성 월일, 척도 및 투상도를 기입한다. 도면 오른쪽 아래에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박세희]
42.
기하 공차의 종류와 기호 설명이 잘못된 것은?
가.
: 평면도 공차
나.
: 원통도 공차
다.
: 위치도 공차
라.
: 직각도 공차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3.
다음 면의 지시기호 표시에서 제거가공을 허락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기호는?
가.
나.
다.
라.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4.
도면을 작성할 때 쓰이는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은?
가.
문자의 폭
나.
문자의 높이
다.
문자의 굵기
라.
문자의 경사도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문자의 크기는 높이 2.24, 3.15, 4.5 등 5종류가 원칙이며 루트2씩 증가함을 원칙으로한다. [해설작성자 : 박세희]
45.
다음 중 억지 끼워맞춤에 속하는 것은?
가.
H8/e8
나.
H7/t6
다.
H8/f8
라.
H6/k6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① H8/e8 - 헐거운끼워맞춤 ② H7/t6 - 억지끼워맞춤 ③ H8/f8 - 헐거운끼워맞춤 ④ H6/k6 - 중간끼워맞춤
[추가 해설]
구멍 기준 끼워맞춤일때 축의 끼워맞춤은 h를 기준으로 z쪽으로 갈수록 억지끼워맞춤입니다. 다만 4번 k의 경우 h보다 크긴 하지만, 중간 끼워밎춤이 되는 범위에 속합니다.
46.
축을 제도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긴 축은 단축하여 그릴 수 있으나 길이는 실제 길이를 기입한다.
나.
축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표시한다.
다.
구석 라운드 가공부는 필요에 따라 확대하여 기입할 수 있다.
라.
필요에 따라 부분 단면은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축의 도시방법 ① 축은 길이 방향으로 단면하지 않음. ② 부분 단면은 가능. ③ 긴축은 중간을 파단하여 짧게 그리며 치수는 실 치수 기입. ④ 축의 널링도시는 빗줄인 경우는 축선에 대해 30°로 서로 엇갈리게 그림. ⑤ 축의 끝에는 주로 모따기를 하고, 모따기 치수를 기입.
47.
관의 결합방식 표현에서 유니언식을 나타내는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일반 2. 유니언식 3. 플랜지식
48.
스퍼 기어의 도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본 투상도를 주 투상도로 할 수 있다.
나.
잇봉우리원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다.
피치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그린다.
라.
축 방향으로 본 투상도에서 이골원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기어 제도법 = 스프로킷휠 도시법에 대한 문제도 기어와 동일 - 이끝원(잇봉우리원) 굵은실선 - 피치원 가는1점쇄선 - 이뿌리원(이골원) 가는실선 (단, 단면도시할 경우는 굵은실선)
이뿌리원(이골원)을 단면 도시할 때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경우는 축직각 방향에서 본 투상도에서이다. [해설작성자 : 도리공도리]
단면에서의 이골원은 굵은실선이지만 단면이 아닐 경우에는 가는실선입니다 [해설작성자 : ㅋㅋ]
49.
다음 중 베어링의 안지름이 17mm인 베어링은?
가.
6303
나.
32307K
다.
6317
라.
607U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50.
스프로킷 휠의 피치원을 표시하는 선의 종류는?
가.
굵은 실선
나.
가는 실선
다.
가는 1점 쇄선
라.
가는 2점 쇄선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기어 제도법 = 스프로킷휠 도시법에 대한 문제도 기어와 동일 - 이끝원(잇봉우리원) 굵은실선 - 피치원 가는1점쇄선 - 이뿌리원(이골원) 가는실선 (단, 단면도시할 경우는 굵은실선)
51.
키의 호칭이 다음과 같이 나타날 때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키에 관련한 규격은 KS B 1311 에 따른다.
나.
평행키로서 나사용 구멍이 있다.
다.
키의 끝부가 양쪽 둥근형이다.
라.
키의 높이는 14mm 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KS B 1311 PS-B 25 × 14 × 90 KS B 1311 - 규격번호 PS -나사용구멍 부착 평행키 B - 양쪽 네모형 25 × 14 × 90 - 너비 x 높이 x 길이 ※ 끝부분형식에 대한 지정이 없는경우 양쪽 네모형 양쪽 둥근형-A. 양쪽 네모형-B, 한쪽 둥근형-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키의 모양 번호 입니다만, A 양쪽 둥근형, B 한쪽둥근형, C 양쪽 네모형 으로 바뀌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파오리]
[오류신고 반론] 안 바뀌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상한 해설금지]
[오류신고 반론] 큐넷 2021전산응용기계제도 기능사 책에 의하면 바뀐 내용은 없습니다 A 양쪽 둥근형 B 양쪽네모형 C 한쪽둥근형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기계제도]
52.
나사의 제도방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가.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 밑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나.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는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다.
나사 끝면에서 본 그림에서 나사의 골밑은 가는 실선으로 원주의 3/4에 가까운 원의 일부로 그린다.
라.
수나사와 암나사가 결합되었을 때의 단면은 암나사가 수나사를 가린 형태로 그린다.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나사 제도법 ① 굵은실선 도시부분 :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 완전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 암나사 탭구멍 드릴자리 120˚ ② 가는실선 도시부분 :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을 표시하는 선 불완전나사부의 골밑을 나타내는 선은 축선에 대해 30˚의 가는실선 ③ 가려서 보이지 않는 나사부의 산봉우리와 골을 나타내는 선은 같은 굵기의 가는파선 ④ 수나사와 암나사의 결합부는 수나사 위주로 표시 ⑤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도시에서 각각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약 3/4 만큼 그린다. ⑥ 단면시 나사부의 해칭은 수나사는 외경, 암나사는 내경까지 해칭
[추가 해설] 수나사 암나사 결합시 수나사 우선입니다 [해설작성자 : 123]
53.
스프링 제도에서 스프링 종류와 모양만을 도시하는 경우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은 어느 선으로 나타내야 하는가?
가.
굵은 실선
나.
가는 1점 쇄선
다.
굵은 파선
라.
가는 실선
정답 : [
1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스프링 도시법 ① 스프링은 무하중상태에서 도시 ② 특별한 도시가 없는 이상 모두 오른쪽으로 감긴 것을 나타내고, 왼쪽으로 감긴 것은 ‘감긴방향 왼쪽’이라 표시 ③ 코일스프링의 중간일부를 생략시 가는1점쇄선 또는 가는2점 쇄선으로 표시 ④ 스프링종류 및 모양만을 간략히 그릴 때는 중심선을 굵은 실선으로 표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굵은 실선 : 스프링 제도에서 스프링 종류와 모양만을 도시하는 경우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54.
다음 표준 스퍼 기어에 대한 요목표에서 전체 이 높이는 몇 mm 인가?
가.
4
나.
4.5
다.
5
라.
5.5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전체이높이 = 2.25 x M(모듈) = 2.25 x 2 = 4.5
[추가 해설] 이높이 피치원 부터 끝까지 1 이골부터 피치원까지 1.25 (1+1.25) x 모듈 M = 4.5 [해설작성자 : 13]
55.
ISO 규격에 있는 관용 테이퍼 나사로 테이퍼 수나사를 표시하는 기호는?
가.
R
나.
Rc
다.
PS
라.
Tr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① R : 관용 테이퍼 수나사 ② Rc : 관용 테이퍼 암나사 ③ PS ; 관용 테이퍼 평행암나사 ④ Tr : 미터사다리꼴나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용 테이퍼 평행 암나사, 제 책엔 Rp로 돼있는데 제 책 틀린건가요?ㅠㅠ [해설작성자 : 틀리면안돼]
[오류신고 반론] ISO 규격 있는 관용테이퍼 평행암나사는 Rp, ISO 규격이 없는 관용테이퍼 평행암나사는 PS입니다. [해설작성자 : 둘다맞음]
56.
전체 둘레 현장 용접을 나타내는 보조 기호는?
가.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현장용접 2. 온둘레용접 3. 온둘레현장용접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1. 현장용접 2. 온둘레용접 3. 온둘레현장용접
3번이 전체 둘레 현장 용접인데 3번에 온둘레현장용접이라고 해설되어있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전체 둘레를 온 둘레 라고도 합니다. [해설작성자 : cgh]
57.
CAD시스템에서 도면상 임의의 점을 입력할 때 변하지 않는 원점(0,0)을 기준으로 정한 좌표계는?
가.
상대 좌표계
나.
상승 좌표계
다.
증분 좌표계
라.
절대 좌표계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58.
컴퓨터 입력장치의 한 종류로 직사각형의 판에 사용자가 손에 잡고 움직일 수 있는 펜 모양의 스타일러스 혹은 버튼이 달린 라인 커서 장치의 2가지 부분으로 구성되며 펜이나 커서의 움직임에 대한 좌표 정보를 읽어서 컴퓨터에 나타내는 장치는?
가.
디지타이저(digitizer)
나.
광학 마크 판독기(OMR)
다.
음극선관(CRT)
라.
플로터(plotter)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태블릿에 대한 설명이다. 50cm이상인 대형 태블릿은 디지타이저(Digitizer)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도리공도리]
59.
데이터를 표현하는 최소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가.
byte
나.
bit
다.
word
라.
file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자료표현단위 (작은 것부터 나열) • Bit(비트)-Nibble(니블)-Byte(바이트)-Word(워드)-Field(필드)-Record(레코드)-block(블럭)-File(파일)-DataBase(데이타베이스)-Databank (데이타뱅크)
60.
다음이 설명하는 3차원 모델링 방식은?
가.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나.
서피스 모델링
다.
솔리드 모델링
라.
DATA 모델링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솔리드 모델링 방식 ⦁ 은선 제거가능 ⦁ 물리적 성질계산 가능 ⦁ 간섭 체크가 용이 ⦁ Boolean 연산(합, 차, 적)을 통해 복잡한 형상 표현가능 ⦁ 형상을 절단한 단면도 작성이 용이 ⦁ 컴퓨터의 메모리량이 많아짐 ⦁ 데이터의 처리량이 많아짐 ⦁ 이동‧회전 등을 통한 정확한 형상파악 ⦁ FEM을 위한 메시 자동 분할이 가능하다.
솔리드 모델링(Solid Modeling) : 구, 원주 삼각주 같은 기본 프리미티브(Primitive)를 조함하여 모델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실물과 가장 근접하는 켬퓨터 모델링의 구축이 가능하다. -간섭 체크를 할 수 있다. -질량 등의 물리적 특성 계산이 가능하다.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물리적 성질(체적, 관성 모멘트등)의 계산이 가능하다. -복잡한 형상 표현도 가능하다. -단면도의 작성이 용이하다. -데이터의 처리량이 과다하다. -이동, 회전 등을 통하여 정확한 형상파악을 할 수 있다. -유한 요소법(FEM)을 위한 메쉬(Mesh) 자동 분할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헬스하는공돌이]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 07월 10일[4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