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군집 A, B의 종다양성의 Shannon지수 값은? (단, 계산의 log의 밑을 2로 하고(log2), 표안의 수치는 각 군집에 속하는 종의 관찰 개체수이다.)
1.
군집 A : 2, 군집 B : 1.5
2.
군집 A : 4, 군집 B : 2
3.
군집 A : 2, 군집 B : 4
4.
군집 A : 1.5, 군집 B : 2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Shannon지수 식 s = -Σ Pi logPi, Pi=Ni/N Ni = i 종 개체수, N = 총 개체수
군집 A - 종 1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2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3 : -(8/16 X log2 8/16) = -(1/2 X -1) = 0.5 - 종 4 : -(0/16 X log2 0/16) = -(0 X 0) = 0 ⇒ 군집 A : 0.5 + 0.5 + 0.5 + 0 = 1.5
군집 B - 종 1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2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3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4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군집 B : 0.5 + 0.5 + 0.5 + 0.5 = 2 [해설작성자 : 도오트]
2.
다음 중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을 지정할 때 사용되는 개념이 아닌 것은?
1.
중요자연자본
2.
핵심지역
3.
전지지역
4.
완충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3) - 핵심구역 Core area : 엄격히 보호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 지역.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간섭을 최소화한 생태계 모니터링, 파괴적이지 않는 조사 연구, 영향이 작은 이용(예:교육) 등을 할 수 있다.
- 완충구역 Buffer area :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이에 인접해 있다.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 생태관광,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 등의 건전한 생태적 활동에 적합한 협력활동을 위해 이용된다.
- 협력구역 Transition area : 다양한 농업활동, 주거지, 기타 다른 용도로 이용된다. 지역의 자원을 함께 관리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지지역사회, 관리 당국, 학자, 비정부단체(NGO), 문화단체, 경제적 이해집단과 기타 이해 당사자들이 함께 일하는 곳이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수서곤충을 이용한 수질평가의 장단점 장점 - 오염물질에 대한 민감성 차이 - 오염물질 유입에 대한 빠른 반응 - 대부분 담수생태계(특히 유수생태계)에 풍부하게 존재 - 채집이 용이하고 보편성이 높음 -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성으로 지역환경의 대변 가능 - 군집 내에서 서로 다른 기능 수행 - 다양한 영양단계
단점 - 서식처의 미소한 환경변화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 - 오염물질과 다른 환경요인사이의 효과 판별이 어려움 - 생활사(life history)가 복잡 - 계절 및 시기별 차별화가 된 분석방법 필요 - 높은 공간적 이질성 - 충분한 반복조사 필요
출처 : 국립생물자연관 [해설작성자 : 도오트]
6.
한 종이 속하는 생물이 온도, 지형 등 다른 지역에 적응하여 생활하면서 생긴 유전적인 차이가 생태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는 개체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생리형
2.
형태형
3.
생육형
4.
생태형
정답 : [
4
] 정답률 : 81%
7.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해충구제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생물학적 조절
2.
유전적 조절
3.
호르몬과 페로몬 이용법
4.
유기안의 살포
정답 : [
4
] 정답률 : 82%
8.
다음 중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한 정책의 핵심은?
1.
환경 관련 예산 축소
2.
축산업 장려
3.
수처리 관련시설 건설
4.
비점오염원 증대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축산업은 환경오염 수자원 낭비의 주범 중 하나이다. 4. 비점오염원을 감소해야한다. 점오염원 : 일정한 점원 위치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것 예) 정화조, 공장 등 산업 오폐수
비점오염원 : 그 발생 지점을 특정할 수 없는 오염원 예) 농경지에 뿌리는 농약이나 비료, 도로노면에서 발생하는 오염원 [해설작성자 : 도오트]
9.
지구자전, 해류의 흐름, 지형 등의 요인으로 저층의 수괴가 상층으로 유입되어 형성되며 생산력이 높은 어장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저탁류(turbiidity current)
2.
원심력(centrifugal force)
3.
용승류(upwelling)
4.
적도해류(Equatorial current)
정답 : [
3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저탁류 (turbidity current) : 해저 사면을 따라 흐르는, 퇴적물의 밀도가 비교적 높은 탁류. 촉발시키는 작용으로는 지진, 폭풍 홍수 등이 있다. 2. 원심력 (centrifugal force) : 원운동을 하고 있는 물체에 나타나는 관성력으로 원의 중심에서 멀어지려는 힘이다. 4. 적도해류 (Equatorial current) : 무역풍 때문에 적도의 남북 양쪽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해류. 온도가 높은 난류로, 북적도 해류와 남적도 해류가 있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10.
바다와 강이 만나는 곳에는 생물다양성과 생산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곳에 형성되는 서식처로 해수와 담수가 합해지는 지점에 나타나는 습지는?
1.
저층습지
2.
담수습지
3.
기수습지
4.
염수습지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저층습지 : 저지대에 형성된 습지. 주로 강이나 연못, 호수 주변에 발달되어 있다. 2. 담수습지 : 지표면이 담수로 덮인 생태 공간으로, 습기가 많고 축축한 땅. 4. 염수습지는 찾아도 안나옴. ※ 염습지 : 바닷물이 드나들어 염분의 변화가 큰 습지. 염생식물이 서식 [해설작성자 : 도오트]
11.
다음 두 가지 생물의 관계에서 편리공생(commensalism)의 예에 해당하는 것은?
1.
콩과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
2.
개미와 아카시아
3.
리기테메다소나무와 균근
4.
열대우림과 난초류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2,3은 상리공생 편리공생 : 한쪽만 이익을 얻는 경우 [해설작성자 : 도오트]
12.
육상 생물군계에 있어서 환경의 연평균 강우량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나열한 것은?
1.
사막 → 초원 → 낙엽수림 → 열대우림
2.
낙엽수림 → 침엽수림 → 툰드라 → 열대우림
3.
사막 → 초원 → 침엽수림 → 툰드라
4.
낙엽수림 → 툰드라 → 초원 → 열대우림
정답 : [
1
] 정답률 : 87%
13.
우리나라 남해 해수에 고농도로 존재하여 고둥류의 성비를 전환시킨 환경호르몬은?
1.
DDT
2.
TBT
3.
PCB
4.
DNA
정답 : [
2
] 정답률 : 57%
14.
어떤 주어진 장소와 시간에 서식하는 모든 개체군을 총칭하는 용어는?
1.
생물권
2.
군집
3.
생태계
4.
생물군계
정답 : [
2
] 정답률 : 79%
15.
생물종 다양성이 감소하는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구의 증가, 오염, 외래종의 유입
2.
남용, 오염, 서식지의 물리적 변화
3.
서식지의 파괴, 습지의 보전, 토종의 유지
4.
인구의 증가, 외래종의 유입, 서식지의 외형적 변화
정답 : [
3
] 정답률 : 86%
16.
다음 중 ‘하구습지’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담수가 해안지역을 따라서 바다의 염수와 섞이는 지역에 형성되는 습지를 말한다.
2.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곳으로 갯벌이나 해수욕장 등을 말한다.
3.
항상 물이 고여 있는 습지로서 면적이 8ha 이상이며, 저수지, 호수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4.
이탄습지나 늪지와 같이 비교적 작은 면적의 습지로서 일년 중 일정 기간 동안은 말라있는 경우도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81%
17.
생물군집 내의 여러 종의 개체군들 사이에는 식물을 근원으로 하는 일련의 수직적인 관계-포식과 피식 등의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를 먹이사슬 또는 먹이연쇄라 한다. 1927년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환경부장관이 생태ㆍ경관보전지역안에서 자연생태 또는 자연경관 훼손행위를 한 사람에 대하여 조치할 수 있는 행위가 아닌 것은?
1.
원상회복
2.
행위의 중지
3.
고발 및 동일 면적의 토지 납부
4.
원상회복이 불가능시 대체자연의 조성
정답 : [
3
] 정답률 : 70%
24.
환경친화적 택지개발의 설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구환경의 보전
2.
인간과 자연 상호에 유익함 제공
3.
토지자원절약을 통한 효율성 제공
4.
단지개발시 자연보존 문제를 동시적으로 고려
정답 : [
3
] 정답률 : 73%
25.
생태네트워크의 개념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개별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지역적인 맥락에서 모든 서식처와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상의 계획이다.
2.
지역적인 서식처와 개별적인 생물종을 목적으로 코리더에 의하여 핵심지역과 완충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공간상의 계획이다.
3.
개별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지역적인 맥락에서 특정 서식처와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상의 계획이다.
4.
지역적인 서식처와 생물종 보다는 개별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적으로 코리더에 의하여 핵심지역과 완충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공간상의 계획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26.
현재 작성된 국토환경성 평가지도의 축척은?
1.
1:5000
2.
1:10000
3.
1:25000
4.
1:50000
정답 : [
3
] 정답률 : 78%
27.
지속가능한 개발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미래성
2.
시민참여
3.
형평성
4.
정치안정
정답 : [
4
] 정답률 : 84%
28.
사전환경성검토에서 보다는 환경영향평가에서 주로 다루는 내용에 해당되는 것은?
1.
입지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
2.
부문별 계획 전반에 대한 정책영향평가
3.
환경적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 수립
4.
제안된 행정계획 등에 대하여 환경정책과의 조화성 분석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사전환경성검토제도는 환경영향평가와는 달리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정책, 계획, 프로그램 등과 같은 상위단계에서 환경성을 고려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사업 시행 및 행정계획 수립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사전에 검토하기 위한 제도이다 출처: 국가기록원 [해설작성자 : 도오트]
29.
산ㆍ하천ㆍ내륙습지ㆍ호소(湖沼)ㆍ농지ㆍ도시 등에 대하여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하여 작성된 지도는?
1.
녹지자연도
2.
생태ㆍ자연도
3.
산지이용도
4.
습지보호지역도
정답 : [
2
] 정답률 : 76%
30.
다음 대기오염물질 중 2차 오염결과로 발생되는 것은?
1.
SO23
2.
O3
3.
CO2
4.
CO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주요 대기 오염 물질 - 1차 오염물질 :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 이산화황(SO2), 휘발성 유기화합물, 먼지 - 2차 오염물질 : 오존(O3), 황산(H2SO4), 질산(HNO3), 과산화수소(H2O2), PANs, 삼산화황(SO3) [해설작성자 : 도오트]
31.
다음 지방의 제21은 지향성을 나열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2.
파트너쉽(partnership)
3.
지방가치(local community based issues)
4.
지역통합(regional intergration)
정답 : [
4
] 정답률 : 60%
3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의 시장은 관할구역의 도시지역에 대하여 공원녹지의 확충ㆍ관리ㆍ이용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을 몇 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하는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 : [
2
] 정답률 : 83%
33.
습지보호지역에 자연경관영향의 협의대상이 되는 거리는 경게로부터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 (단, 일반기준을 적용한다.)
1.
300m
2.
500m
3.
1000m
4.
1500m
정답 : [
1
] 정답률 : 46%
34.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기본방침 중 생태계 보전과 단절되고 훼손된 생태계복원을 위한 세부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특성을 고려한 생태계보전
2.
전국의 생태벨트 조성
3.
자연자원의 지속적 사용
4.
훼손된 지역의 조사와 생태계복원
정답 : [
3
] 정답률 : 71%
35.
UNESCO에 의한 인간과 생물권 계획에 의한 보호지역 중 생태계의 훼손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지역은?
1.
핵심지역
2.
완충지대
3.
전이지역
4.
생태보전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48%
3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ㆍ군관리계획의 입안을 위한 기초조사에서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실시하는 토지의 토양, 입지, 활용가능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는?
1.
토지의 적성에 대한 평가
2.
도시관리계획 환경성 검토
3.
사전 환경성 검토
4.
토지 활용성 평가
정답 : [
1
] 정답률 : 70%
37.
하천의 기능 중 치수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생물의 서식처 기능
2.
수질의 지정기능
3.
상업ㆍ농업ㆍ공업용수 등과 같은 물을 이용하는 기능
4.
하천주변에 인간이 정주하는 한 항상 대비해야 하는 기능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치수기능: 다목적 댐을 설치하여 홍수나 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기능 [해설작성자 : 진]
38.
생태환경 복원ㆍ녹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식물군락이 갖는 환경 개선력을 살린 기술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다음 중 그것과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군락의 종다양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자연회복을 도와주도록 하여야 한다.
3.
자연의 군락을 재생ㆍ창조하여야 한다.
4.
자연에 가까운 방법으로 군락을 재생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7%
39.
관한구역의 면적 및 인구규모, 용도지역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도시ㆍ군계획조례로 정하도록 하고 있는,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의 최대한도가 모두 맞는 것은?
다음 군집 A, B의 종다양성의 Shannon지수 값은? (단, 계산의 log의 밑을 2로 하고(log2), 표안의 수치는 각 군집에 속하는 종의 관찰 개체수이다.)
1.
군집 A : 2, 군집 B : 1.5
2.
군집 A : 4, 군집 B : 2
3.
군집 A : 2, 군집 B : 4
4.
군집 A : 1.5, 군집 B : 2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Shannon지수 식 s = -Σ Pi logPi, Pi=Ni/N Ni = i 종 개체수, N = 총 개체수
군집 A - 종 1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2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3 : -(8/16 X log2 8/16) = -(1/2 X -1) = 0.5 - 종 4 : -(0/16 X log2 0/16) = -(0 X 0) = 0 ⇒ 군집 A : 0.5 + 0.5 + 0.5 + 0 = 1.5
군집 B - 종 1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2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3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종 4 : -(4/16 X log2 4/16) = -(1/4 X -2) = 0.5 ⇒ 군집 B : 0.5 + 0.5 + 0.5 + 0.5 = 2 [해설작성자 : 도오트]
2.
다음 중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을 지정할 때 사용되는 개념이 아닌 것은?
1.
중요자연자본
2.
핵심지역
3.
전지지역
4.
완충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3) - 핵심구역 Core area : 엄격히 보호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 지역.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간섭을 최소화한 생태계 모니터링, 파괴적이지 않는 조사 연구, 영향이 작은 이용(예:교육) 등을 할 수 있다.
- 완충구역 Buffer area :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이에 인접해 있다.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 생태관광,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 등의 건전한 생태적 활동에 적합한 협력활동을 위해 이용된다.
- 협력구역 Transition area : 다양한 농업활동, 주거지, 기타 다른 용도로 이용된다. 지역의 자원을 함께 관리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지지역사회, 관리 당국, 학자, 비정부단체(NGO), 문화단체, 경제적 이해집단과 기타 이해 당사자들이 함께 일하는 곳이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수서곤충을 이용한 수질평가의 장단점 장점 - 오염물질에 대한 민감성 차이 - 오염물질 유입에 대한 빠른 반응 - 대부분 담수생태계(특히 유수생태계)에 풍부하게 존재 - 채집이 용이하고 보편성이 높음 -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성으로 지역환경의 대변 가능 - 군집 내에서 서로 다른 기능 수행 - 다양한 영양단계
단점 - 서식처의 미소한 환경변화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 - 오염물질과 다른 환경요인사이의 효과 판별이 어려움 - 생활사(life history)가 복잡 - 계절 및 시기별 차별화가 된 분석방법 필요 - 높은 공간적 이질성 - 충분한 반복조사 필요
출처 : 국립생물자연관 [해설작성자 : 도오트]
6.
한 종이 속하는 생물이 온도, 지형 등 다른 지역에 적응하여 생활하면서 생긴 유전적인 차이가 생태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는 개체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생리형
2.
형태형
3.
생육형
4.
생태형
정답 : [
4
] 정답률 : 81%
7.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해충구제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생물학적 조절
2.
유전적 조절
3.
호르몬과 페로몬 이용법
4.
유기안의 살포
정답 : [
4
] 정답률 : 82%
8.
다음 중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한 정책의 핵심은?
1.
환경 관련 예산 축소
2.
축산업 장려
3.
수처리 관련시설 건설
4.
비점오염원 증대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축산업은 환경오염 수자원 낭비의 주범 중 하나이다. 4. 비점오염원을 감소해야한다. 점오염원 : 일정한 점원 위치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것 예) 정화조, 공장 등 산업 오폐수
비점오염원 : 그 발생 지점을 특정할 수 없는 오염원 예) 농경지에 뿌리는 농약이나 비료, 도로노면에서 발생하는 오염원 [해설작성자 : 도오트]
9.
지구자전, 해류의 흐름, 지형 등의 요인으로 저층의 수괴가 상층으로 유입되어 형성되며 생산력이 높은 어장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저탁류(turbiidity current)
2.
원심력(centrifugal force)
3.
용승류(upwelling)
4.
적도해류(Equatorial current)
정답 : [
3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저탁류 (turbidity current) : 해저 사면을 따라 흐르는, 퇴적물의 밀도가 비교적 높은 탁류. 촉발시키는 작용으로는 지진, 폭풍 홍수 등이 있다. 2. 원심력 (centrifugal force) : 원운동을 하고 있는 물체에 나타나는 관성력으로 원의 중심에서 멀어지려는 힘이다. 4. 적도해류 (Equatorial current) : 무역풍 때문에 적도의 남북 양쪽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해류. 온도가 높은 난류로, 북적도 해류와 남적도 해류가 있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10.
바다와 강이 만나는 곳에는 생물다양성과 생산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곳에 형성되는 서식처로 해수와 담수가 합해지는 지점에 나타나는 습지는?
1.
저층습지
2.
담수습지
3.
기수습지
4.
염수습지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저층습지 : 저지대에 형성된 습지. 주로 강이나 연못, 호수 주변에 발달되어 있다. 2. 담수습지 : 지표면이 담수로 덮인 생태 공간으로, 습기가 많고 축축한 땅. 4. 염수습지는 찾아도 안나옴. ※ 염습지 : 바닷물이 드나들어 염분의 변화가 큰 습지. 염생식물이 서식 [해설작성자 : 도오트]
11.
다음 두 가지 생물의 관계에서 편리공생(commensalism)의 예에 해당하는 것은?
1.
콩과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
2.
개미와 아카시아
3.
리기테메다소나무와 균근
4.
열대우림과 난초류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2,3은 상리공생 편리공생 : 한쪽만 이익을 얻는 경우 [해설작성자 : 도오트]
12.
육상 생물군계에 있어서 환경의 연평균 강우량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나열한 것은?
1.
사막 → 초원 → 낙엽수림 → 열대우림
2.
낙엽수림 → 침엽수림 → 툰드라 → 열대우림
3.
사막 → 초원 → 침엽수림 → 툰드라
4.
낙엽수림 → 툰드라 → 초원 → 열대우림
정답 : [
1
] 정답률 : 87%
13.
우리나라 남해 해수에 고농도로 존재하여 고둥류의 성비를 전환시킨 환경호르몬은?
1.
DDT
2.
TBT
3.
PCB
4.
DNA
정답 : [
2
] 정답률 : 57%
14.
어떤 주어진 장소와 시간에 서식하는 모든 개체군을 총칭하는 용어는?
1.
생물권
2.
군집
3.
생태계
4.
생물군계
정답 : [
2
] 정답률 : 79%
15.
생물종 다양성이 감소하는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구의 증가, 오염, 외래종의 유입
2.
남용, 오염, 서식지의 물리적 변화
3.
서식지의 파괴, 습지의 보전, 토종의 유지
4.
인구의 증가, 외래종의 유입, 서식지의 외형적 변화
정답 : [
3
] 정답률 : 86%
16.
다음 중 ‘하구습지’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담수가 해안지역을 따라서 바다의 염수와 섞이는 지역에 형성되는 습지를 말한다.
2.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곳으로 갯벌이나 해수욕장 등을 말한다.
3.
항상 물이 고여 있는 습지로서 면적이 8ha 이상이며, 저수지, 호수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4.
이탄습지나 늪지와 같이 비교적 작은 면적의 습지로서 일년 중 일정 기간 동안은 말라있는 경우도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81%
17.
생물군집 내의 여러 종의 개체군들 사이에는 식물을 근원으로 하는 일련의 수직적인 관계-포식과 피식 등의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를 먹이사슬 또는 먹이연쇄라 한다. 1927년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환경부장관이 생태ㆍ경관보전지역안에서 자연생태 또는 자연경관 훼손행위를 한 사람에 대하여 조치할 수 있는 행위가 아닌 것은?
1.
원상회복
2.
행위의 중지
3.
고발 및 동일 면적의 토지 납부
4.
원상회복이 불가능시 대체자연의 조성
정답 : [
3
] 정답률 : 70%
24.
환경친화적 택지개발의 설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구환경의 보전
2.
인간과 자연 상호에 유익함 제공
3.
토지자원절약을 통한 효율성 제공
4.
단지개발시 자연보존 문제를 동시적으로 고려
정답 : [
3
] 정답률 : 73%
25.
생태네트워크의 개념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개별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지역적인 맥락에서 모든 서식처와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상의 계획이다.
2.
지역적인 서식처와 개별적인 생물종을 목적으로 코리더에 의하여 핵심지역과 완충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공간상의 계획이다.
3.
개별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지역적인 맥락에서 특정 서식처와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상의 계획이다.
4.
지역적인 서식처와 생물종 보다는 개별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적으로 코리더에 의하여 핵심지역과 완충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공간상의 계획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26.
현재 작성된 국토환경성 평가지도의 축척은?
1.
1:5000
2.
1:10000
3.
1:25000
4.
1:50000
정답 : [
3
] 정답률 : 78%
27.
지속가능한 개발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미래성
2.
시민참여
3.
형평성
4.
정치안정
정답 : [
4
] 정답률 : 84%
28.
사전환경성검토에서 보다는 환경영향평가에서 주로 다루는 내용에 해당되는 것은?
1.
입지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
2.
부문별 계획 전반에 대한 정책영향평가
3.
환경적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 수립
4.
제안된 행정계획 등에 대하여 환경정책과의 조화성 분석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사전환경성검토제도는 환경영향평가와는 달리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정책, 계획, 프로그램 등과 같은 상위단계에서 환경성을 고려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사업 시행 및 행정계획 수립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사전에 검토하기 위한 제도이다 출처: 국가기록원 [해설작성자 : 도오트]
29.
산ㆍ하천ㆍ내륙습지ㆍ호소(湖沼)ㆍ농지ㆍ도시 등에 대하여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하여 작성된 지도는?
1.
녹지자연도
2.
생태ㆍ자연도
3.
산지이용도
4.
습지보호지역도
정답 : [
2
] 정답률 : 76%
30.
다음 대기오염물질 중 2차 오염결과로 발생되는 것은?
1.
SO23
2.
O3
3.
CO2
4.
CO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주요 대기 오염 물질 - 1차 오염물질 :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 이산화황(SO2), 휘발성 유기화합물, 먼지 - 2차 오염물질 : 오존(O3), 황산(H2SO4), 질산(HNO3), 과산화수소(H2O2), PANs, 삼산화황(SO3) [해설작성자 : 도오트]
31.
다음 지방의 제21은 지향성을 나열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2.
파트너쉽(partnership)
3.
지방가치(local community based issues)
4.
지역통합(regional intergration)
정답 : [
4
] 정답률 : 60%
3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의 시장은 관할구역의 도시지역에 대하여 공원녹지의 확충ㆍ관리ㆍ이용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을 몇 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하는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 : [
2
] 정답률 : 83%
33.
습지보호지역에 자연경관영향의 협의대상이 되는 거리는 경게로부터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 (단, 일반기준을 적용한다.)
1.
300m
2.
500m
3.
1000m
4.
1500m
정답 : [
1
] 정답률 : 46%
34.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기본방침 중 생태계 보전과 단절되고 훼손된 생태계복원을 위한 세부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특성을 고려한 생태계보전
2.
전국의 생태벨트 조성
3.
자연자원의 지속적 사용
4.
훼손된 지역의 조사와 생태계복원
정답 : [
3
] 정답률 : 71%
35.
UNESCO에 의한 인간과 생물권 계획에 의한 보호지역 중 생태계의 훼손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지역은?
1.
핵심지역
2.
완충지대
3.
전이지역
4.
생태보전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48%
3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ㆍ군관리계획의 입안을 위한 기초조사에서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실시하는 토지의 토양, 입지, 활용가능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는?
1.
토지의 적성에 대한 평가
2.
도시관리계획 환경성 검토
3.
사전 환경성 검토
4.
토지 활용성 평가
정답 : [
1
] 정답률 : 70%
37.
하천의 기능 중 치수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생물의 서식처 기능
2.
수질의 지정기능
3.
상업ㆍ농업ㆍ공업용수 등과 같은 물을 이용하는 기능
4.
하천주변에 인간이 정주하는 한 항상 대비해야 하는 기능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치수기능: 다목적 댐을 설치하여 홍수나 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기능 [해설작성자 : 진]
38.
생태환경 복원ㆍ녹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식물군락이 갖는 환경 개선력을 살린 기술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다음 중 그것과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군락의 종다양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자연회복을 도와주도록 하여야 한다.
3.
자연의 군락을 재생ㆍ창조하여야 한다.
4.
자연에 가까운 방법으로 군락을 재생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7%
39.
관한구역의 면적 및 인구규모, 용도지역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도시ㆍ군계획조례로 정하도록 하고 있는,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의 최대한도가 모두 맞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