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댐, 수중보, 하구언 등으로 인하여 야생생물의 서식지가 단편화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생물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구조물, 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을 가리키는 것은?
1.
대체자연
2.
생태통로
3.
자연유보지역
4.
완충지역
정답 : [
2
] 정답률 : 84%
28.
생태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비오톱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도시의 비오톱을 활용해 생태적인 도시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한 토지이용이 오랫동안 지속되어진 공간은 우선적으로 보호한다.
2.
서식지의 다양성을 유지한다.
3.
자연보호에 있어서 도시전체의 동질성을 확보한다.
4.
토지이용에 대한 밀도를 다양하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29.
계획은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토대로 한 집합적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존재하는 동시에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적 해결책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에 기초해 논의되는 토지이용계획의 역할로 틀린 것은?
1.
난개발의 방지
2.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지의 보전기능
3.
세부 공간환경설계에 대한 지침 제시
4.
토지이용현황의 적합성 판단과 규제 수단 제시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토지이용계획의 역할 가. 정주환경의 현재와 장래의 공간구성기능 나. 토지이용의 규제와 실행수단의 제시기능 다. 세부공간환경 설계에 대한 지침 제시의 역할 라. 난개발의 방지기능 마.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지의 보전기능 [해설작성자 : 나 합격]
4. ->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30.
도시생태계를 설명한 것으로 적합하지않은 것은?
1.
도시생태계는 주로 자연시스템으로부터 인위적 시스템으로의 에너지 이전에 의해서 기능이 유지된다.
2.
도시생태계는 사회-경제-자연의 결합으로 성립되는 복합생태계이다.
3.
대도시들은 물질순환관계의 불균형으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4.
대도시에서는 자연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대기, 토양, 공기, 물, 녹지 등이 오염되어 자정능력을 상실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31.
훼손된 자연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세가지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복원(restoration)
2.
복구(rehabilitation)
3.
대체(replacement)
4.
개발(development)
정답 : [
4
] 정답률 : 82%
32.
환경수용능력의 산정기준이 아닌 것은?
1.
환경자본
2.
환경 이슈와 지표
3.
환경용량 기준
4.
환경적 개발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62%
33.
GIS로 파악이 가능한 자연환경정보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대상지 규모
2.
오염물질 종류
3.
산림 및 산지
4.
토지 피복/이용
정답 : [
2
] 정답률 : 82%
34.
환경문제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도시화
2.
산업화
3.
인구증가
4.
주민참여 증대
정답 : [
4
] 정답률 : 84%
35.
환경부에서 제작한 생태ㆍ자연도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전국 자연환경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매 10년마다 작성한다.
2.
도면의 축척은 1/50000 이다.
3.
생태ㆍ자연도 등급 변경신청을 받은 때에 변경신청에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신청을 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정밀조사를 실시한다.
4.
평가항목의 경계는 실선과 격자를 병행하여 표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도면의 축척은 1/25000 이다. [해설작성자 : 다정]
36.
옴부즈만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행정기관의 부작위, 불합리 제도에 의한 국민 권리를 구제한다.
2.
행정기관의 부당한 처분은 업무의 효율을 위해 보안을 유지하는 등 비민주적으로 행정을 통제한다.
3.
공개 운영 및 조사 등의 과정에서 행정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한다.
4.
다른 기관에서 처리하여야 하는 민원 안내 및 고질적이고 반복적인 민원을 종결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37.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야생동물 이동능력
2.
주변의 기후ㆍ기상
3.
이동통로에서 인간에 의한 간섭 여부
4.
연결되어야 할 보호지역 사이의 거리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 주변의 기후와 기상>은 야생동물 이동통로 고려사항으로 보기엔 너무 넓은 개념임 [해설작성자 : 고]
38.
리모트 센싱(Remote sensing)을 이용한 경관특성 분석의 장점을 기술한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정지역의 서로 다른 경관유형의 파악이 가능하다.
2.
산림경관에서 수목의 활력도, 수관 및 잎의 변화 등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3.
분광특성을 통해 경관 구조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4.
지하수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리모트센싱, RS 장단점
장점 - 단시간 내, 주기적으로 접근 불가능 지역까지 관측이 가능함 - 다양한 속성정보 획득이 가능함 단점 - 기상조건이 악화될 경우 원격 탐사가 불가능함 [해설작성자 : 유브니방붕]
39.
생물지역계획의 실행 방향에 있어 분절된 토지를 연계해 에너지 흐름과 동ㆍ식물의 이동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계획은?
1.
건축계획적 기법
2.
경관생태학적 방법
3.
경관미학적 계획
4.
도시설계적 기법
정답 : [
2
] 정답률 : 83%
40.
도시 및 단지 차원의 환경계획이 아닌것은?
1.
생태 네트워크 계획
2.
생태마을과 퍼머컬처
3.
생태건축
4.
지속가능도시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3. 생태건축 -> 도시 및 단지 차원보다 미시적인 계획 [해설작성자 : 충북연맹]
2과목 : 고급직업정보론(노동시장론 포함)
41.
서식처의 창출과 같이 새롭게 서식처를 조성해주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자연적 형성
2.
서식처 구조형성
3.
설계자로서의 서식처
4.
경제적 서식처
정답 : [
4
] 정답률 : 59%
42.
하천의 보전 및 복원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호안을 고정시키는 개수공사가 되어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해야한다.
2.
하천의 구조와 기능을 고려한 종적 및 횡적구조가 복원되어야한다.
3.
서식처를 연결하는 생태공학적인 복원이 되어야 한다.
4.
자연친화적인 공법으로 하천이 복원되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호안이란 하천의 유수에 의한 침식에 대한 하안, 제방을 보호하는 공작물을 지칭하며 호안을 고정시키는 개수 공사는 하천의 보전 및 복원 방향과는 거리가 멀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43.
물질 및 에너지 순환계통으로 옳은 것은?
1.
무기물→생산자→유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2.
유기물→생산자→무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3.
무기물→생산자→무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4.
유기물→생산자→유기물→소비자→무기물→분해자
정답 : [
1
] 정답률 : 78%
44.
생태복원 목표종 선정 시 영양단계의 최상위에 속하는 대형 포유류 및 맹금류와 같이 넒은 서식면적을 필요로 하지만, 지키면 많은 종의 생존이 확보된다고 생각되는 종은?
1.
희소종
2.
중추종
3.
우산종
4.
깃대종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우산종을 보호해주면 생태피라미드 최상층인 우산종이 생태 피라미드 아래 동식물이나 넓은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을 킹스맨 우산처럼 보호해줌 [해설작성자 : 빵야]
45.
일반적으로 인산이 토양 중에 과다하게 있을 경우 식물에 결핍되기 쉬운 성분은?
1.
철
2.
마그네슘
3.
아연
4.
칼륨
정답 : [
3
] 정답률 : 49%
46.
인간에 의해서 교란되지 않은 자연림과 초원의 토양 단면 중 유기물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유기물층의 바로 아래에는 집적층이 있다.
2.
유기물층은 유기물의 분해 정도에 따라 L층(낙엽층), F층(부휴층), H층(부식층)으로 구분된다.
3.
유기물층은 점토, 철, 알루미늄 등의 물질이 집적되는 곳이다.
4.
토양화 진전이 없고, 암석의 풍화가 적은 파쇄 물질의 층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47.
채석지 등과 같은 사면복원 및 녹화를 위한 잔벽처리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사면 경사는 60°를 넘지 않도록 한다.
2.
사면 길이는 10 m 이상으로 한다.
3.
계단 폭은 2 m 이상으로 한다.
4.
채석장은 채석이 종료된 직후에 복구녹화공사가 곧바로 착공되어야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계단폭은 3m가 적당. [해설작성자 : 빅토리v]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8.
조성되는 위치에 따른 대체습지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On-Site 방식은 개발사업의 범위 내에 대체습지를 조성하는 방법이다.
2.
On-Site 방식은 접근 지역에 습지를 조성 시 유출수나 지하수의 수질저하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3.
Off-Site 방식은 유역관리에 있어서 구체적인 계획과 조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다.
4.
Off-Site 방식은 개발사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만 통상적으로 유역범위 밖에 조성하도록 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on site - 동일직역 off site - 원래 습지가 있던 지역과 다른 지역 out of kind - 훼손되는 습지와 새롭게 대체시킬 습지의 유형이 서로 다른 경우 in kind - 훼손되는 습지와 새롭게 대체시킬 습지의 유형이 서로 같은 경우 [해설작성자 : K7, 캠리]
on site -> 개발사업의 범위 내에 대체 습지를 조상하는 방법 off site -> 유역관리에 있어서 구체적인 계획과 조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49.
생태네트워크 계획의 과정에서 보전, 복원, 창출해야 할 서식지 및 분단장소를 설정하는 과정은?
Colonization - 산림의 종자원(seed source)이 가능한 곳에서 가지치기, 솎아주기, 기타 교란 등을 중지하는 방법
3.
Natural Regeneration - 나지 형태로 조성한 후 향후 식물이 자연스럽게 이입 하여 극상림으로 발달해 갈 수 있도록 유도함
4.
Nucleation - 수종을 패치 형태로 식재하는 방법으로, 핵심종이 자리 잡고, natural Regeneration이 가속화되게 하는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생태적 복원공법 Naturalization; 식재 후 자연적인 경쟁 및 천이 등으로 극상림이 발달하도로 유도 Colonization; 식생이 정학할 수 있는 환경만 제공하며 나지 형태로 조성한 후 향후 식물이 자연스럽게 이입하여 극상림으로 발달하도록 유도 Natural Regeneration; 산림의 종자원이 가능한 곳에서 가지치기나 솎아주기 등의 교란을 중지하는 것, 교란이 없는 상태를 유지시켜서 자연적으로 식생이 발달하도록 유도 Nucleation; 수종을 패치형태로 식재하며, 핵심종이 자리 잡고, nutural regenaration이 가속화 되게 하는 방법 Managed Succession; 선구종, 속성수, 보호목 등을 혼식하며, 인위적인 관리로 자연적 천이를 유도 복사이식; 대상지 인근 주변지역에 있는 건강한 식생지역의 일정 면적을 토양부터 식생까지 그대로 옮기는 방법 [해설작성자 : 나 합격]
54.
다음의 골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천연 경량골재에는 팽창성 혈암, 팽창성 점토, 플라이애시 등을 주원료로 한다.
2.
잔 골재의 절건비중은 2.7 미만이다.
3.
골재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의 전체 질량과 절건 상태의 골재 질량에 대한 백분율을 골재의 표면수율이라 한다.
4.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으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의 체 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이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개발행위허가 신청 시 첨부하여야 할 계획서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경관, 조경에 관한 계획
2.
개발 이익 환원에 관한 계획
3.
위해방지, 환경오염 방지계획
4.
기반시설의 설치나 그에 필요한 용지의 확보 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78%
82.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이다. 이에 가장 적합한 생물등급은?
1.
매우 좋음 ~ 좋음
2.
좋음 ~ 보통
3.
보통 ~ 약간 나쁨
4.
약간 나쁨 ~ 매우 나쁨
정답 : [
3
] 정답률 : 73%
8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의 토지 이용방향 등을 고려한 용도지역 구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리지역 :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
2.
농림지역 : 도시지역에 속하지 아니하는 「농지법」에 따른 농업진흥지역 또는 「산지관리법」에 따른 보전산지 등으로서 농림업을 진흥시키고 산림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산업단지개발지역 :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ㆍ정비ㆍ관리ㆍ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 자연환경ㆍ수자원ㆍ해안ㆍ생태계ㆍ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ㆍ육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국토의 용도구분 가. 도시지역;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 정비, 관리, 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 나. 관리지역;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가 있는 지역 다. 농립지역;도시지역에 속하지 아니하는 [농지법]에 따른 농업진흥지역 또는 [산지관리법]에 따른 보전산지 등으로서 농림업을 진흥시키고 산림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라. 자연환경보전지역;자연환경, 수자원, 해안, 생태계, 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 육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해설작성자 : 나 합격]
84.
국토기본법상 “국토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계획은?
1.
국토종합계획
2.
도서종합계획
3.
부문별계획
4.
시ㆍ군종합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국토계획의 정의 가. 국토종합계획 나. 도종합계획 다. 시,군종합계획 라. 지역계획 마. 부문별계획 [해설작성자 : 나 합격]
85.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조류)이 아닌 것은?
도로, 댐, 수중보, 하구언 등으로 인하여 야생생물의 서식지가 단편화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생물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구조물, 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을 가리키는 것은?
1.
대체자연
2.
생태통로
3.
자연유보지역
4.
완충지역
정답 : [
2
] 정답률 : 84%
28.
생태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비오톱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도시의 비오톱을 활용해 생태적인 도시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한 토지이용이 오랫동안 지속되어진 공간은 우선적으로 보호한다.
2.
서식지의 다양성을 유지한다.
3.
자연보호에 있어서 도시전체의 동질성을 확보한다.
4.
토지이용에 대한 밀도를 다양하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29.
계획은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토대로 한 집합적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존재하는 동시에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적 해결책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에 기초해 논의되는 토지이용계획의 역할로 틀린 것은?
1.
난개발의 방지
2.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지의 보전기능
3.
세부 공간환경설계에 대한 지침 제시
4.
토지이용현황의 적합성 판단과 규제 수단 제시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토지이용계획의 역할 가. 정주환경의 현재와 장래의 공간구성기능 나. 토지이용의 규제와 실행수단의 제시기능 다. 세부공간환경 설계에 대한 지침 제시의 역할 라. 난개발의 방지기능 마.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지의 보전기능 [해설작성자 : 나 합격]
4. ->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30.
도시생태계를 설명한 것으로 적합하지않은 것은?
1.
도시생태계는 주로 자연시스템으로부터 인위적 시스템으로의 에너지 이전에 의해서 기능이 유지된다.
2.
도시생태계는 사회-경제-자연의 결합으로 성립되는 복합생태계이다.
3.
대도시들은 물질순환관계의 불균형으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4.
대도시에서는 자연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대기, 토양, 공기, 물, 녹지 등이 오염되어 자정능력을 상실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31.
훼손된 자연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세가지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복원(restoration)
2.
복구(rehabilitation)
3.
대체(replacement)
4.
개발(development)
정답 : [
4
] 정답률 : 82%
32.
환경수용능력의 산정기준이 아닌 것은?
1.
환경자본
2.
환경 이슈와 지표
3.
환경용량 기준
4.
환경적 개발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62%
33.
GIS로 파악이 가능한 자연환경정보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대상지 규모
2.
오염물질 종류
3.
산림 및 산지
4.
토지 피복/이용
정답 : [
2
] 정답률 : 82%
34.
환경문제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도시화
2.
산업화
3.
인구증가
4.
주민참여 증대
정답 : [
4
] 정답률 : 84%
35.
환경부에서 제작한 생태ㆍ자연도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전국 자연환경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매 10년마다 작성한다.
2.
도면의 축척은 1/50000 이다.
3.
생태ㆍ자연도 등급 변경신청을 받은 때에 변경신청에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신청을 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정밀조사를 실시한다.
4.
평가항목의 경계는 실선과 격자를 병행하여 표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도면의 축척은 1/25000 이다. [해설작성자 : 다정]
36.
옴부즈만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행정기관의 부작위, 불합리 제도에 의한 국민 권리를 구제한다.
2.
행정기관의 부당한 처분은 업무의 효율을 위해 보안을 유지하는 등 비민주적으로 행정을 통제한다.
3.
공개 운영 및 조사 등의 과정에서 행정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한다.
4.
다른 기관에서 처리하여야 하는 민원 안내 및 고질적이고 반복적인 민원을 종결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37.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야생동물 이동능력
2.
주변의 기후ㆍ기상
3.
이동통로에서 인간에 의한 간섭 여부
4.
연결되어야 할 보호지역 사이의 거리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 주변의 기후와 기상>은 야생동물 이동통로 고려사항으로 보기엔 너무 넓은 개념임 [해설작성자 : 고]
38.
리모트 센싱(Remote sensing)을 이용한 경관특성 분석의 장점을 기술한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정지역의 서로 다른 경관유형의 파악이 가능하다.
2.
산림경관에서 수목의 활력도, 수관 및 잎의 변화 등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3.
분광특성을 통해 경관 구조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4.
지하수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리모트센싱, RS 장단점
장점 - 단시간 내, 주기적으로 접근 불가능 지역까지 관측이 가능함 - 다양한 속성정보 획득이 가능함 단점 - 기상조건이 악화될 경우 원격 탐사가 불가능함 [해설작성자 : 유브니방붕]
39.
생물지역계획의 실행 방향에 있어 분절된 토지를 연계해 에너지 흐름과 동ㆍ식물의 이동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계획은?
1.
건축계획적 기법
2.
경관생태학적 방법
3.
경관미학적 계획
4.
도시설계적 기법
정답 : [
2
] 정답률 : 83%
40.
도시 및 단지 차원의 환경계획이 아닌것은?
1.
생태 네트워크 계획
2.
생태마을과 퍼머컬처
3.
생태건축
4.
지속가능도시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3. 생태건축 -> 도시 및 단지 차원보다 미시적인 계획 [해설작성자 : 충북연맹]
2과목 : 고급직업정보론(노동시장론 포함)
41.
서식처의 창출과 같이 새롭게 서식처를 조성해주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자연적 형성
2.
서식처 구조형성
3.
설계자로서의 서식처
4.
경제적 서식처
정답 : [
4
] 정답률 : 59%
42.
하천의 보전 및 복원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호안을 고정시키는 개수공사가 되어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해야한다.
2.
하천의 구조와 기능을 고려한 종적 및 횡적구조가 복원되어야한다.
3.
서식처를 연결하는 생태공학적인 복원이 되어야 한다.
4.
자연친화적인 공법으로 하천이 복원되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호안이란 하천의 유수에 의한 침식에 대한 하안, 제방을 보호하는 공작물을 지칭하며 호안을 고정시키는 개수 공사는 하천의 보전 및 복원 방향과는 거리가 멀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43.
물질 및 에너지 순환계통으로 옳은 것은?
1.
무기물→생산자→유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2.
유기물→생산자→무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3.
무기물→생산자→무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4.
유기물→생산자→유기물→소비자→무기물→분해자
정답 : [
1
] 정답률 : 78%
44.
생태복원 목표종 선정 시 영양단계의 최상위에 속하는 대형 포유류 및 맹금류와 같이 넒은 서식면적을 필요로 하지만, 지키면 많은 종의 생존이 확보된다고 생각되는 종은?
1.
희소종
2.
중추종
3.
우산종
4.
깃대종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우산종을 보호해주면 생태피라미드 최상층인 우산종이 생태 피라미드 아래 동식물이나 넓은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을 킹스맨 우산처럼 보호해줌 [해설작성자 : 빵야]
45.
일반적으로 인산이 토양 중에 과다하게 있을 경우 식물에 결핍되기 쉬운 성분은?
1.
철
2.
마그네슘
3.
아연
4.
칼륨
정답 : [
3
] 정답률 : 49%
46.
인간에 의해서 교란되지 않은 자연림과 초원의 토양 단면 중 유기물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유기물층의 바로 아래에는 집적층이 있다.
2.
유기물층은 유기물의 분해 정도에 따라 L층(낙엽층), F층(부휴층), H층(부식층)으로 구분된다.
3.
유기물층은 점토, 철, 알루미늄 등의 물질이 집적되는 곳이다.
4.
토양화 진전이 없고, 암석의 풍화가 적은 파쇄 물질의 층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47.
채석지 등과 같은 사면복원 및 녹화를 위한 잔벽처리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사면 경사는 60°를 넘지 않도록 한다.
2.
사면 길이는 10 m 이상으로 한다.
3.
계단 폭은 2 m 이상으로 한다.
4.
채석장은 채석이 종료된 직후에 복구녹화공사가 곧바로 착공되어야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계단폭은 3m가 적당. [해설작성자 : 빅토리v]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8.
조성되는 위치에 따른 대체습지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On-Site 방식은 개발사업의 범위 내에 대체습지를 조성하는 방법이다.
2.
On-Site 방식은 접근 지역에 습지를 조성 시 유출수나 지하수의 수질저하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3.
Off-Site 방식은 유역관리에 있어서 구체적인 계획과 조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다.
4.
Off-Site 방식은 개발사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만 통상적으로 유역범위 밖에 조성하도록 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on site - 동일직역 off site - 원래 습지가 있던 지역과 다른 지역 out of kind - 훼손되는 습지와 새롭게 대체시킬 습지의 유형이 서로 다른 경우 in kind - 훼손되는 습지와 새롭게 대체시킬 습지의 유형이 서로 같은 경우 [해설작성자 : K7, 캠리]
on site -> 개발사업의 범위 내에 대체 습지를 조상하는 방법 off site -> 유역관리에 있어서 구체적인 계획과 조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49.
생태네트워크 계획의 과정에서 보전, 복원, 창출해야 할 서식지 및 분단장소를 설정하는 과정은?
Colonization - 산림의 종자원(seed source)이 가능한 곳에서 가지치기, 솎아주기, 기타 교란 등을 중지하는 방법
3.
Natural Regeneration - 나지 형태로 조성한 후 향후 식물이 자연스럽게 이입 하여 극상림으로 발달해 갈 수 있도록 유도함
4.
Nucleation - 수종을 패치 형태로 식재하는 방법으로, 핵심종이 자리 잡고, natural Regeneration이 가속화되게 하는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생태적 복원공법 Naturalization; 식재 후 자연적인 경쟁 및 천이 등으로 극상림이 발달하도로 유도 Colonization; 식생이 정학할 수 있는 환경만 제공하며 나지 형태로 조성한 후 향후 식물이 자연스럽게 이입하여 극상림으로 발달하도록 유도 Natural Regeneration; 산림의 종자원이 가능한 곳에서 가지치기나 솎아주기 등의 교란을 중지하는 것, 교란이 없는 상태를 유지시켜서 자연적으로 식생이 발달하도록 유도 Nucleation; 수종을 패치형태로 식재하며, 핵심종이 자리 잡고, nutural regenaration이 가속화 되게 하는 방법 Managed Succession; 선구종, 속성수, 보호목 등을 혼식하며, 인위적인 관리로 자연적 천이를 유도 복사이식; 대상지 인근 주변지역에 있는 건강한 식생지역의 일정 면적을 토양부터 식생까지 그대로 옮기는 방법 [해설작성자 : 나 합격]
54.
다음의 골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천연 경량골재에는 팽창성 혈암, 팽창성 점토, 플라이애시 등을 주원료로 한다.
2.
잔 골재의 절건비중은 2.7 미만이다.
3.
골재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의 전체 질량과 절건 상태의 골재 질량에 대한 백분율을 골재의 표면수율이라 한다.
4.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으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의 체 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이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개발행위허가 신청 시 첨부하여야 할 계획서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경관, 조경에 관한 계획
2.
개발 이익 환원에 관한 계획
3.
위해방지, 환경오염 방지계획
4.
기반시설의 설치나 그에 필요한 용지의 확보 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78%
82.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이다. 이에 가장 적합한 생물등급은?
1.
매우 좋음 ~ 좋음
2.
좋음 ~ 보통
3.
보통 ~ 약간 나쁨
4.
약간 나쁨 ~ 매우 나쁨
정답 : [
3
] 정답률 : 73%
8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의 토지 이용방향 등을 고려한 용도지역 구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리지역 :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
2.
농림지역 : 도시지역에 속하지 아니하는 「농지법」에 따른 농업진흥지역 또는 「산지관리법」에 따른 보전산지 등으로서 농림업을 진흥시키고 산림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산업단지개발지역 :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ㆍ정비ㆍ관리ㆍ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 자연환경ㆍ수자원ㆍ해안ㆍ생태계ㆍ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ㆍ육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국토의 용도구분 가. 도시지역;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 정비, 관리, 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 나. 관리지역;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가 있는 지역 다. 농립지역;도시지역에 속하지 아니하는 [농지법]에 따른 농업진흥지역 또는 [산지관리법]에 따른 보전산지 등으로서 농림업을 진흥시키고 산림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라. 자연환경보전지역;자연환경, 수자원, 해안, 생태계, 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 육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해설작성자 : 나 합격]
84.
국토기본법상 “국토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계획은?
1.
국토종합계획
2.
도서종합계획
3.
부문별계획
4.
시ㆍ군종합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국토계획의 정의 가. 국토종합계획 나. 도종합계획 다. 시,군종합계획 라. 지역계획 마. 부문별계획 [해설작성자 : 나 합격]
85.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조류)이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