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열탈착법은 처리토양 내의 수분이 많으면 전처리를 통하여 수분함량을 낮추어야 한다.
열탈착기술 정의 : 토양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아닌, 오염토양에 열을 가하여 수분과 유기오염물질을 토양으로부터 단순히 분리시키는 기술 특징 1. 매우 빠른 처리가 가능하며 같은 용량의 소각공정에 비하여 가스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함 2. 유기염소 및 유기인 살충제 등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동안 다이옥신 및 퓨란류 생성이 되지 않음 3. 토양으로부터 검출한게 이하로 휘발성 유기화합물, 유기염소, 유기인 살충제의 제거가 가능함. 4. 다양한 수분함량과 오염농도를 가진 여러 종류의 토양에 적용 가능 5. 고농도 윤활유 오염에 가장 적합한 처리방법 6. 물리적인 공정으로써 유기물질을 분해시키지 않음 7. 열탈착 온도가 가장 높은 유류는 난방유 8. 가소성이 높은 토양은 장비 내에 엉켜붙어 운영에 지장을 줄 수 있음 9. 1100kcal/kg 보다 높은 열량을 가진 토양은 처리 전 일반토양과 혼합하여 처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양수 후 처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양수를 중단하였다가 일정기간 이후 재개할 경우 오염물질 농도는 급격히 증가한다.
2.
정화기간이 비교적 길어질 수 있다.
3.
비수용상액체가 존재하는 한 계속 운영되어야할 것이다.
4.
많은 복원비용이 소요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양수 후 처리방법은 복원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바이오파일의 장ㆍ단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계 및 운영이 쉽다.
2.
휘발물질 유출방지가 가능하다.
3.
배기가스 처리가 필요없다.
4.
지하수오렴 방지 라이너시설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바이오파일 : 오염된 토양을 굴착한 후 일정한 파일(Pile) 안에 오염토양을 쌓은 다음 폭기, 영양물질, 수분함유량을 조절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 시키는 탈위치 처리공법
바이오파일의 장단점 - 설계 및 운영이 쉽다. - 휘발물질 유출방지가 가능하다. - 지하수오염 방지 라이너 시설이 필요하다. - 백가스 처리가 필요하다 .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TCE로 오렴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포기조 내에서 공기 분산법으로 제거하는 경우, 포기조 부피가 750m3 인 처리장에 1일 3000m3의 오염 지하수가 유입된다면 포기 시간(hr)은?
1.
4
2.
6
3.
8
4.
10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포기시간=포기조용적(m3)/유입수량(m3/일)*24h 750/3000*24=6 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Trickster]
50.
자연정화기법에 의하여 오염부지를 처리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오염물질의 자체적인 분산, 희석, 흡착, 휘발 현상
2.
지하수 함량에 의한 희석과 혼합현상
3.
토양 내 생분해로 인한 생물학적 분해 및 전이현상
4.
계면활성제의 주입에 의한 오염물질 탈착현상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계면활성제의 주입에 의한 오염물질 탈착현상을 이용한 오염 부지 처리는 물리화학적 방법이다.
자연정화기법(=자연저감법) 정의 : 자연적인 지중 공정(희석, 생분해, 휘발, 흡착, 지중물질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오염물질 농도가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저감되도록 유도하는 기법
적용 제약 조건 - 수은과 같은 무기물질은 비유동성이며 잘 분해되지 않음 - 지중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여야 함 - 오염물질이 분해되기 전에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 본래 물질보다 중간 분해산물이 유동성과 독성이 강함 - 장기간의 모니터링으로 인하여 타 정화공법보다 고비용이 소요됨
특징 - 포화대 및 불포화대에 적용 가능 - 부지 특성에 따라 모니터링 비용 등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짐 - 부지의 사용제한이나 처리기간이 장기간 소요 - 자연저감이 일어나고 있을 때 알칼리도와 염소는 배경보다 높은 값을, 질산염은 배경보다 낮은 값을 나타냄 - 지하수 중 BTEX 처리 시 용존산소 감소, 질산이온 감소, 3가 철 증가, 황산이온 감소 - 오염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역의 오염운에서 지배적으로 일어나는 자연저감 과정은 탈질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식물정화법에서 식물은 독성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분비하여 처리한다. 제초제를 처리할 수 있는 효소셰로 옳은 것은?
1.
nitrilase
2.
nitroreductase
3.
dehalogenase
4.
peroxidase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식물정화에 중요 역할을 하는 효소와 분해되는 오염물질* Nitrilase-제초제 Nitroreductase-탄약폐기물(TNT,RDX) Dehalogenase-염소계 유기용매(TCE),에틸렌 함유 화합물 Peroxidase-페놀 [해설작성자 : 환경어린이]
53.
유류오염부지에 생물통기법을 적용하기위하여 산소소모율을 측정한 시험 결과가 다음과 같다면 평균 산소소모율(O2%/day)은? (단, 오연 토양향 = 500m3, 주입공기량 = 100m3/day, 산소 농도 = 21%, 배기가스산소농도 = 10%, 토양부피 중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분율 = 25%)
1.
약 5.5
2.
약 6.4
3.
약 7.6
4.
약 8.8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00M3 X (21-10))/(500M3 X 0.25) = 8.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지중 내에 직류전기를 공급하여 지반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추출하는 기술의 장ㆍ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지반 매트릭스자체에 미치는 영향이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단점이 있음
2.
염이나 2차 광물의 침전으로 효율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음
3.
오염지역 복원이 영구적인 장점이 있음
4.
오염된 지중용액을 집수정으로부터 쉽게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동전기 정화방법은 염이나 2차 광물의 침전에 의하여 효율이 저하된다. 즉, 탄산화물 또는 적철석과 같은 광물이 다량 함유된 염기성 토양에서는 적용 효율이 낮다.
*동전기정화법 정의 : 지층 속에 전극을 설치하고, 직류전류를 가하여 지층의 물리, 화학적 및 수리학적 변화를 유도한 후 전도현상을 일으켜 오염물질을 이동, 추출 제거
적용조건 적용오염물질 : 중금속, 방사성물질, 페놀, TCE, 톨루엔, 유무기 오염물질 적용토양 : 토양입자 표면의 전하가 음전하를 띠는 점토에 효율적, 사토질 지층 뿐만 아니라 점성토 지층에도 효과적
장점 :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에 적용 가능, 이질토양에서도 균일하게 오염물질 제거 가능 토양의 포화도에 무관하게 적용 가능, 굴착 등이 불필요하므로 현재의 현장상태를 유지 가능 여러 종류의 토양층으로 구성된 토양에서도 적용 가능( 전기삼투계쑤는 토양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
단점 : 물의 전기분해 반응에 의해 전극에서 생성되는 산소가스(양극)와 수소가스(음극)가 전극을 둘러쌈에 따라 전기전도도의 감소로 효율 저하 발생, 최적의 pH조절이 곤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오염지하수정화에 반응벽체 공법을 적용할 때 반응벽체의 두께가 3m, 지하수의 선속도가 0.2m/hr일 경우 지하수의 반응벽체 통과시간(hr)은?
1.
6
2.
60
3.
1.5
4.
15
정답 : [
4
] 정답률 : 80%
56.
수리전도도가 불량하고 과잉 압밀된 오염지반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여타 지중전화 기술 저용 시 오염물 처리 및 추출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1.
Pneumatic fracturing
2.
Co-metabolic
3.
Precipitation
4.
Direction wall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압축공기파쇄추출법 수리전도도(통기성)가 불량하고 과잉 압밀된 오염지반에 인위적인 틈을 만들어 갑축공기를 주입하여 여타 지중정화기술 적용 시 오염물 처리 및 추출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토양증기추출법을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진공 압력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
2.
광정 스크린 막힘 현상
3.
토양 공극의 확장 현상
4.
공기흐름의 감소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토양증기추출법을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에 적용 시 토양 공극의 축소현상이 발생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토양에 함유된 화학 성분 중에서 주요 산화물의 함량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SiO2>Al2O3>FeO+Fe2O3>CaO+MgO
2.
SiO2>Al2O3>CaO+MgO>FeO+Fe2O3
3.
Al2O3>SiO2>CaO+MgO>FeO+Fe2O3
4.
Al2O3>FeO+Fe2O3>SiO2> CaO+MgO
정답 : [
1
] 정답률 : 75%
59.
생물학적 복원 기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저농도 및 광범위한 오염에 적합하다.
2.
유해한 중간물질을 만드는 경유가 있어 분해생성물의 유무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3.
다양한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도 별도의 기술개발이 필요 없다.
4.
약춘을 많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2차 오염이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생물학적 복원기술은 다양한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난분해성과 관련된 화합물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할로겐화된 화합물
2.
가지구가가 많은 화합물
3.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
4.
원자의 전하차가 작은 화합물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난분해성 유기화학물질 종류 - 가지구조가 많은 화합물 - 분자 내에 많은 수의 할로겐 원소를 함유한 화합물 -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적은 화합물 - 원자의 전하차가 큰 화합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1.
다음에서 엄급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토양관련전문기관'으로 옳은 것은?
1.
농촌진흥청
2.
한국환경공단
3.
국립환경과학원
4.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정답 : [
4
] 정답률 : 87%
62.
환경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은 토양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양오염 측정망 설치 지점 중 환경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등이 전답, 임야, 공원 등 토양의 용도변경을 인정하고자 하는 지역
2.
상시측정의 경과 우려기준을 넘는 지역
3.
토양오염실태조사의 경과 우려기준을 넘는 지역
4.
토양오염사고 등으로 인하여 환경부장과느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이 우려기준을 넘을 가능성이 크다고 인정하는 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63%
63.
지하수의 수질기준 설정 항목(일반오염물질)에 해당되는 것은? (단, 지하수를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경우)
<문제 해설> 열탈착법은 처리토양 내의 수분이 많으면 전처리를 통하여 수분함량을 낮추어야 한다.
열탈착기술 정의 : 토양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아닌, 오염토양에 열을 가하여 수분과 유기오염물질을 토양으로부터 단순히 분리시키는 기술 특징 1. 매우 빠른 처리가 가능하며 같은 용량의 소각공정에 비하여 가스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함 2. 유기염소 및 유기인 살충제 등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동안 다이옥신 및 퓨란류 생성이 되지 않음 3. 토양으로부터 검출한게 이하로 휘발성 유기화합물, 유기염소, 유기인 살충제의 제거가 가능함. 4. 다양한 수분함량과 오염농도를 가진 여러 종류의 토양에 적용 가능 5. 고농도 윤활유 오염에 가장 적합한 처리방법 6. 물리적인 공정으로써 유기물질을 분해시키지 않음 7. 열탈착 온도가 가장 높은 유류는 난방유 8. 가소성이 높은 토양은 장비 내에 엉켜붙어 운영에 지장을 줄 수 있음 9. 1100kcal/kg 보다 높은 열량을 가진 토양은 처리 전 일반토양과 혼합하여 처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양수 후 처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양수를 중단하였다가 일정기간 이후 재개할 경우 오염물질 농도는 급격히 증가한다.
2.
정화기간이 비교적 길어질 수 있다.
3.
비수용상액체가 존재하는 한 계속 운영되어야할 것이다.
4.
많은 복원비용이 소요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양수 후 처리방법은 복원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바이오파일의 장ㆍ단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계 및 운영이 쉽다.
2.
휘발물질 유출방지가 가능하다.
3.
배기가스 처리가 필요없다.
4.
지하수오렴 방지 라이너시설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바이오파일 : 오염된 토양을 굴착한 후 일정한 파일(Pile) 안에 오염토양을 쌓은 다음 폭기, 영양물질, 수분함유량을 조절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 시키는 탈위치 처리공법
바이오파일의 장단점 - 설계 및 운영이 쉽다. - 휘발물질 유출방지가 가능하다. - 지하수오염 방지 라이너 시설이 필요하다. - 백가스 처리가 필요하다 .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TCE로 오렴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포기조 내에서 공기 분산법으로 제거하는 경우, 포기조 부피가 750m3 인 처리장에 1일 3000m3의 오염 지하수가 유입된다면 포기 시간(hr)은?
1.
4
2.
6
3.
8
4.
10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포기시간=포기조용적(m3)/유입수량(m3/일)*24h 750/3000*24=6 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Trickster]
50.
자연정화기법에 의하여 오염부지를 처리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오염물질의 자체적인 분산, 희석, 흡착, 휘발 현상
2.
지하수 함량에 의한 희석과 혼합현상
3.
토양 내 생분해로 인한 생물학적 분해 및 전이현상
4.
계면활성제의 주입에 의한 오염물질 탈착현상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계면활성제의 주입에 의한 오염물질 탈착현상을 이용한 오염 부지 처리는 물리화학적 방법이다.
자연정화기법(=자연저감법) 정의 : 자연적인 지중 공정(희석, 생분해, 휘발, 흡착, 지중물질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오염물질 농도가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저감되도록 유도하는 기법
적용 제약 조건 - 수은과 같은 무기물질은 비유동성이며 잘 분해되지 않음 - 지중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여야 함 - 오염물질이 분해되기 전에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 본래 물질보다 중간 분해산물이 유동성과 독성이 강함 - 장기간의 모니터링으로 인하여 타 정화공법보다 고비용이 소요됨
특징 - 포화대 및 불포화대에 적용 가능 - 부지 특성에 따라 모니터링 비용 등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짐 - 부지의 사용제한이나 처리기간이 장기간 소요 - 자연저감이 일어나고 있을 때 알칼리도와 염소는 배경보다 높은 값을, 질산염은 배경보다 낮은 값을 나타냄 - 지하수 중 BTEX 처리 시 용존산소 감소, 질산이온 감소, 3가 철 증가, 황산이온 감소 - 오염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역의 오염운에서 지배적으로 일어나는 자연저감 과정은 탈질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식물정화법에서 식물은 독성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분비하여 처리한다. 제초제를 처리할 수 있는 효소셰로 옳은 것은?
1.
nitrilase
2.
nitroreductase
3.
dehalogenase
4.
peroxidase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식물정화에 중요 역할을 하는 효소와 분해되는 오염물질* Nitrilase-제초제 Nitroreductase-탄약폐기물(TNT,RDX) Dehalogenase-염소계 유기용매(TCE),에틸렌 함유 화합물 Peroxidase-페놀 [해설작성자 : 환경어린이]
53.
유류오염부지에 생물통기법을 적용하기위하여 산소소모율을 측정한 시험 결과가 다음과 같다면 평균 산소소모율(O2%/day)은? (단, 오연 토양향 = 500m3, 주입공기량 = 100m3/day, 산소 농도 = 21%, 배기가스산소농도 = 10%, 토양부피 중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분율 = 25%)
1.
약 5.5
2.
약 6.4
3.
약 7.6
4.
약 8.8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00M3 X (21-10))/(500M3 X 0.25) = 8.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지중 내에 직류전기를 공급하여 지반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추출하는 기술의 장ㆍ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지반 매트릭스자체에 미치는 영향이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단점이 있음
2.
염이나 2차 광물의 침전으로 효율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음
3.
오염지역 복원이 영구적인 장점이 있음
4.
오염된 지중용액을 집수정으로부터 쉽게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동전기 정화방법은 염이나 2차 광물의 침전에 의하여 효율이 저하된다. 즉, 탄산화물 또는 적철석과 같은 광물이 다량 함유된 염기성 토양에서는 적용 효율이 낮다.
*동전기정화법 정의 : 지층 속에 전극을 설치하고, 직류전류를 가하여 지층의 물리, 화학적 및 수리학적 변화를 유도한 후 전도현상을 일으켜 오염물질을 이동, 추출 제거
적용조건 적용오염물질 : 중금속, 방사성물질, 페놀, TCE, 톨루엔, 유무기 오염물질 적용토양 : 토양입자 표면의 전하가 음전하를 띠는 점토에 효율적, 사토질 지층 뿐만 아니라 점성토 지층에도 효과적
장점 :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에 적용 가능, 이질토양에서도 균일하게 오염물질 제거 가능 토양의 포화도에 무관하게 적용 가능, 굴착 등이 불필요하므로 현재의 현장상태를 유지 가능 여러 종류의 토양층으로 구성된 토양에서도 적용 가능( 전기삼투계쑤는 토양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
단점 : 물의 전기분해 반응에 의해 전극에서 생성되는 산소가스(양극)와 수소가스(음극)가 전극을 둘러쌈에 따라 전기전도도의 감소로 효율 저하 발생, 최적의 pH조절이 곤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오염지하수정화에 반응벽체 공법을 적용할 때 반응벽체의 두께가 3m, 지하수의 선속도가 0.2m/hr일 경우 지하수의 반응벽체 통과시간(hr)은?
1.
6
2.
60
3.
1.5
4.
15
정답 : [
4
] 정답률 : 80%
56.
수리전도도가 불량하고 과잉 압밀된 오염지반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여타 지중전화 기술 저용 시 오염물 처리 및 추출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1.
Pneumatic fracturing
2.
Co-metabolic
3.
Precipitation
4.
Direction wall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압축공기파쇄추출법 수리전도도(통기성)가 불량하고 과잉 압밀된 오염지반에 인위적인 틈을 만들어 갑축공기를 주입하여 여타 지중정화기술 적용 시 오염물 처리 및 추출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토양증기추출법을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진공 압력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
2.
광정 스크린 막힘 현상
3.
토양 공극의 확장 현상
4.
공기흐름의 감소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토양증기추출법을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에 적용 시 토양 공극의 축소현상이 발생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토양에 함유된 화학 성분 중에서 주요 산화물의 함량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SiO2>Al2O3>FeO+Fe2O3>CaO+MgO
2.
SiO2>Al2O3>CaO+MgO>FeO+Fe2O3
3.
Al2O3>SiO2>CaO+MgO>FeO+Fe2O3
4.
Al2O3>FeO+Fe2O3>SiO2> CaO+MgO
정답 : [
1
] 정답률 : 75%
59.
생물학적 복원 기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저농도 및 광범위한 오염에 적합하다.
2.
유해한 중간물질을 만드는 경유가 있어 분해생성물의 유무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3.
다양한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도 별도의 기술개발이 필요 없다.
4.
약춘을 많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2차 오염이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생물학적 복원기술은 다양한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난분해성과 관련된 화합물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할로겐화된 화합물
2.
가지구가가 많은 화합물
3.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
4.
원자의 전하차가 작은 화합물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난분해성 유기화학물질 종류 - 가지구조가 많은 화합물 - 분자 내에 많은 수의 할로겐 원소를 함유한 화합물 -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적은 화합물 - 원자의 전하차가 큰 화합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1.
다음에서 엄급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토양관련전문기관'으로 옳은 것은?
1.
농촌진흥청
2.
한국환경공단
3.
국립환경과학원
4.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정답 : [
4
] 정답률 : 87%
62.
환경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은 토양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양오염 측정망 설치 지점 중 환경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등이 전답, 임야, 공원 등 토양의 용도변경을 인정하고자 하는 지역
2.
상시측정의 경과 우려기준을 넘는 지역
3.
토양오염실태조사의 경과 우려기준을 넘는 지역
4.
토양오염사고 등으로 인하여 환경부장과느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이 우려기준을 넘을 가능성이 크다고 인정하는 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63%
63.
지하수의 수질기준 설정 항목(일반오염물질)에 해당되는 것은? (단, 지하수를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