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염색체가 자극을 받아 절단된 단면(fragment)이 염색체에 다시 부착하지 못했을 때에 생기는 현상은?
1.
절단(fragment)
2.
결실(deficiency)
3.
전좌(translocation)
4.
중복(duplication)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결실(Deficiency) : 염색체의 일부 단편이 세포밖으로 소실되는 것. 염색체가 자극을 받아 절단된 단면(Fragment)이 염색체에 다시 부착하지 못했을 때에 생기는 현상.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23.
다음 중 참외 1대잡종 종자 생산을 할 때 화분용 포기의 평균 혼식 비율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0~15%
2.
30~40%
3.
50~60%
4.
70~80%
정답 : [
1
] 정답률 : 41%
24.
다음 중 종자 갱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 갱신은 우량 품종의 퇴화를 막기 위하여 필요하다.
2.
우리나라는 벼, 보리, 밀 등의 작물은 농가에서 관리하고 있다.
3.
벼는 2년을 1기로하고, 콩은 6년을 1기로 하고 있다.
4.
종자갱신에 쓰이는 기본식물은 각 농가에서 관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25.
다음 중 육종시 선발의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선발 형질의 수
2.
작물의 번식방법
3.
선발 대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수의 다소
4.
사용할 수 있는 포장면적, 비용, 노력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육종시 선발의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 선발 형질의 수, 선발 대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수의 다수, 사용할 수 있는 포장면적, 비용, 노력
26.
다음 중 양적형질과 관련 없는 것은?
1.
폴리진
2.
불연속변이
3.
누적효과
4.
연속변이
정답 : [
2
] 정답률 : 60%
27.
다음 중 속씨(피자)식물에서 일어나는 중복수정을 설명한 것은?
1.
난핵+제1웅핵 → 씨눈(2n), 극핵+제2웅핵 → 배젖(3n)
2.
난핵+극핵 → 씨눈(3n), 반족세포+웅핵 → 배젖(4n)
3.
난핵+제1웅핵 → 씨눈(2n), 조세포+제2웅핵 → 배젖(3n)
4.
난핵+극핵 → 씨눈(n), 반족세포+웅핵 → 배젖(2n)
정답 : [
1
] 정답률 : 73%
28.
다음 중 품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것은?
1.
우수성
2.
균일성
3.
영속성
4.
다양성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우량품조의 구비조건: 우수성, 영속성, 균일성, 광지역성
29.
다음 중 동형 접합체를 나타내는 것은?
1.
AA
2.
Aa
3.
AB
4.
BC
정답 : [
1
] 정답률 : 84%
30.
다음 중 유전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잡종집단에서 나타나는 표현형의 전체 분산에 대한 유전자 효과에 의한 분산 정도를 말한다.
2.
유전력은 0 ~ 100%의 값을 가진다.
3.
유전력이 낮은 형질의 선발 효과는 작다.
4.
자식성작물의 잡종집단에서는 후기세대에서 동형개체가 증가할수록 유전력이 낮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자식성 작물의 경우 후기 세대로 갈수록 유전력이 높아진다.
31.
작물 육종에 의한 재배식물의 변화로 가장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종자가 잘 떨어지게 되었다.
2.
종자가 균일하게 발아하도록 되었다.
3.
야생에서의 생존성이 감소되었다.
4.
식물체 이용부위의 양이 증대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32.
다음 중 교배시 양친 식물들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1.
개화시기의 일치
2.
줄기 길이( 長)의 일치
3.
일장반응의 일치
4.
이삭의 형태적 동일성
정답 : [
1
] 정답률 : 71%
33.
다음 중 신품종 육성의 후기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농가실증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지역적응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2.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농가실증시험 → 지역적응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3.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지역적응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농가실증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4.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지역적응시험 → 농가실증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정답 : [
4
] 정답률 : 58%
34.
다음 중 일반적인 육종기술의 3단계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변이의 탐구와 창성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신종의 증식과 보급
2.
신종의 증식과 보급 → 변이의 탐구와 창성 → 변이의 선택과 고정
3.
신종의 증식과 보급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변이의 탐구와 창성
4.
변이의 선택과 고정 → 변이의 탐구와 창성 → 신종의 증식과 보급
정답 : [
1
] 정답률 : 72%
35.
다음 중 자가수정을 촉진하는 식물학적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
1.
이형예
2.
자웅이숙
3.
장벽수정
4.
폐화수정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이형예 : 한 종(種)에 암술과 수술의 길이가 두 가지(장주화와 단주화) 있는 것. 장주화와 단주화끼리는 수정이 되지 않고 원칙적으로 장주화와 단주화 간에 수정이 되어 자가불화합성의 원인이 됨 자웅이숙 : 암술과 수술이 동시에 성숙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하며 자가불화성의 원인이 됨 반의어 : 자웅동숙 장벽수정 : 암술과 수술의 화기구조로 인해 자가수정이 일어나지 않는 현상 폐화수정 : 꽃잎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수정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36.
다음 중 품종의 조만성과 관련 없는 것은?
1.
기본영양생장성
2.
감광성
3.
감온성
4.
내냉성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본영양생장성, 감광성, 감온성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37.
다음 중 자가불화합성의 일시적 타파방법으로 꽃봉오리 때 수분해 주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뇌수분
2.
노화수분
3.
개화수분
4.
말기수분
정답 : [
1
] 정답률 : 83%
38.
벼의 유전자원 평가에서 1차적 특성 중 필수조사 특성이 아닌 것은?
1.
출수기
2.
수량
3.
이삭수
4.
현미의 모양
정답 : [
2
] 정답률 : 39%
39.
다음 중 유전상관(遺傳相關)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다면발현
2.
연관
3.
생리적 필연성
4.
재배조건
정답 : [
4
] 정답률 : 69%
40.
다음 중 Mendel의 유전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유전자는 배우자를 통하여 양친에서 자손으로 전달된다.
2.
유전자는 계속해서 변화하며 또한 다른 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3.
개체가 배우자를 만들 때 한 쌍의 유전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된다.
4.
개체는 한 가지 유전형질에 대하여 한 쌍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3과목 : 임업경영학
41.
다음 중 메밀의 재배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늘한 기후 지역보다 따뜻한 평야 지대가 재배에 적합하다.
2.
오랜 예전부터 우리의 주곡으로 이용되어 왔다.
3.
가뭄에 강하고 생육기간이 짧아서 구황작물로 가치가 있다.
4.
흡비력이 강하므로 많은 화학비료를 써서 재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42.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과수 중 인위적으로 도입되지 않고 예부터 자생하여 온 자생 과수로만 나열된 것은?
1.
사과, 동양배, 복숭아, 포도
2.
동양배, 밤, 자두, 무화과
3.
매실, 감, 사과, 복숭아
4.
대추, 밤, 감, 동양배
정답 : [
4
] 정답률 : 76%
43.
다음 중 고대문명 발생지역과 재배식물 기원지와의 관계에서 벼 재배의 기원지는?
1.
그리스ㆍ이집트 문명지역
2.
메소포타미아 문명지역
3.
인도 문명지역
4.
잉카 문명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77%
44.
다음 중 재배를 위한 작물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익성
2.
품질과 수량성
3.
이병성
4.
생력화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익성, 품질과 수량성, 생력화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45.
다음 중 4 ~ 6km/h 이하의 바람이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증산작용이 억제된다.
2.
광합성이 저해된다.
3.
풍매화의 가루받이와 결실작용을 좋게 한다.
4.
식물 생육과는 관련이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46.
다음 중 추위와 가뭄에 가장 강한 맥류는?
1.
밀
2.
호밀
3.
보리
4.
귀리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호밀 : 추위와 가뭄에 가장 강한 맥류.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47.
다음 중 생력재배를 위한 개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농기계의 활용도를 낮춘다.
2.
수확물을 개별 판매 처리한다.
3.
생산, 저장시설 등을 자동화한다.
4.
농기계 등을 개별 구입하여 이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48.
다음 중 벼의 줄기 속을 갉아먹는 해충은?
1.
벼멸구
2.
이화명나방
3.
혹명나방
4.
벼물바구미
정답 : [
2
] 정답률 : 76%
49.
다음 중 파종 시기가 가장 빠른 것은?
1.
콩
2.
완두
3.
동부
4.
강낭콩
정답 : [
2
] 정답률 : 70%
50.
다음 중 벼를 재배할 때 중간 낙수의 주요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효분얼을 억제시켜 준다.
2.
뿌리의 활력을 촉진시켜 준다.
3.
잡초의 발생을 억제시켜 준다.
4.
양분의 흡수가 촉진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중간낙수는 질소의 과잉흡수를 억제시켜서 무효분얼의 발생을 발생함과 동시에 벼의 생육중후기의 자세를 좋게 하고 토양중에 용해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배제함과 동시에 환원상태에 있는 토양중으로 산소를 공급하므로써 뿌리의 활력 저하를 막고, 뿌리를 땅속 깊이 신장시켜 생육후기의 양수분 흡수를 좋게 한다. 뿐만 아니라 논을 굳혀 地耐力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도복을 방지하고 수확작업 을 용이하게 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51.
다음 중 발아에 미치는 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의 발아에 적당한 온도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10 ~ 20℃이다.
2.
벼의 발아 최저 온도는 5℃ 정도이다.
3.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 종자들의 발아 최저 온도는 2℃정도이다.
4.
호박, 오이, 멜론 등의 여름작물의 발아 최저 온도는 10℃ 정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종자발아에 필요한 최저온도는 0~10℃, 최고온도는 35~50℃, 최적온도는 20~30℃ 벼 종자의 발아 최저온도는 5℃로 보고되어 있지만 대체로 8~10℃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 종자들의 발아 최저 온도는 2℃정도 호박 : 종자의 발아최저 온도는 15, 오이 : 25∼28℃, 멜론 : 발아에 적당한 온도는 30℃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52.
다음 중 산성 토양에 매우 약하여 석회 시용으로 산도를 교정하고 파종해야하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콩, 시금치
2.
벼, 호밀
3.
밀, 옥수수
4.
감자, 호박
정답 : [
1
] 정답률 : 65%
53.
다음 중 종자 저장시 건조제로 쓰이는 것은?
1.
염화칼슘
2.
NAA
3.
지베렐린
4.
MH-30제
정답 : [
1
] 정답률 : 79%
54.
다음 중 토양 경운작업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물 빠짐과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한다.
2.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왕성하게 한다.
3.
잡초의 발생을 많게 한다.
4.
토양을 부드럽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9%
55.
다음 중 벼의 감수분열기에 저온의 피해를 입으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1.
분얼 수가 적어진다.
2.
꽃피는 시기가 빨라진다.
3.
수확시기가 늦어진다.
4.
쭉정이가 발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벼의 감수분열기에 저온의 피해를 입으면 - 쭉정이가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56.
다음 중 오이재배에서 하우스 내에 묘를 정식한 후 초기에는 터널을 설치하여 가온ㆍ보온 관리하고, 후기에는 무가온 또는 피복을 제거한 자연 상태로 재배하여 4월 중순부터 수확하는 재배법은?
1.
촉성재배
2.
반촉성재배
3.
조숙재배
4.
억제재배
정답 : [
2
] 정답률 : 61%
57.
다음 중 벼를 싹틔울 때 가장 알맞은 싹의 크기는?
1.
2mm
2.
5mm
3.
2cm
4.
5cm
정답 : [
1
] 정답률 : 67%
58.
다음 중 과실의 수확 후 예냉을 실시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과실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2.
저장, 수송 중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3.
후숙을 유도하기 위하여
4.
수확물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 : [
2
] 정답률 : 85%
59.
다음 중 1대잡종(F1) 채종시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무, 배추
2.
고추, 토마토
3.
오이, 참외
4.
상추, 시금치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자가불화합성은 잡종강세를 이용,F1품종 채종에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무 배추 양배추)
다음 중 염색체가 자극을 받아 절단된 단면(fragment)이 염색체에 다시 부착하지 못했을 때에 생기는 현상은?
1.
절단(fragment)
2.
결실(deficiency)
3.
전좌(translocation)
4.
중복(duplication)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결실(Deficiency) : 염색체의 일부 단편이 세포밖으로 소실되는 것. 염색체가 자극을 받아 절단된 단면(Fragment)이 염색체에 다시 부착하지 못했을 때에 생기는 현상.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23.
다음 중 참외 1대잡종 종자 생산을 할 때 화분용 포기의 평균 혼식 비율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0~15%
2.
30~40%
3.
50~60%
4.
70~80%
정답 : [
1
] 정답률 : 41%
24.
다음 중 종자 갱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 갱신은 우량 품종의 퇴화를 막기 위하여 필요하다.
2.
우리나라는 벼, 보리, 밀 등의 작물은 농가에서 관리하고 있다.
3.
벼는 2년을 1기로하고, 콩은 6년을 1기로 하고 있다.
4.
종자갱신에 쓰이는 기본식물은 각 농가에서 관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25.
다음 중 육종시 선발의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선발 형질의 수
2.
작물의 번식방법
3.
선발 대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수의 다소
4.
사용할 수 있는 포장면적, 비용, 노력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육종시 선발의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 선발 형질의 수, 선발 대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수의 다수, 사용할 수 있는 포장면적, 비용, 노력
26.
다음 중 양적형질과 관련 없는 것은?
1.
폴리진
2.
불연속변이
3.
누적효과
4.
연속변이
정답 : [
2
] 정답률 : 60%
27.
다음 중 속씨(피자)식물에서 일어나는 중복수정을 설명한 것은?
1.
난핵+제1웅핵 → 씨눈(2n), 극핵+제2웅핵 → 배젖(3n)
2.
난핵+극핵 → 씨눈(3n), 반족세포+웅핵 → 배젖(4n)
3.
난핵+제1웅핵 → 씨눈(2n), 조세포+제2웅핵 → 배젖(3n)
4.
난핵+극핵 → 씨눈(n), 반족세포+웅핵 → 배젖(2n)
정답 : [
1
] 정답률 : 73%
28.
다음 중 품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것은?
1.
우수성
2.
균일성
3.
영속성
4.
다양성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우량품조의 구비조건: 우수성, 영속성, 균일성, 광지역성
29.
다음 중 동형 접합체를 나타내는 것은?
1.
AA
2.
Aa
3.
AB
4.
BC
정답 : [
1
] 정답률 : 84%
30.
다음 중 유전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잡종집단에서 나타나는 표현형의 전체 분산에 대한 유전자 효과에 의한 분산 정도를 말한다.
2.
유전력은 0 ~ 100%의 값을 가진다.
3.
유전력이 낮은 형질의 선발 효과는 작다.
4.
자식성작물의 잡종집단에서는 후기세대에서 동형개체가 증가할수록 유전력이 낮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자식성 작물의 경우 후기 세대로 갈수록 유전력이 높아진다.
31.
작물 육종에 의한 재배식물의 변화로 가장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종자가 잘 떨어지게 되었다.
2.
종자가 균일하게 발아하도록 되었다.
3.
야생에서의 생존성이 감소되었다.
4.
식물체 이용부위의 양이 증대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32.
다음 중 교배시 양친 식물들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1.
개화시기의 일치
2.
줄기 길이( 長)의 일치
3.
일장반응의 일치
4.
이삭의 형태적 동일성
정답 : [
1
] 정답률 : 71%
33.
다음 중 신품종 육성의 후기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농가실증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지역적응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2.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농가실증시험 → 지역적응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3.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지역적응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농가실증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4.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지역적응시험 → 농가실증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정답 : [
4
] 정답률 : 58%
34.
다음 중 일반적인 육종기술의 3단계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변이의 탐구와 창성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신종의 증식과 보급
2.
신종의 증식과 보급 → 변이의 탐구와 창성 → 변이의 선택과 고정
3.
신종의 증식과 보급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변이의 탐구와 창성
4.
변이의 선택과 고정 → 변이의 탐구와 창성 → 신종의 증식과 보급
정답 : [
1
] 정답률 : 72%
35.
다음 중 자가수정을 촉진하는 식물학적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
1.
이형예
2.
자웅이숙
3.
장벽수정
4.
폐화수정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이형예 : 한 종(種)에 암술과 수술의 길이가 두 가지(장주화와 단주화) 있는 것. 장주화와 단주화끼리는 수정이 되지 않고 원칙적으로 장주화와 단주화 간에 수정이 되어 자가불화합성의 원인이 됨 자웅이숙 : 암술과 수술이 동시에 성숙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하며 자가불화성의 원인이 됨 반의어 : 자웅동숙 장벽수정 : 암술과 수술의 화기구조로 인해 자가수정이 일어나지 않는 현상 폐화수정 : 꽃잎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수정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36.
다음 중 품종의 조만성과 관련 없는 것은?
1.
기본영양생장성
2.
감광성
3.
감온성
4.
내냉성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본영양생장성, 감광성, 감온성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37.
다음 중 자가불화합성의 일시적 타파방법으로 꽃봉오리 때 수분해 주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뇌수분
2.
노화수분
3.
개화수분
4.
말기수분
정답 : [
1
] 정답률 : 83%
38.
벼의 유전자원 평가에서 1차적 특성 중 필수조사 특성이 아닌 것은?
1.
출수기
2.
수량
3.
이삭수
4.
현미의 모양
정답 : [
2
] 정답률 : 39%
39.
다음 중 유전상관(遺傳相關)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다면발현
2.
연관
3.
생리적 필연성
4.
재배조건
정답 : [
4
] 정답률 : 69%
40.
다음 중 Mendel의 유전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유전자는 배우자를 통하여 양친에서 자손으로 전달된다.
2.
유전자는 계속해서 변화하며 또한 다른 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3.
개체가 배우자를 만들 때 한 쌍의 유전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된다.
4.
개체는 한 가지 유전형질에 대하여 한 쌍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3과목 : 임업경영학
41.
다음 중 메밀의 재배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늘한 기후 지역보다 따뜻한 평야 지대가 재배에 적합하다.
2.
오랜 예전부터 우리의 주곡으로 이용되어 왔다.
3.
가뭄에 강하고 생육기간이 짧아서 구황작물로 가치가 있다.
4.
흡비력이 강하므로 많은 화학비료를 써서 재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42.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과수 중 인위적으로 도입되지 않고 예부터 자생하여 온 자생 과수로만 나열된 것은?
1.
사과, 동양배, 복숭아, 포도
2.
동양배, 밤, 자두, 무화과
3.
매실, 감, 사과, 복숭아
4.
대추, 밤, 감, 동양배
정답 : [
4
] 정답률 : 76%
43.
다음 중 고대문명 발생지역과 재배식물 기원지와의 관계에서 벼 재배의 기원지는?
1.
그리스ㆍ이집트 문명지역
2.
메소포타미아 문명지역
3.
인도 문명지역
4.
잉카 문명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77%
44.
다음 중 재배를 위한 작물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익성
2.
품질과 수량성
3.
이병성
4.
생력화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익성, 품질과 수량성, 생력화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45.
다음 중 4 ~ 6km/h 이하의 바람이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증산작용이 억제된다.
2.
광합성이 저해된다.
3.
풍매화의 가루받이와 결실작용을 좋게 한다.
4.
식물 생육과는 관련이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46.
다음 중 추위와 가뭄에 가장 강한 맥류는?
1.
밀
2.
호밀
3.
보리
4.
귀리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호밀 : 추위와 가뭄에 가장 강한 맥류.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47.
다음 중 생력재배를 위한 개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농기계의 활용도를 낮춘다.
2.
수확물을 개별 판매 처리한다.
3.
생산, 저장시설 등을 자동화한다.
4.
농기계 등을 개별 구입하여 이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48.
다음 중 벼의 줄기 속을 갉아먹는 해충은?
1.
벼멸구
2.
이화명나방
3.
혹명나방
4.
벼물바구미
정답 : [
2
] 정답률 : 76%
49.
다음 중 파종 시기가 가장 빠른 것은?
1.
콩
2.
완두
3.
동부
4.
강낭콩
정답 : [
2
] 정답률 : 70%
50.
다음 중 벼를 재배할 때 중간 낙수의 주요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효분얼을 억제시켜 준다.
2.
뿌리의 활력을 촉진시켜 준다.
3.
잡초의 발생을 억제시켜 준다.
4.
양분의 흡수가 촉진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중간낙수는 질소의 과잉흡수를 억제시켜서 무효분얼의 발생을 발생함과 동시에 벼의 생육중후기의 자세를 좋게 하고 토양중에 용해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배제함과 동시에 환원상태에 있는 토양중으로 산소를 공급하므로써 뿌리의 활력 저하를 막고, 뿌리를 땅속 깊이 신장시켜 생육후기의 양수분 흡수를 좋게 한다. 뿐만 아니라 논을 굳혀 地耐力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도복을 방지하고 수확작업 을 용이하게 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51.
다음 중 발아에 미치는 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의 발아에 적당한 온도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10 ~ 20℃이다.
2.
벼의 발아 최저 온도는 5℃ 정도이다.
3.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 종자들의 발아 최저 온도는 2℃정도이다.
4.
호박, 오이, 멜론 등의 여름작물의 발아 최저 온도는 10℃ 정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종자발아에 필요한 최저온도는 0~10℃, 최고온도는 35~50℃, 최적온도는 20~30℃ 벼 종자의 발아 최저온도는 5℃로 보고되어 있지만 대체로 8~10℃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 종자들의 발아 최저 온도는 2℃정도 호박 : 종자의 발아최저 온도는 15, 오이 : 25∼28℃, 멜론 : 발아에 적당한 온도는 30℃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52.
다음 중 산성 토양에 매우 약하여 석회 시용으로 산도를 교정하고 파종해야하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콩, 시금치
2.
벼, 호밀
3.
밀, 옥수수
4.
감자, 호박
정답 : [
1
] 정답률 : 65%
53.
다음 중 종자 저장시 건조제로 쓰이는 것은?
1.
염화칼슘
2.
NAA
3.
지베렐린
4.
MH-30제
정답 : [
1
] 정답률 : 79%
54.
다음 중 토양 경운작업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물 빠짐과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한다.
2.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왕성하게 한다.
3.
잡초의 발생을 많게 한다.
4.
토양을 부드럽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9%
55.
다음 중 벼의 감수분열기에 저온의 피해를 입으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1.
분얼 수가 적어진다.
2.
꽃피는 시기가 빨라진다.
3.
수확시기가 늦어진다.
4.
쭉정이가 발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벼의 감수분열기에 저온의 피해를 입으면 - 쭉정이가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만인밥상]
56.
다음 중 오이재배에서 하우스 내에 묘를 정식한 후 초기에는 터널을 설치하여 가온ㆍ보온 관리하고, 후기에는 무가온 또는 피복을 제거한 자연 상태로 재배하여 4월 중순부터 수확하는 재배법은?
1.
촉성재배
2.
반촉성재배
3.
조숙재배
4.
억제재배
정답 : [
2
] 정답률 : 61%
57.
다음 중 벼를 싹틔울 때 가장 알맞은 싹의 크기는?
1.
2mm
2.
5mm
3.
2cm
4.
5cm
정답 : [
1
] 정답률 : 67%
58.
다음 중 과실의 수확 후 예냉을 실시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과실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2.
저장, 수송 중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3.
후숙을 유도하기 위하여
4.
수확물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 : [
2
] 정답률 : 85%
59.
다음 중 1대잡종(F1) 채종시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무, 배추
2.
고추, 토마토
3.
오이, 참외
4.
상추, 시금치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자가불화합성은 잡종강세를 이용,F1품종 채종에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무 배추 양배추)
60.
다음 중 병해충의 방제 방법에 있어 화학적 방제에 속하는 것은?
1.
농약 살포
2.
돌려짓기
3.
파종기 조절
4.
밭 토양이 일시 담수
정답 : [
1
] 정답률 : 9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②
②
①
②
④
③
③
③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①
④
①
②
④
①
③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②
①
①
②
②
①
④
①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①
④
①
④
④
①
②
④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④
③
③
③
②
③
②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①
①
③
④
②
①
②
①
①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7월22일(4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