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


1과목 : 건축계획


1. 보통 주철 성분에 1~1.5%Mo, 0.5~4.0%Ni 첨가 외에 소량의 Cu, Cr을 첨가한 것으로서 바탕 조직이 침상 조직으로 강인하고 내마멸성도 우수하여 크랭크 축, 캠축, 압연용 롤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1. 마하나이트 주철
     2. 애시큘러 주철
     3. 니크로 실랄
     4. 니 레지스트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마나하이트: 시멘타이트 또는 펄라이트 일부분을 남겨서 적당한 강도와 경도 등을 유지하게 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마하나이트: 또는 펄라이트 일부분을 남겨서 적당한 강도와 경도(硬度) 등을 유지하게 한 것이다.
3. 니크로 실랄(Ni-Cr-Si): 고온에서 성장현상이 없고 내산화성이 우수하며 강도가 높고 열충격에도 잘견딘다. 950도까지 내열성을 갖는다.
4. 니 레지스트(Ni-Cr-Cu): 500-600도 정도의 온도에서의 안전성이 매우 좋아 내열주철로 많이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Sn-Sb-Cu계의 베어링용 합금으로 마찰계수가 적고, 소착에 대한 저항력이 큰 합금은?
     1. 켈멧
     2. 베빗메탈
     3. 주석청동
     4. 오일리스 베어링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베빗메탈 (Babbitt Metal)
Sn(주석), Sb(안티몬), Cu(구리)를 기본으로 하는 합금으로, 베어링용 재료로 널리 사용됨.
마찰계수가 적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소착(Seizure) 저항성이 강함.
부드럽고, 기계적 강도는 높지 않지만 베어링 접촉면에 적합한 특성을 가짐.

켈멧 (Kelmet)
알루미늄 합금의 일종으로, 베어링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Sn-Sb-Cu 계 합금이 아님.

주석청동 (Tin Bronze)
주석(Tin)과 구리(Copper)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함.

오일리스 베어링 (Oil-less Bearing)
자체적으로 윤활 특성을 가진 베어링으로, 합금 재료가 아닌 특수 가공된 부품.
[해설작성자 : 승과장]

3. 절삭할 때 칩을 잘게 하고 피삭성을 좋게 만든 쾌삭강은 어떤 원소를 첨가한 것인가?
     1. S, Pb
     2. Cr, Ni
     3. Mn, Mo
     4. Cr, W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S(황): 황은 칩을 잘게 만들어 절삭성을 향상시킨다. 황화물이 금속 내에서 형성되어 칩이 쉽게 부러지고 절삭 공구의 마모를 줄인다.
Pb(납): 납은 금속의 윤활 성질을 향상시켜 절삭성을 좋게 하고, 공구의 수명을 연장한다.
쾌삭강은 주로 황(S)과 납(Pb)을 첨가하여 피삭성을 개선한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4. Al-Si계 합금의 개량처리에 사용되는 나트륨의 첨가량과 용탕의 적정 온도로 옳은 것은?
     1. 약 0.01%, 약 750~800℃
     2. 약 0.1%, 약 750~800℃
     3. 약 1.0%, 약 850~900℃
     4. 약 10.0%, 약 850~90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Al-Si 합금에서 개량처리는 주로 Si(실리콘) 입자를 미세화하여 기계적 특성(강도, 연성) 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나트륨(Na) 또는 스트론튬(Sr)을 첨가하여 실리콘의 조대화를 방지한다.

나트륨 첨가량: 약 0.01%(1/10,000 수준).
과량 첨가는 합금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소량만 첨가한다.

적정 용탕 온도: 약 750~800℃
이 온도 범위에서 나트륨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용탕의 유동성과 개량 효과가 유지된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 금속은 결정격자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달라진다. 전연성이 커서 금속을 가공하는데 좋은 결정격자는 무엇인가?
     1. 단사정방격자
     2. 조밀육방격자
     3. 체심입방격자
     4. 면심입방격자

     정답 : []
     정답률 : 78%

6. 두 성분이 어떠한 비율로 용해하여도 하나의 상을 가지는 고용체를 만드는 상태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편정형상태도
     2. 공정형상태도
     3. 전율고용체형상태도
     4. 금속간화합물형상태도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전율고용체형상태도 (Isomorphous Phase Diagram)
두 성분이 어떠한 비율로 섞이더라도 하나의 상(고용체)을 형성하는 상태도를 말한다.
두 성분이 서로 무한히 고용 가능하며, 상온부터 용융점까지 하나의 고용체로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 구리(Cu)와 니켈(Ni) 합금.

편정형상태도 (Eutectoid Phase Diagram)
특정 성분 조성에서 공정 반응을 나타내는 상태도.

공정형상태도 (Eutectic Phase Diagram)
두 성분이 특정 조성에서 공정 반응(Eutectic Reaction)을 통해 고체 상이 두 개 이상 형성되는 상태도.

금속간화합물형상태도 (Intermetallic Compound Phase Diagram)
특정 조성에서 금속간화합물이 형성되는 상태도.
[해설작성자 : 승과장]

7. 특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변형되기 이전의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신소재는?
     1. 형상기억합금
     2. 제진합금
     3. 비정질합금
     4. 초전도합금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문제속에 답이 나와있습니다.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면 기억을 해야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알루미늄(Al)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전기 전도율이 구리보다 높다.
     2. 강(steel)에 비하여 비중이 가볍다.
     3. 온도에 관계없이 항상 체심입방격자이다.
     4. 주조품 제작시 주입온도는 약 1000℃ 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9. 구조용 합금강 중에서 듀콜강, 해드필드강 등은 어느 합금강에 속하는가?
     1. Ni 강
     2. Cr 강
     3. W 강
     4. Mn 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듀콜강 - 저망간강 해드필드강 - 고망간강
[해설작성자 : 카팔]

10. 그림과 같은 단위격자의 a, b, c는 1Å정도의 크기이다. 단위격자에서 a, b, c가 의미하는 것은?

    

     1. 공간격자
     2. 결정격자
     3. 격자상수
     4. 미세결정

     정답 : []
     정답률 : 73%

11. 청동의 기계적 성질 중 경도는 구리에 주석이 약 몇 % 함유되었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나는가?
     1. 10%
     2. 20%
     3. 30%
     4. 50%

     정답 : []
     정답률 : 74%

12. 6:4 황동에 Sn을 1% 첨가한 것으로 판, 봉으로 가공되어 용접봉, 밸브대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양백
     2. 델타 메탈
     3. 네이벌 황동
     4. 애드미럴티 황동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양백:황동에 10~20% Ni첨가
델타 메탈 : 6-4황동에 1~2Fe첨가
네이벌 황동 : 6-4황동에 1% Sn첨가
애드미럴티 황동 : 7-3황동에 1% Sn첨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감쇠능이 큰 제진합금으로 가장 우수한 것은?
     1. 탄소강
     2. 회주철
     3. 고속도강
     4. 합금공구강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회주철(Grey Cast Iron)은 흑연 입자가 금속 내부에 분산되어 있어 진동을 흡수하는 감쇠능이 매우 뛰어나다.
주로 기계 구조물, 베드(기계 바닥 구조물) 등에서 진동 흡수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감쇠능이 가장 우수한 합금이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14. 다음 중 탄소강의 5대 원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P
     2. S
     3. Na
     4. Si

     정답 : []
     정답률 : 86%

15. 주철의 유동성을 해치는 합금원소는?
     1. P
     2. S
     3. Mn
     4. Si

     정답 : []
     정답률 : 58%

16. 물체의 보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선으로 굵은 실선으로 긋는 선은?
     1. 외형선
     2. 가상선
     3. 중심선
     4. 1점쇄선

     정답 : []
     정답률 : 87%

17. 척도에 관한 설명 중 보기에서 옳은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5%

18. 투상도를 그리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립도 등 주로 기능을 표시하는 도면에서는 물체가 사용되는 상태를 그린다.
     2. 일반적인 도면에서는 물체를 가장 잘 나타내는 상태를 정면도로 하여 그린다.
     3. 주투상도를 보충하는 다른 투상도의 수는 되도록 많이 그리도록 한다.
     4. 물체의 길이가 길어 도면에 나타내기 어려울 때 즉, 교량의 트러스 같은 경우 중간부분을 생략하고 그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8%

19. 다음 그림 중 호의 길이를 표시하는 치수기입법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3%

20. 다음 중 미터 사다리꼴나사를 나타내는 표시법은?
     1. M8
     2. TW10
     3. Tr10
     4. 1-8 UNC

     정답 : []
     정답률 : 66%

2과목 : 건축시공


21. 제도의 기본 요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표현한다.
     2. 정확성,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
     3. 표현의 국제성을 가져야 한다.
     4. 대상물의 도형과 함께 크기, 모양만을 표현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22. 나사의 일반 도시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2.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는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3.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 도시에서의 골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다.
     4. 불완전 나사부의 끝 밑선은 축선에 대하여 30° 경사진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도에서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나타낸다.
불완전 나사부의 끝단은 축선에 대해 30° 기울어진 가는 실선으로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다.
2.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는 "굵은 실선"으로 도한다.
3.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 도시에서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해설작성자 : 재료의 왕 김강현]

23. 상하 또는 좌우가 대칭인 물체를 그림과 같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부 모양과 외부 모양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면도는?

    

     1. 온 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국부 단면도
     4. 부분 단면도

     정답 : []
     정답률 : 61%

24. 투상선을 투상면에 수직으로 투상하여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로 나타내는 투상법은?
     1. 정투상법
     2. 사투상법
     3. 등각투상법
     4. 투시투상법

     정답 : []
     정답률 : 77%

25. 도면에 기입된 “5-ø20드릴”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드릴 구멍이 15개이다.
     2. 직경 5mm인 드릴 구멍이 20개이다.
     3. 직경 20mm인 드릴 구멍이 5개이다.
     4. 직경 20mm인 드릴 구멍의 간격이 5mm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26. 물체의 단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단면 부분에 흐리게 칠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리브(rib)
     2. 널링(knurling)
     3. 스머징(smudging)
     4. 해칭(hatching)

     정답 : []
     정답률 : 70%

27. 치수허용차와 기준선의 관계에서 위 치수허용차가 옳은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69%

28. 철강제품의 표면에 아연을 침투 처리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용융도금의 가열
     2. 아연 분말 중에서 가열
     3. 아연 용사층의 가열
     4. Al2O3 + ZnO2 의 혼합물을 공기 중에서 가열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용융아연도금: 가장 보편적이고 널리 사용됨.
분말 침투법: 아연 분말과 고온 가열로 표면 침투.
금속 용사법: 용융된 아연을 뿌려 코팅.

공기 중에서 Al2O3와 ZnO2 혼합물을 가열하는 방법은 아연 침투와 무관하며, 도금 효과를 낼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29. 마텐자이트 변태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고용체의 단일상이다.
     2. 많은 격자 결함이 존재한다.
     3. 확산변태로 원자의 이동속도가 매우 빠르다.
     4. 모상과 일정한 결정학적 방위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마텐자이트 변태는 확산 없이 이루어지는 변태로, 원자의 재배열이 격자 내부에서 국부적으로 일어난다.
변태는 온도에 의존하지 않고, 매우 빠르게(거의 순간적으로) 발생하지만 이는 확산변태와는 다르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30. 열처리 온도부터 화색이 없어지는 약 550℃ 까지의 범위는 담금질 효과의 정도를 결정하는 온도 범위로서 이 구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서냉구역
     2. 한계구역
     3. 공냉구역
     4. 임계구역

     정답 : []
     정답률 : 83%

31. 심랭처리(sub-zero)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2. 시효 변형을 방지한다.
     3. 치수 변형을 방지한다.
     4.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심랭처리(Sub-Zero Treatment)는 금속을 극저온으로 냉각하여 조직의 변화를 촉진하고,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공정이다. 주요 효과로는 내마모성 향상, 시효 및 치수 변형 방지가 있지만,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없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심랭처리하면 경도가 엄청 올라가는데 가공성은 다소 떨어지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질화처리에서 강의 표면에 백층의 생성방지책으로 가장 옳은 방법은?
     1. 질화 온도는 낮게 한다.
     2. 질화 시간을 짧게 한다.
     3. 해리도를 10% 이하로 한다.
     4. 해리도를 0(zero)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33. 담금질유는 일반적으로 몇 ℃ 일 때 냉각능이 가장 좋은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20℃
     2. 30~40℃
     3. 50~60℃
     4. 70~8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기름의 냉각능이 가장 좋을 때는 60에서 80도사이 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나가던나그네]

[오류신고 반론]
기름은 60에서 80이 맞지만 담금질유는 다름니다
[해설작성자 : 포항 물고기]

34. 알루미늄의 합금 등을 용체화처리한 후 시효처리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연화
     2. 경화
     3. 조적표준화
     4. 내부응력제거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용체화처리: 알루미늄 합금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합금 원소를 고용체로 만든 뒤, 급냉하여 과포화 고용체 상태를 유지한다.

시효처리: 과포화 고용체 상태에서 일정 온도로 유지하면 미세한 석출물이 형성되어 금속이 경화된다.

용체화처리와 시효처리의 주된 목적은 경도와 강도(경화)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연화: 연화는 금속을 부드럽고 가공하기 쉽게 만드는 열처리 공정(예:어닐링)의 목적이다.
조적표준화: 금속의 조직을 균일화하는 것은 열처리의 한 목적이 될 수 있지만, 용체화 및 시효처리의 주요 목적은 아니다.
내부응력제거: 내부응력 제거는 금속에 잔류응력이 있을 때 이를 완화하는 열처리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35. 용접품의 응력 제거 풀림하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치수의 오차 방지
     2. 열영향부의 뜨임 경화
     3. 응력 부식 저항성 증대
     4. 석출 경화에 의한 강도 증가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뜨임 경화는 강의 특정 열처리(특히 뜨임 온도가 낮을 때)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응력 제거 풀림과는 관계가 없다.
응력 제거 풀림은 열영향부의 조직을 안정화하고, 경화된 조직의 취성을 줄이는 데 초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36. 기계구조용 합금강을 고온 뜨임한 후에 급랭시키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뜨임 메짐을 방지하기 위해
     2.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3.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4. 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뜨임 메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온 뜨임 후 급랭은 뜨임 메짐을 방지하기 위한 주요 방법 중 하나이다.
뜨임 메짐은 기계구조용 합금강의 내충격성과 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방지가 중요하다.

2.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온 뜨임은 경도를 낮추고 연성과 인성을 증가시키는 공정이다.
급랭은 경도를 높이는 목적이 아니며, 이는 담금질(Quenching)의 목적에 해당한다.

3.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급랭은 변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변형 방지는 오히려 서냉(느린 냉각)과 관련이 있다.

4.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응력 제거는 뜨임의 주요 목적 중 하나지만, 급랭은 응력 제거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뜨임취성(메짐)을 방지 하기위해 500°C이상에서 뜨임하거나 급냉하면 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합금 공구강을 담금질 온도로 가열하기 전에 예열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탈탄을 확산시키기 위해
     2.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3. 제품의 치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4. 산화피막이 형성된 금형을 얻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합금 공구강은 고온에서 담금질 처리(Quenching)를 하기 전, 균일한 가열과 열응력 방지를 위해 예열 과정을 거친다.
예열의 목적은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열응력과 치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예열을 하지 않고 급격히 고온으로 가열하면 내부 열응력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거나 제품의 치수가 변형될 수 있다.
예열 온도는 보통 500~600°C 범위로 설정되며, 천천히 가열하여 고온 담금질 온도에 도달하기 전 균일한 온도 분포를 만든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38. 제품의 경도값을 얻기 위해 수냉을 하며, 마텐자이트 조직을 얻는 열처리 방법은?
     1. 풀림
     2. 뜨임
     3. 담금질
     4. 노멀라이징

     정답 : []
     정답률 : 60%

39. 공석강의 항온 변태 곡선에서 코(nose) 또는 만곡점의 온도는 약 몇 ℃인가?
     1. 250℃
     2. 350℃
     3. 450℃
     4. 550℃

     정답 : []
     정답률 : 73%

40. 열처리로의 사용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종료시 주 전원 스위치를 차단한다.
     2. 가열시 필요 이상으로 온도를 올리지 않는다.
     3. 작업시 주변에 인화물질을 두지 말아야 한다.
     4. 고온을 주로 취급하므로 휴즈는 두껍고 튼튼한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작업종료시 주 전원 스위치를 차단하면 안됨
고온을 주로 취급하므로 휴즈는 두껍고 튼튼한 것을 사용하는게 맞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작업종료후엔 전원차단(고로,전로가아닌 열처리를 하는 기계임)
4. 휴즈는 무조건 두꺼운것이 아닌 정격에 맞는것을 사용해야함
고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최신기출]

3과목 : 건축구조


41. 다음 냉각제 중 냉각능이 가장 우수한 것은?
     1. 10% NaOH 액
     2. 18℃의 물
     3. 기계유
     4. 중유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물에 10% NaOH(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면, 물의 냉각 속도를 증가시켜 냉각능이 우수해진다.
이는 NaOH 용액이 금속 표면에서 기포 형성을 줄여 표면 접촉 면적을 늘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속 냉각이 필요한 열처리 공정에 자주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42. α철에 탄소가 함유된 고용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페라이트
     2. 마텐자이트
     3. 베이나이트
     4. 오스테나이트

     정답 : []
     정답률 : 63%

43. 다음 중 주로 고속도 공구강의 담금질에 사용되는 염으로 고온용 염욕에 쓰이는 것은?
     1. KCl
     2. NaCl
     3. BaCl2
     4. NaNO3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BaCl2 (염화 바륨)
고온용 염욕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염.
고속도 공구강의 담금질에 적합하며, 균일한 열 전달이 가능.
[해설작성자 : 승과장]

44. 기계구조용 탄소강 중 SM15C의 열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화 능력이 작다.
     2. 담금질성이 고속도공구강보다 좋다.
     3. 일반적으로 불림 상태에서 사용한다.
     4.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담금질성 : 얼마나 깊이까지 경화되는가

SM15C는 탄소 함량이 낮고 합금원소가 거의 없어서
→ 담금질 가능한 깊이가 얕고, 급속 냉각 필요
→ 대형 부품이나 복잡한 형상에는 부적합

고속도공구강(HSS)은 몰리브덴, 텅스텐, 크롬 등 고합금 성분이 있어서
→ 서서히 식혀도 경화가 잘됨 (담금질성 매우 우수)
→ 대형 공구, 복잡한 형상도 전체 경화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광휘열처리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서
     2. 산화 및 탈탄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시멘타이트 조직을 구상화시키기 위해서
     4. 잔류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광휘열처리의 주된 목적은 금속 표면의 산화 및 탈탄 방지이다.
표면 품질을 높이고 금속의 미적 가치를 유지하며, 후속 공정에서 부식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46. 베어링강의 시효변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뜨임시간이 길수록 시효변형이 작아진다.
     2. 뜨임온도가 높을수록 시효변형이 커진다.
     3. 심냉처리와 뜨임을 반복하면 시효변형이 커진다.
     4. 담금질 기름의 온도가 낮으면 시효변형이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2. 뜨임온도가 높으면 잔류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가 원활해져 시효변형이 작아짐
3. 신냄처리와 뜨임을 반복하면 심냉처리 단계에서 잔류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화되어 안정해지는데 뜨임까지 하니 더 안정해짐
4. 담금질 기름은 적정온도가 있는데 기준이 부족한 문제네요

**뜨임 시간이 길수록 잔류오스테나이트가 안정화되며 시효변형이 작아지는게 가장 옳으니 답은 1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다음 가스 중 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수소
     2. 이산화탄소
     3. 메탄가스
     4. 염소가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염소가스 (Cl2): 독성이 가장 강하며, 작은 양으로도 심각한 영향을 미침.
이산화탄소 (CO2): 산소 결핍으로 인한 질식 유발 가능성.
수소 (H2), 메탄가스 (CH4): 무독성이나 폭발 위험 있음.

염소가스는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흡입 시 생명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48. 알루미늄 및 그 합금의 질별 기호 중 W가 의미하는 것은?
     1. 어닐링한 것
     2. 가공 경화한 것
     3. 용체화 처리한 것
     4. 제조한 그대로의 것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어닐링한 것 (Annealed, 기호: O)
가공 경화한 것 (Work-Hardened, 기호: H)
용체화 처리한 것 (Solution Heat Treated, 기호: W)
제조한 그대로의 것 (As Fabricated, 기호: F)
[해설작성자 : 승과장]

49. 과잉침탄에 대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가스 침탄을 한다.
     2. 마템퍼링을 한다.
     3. 침탄 완화제를 사용한다.
     4. 침탄 후 확산풀림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50. 열처리 공정 중 후처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면의 연마
     2. 담금질 변형 수정
     3. 흠집, 녹, 유지 제거
     4. 스케일 및 산화피막 제거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열처리 후처리의 핵심은 금속의 구조와 성질을 개선하거나 표면 상태를 정밀하게 조정하는 데 있다.
흠집, 녹, 유지제거는 열처리 후처리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1. 구상화 풀림의 일반적인 목적이 아닌 것은?
     1. 취성 증가
     2. 강인성 증가
     3. 담금질 균열의 방지
     4. 기계적인 가공성 증가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취성= 깨지는 성질
[해설작성자 : 최신기출]

52. 열전대 온도계 중 가열 한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동-콘스탄탄
     2. 철-콘스탄탄
     3. 그로멜-알루멜
     4. 백금-백금ㆍ로듐

     정답 : []
     정답률 : 73%

53. 열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직 중 용적변화가 가장 큰 것은?
     1. 마텐자이트
     2. 펄라이트
     3. 트루스타이트
     4. 오스테나이트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마텐자이트는 급속 냉각에 의해 형성되며, 변태 과정에서 용적 팽창이 가장 크다.
용적 팽창은 내부 응력을 유발하며, 열처리 공정에서 균열 방지를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4.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대용 로프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내마모성이 클 것
     2. 완충성이 없을 것
     3. 충격, 인장강도가 강할 것
     4. 습기나 약품류에 침범당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안전 로프는 낙하 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완충성이 없으면 낙하 시 로프가 충격을 그대로 전달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5. 불림(normalizing)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내마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이다.
     2. 연화를 목적으로 적당한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서냉한다.
     3. 잔류 응력을 제거하고 인성을 부여하기 위해 변태 온도 이하로 가열한다.
     4. A3 또는 Acm선보다 30~50℃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공기 중에 냉각하여 표준화 조직을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 퀜칭
2 : 어닐링
3 : 템퍼링
4 : 노멀라이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분위기 열처리 작업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안개상자
     2. 연소 감시 장치
     3. 상한, 하한 온도계
     4. 가스 압력 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75%

57. 열처리로를 노의 형상과 연속조업 방법에 따라 분류할 때 노의 형상에 따른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상자형로
     2. 푸셔형로
     3. 도가니형로
     4. 관상형로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노의 형상에 따른분류이므로
상자형로=상자모양
도가니형로=도가니모양
관상형로=관상(얼굴모양)
이런식으로 암기하면 잘외워집니다
[해설작성자 : 최신기출]

1,2,4 번은 형상에 따른 분류이고
2번은 조업방식에 따른 분류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담금질 균열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Ms점 이하의 냉각속도를 느리게 한다.
     2. 단면의 급변부나 예각부 등에는 라운딩을 준다.
     3. 두께가 균일하며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4. 단조 후 곧바로 담금질 온도를 높게 하여 담금질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단조 후 곧바로 높은 온도로 담금질하면 조직이 불안정하며, 내부 응력이 크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단조 후 어닐링(풀림)을 통해 내부 응력을 완화한 후, 담금질을 수행해야 균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9. 표면 경화 열처리 방법 중 NaCN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융 염욕으로 표면 경화하는 방법은?
     1. 침탄법
     2. 질화법
     3. 시안화법
     4. 고주파경화법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NaCN(시안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융 염욕은 금속 표면에 탄소와 질소를 확산시키는 시안화법에서 사용된다.
다른 방법(침탄법, 질화법, 고주파경화법)은 NaCN과 관련이 없으므로 오답이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60. 오스템퍼링 열처리를 하게 되면 얻어지는 조직은?
     1. 시멘타이트
     2. 베이나이트
     3. 소르바이트
     4. 펄라이트 + 페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오스템퍼링은 일정한 온도에서 등온 열처리를 통해 베이나이트 조직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베이나이트는 마르텐사이트보다 연성이 높고 펄라이트보다 강도가 높은 중간 조직이다.
오스템퍼링의결과로 베이나이트가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정 답 지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


1과목 : 건축계획


1. 보통 주철 성분에 1~1.5%Mo, 0.5~4.0%Ni 첨가 외에 소량의 Cu, Cr을 첨가한 것으로서 바탕 조직이 침상 조직으로 강인하고 내마멸성도 우수하여 크랭크 축, 캠축, 압연용 롤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1. 마하나이트 주철
     2. 애시큘러 주철
     3. 니크로 실랄
     4. 니 레지스트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마나하이트: 시멘타이트 또는 펄라이트 일부분을 남겨서 적당한 강도와 경도 등을 유지하게 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마하나이트: 또는 펄라이트 일부분을 남겨서 적당한 강도와 경도(硬度) 등을 유지하게 한 것이다.
3. 니크로 실랄(Ni-Cr-Si): 고온에서 성장현상이 없고 내산화성이 우수하며 강도가 높고 열충격에도 잘견딘다. 950도까지 내열성을 갖는다.
4. 니 레지스트(Ni-Cr-Cu): 500-600도 정도의 온도에서의 안전성이 매우 좋아 내열주철로 많이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Sn-Sb-Cu계의 베어링용 합금으로 마찰계수가 적고, 소착에 대한 저항력이 큰 합금은?
     1. 켈멧
     2. 베빗메탈
     3. 주석청동
     4. 오일리스 베어링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베빗메탈 (Babbitt Metal)
Sn(주석), Sb(안티몬), Cu(구리)를 기본으로 하는 합금으로, 베어링용 재료로 널리 사용됨.
마찰계수가 적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소착(Seizure) 저항성이 강함.
부드럽고, 기계적 강도는 높지 않지만 베어링 접촉면에 적합한 특성을 가짐.

켈멧 (Kelmet)
알루미늄 합금의 일종으로, 베어링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Sn-Sb-Cu 계 합금이 아님.

주석청동 (Tin Bronze)
주석(Tin)과 구리(Copper)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함.

오일리스 베어링 (Oil-less Bearing)
자체적으로 윤활 특성을 가진 베어링으로, 합금 재료가 아닌 특수 가공된 부품.
[해설작성자 : 승과장]

3. 절삭할 때 칩을 잘게 하고 피삭성을 좋게 만든 쾌삭강은 어떤 원소를 첨가한 것인가?
     1. S, Pb
     2. Cr, Ni
     3. Mn, Mo
     4. Cr, W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S(황): 황은 칩을 잘게 만들어 절삭성을 향상시킨다. 황화물이 금속 내에서 형성되어 칩이 쉽게 부러지고 절삭 공구의 마모를 줄인다.
Pb(납): 납은 금속의 윤활 성질을 향상시켜 절삭성을 좋게 하고, 공구의 수명을 연장한다.
쾌삭강은 주로 황(S)과 납(Pb)을 첨가하여 피삭성을 개선한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4. Al-Si계 합금의 개량처리에 사용되는 나트륨의 첨가량과 용탕의 적정 온도로 옳은 것은?
     1. 약 0.01%, 약 750~800℃
     2. 약 0.1%, 약 750~800℃
     3. 약 1.0%, 약 850~900℃
     4. 약 10.0%, 약 850~90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Al-Si 합금에서 개량처리는 주로 Si(실리콘) 입자를 미세화하여 기계적 특성(강도, 연성) 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나트륨(Na) 또는 스트론튬(Sr)을 첨가하여 실리콘의 조대화를 방지한다.

나트륨 첨가량: 약 0.01%(1/10,000 수준).
과량 첨가는 합금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소량만 첨가한다.

적정 용탕 온도: 약 750~800℃
이 온도 범위에서 나트륨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용탕의 유동성과 개량 효과가 유지된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 금속은 결정격자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달라진다. 전연성이 커서 금속을 가공하는데 좋은 결정격자는 무엇인가?
     1. 단사정방격자
     2. 조밀육방격자
     3. 체심입방격자
     4. 면심입방격자

     정답 : []
     정답률 : 78%

6. 두 성분이 어떠한 비율로 용해하여도 하나의 상을 가지는 고용체를 만드는 상태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편정형상태도
     2. 공정형상태도
     3. 전율고용체형상태도
     4. 금속간화합물형상태도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전율고용체형상태도 (Isomorphous Phase Diagram)
두 성분이 어떠한 비율로 섞이더라도 하나의 상(고용체)을 형성하는 상태도를 말한다.
두 성분이 서로 무한히 고용 가능하며, 상온부터 용융점까지 하나의 고용체로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 구리(Cu)와 니켈(Ni) 합금.

편정형상태도 (Eutectoid Phase Diagram)
특정 성분 조성에서 공정 반응을 나타내는 상태도.

공정형상태도 (Eutectic Phase Diagram)
두 성분이 특정 조성에서 공정 반응(Eutectic Reaction)을 통해 고체 상이 두 개 이상 형성되는 상태도.

금속간화합물형상태도 (Intermetallic Compound Phase Diagram)
특정 조성에서 금속간화합물이 형성되는 상태도.
[해설작성자 : 승과장]

7. 특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변형되기 이전의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신소재는?
     1. 형상기억합금
     2. 제진합금
     3. 비정질합금
     4. 초전도합금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문제속에 답이 나와있습니다.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면 기억을 해야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알루미늄(Al)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전기 전도율이 구리보다 높다.
     2. 강(steel)에 비하여 비중이 가볍다.
     3. 온도에 관계없이 항상 체심입방격자이다.
     4. 주조품 제작시 주입온도는 약 1000℃ 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9. 구조용 합금강 중에서 듀콜강, 해드필드강 등은 어느 합금강에 속하는가?
     1. Ni 강
     2. Cr 강
     3. W 강
     4. Mn 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듀콜강 - 저망간강 해드필드강 - 고망간강
[해설작성자 : 카팔]

10. 그림과 같은 단위격자의 a, b, c는 1Å정도의 크기이다. 단위격자에서 a, b, c가 의미하는 것은?

    

     1. 공간격자
     2. 결정격자
     3. 격자상수
     4. 미세결정

     정답 : []
     정답률 : 73%

11. 청동의 기계적 성질 중 경도는 구리에 주석이 약 몇 % 함유되었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나는가?
     1. 10%
     2. 20%
     3. 30%
     4. 50%

     정답 : []
     정답률 : 74%

12. 6:4 황동에 Sn을 1% 첨가한 것으로 판, 봉으로 가공되어 용접봉, 밸브대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양백
     2. 델타 메탈
     3. 네이벌 황동
     4. 애드미럴티 황동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양백:황동에 10~20% Ni첨가
델타 메탈 : 6-4황동에 1~2Fe첨가
네이벌 황동 : 6-4황동에 1% Sn첨가
애드미럴티 황동 : 7-3황동에 1% Sn첨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감쇠능이 큰 제진합금으로 가장 우수한 것은?
     1. 탄소강
     2. 회주철
     3. 고속도강
     4. 합금공구강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회주철(Grey Cast Iron)은 흑연 입자가 금속 내부에 분산되어 있어 진동을 흡수하는 감쇠능이 매우 뛰어나다.
주로 기계 구조물, 베드(기계 바닥 구조물) 등에서 진동 흡수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감쇠능이 가장 우수한 합금이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14. 다음 중 탄소강의 5대 원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P
     2. S
     3. Na
     4. Si

     정답 : []
     정답률 : 86%

15. 주철의 유동성을 해치는 합금원소는?
     1. P
     2. S
     3. Mn
     4. Si

     정답 : []
     정답률 : 58%

16. 물체의 보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선으로 굵은 실선으로 긋는 선은?
     1. 외형선
     2. 가상선
     3. 중심선
     4. 1점쇄선

     정답 : []
     정답률 : 87%

17. 척도에 관한 설명 중 보기에서 옳은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5%

18. 투상도를 그리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립도 등 주로 기능을 표시하는 도면에서는 물체가 사용되는 상태를 그린다.
     2. 일반적인 도면에서는 물체를 가장 잘 나타내는 상태를 정면도로 하여 그린다.
     3. 주투상도를 보충하는 다른 투상도의 수는 되도록 많이 그리도록 한다.
     4. 물체의 길이가 길어 도면에 나타내기 어려울 때 즉, 교량의 트러스 같은 경우 중간부분을 생략하고 그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8%

19. 다음 그림 중 호의 길이를 표시하는 치수기입법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3%

20. 다음 중 미터 사다리꼴나사를 나타내는 표시법은?
     1. M8
     2. TW10
     3. Tr10
     4. 1-8 UNC

     정답 : []
     정답률 : 66%

2과목 : 건축시공


21. 제도의 기본 요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표현한다.
     2. 정확성,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
     3. 표현의 국제성을 가져야 한다.
     4. 대상물의 도형과 함께 크기, 모양만을 표현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22. 나사의 일반 도시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2.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는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3.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 도시에서의 골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다.
     4. 불완전 나사부의 끝 밑선은 축선에 대하여 30° 경사진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도에서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나타낸다.
불완전 나사부의 끝단은 축선에 대해 30° 기울어진 가는 실선으로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다.
2.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는 "굵은 실선"으로 도한다.
3.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 도시에서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해설작성자 : 재료의 왕 김강현]

23. 상하 또는 좌우가 대칭인 물체를 그림과 같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부 모양과 외부 모양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면도는?

    

     1. 온 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국부 단면도
     4. 부분 단면도

     정답 : []
     정답률 : 61%

24. 투상선을 투상면에 수직으로 투상하여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로 나타내는 투상법은?
     1. 정투상법
     2. 사투상법
     3. 등각투상법
     4. 투시투상법

     정답 : []
     정답률 : 77%

25. 도면에 기입된 “5-ø20드릴”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드릴 구멍이 15개이다.
     2. 직경 5mm인 드릴 구멍이 20개이다.
     3. 직경 20mm인 드릴 구멍이 5개이다.
     4. 직경 20mm인 드릴 구멍의 간격이 5mm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26. 물체의 단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단면 부분에 흐리게 칠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리브(rib)
     2. 널링(knurling)
     3. 스머징(smudging)
     4. 해칭(hatching)

     정답 : []
     정답률 : 70%

27. 치수허용차와 기준선의 관계에서 위 치수허용차가 옳은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69%

28. 철강제품의 표면에 아연을 침투 처리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용융도금의 가열
     2. 아연 분말 중에서 가열
     3. 아연 용사층의 가열
     4. Al2O3 + ZnO2 의 혼합물을 공기 중에서 가열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용융아연도금: 가장 보편적이고 널리 사용됨.
분말 침투법: 아연 분말과 고온 가열로 표면 침투.
금속 용사법: 용융된 아연을 뿌려 코팅.

공기 중에서 Al2O3와 ZnO2 혼합물을 가열하는 방법은 아연 침투와 무관하며, 도금 효과를 낼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29. 마텐자이트 변태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고용체의 단일상이다.
     2. 많은 격자 결함이 존재한다.
     3. 확산변태로 원자의 이동속도가 매우 빠르다.
     4. 모상과 일정한 결정학적 방위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마텐자이트 변태는 확산 없이 이루어지는 변태로, 원자의 재배열이 격자 내부에서 국부적으로 일어난다.
변태는 온도에 의존하지 않고, 매우 빠르게(거의 순간적으로) 발생하지만 이는 확산변태와는 다르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30. 열처리 온도부터 화색이 없어지는 약 550℃ 까지의 범위는 담금질 효과의 정도를 결정하는 온도 범위로서 이 구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서냉구역
     2. 한계구역
     3. 공냉구역
     4. 임계구역

     정답 : []
     정답률 : 83%

31. 심랭처리(sub-zero)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2. 시효 변형을 방지한다.
     3. 치수 변형을 방지한다.
     4.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심랭처리(Sub-Zero Treatment)는 금속을 극저온으로 냉각하여 조직의 변화를 촉진하고,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공정이다. 주요 효과로는 내마모성 향상, 시효 및 치수 변형 방지가 있지만,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없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심랭처리하면 경도가 엄청 올라가는데 가공성은 다소 떨어지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질화처리에서 강의 표면에 백층의 생성방지책으로 가장 옳은 방법은?
     1. 질화 온도는 낮게 한다.
     2. 질화 시간을 짧게 한다.
     3. 해리도를 10% 이하로 한다.
     4. 해리도를 0(zero)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33. 담금질유는 일반적으로 몇 ℃ 일 때 냉각능이 가장 좋은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20℃
     2. 30~40℃
     3. 50~60℃
     4. 70~8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기름의 냉각능이 가장 좋을 때는 60에서 80도사이 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나가던나그네]

[오류신고 반론]
기름은 60에서 80이 맞지만 담금질유는 다름니다
[해설작성자 : 포항 물고기]

34. 알루미늄의 합금 등을 용체화처리한 후 시효처리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연화
     2. 경화
     3. 조적표준화
     4. 내부응력제거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용체화처리: 알루미늄 합금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합금 원소를 고용체로 만든 뒤, 급냉하여 과포화 고용체 상태를 유지한다.

시효처리: 과포화 고용체 상태에서 일정 온도로 유지하면 미세한 석출물이 형성되어 금속이 경화된다.

용체화처리와 시효처리의 주된 목적은 경도와 강도(경화)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연화: 연화는 금속을 부드럽고 가공하기 쉽게 만드는 열처리 공정(예:어닐링)의 목적이다.
조적표준화: 금속의 조직을 균일화하는 것은 열처리의 한 목적이 될 수 있지만, 용체화 및 시효처리의 주요 목적은 아니다.
내부응력제거: 내부응력 제거는 금속에 잔류응력이 있을 때 이를 완화하는 열처리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35. 용접품의 응력 제거 풀림하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치수의 오차 방지
     2. 열영향부의 뜨임 경화
     3. 응력 부식 저항성 증대
     4. 석출 경화에 의한 강도 증가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뜨임 경화는 강의 특정 열처리(특히 뜨임 온도가 낮을 때)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응력 제거 풀림과는 관계가 없다.
응력 제거 풀림은 열영향부의 조직을 안정화하고, 경화된 조직의 취성을 줄이는 데 초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36. 기계구조용 합금강을 고온 뜨임한 후에 급랭시키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뜨임 메짐을 방지하기 위해
     2.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3.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4. 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뜨임 메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온 뜨임 후 급랭은 뜨임 메짐을 방지하기 위한 주요 방법 중 하나이다.
뜨임 메짐은 기계구조용 합금강의 내충격성과 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방지가 중요하다.

2.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온 뜨임은 경도를 낮추고 연성과 인성을 증가시키는 공정이다.
급랭은 경도를 높이는 목적이 아니며, 이는 담금질(Quenching)의 목적에 해당한다.

3.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급랭은 변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변형 방지는 오히려 서냉(느린 냉각)과 관련이 있다.

4.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응력 제거는 뜨임의 주요 목적 중 하나지만, 급랭은 응력 제거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뜨임취성(메짐)을 방지 하기위해 500°C이상에서 뜨임하거나 급냉하면 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합금 공구강을 담금질 온도로 가열하기 전에 예열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탈탄을 확산시키기 위해
     2.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3. 제품의 치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4. 산화피막이 형성된 금형을 얻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합금 공구강은 고온에서 담금질 처리(Quenching)를 하기 전, 균일한 가열과 열응력 방지를 위해 예열 과정을 거친다.
예열의 목적은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열응력과 치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예열을 하지 않고 급격히 고온으로 가열하면 내부 열응력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거나 제품의 치수가 변형될 수 있다.
예열 온도는 보통 500~600°C 범위로 설정되며, 천천히 가열하여 고온 담금질 온도에 도달하기 전 균일한 온도 분포를 만든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38. 제품의 경도값을 얻기 위해 수냉을 하며, 마텐자이트 조직을 얻는 열처리 방법은?
     1. 풀림
     2. 뜨임
     3. 담금질
     4. 노멀라이징

     정답 : []
     정답률 : 60%

39. 공석강의 항온 변태 곡선에서 코(nose) 또는 만곡점의 온도는 약 몇 ℃인가?
     1. 250℃
     2. 350℃
     3. 450℃
     4. 550℃

     정답 : []
     정답률 : 73%

40. 열처리로의 사용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종료시 주 전원 스위치를 차단한다.
     2. 가열시 필요 이상으로 온도를 올리지 않는다.
     3. 작업시 주변에 인화물질을 두지 말아야 한다.
     4. 고온을 주로 취급하므로 휴즈는 두껍고 튼튼한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작업종료시 주 전원 스위치를 차단하면 안됨
고온을 주로 취급하므로 휴즈는 두껍고 튼튼한 것을 사용하는게 맞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작업종료후엔 전원차단(고로,전로가아닌 열처리를 하는 기계임)
4. 휴즈는 무조건 두꺼운것이 아닌 정격에 맞는것을 사용해야함
고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최신기출]

3과목 : 건축구조


41. 다음 냉각제 중 냉각능이 가장 우수한 것은?
     1. 10% NaOH 액
     2. 18℃의 물
     3. 기계유
     4. 중유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물에 10% NaOH(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면, 물의 냉각 속도를 증가시켜 냉각능이 우수해진다.
이는 NaOH 용액이 금속 표면에서 기포 형성을 줄여 표면 접촉 면적을 늘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속 냉각이 필요한 열처리 공정에 자주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42. α철에 탄소가 함유된 고용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페라이트
     2. 마텐자이트
     3. 베이나이트
     4. 오스테나이트

     정답 : []
     정답률 : 63%

43. 다음 중 주로 고속도 공구강의 담금질에 사용되는 염으로 고온용 염욕에 쓰이는 것은?
     1. KCl
     2. NaCl
     3. BaCl2
     4. NaNO3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BaCl2 (염화 바륨)
고온용 염욕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염.
고속도 공구강의 담금질에 적합하며, 균일한 열 전달이 가능.
[해설작성자 : 승과장]

44. 기계구조용 탄소강 중 SM15C의 열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화 능력이 작다.
     2. 담금질성이 고속도공구강보다 좋다.
     3. 일반적으로 불림 상태에서 사용한다.
     4.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담금질성 : 얼마나 깊이까지 경화되는가

SM15C는 탄소 함량이 낮고 합금원소가 거의 없어서
→ 담금질 가능한 깊이가 얕고, 급속 냉각 필요
→ 대형 부품이나 복잡한 형상에는 부적합

고속도공구강(HSS)은 몰리브덴, 텅스텐, 크롬 등 고합금 성분이 있어서
→ 서서히 식혀도 경화가 잘됨 (담금질성 매우 우수)
→ 대형 공구, 복잡한 형상도 전체 경화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광휘열처리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서
     2. 산화 및 탈탄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시멘타이트 조직을 구상화시키기 위해서
     4. 잔류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광휘열처리의 주된 목적은 금속 표면의 산화 및 탈탄 방지이다.
표면 품질을 높이고 금속의 미적 가치를 유지하며, 후속 공정에서 부식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46. 베어링강의 시효변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뜨임시간이 길수록 시효변형이 작아진다.
     2. 뜨임온도가 높을수록 시효변형이 커진다.
     3. 심냉처리와 뜨임을 반복하면 시효변형이 커진다.
     4. 담금질 기름의 온도가 낮으면 시효변형이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2. 뜨임온도가 높으면 잔류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가 원활해져 시효변형이 작아짐
3. 신냄처리와 뜨임을 반복하면 심냉처리 단계에서 잔류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화되어 안정해지는데 뜨임까지 하니 더 안정해짐
4. 담금질 기름은 적정온도가 있는데 기준이 부족한 문제네요

**뜨임 시간이 길수록 잔류오스테나이트가 안정화되며 시효변형이 작아지는게 가장 옳으니 답은 1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다음 가스 중 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수소
     2. 이산화탄소
     3. 메탄가스
     4. 염소가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염소가스 (Cl2): 독성이 가장 강하며, 작은 양으로도 심각한 영향을 미침.
이산화탄소 (CO2): 산소 결핍으로 인한 질식 유발 가능성.
수소 (H2), 메탄가스 (CH4): 무독성이나 폭발 위험 있음.

염소가스는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흡입 시 생명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48. 알루미늄 및 그 합금의 질별 기호 중 W가 의미하는 것은?
     1. 어닐링한 것
     2. 가공 경화한 것
     3. 용체화 처리한 것
     4. 제조한 그대로의 것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어닐링한 것 (Annealed, 기호: O)
가공 경화한 것 (Work-Hardened, 기호: H)
용체화 처리한 것 (Solution Heat Treated, 기호: W)
제조한 그대로의 것 (As Fabricated, 기호: F)
[해설작성자 : 승과장]

49. 과잉침탄에 대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가스 침탄을 한다.
     2. 마템퍼링을 한다.
     3. 침탄 완화제를 사용한다.
     4. 침탄 후 확산풀림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50. 열처리 공정 중 후처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면의 연마
     2. 담금질 변형 수정
     3. 흠집, 녹, 유지 제거
     4. 스케일 및 산화피막 제거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열처리 후처리의 핵심은 금속의 구조와 성질을 개선하거나 표면 상태를 정밀하게 조정하는 데 있다.
흠집, 녹, 유지제거는 열처리 후처리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1. 구상화 풀림의 일반적인 목적이 아닌 것은?
     1. 취성 증가
     2. 강인성 증가
     3. 담금질 균열의 방지
     4. 기계적인 가공성 증가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취성= 깨지는 성질
[해설작성자 : 최신기출]

52. 열전대 온도계 중 가열 한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동-콘스탄탄
     2. 철-콘스탄탄
     3. 그로멜-알루멜
     4. 백금-백금ㆍ로듐

     정답 : []
     정답률 : 73%

53. 열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직 중 용적변화가 가장 큰 것은?
     1. 마텐자이트
     2. 펄라이트
     3. 트루스타이트
     4. 오스테나이트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마텐자이트는 급속 냉각에 의해 형성되며, 변태 과정에서 용적 팽창이 가장 크다.
용적 팽창은 내부 응력을 유발하며, 열처리 공정에서 균열 방지를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4.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대용 로프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내마모성이 클 것
     2. 완충성이 없을 것
     3. 충격, 인장강도가 강할 것
     4. 습기나 약품류에 침범당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안전 로프는 낙하 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완충성이 없으면 낙하 시 로프가 충격을 그대로 전달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5. 불림(normalizing)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내마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이다.
     2. 연화를 목적으로 적당한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서냉한다.
     3. 잔류 응력을 제거하고 인성을 부여하기 위해 변태 온도 이하로 가열한다.
     4. A3 또는 Acm선보다 30~50℃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공기 중에 냉각하여 표준화 조직을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 퀜칭
2 : 어닐링
3 : 템퍼링
4 : 노멀라이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분위기 열처리 작업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안개상자
     2. 연소 감시 장치
     3. 상한, 하한 온도계
     4. 가스 압력 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75%

57. 열처리로를 노의 형상과 연속조업 방법에 따라 분류할 때 노의 형상에 따른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상자형로
     2. 푸셔형로
     3. 도가니형로
     4. 관상형로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노의 형상에 따른분류이므로
상자형로=상자모양
도가니형로=도가니모양
관상형로=관상(얼굴모양)
이런식으로 암기하면 잘외워집니다
[해설작성자 : 최신기출]

1,2,4 번은 형상에 따른 분류이고
2번은 조업방식에 따른 분류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담금질 균열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Ms점 이하의 냉각속도를 느리게 한다.
     2. 단면의 급변부나 예각부 등에는 라운딩을 준다.
     3. 두께가 균일하며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4. 단조 후 곧바로 담금질 온도를 높게 하여 담금질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단조 후 곧바로 높은 온도로 담금질하면 조직이 불안정하며, 내부 응력이 크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단조 후 어닐링(풀림)을 통해 내부 응력을 완화한 후, 담금질을 수행해야 균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59. 표면 경화 열처리 방법 중 NaCN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융 염욕으로 표면 경화하는 방법은?
     1. 침탄법
     2. 질화법
     3. 시안화법
     4. 고주파경화법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NaCN(시안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융 염욕은 금속 표면에 탄소와 질소를 확산시키는 시안화법에서 사용된다.
다른 방법(침탄법, 질화법, 고주파경화법)은 NaCN과 관련이 없으므로 오답이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60. 오스템퍼링 열처리를 하게 되면 얻어지는 조직은?
     1. 시멘타이트
     2. 베이나이트
     3. 소르바이트
     4. 펄라이트 + 페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오스템퍼링은 일정한 온도에서 등온 열처리를 통해 베이나이트 조직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베이나이트는 마르텐사이트보다 연성이 높고 펄라이트보다 강도가 높은 중간 조직이다.
오스템퍼링의결과로 베이나이트가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승과장]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16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03월16일(3685)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415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9월15일(3684)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414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3월04일(3683)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0
3413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9월23일(3682)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412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3월05일(3681)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0
3411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10월01일(3680)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410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3월06일(3679)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0
3409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9월19일(3678)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408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3월08일(3677)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0
3407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09월20일(3676)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406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03월02일(3675)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0
3405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9월15일(3674)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404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9월23일(3673)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0
3403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3월05일(3672)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402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10월01일(3671)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0
3401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3월06일(3670)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400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9월19일(3669)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0
3399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09월20일(3668)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1
3398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03월02일(3667)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0
3397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03월10일(3666)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7 2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94 Next
/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