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anterior(ventral): 몸의 앞 posterior(dorsal): 몸의 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실무율(all or none law)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경에 자극을 가할 때 역치 이상일 때는 반응을 일으키고, 역치 이하일 때는 활동전압이 발생되지 않으나 다만 흥분성의 변화만이 있는 것을 실무율이라고 한다.
2.
단일 신경섬유가 자극의 강도에 따라 최고의 흥분을 하거나(All) 흥분을 하지 않는(None) 현상을 말한다.
3.
조직이나 기관에서는 자극의 세기를 높이면 반응이 작아진다.
4.
단일 세포에서 관찰되는 성질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9.
골격근이 체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
약 10[%]
2.
약 20[%]
3.
약 30[%]
4.
약 40[%]
정답 : [
4
] 정답률 : 81%
10.
다음 중 CdS 광도전 셀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시광 영역에 분광감도를 가지고 있다.
2.
교류동작이 가능하다.
3.
비교적 큰 전류가 출력된다.
4.
응답속도가 빠르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CdS 광도전셀 장점 : 고감도 소재. 소형. 저렴함. 전력 용량이 많음. 잡음에 강함. 교류 동작이 가능. 비교적 큰 출력 단점 : 응답속도가 느린 편 (10 ~ 100 ms). 낮은 조도 특성. 주위광이 외란광이 되기 쉬워 히스테리시스가 큼 출처: [정빈이의 공부방:티스토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Ag-AgCl 전극 특성: 전기적 특성이 저항성이다, AgCl이 입혀진 은 금속을 전극으로 한다, 저주파 신호 측정에 적합하다, 수명이 짧다, 생체에 단기간 사용한다, 전해질에 염소 이온이 있어야 한다, 동잡음이 작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신경 섬유의 작용은 오로지 흥분 전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중 흥분 전도의 3원칙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두 방향의 전도
2.
절연서 전도
3.
불감쇠 전도
4.
비도약 전도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한 결절로부터 다음 결절로 활동전위의 형성이 건너가는 현상을 도약전도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물질 중 모든 혈관을 수축시키며 특히 말초혈관에 대하여 강한 수축작용을 하는 물질은?
1.
히스타민
2.
브라디키닌
3.
노르에피네프린
4.
아세틸콜린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물질에는 혈액 내의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안지오텐신II 등이 있다. 에피네프린: 표피혈관에 대한 수축작용을 하나 소량일 때는 심장, 뇌, 골격근의 혈관을 확장시킨다. 노르에피네프린: 모든 혈관을 수축시키며 특히 말초혈관에 대하여 강한 수축작용을 한다. 안지오텐신II: 레닌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혈관을 수축시키는 물질이다.
1. 히스타민: 큰 동맥은 수축시키나 소혈관은 확장시킨다. 2. 브라디키닌: 강력한 혈관 확장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피부혈관에 강하게 작용한다. 4. 아세틸콜린: 혈관 확장효과가 있으나 그 작용은 일시적이고 하지보다는 상지나 얼굴에 더 많이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선형 가변 차동변환기의 다른 유도성 센서와 차이점으로 옳은 것은?
1.
유도현상을 이용한다.
2.
변위측정이 가능하다.
3.
위상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4.
얼마간 떨어져서 측정할 때 유용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유도 전압과 함께 위상을 측정하여 현재 철심의 위치를 알 수 있어서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의 변위를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1.
유전체내에서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는?
1.
정상전류
2.
전도전류
3.
변위전류
4.
와전류
정답 : [
3
] 정답률 : 80%
22.
생체현상의 특수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생체신호는 미약하고 신호대잡음비(S/N)가 작다.
2.
생체는 순응, 피로 등의 성질이 있고 일정조건에서의 데이터 채집이 쉽다.
3.
생체는 개체의 차가 적고 개체 내에서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4.
생체는 어느 부분에 대한 특정신호를 순수한 형으로 끄집어내기가 쉽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 생체는 개체의 차가 크지만, 개체 내에서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쉽다. [해설작성자 : 체리쥬빌레]
23.
전자유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회로에 쇄교하는 자속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면 기전력이 발생한다.
2.
전자유도 회로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은 쇄교자속의 시간변화율이다.
3.
유도 기전력의 방향을 플레밍의 왼손법칙으로 알 수 있다.
4.
와전류는 자속의 변화로 생긴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 유도 기전력의 방향을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으로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크앙왕왕]
24.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Ic가 최대값 이상 증가하면 전류이득 βDC의 변화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증가하다 감소한다.
4.
변화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Ic가 증가하면 β는 최대값까지 증가하다가 Ic가 최대값 이상 증가하면 β는 다시 감소하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β도 상승한다.
인공호흡기 방식 중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사이에 치료자가 설정한 강제적 환기를 삽입한 호흡조절 방식은?
1.
지속성 기도양압(CPAP)
2.
호기말 양압호흡(PEEP)
3.
간헐적 강제환기(IMV)
4.
계속적 인공호흡기(CMV)
정답 : [
3
] 정답률 : 79%
74.
복막투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요독증의 조절이 쉽다.
2.
비만이나 고지혈증의 위험이 적다.
3.
빈혈이 있는 환자에게 영양상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4.
혈압조절이 쉽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복막투석 장점: 요독증 조절이 쉽다, 혈압조절이 쉽다, 빈혈이 있는 환자에게서 영양상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말초신경염이 혈액투석에 비해 호전된다, 식사제한을 하지 않으므로 영양상태가 양호하다, 생존율 및 사회 복귀에 유리하다, 환자가 더 쾌적함을 느낀다, 시간과 경비가 절약된다. 복막투석 단점: 신체에 카테터를 달고 있어야 하므로 복막염이 호발한다, 혈중의 단백질, 비타민 등이 소실될 수 있다, 포도당이 체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비만이나 고지혈증의 위험이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재택의료기기의 진단 항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뇌전도 및 안전도
2.
체온 및 혈당
3.
체중 및 체지방
4.
혈압 및 혀중산소포화농도
정답 : [
1
] 정답률 : 87%
76.
Magnetron과 Klystron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Magnetron은 단지 마이크로 펄스파를 만드는 것이고, Klystron은 마이크로 펄스파를 만들고 증폭시키는 역할을 겸하는 것이다.
2.
Magnetron은 마이크로 펄스파를 만들고 증폭시키는 역할을 겸하는 것이고, Klystron은 단지 마이크로 펄스파를 만드는 것이다.
제세동시 심근의 약 몇 퍼센트가 탈분극되어야 심장 전체가 전기적으로 균일한 상태가 되어서 제세동의 성공률이 높아질 수 있는가?
1.
30% 미만
2.
30% 이상
3.
80% 미만
4.
80%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85%
80.
X-선 진단장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진단영역에서 사용하는 저에너지 X-선에서는 컴퓨터 산란, 간섭성 산란, 광전효과가 대부분이다.
2.
X-선이 인체를 투과할 때 조직에 따라 흡수나 산란이 다르기 때문에 X-선 영상의 명암 차가 생긴다.
3.
단단한 조직에서 유발하는 병변의 검출보다 뇌, 근육과 같은 연부조직에서의 병변 검출 정확도가 훨씬 높다.
4.
기존의 필름이나 스크린 시스템이 아닌 모니터에 직접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도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81.
다음 중 금속 재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우수한 강도
2.
풍부한 인성
3.
우수한 내부식성
4.
큰 연성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금속 의용재료 장점: 강하고, 질기며, 소성가공이 가능하다. 금속 의용재료 단점: 부식될 수 있고, 밀도가 높고, 강성률이 높아 응력차폐효과가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다음 중 의용 세라믹 재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성형 및 가공이 쉽다.
2.
내마모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3.
생체친화성이 우수하다.
4.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세라믹스 특성 생체가 갖고 있는 Ca, P, K, Na, Si 등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어 독성이 없고 생체친화성이 좋다. 내구성, 내화학성이 좋으며, 성형성이 좋지 않고, 대부분 절연성을 가진다. 입자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 성질이 변한다. 단결정화하면 강도가 증가하고 취성이 감소한다. 표면장력에 의해 입자가 응집되고 수분이 증발되면 입자 간 공간이 치밀해진다.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으며 내화성이 뛰어나고 파괴인성치가 낮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유체의 점성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 내부에 상대운동이 있으면 점성 때문에 경계면에서 운동에 저항하는 내부마찰이 작용한다.
2.
두 장의 수평판 사이에 유체가 채워져 있을 때 이 판에 일정한 수평방향의 힘을 가하면 판은 점진적으로 속도가 떨어진다.
3.
점성의 크기를 나타내는 고유의 상수를 점성계수나 점성을 밀도로 나눈 값인 동점성계수로 표시한다.
4.
전단에 대한 유체의 저항은 유체분자의 운동량 수송과 응집력에 영향을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힘을가하면 속도가 떨어진다라는 내용은 걸러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일반재료와 구별하여 생체재료로 사용되기 위한 필수 성질이 아닌 것은?
1.
제품생산성
2.
혈액적합성
3.
생체기능성
4.
조직적합성
정답 : [
1
] 정답률 : 90%
85.
생체조직에 이식한 후 일어나는 계면반응에 따라 분류한 생체재료가 아닌 것은?
1.
생체활성재료
2.
생체복합재료
3.
생체재흡수재료
4.
생체불활성재료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생체 재료는 생체 조직에 이식 후에 일어나는 반응에 따라서 생체 불활성 재료, 생체 활성 재료, 생체 재흡수 재료로 분류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생체재료의 생체기능성을 충족하는 조건은?
1.
생체 내부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말 것
2.
생물학적 기능을 저해하지 말 것
3.
생체재료 주변의 조직에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말 것
4.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강도가 충분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생체기능성:생체재료가 체내에 존재하는 동안 목표한 기능을 완전히 수행할 수 있는 특성, 화학적 안정성, 적당한 기계적 강도 및 피로강도, 멸균 또는 소독 가능성을 보유, 이식되어 안전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계적으로 안정되어야 한다.
생체기능성 평가:인장 압축시험, 경도시험, 마모시험, 피로시험, 크립시험, 표면 특성시험
생체적합성: 생체재료가 생체조직이나 체액 등과 접촉 시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아야하는 특성
생체적합성 평가 검사: 세포 독성시험, 유전자 독성시험, 염증반응 시험 [해설작성자 : 로그인]
87.
생체의 전자파 흡수양식 중 hot spot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00~2000MHz 범위의 주파수에서 발생한다.
2.
안구, 고환 등 소기관에서 공진을 일으킨다.
3.
생체내부에서 국소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여 수 cm 이하의 hot spot을 형성한다.
4.
피부표면에서 거의 모든 에너지를 흡수하여 체표면에서만 온도가 상승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hot spot 형성 - 파장: 0.15~0.75[m] - 주파수: 400~2000[MHz] - 흡수의 개요: 안구, 고환 등 소기관에서의 공진, 생체 내부에서 국소적으로 에너지 흡수가 최대로 되어 수cm 이하의 hot spot 형성, 주파수의 상승과 함께 이 경향이 감소
피부표면에서 거의 모두 흡수하여 체표면에서만 온도가 상승하는 것은 표면흡수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비중이 7.87g/cm3인 철(Fe)이 산화되어 비중이 5.95g/cm3 인 일산화철(FeO)이 되었다. 체적변화율은? (단, 철의 원자량은 55.85g/mol)
1.
24%
2.
28%
3.
41%
4.
70%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anterior(ventral): 몸의 앞 posterior(dorsal): 몸의 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실무율(all or none law)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경에 자극을 가할 때 역치 이상일 때는 반응을 일으키고, 역치 이하일 때는 활동전압이 발생되지 않으나 다만 흥분성의 변화만이 있는 것을 실무율이라고 한다.
2.
단일 신경섬유가 자극의 강도에 따라 최고의 흥분을 하거나(All) 흥분을 하지 않는(None) 현상을 말한다.
3.
조직이나 기관에서는 자극의 세기를 높이면 반응이 작아진다.
4.
단일 세포에서 관찰되는 성질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9.
골격근이 체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
약 10[%]
2.
약 20[%]
3.
약 30[%]
4.
약 40[%]
정답 : [
4
] 정답률 : 81%
10.
다음 중 CdS 광도전 셀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시광 영역에 분광감도를 가지고 있다.
2.
교류동작이 가능하다.
3.
비교적 큰 전류가 출력된다.
4.
응답속도가 빠르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CdS 광도전셀 장점 : 고감도 소재. 소형. 저렴함. 전력 용량이 많음. 잡음에 강함. 교류 동작이 가능. 비교적 큰 출력 단점 : 응답속도가 느린 편 (10 ~ 100 ms). 낮은 조도 특성. 주위광이 외란광이 되기 쉬워 히스테리시스가 큼 출처: [정빈이의 공부방:티스토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Ag-AgCl 전극 특성: 전기적 특성이 저항성이다, AgCl이 입혀진 은 금속을 전극으로 한다, 저주파 신호 측정에 적합하다, 수명이 짧다, 생체에 단기간 사용한다, 전해질에 염소 이온이 있어야 한다, 동잡음이 작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신경 섬유의 작용은 오로지 흥분 전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중 흥분 전도의 3원칙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두 방향의 전도
2.
절연서 전도
3.
불감쇠 전도
4.
비도약 전도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한 결절로부터 다음 결절로 활동전위의 형성이 건너가는 현상을 도약전도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물질 중 모든 혈관을 수축시키며 특히 말초혈관에 대하여 강한 수축작용을 하는 물질은?
1.
히스타민
2.
브라디키닌
3.
노르에피네프린
4.
아세틸콜린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물질에는 혈액 내의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안지오텐신II 등이 있다. 에피네프린: 표피혈관에 대한 수축작용을 하나 소량일 때는 심장, 뇌, 골격근의 혈관을 확장시킨다. 노르에피네프린: 모든 혈관을 수축시키며 특히 말초혈관에 대하여 강한 수축작용을 한다. 안지오텐신II: 레닌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혈관을 수축시키는 물질이다.
1. 히스타민: 큰 동맥은 수축시키나 소혈관은 확장시킨다. 2. 브라디키닌: 강력한 혈관 확장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피부혈관에 강하게 작용한다. 4. 아세틸콜린: 혈관 확장효과가 있으나 그 작용은 일시적이고 하지보다는 상지나 얼굴에 더 많이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선형 가변 차동변환기의 다른 유도성 센서와 차이점으로 옳은 것은?
1.
유도현상을 이용한다.
2.
변위측정이 가능하다.
3.
위상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4.
얼마간 떨어져서 측정할 때 유용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유도 전압과 함께 위상을 측정하여 현재 철심의 위치를 알 수 있어서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의 변위를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1.
유전체내에서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는?
1.
정상전류
2.
전도전류
3.
변위전류
4.
와전류
정답 : [
3
] 정답률 : 80%
22.
생체현상의 특수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생체신호는 미약하고 신호대잡음비(S/N)가 작다.
2.
생체는 순응, 피로 등의 성질이 있고 일정조건에서의 데이터 채집이 쉽다.
3.
생체는 개체의 차가 적고 개체 내에서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4.
생체는 어느 부분에 대한 특정신호를 순수한 형으로 끄집어내기가 쉽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 생체는 개체의 차가 크지만, 개체 내에서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쉽다. [해설작성자 : 체리쥬빌레]
23.
전자유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회로에 쇄교하는 자속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면 기전력이 발생한다.
2.
전자유도 회로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은 쇄교자속의 시간변화율이다.
3.
유도 기전력의 방향을 플레밍의 왼손법칙으로 알 수 있다.
4.
와전류는 자속의 변화로 생긴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 유도 기전력의 방향을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으로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크앙왕왕]
24.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Ic가 최대값 이상 증가하면 전류이득 βDC의 변화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증가하다 감소한다.
4.
변화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Ic가 증가하면 β는 최대값까지 증가하다가 Ic가 최대값 이상 증가하면 β는 다시 감소하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β도 상승한다.
인공호흡기 방식 중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사이에 치료자가 설정한 강제적 환기를 삽입한 호흡조절 방식은?
1.
지속성 기도양압(CPAP)
2.
호기말 양압호흡(PEEP)
3.
간헐적 강제환기(IMV)
4.
계속적 인공호흡기(CMV)
정답 : [
3
] 정답률 : 79%
74.
복막투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요독증의 조절이 쉽다.
2.
비만이나 고지혈증의 위험이 적다.
3.
빈혈이 있는 환자에게 영양상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4.
혈압조절이 쉽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복막투석 장점: 요독증 조절이 쉽다, 혈압조절이 쉽다, 빈혈이 있는 환자에게서 영양상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말초신경염이 혈액투석에 비해 호전된다, 식사제한을 하지 않으므로 영양상태가 양호하다, 생존율 및 사회 복귀에 유리하다, 환자가 더 쾌적함을 느낀다, 시간과 경비가 절약된다. 복막투석 단점: 신체에 카테터를 달고 있어야 하므로 복막염이 호발한다, 혈중의 단백질, 비타민 등이 소실될 수 있다, 포도당이 체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비만이나 고지혈증의 위험이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재택의료기기의 진단 항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뇌전도 및 안전도
2.
체온 및 혈당
3.
체중 및 체지방
4.
혈압 및 혀중산소포화농도
정답 : [
1
] 정답률 : 87%
76.
Magnetron과 Klystron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Magnetron은 단지 마이크로 펄스파를 만드는 것이고, Klystron은 마이크로 펄스파를 만들고 증폭시키는 역할을 겸하는 것이다.
2.
Magnetron은 마이크로 펄스파를 만들고 증폭시키는 역할을 겸하는 것이고, Klystron은 단지 마이크로 펄스파를 만드는 것이다.
제세동시 심근의 약 몇 퍼센트가 탈분극되어야 심장 전체가 전기적으로 균일한 상태가 되어서 제세동의 성공률이 높아질 수 있는가?
1.
30% 미만
2.
30% 이상
3.
80% 미만
4.
80%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85%
80.
X-선 진단장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진단영역에서 사용하는 저에너지 X-선에서는 컴퓨터 산란, 간섭성 산란, 광전효과가 대부분이다.
2.
X-선이 인체를 투과할 때 조직에 따라 흡수나 산란이 다르기 때문에 X-선 영상의 명암 차가 생긴다.
3.
단단한 조직에서 유발하는 병변의 검출보다 뇌, 근육과 같은 연부조직에서의 병변 검출 정확도가 훨씬 높다.
4.
기존의 필름이나 스크린 시스템이 아닌 모니터에 직접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도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81.
다음 중 금속 재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우수한 강도
2.
풍부한 인성
3.
우수한 내부식성
4.
큰 연성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금속 의용재료 장점: 강하고, 질기며, 소성가공이 가능하다. 금속 의용재료 단점: 부식될 수 있고, 밀도가 높고, 강성률이 높아 응력차폐효과가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다음 중 의용 세라믹 재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성형 및 가공이 쉽다.
2.
내마모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3.
생체친화성이 우수하다.
4.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세라믹스 특성 생체가 갖고 있는 Ca, P, K, Na, Si 등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어 독성이 없고 생체친화성이 좋다. 내구성, 내화학성이 좋으며, 성형성이 좋지 않고, 대부분 절연성을 가진다. 입자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 성질이 변한다. 단결정화하면 강도가 증가하고 취성이 감소한다. 표면장력에 의해 입자가 응집되고 수분이 증발되면 입자 간 공간이 치밀해진다.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으며 내화성이 뛰어나고 파괴인성치가 낮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유체의 점성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 내부에 상대운동이 있으면 점성 때문에 경계면에서 운동에 저항하는 내부마찰이 작용한다.
2.
두 장의 수평판 사이에 유체가 채워져 있을 때 이 판에 일정한 수평방향의 힘을 가하면 판은 점진적으로 속도가 떨어진다.
3.
점성의 크기를 나타내는 고유의 상수를 점성계수나 점성을 밀도로 나눈 값인 동점성계수로 표시한다.
4.
전단에 대한 유체의 저항은 유체분자의 운동량 수송과 응집력에 영향을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힘을가하면 속도가 떨어진다라는 내용은 걸러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일반재료와 구별하여 생체재료로 사용되기 위한 필수 성질이 아닌 것은?
1.
제품생산성
2.
혈액적합성
3.
생체기능성
4.
조직적합성
정답 : [
1
] 정답률 : 90%
85.
생체조직에 이식한 후 일어나는 계면반응에 따라 분류한 생체재료가 아닌 것은?
1.
생체활성재료
2.
생체복합재료
3.
생체재흡수재료
4.
생체불활성재료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생체 재료는 생체 조직에 이식 후에 일어나는 반응에 따라서 생체 불활성 재료, 생체 활성 재료, 생체 재흡수 재료로 분류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생체재료의 생체기능성을 충족하는 조건은?
1.
생체 내부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말 것
2.
생물학적 기능을 저해하지 말 것
3.
생체재료 주변의 조직에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말 것
4.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강도가 충분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생체기능성:생체재료가 체내에 존재하는 동안 목표한 기능을 완전히 수행할 수 있는 특성, 화학적 안정성, 적당한 기계적 강도 및 피로강도, 멸균 또는 소독 가능성을 보유, 이식되어 안전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계적으로 안정되어야 한다.
생체기능성 평가:인장 압축시험, 경도시험, 마모시험, 피로시험, 크립시험, 표면 특성시험
생체적합성: 생체재료가 생체조직이나 체액 등과 접촉 시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아야하는 특성
생체적합성 평가 검사: 세포 독성시험, 유전자 독성시험, 염증반응 시험 [해설작성자 : 로그인]
87.
생체의 전자파 흡수양식 중 hot spot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00~2000MHz 범위의 주파수에서 발생한다.
2.
안구, 고환 등 소기관에서 공진을 일으킨다.
3.
생체내부에서 국소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여 수 cm 이하의 hot spot을 형성한다.
4.
피부표면에서 거의 모든 에너지를 흡수하여 체표면에서만 온도가 상승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hot spot 형성 - 파장: 0.15~0.75[m] - 주파수: 400~2000[MHz] - 흡수의 개요: 안구, 고환 등 소기관에서의 공진, 생체 내부에서 국소적으로 에너지 흡수가 최대로 되어 수cm 이하의 hot spot 형성, 주파수의 상승과 함께 이 경향이 감소
피부표면에서 거의 모두 흡수하여 체표면에서만 온도가 상승하는 것은 표면흡수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비중이 7.87g/cm3인 철(Fe)이 산화되어 비중이 5.95g/cm3 인 일산화철(FeO)이 되었다. 체적변화율은? (단, 철의 원자량은 55.85g/mol)
1.
24%
2.
28%
3.
41%
4.
70%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