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사업주: 안전에 관한 기본방침 결정 관리감독자 : 적용 근로자 : 각 근로자 스스로 유기적 협력
2.
학습지도의 형태 중 토의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2.
포럼(forum)
3.
구안법(project method)
4.
버즈 세션(buzz session)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토의법> 1.포럼 :새로운 자료나 교재를 제시하거나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제시하게하고 의견을 발표하고 토의하는 법 2.심포지엄 :전문가에 의해 과정에 관한 견해를 발표하고,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하는 토의법 3.자유토의법 :참가자는 자유롭게 의견이나 태도를 말하고, 지식이나 정보를 상호제공하고 교환함으로, 견해의 차이를 조정하여 집단으로 의견을 요약해나가는 법. 4.패널 디스커션 :패널멤버(전문가 4~5명)가 피교육자 앞에서 자유롭게 토의하고 이후에 피교육자 전원이 참가해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토의하는 법. [해설작성자 : jyw3304]
새로운 자료 교재 - 포럼 몇사람의 전문가 -심포지엄 패널멤버- 패널디스커션 66회의 - 버즈세션 [해설작성자 : 김똘똘]
3.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에서 편견없이 받아들이는 성향,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며 사생활을 즐기거나 창의적 성격으로 봉사, 특별히 좋아하는 사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인간의 욕구에 해당하는 것은?
1.
생리적 욕구
2.
사회적 욕구
3.
자아실현의 욕구
4.
안전에 대한 욕구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 1. 생리적 욕구 : 식욕, 성욕, 수면, 배설, 활동 2. 안전의 욕구 : 위험 및 고통으로부터의 회피, 안정 3. 사회적 욕구 : 애정, 친화, 소속감 4. 존경의 욕구 : 승인, 존경, 지위, 명예 5. 자아실현의 욕구 : 자기 환성, 삶의 보람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사회적욕구는 소속과 애정이 주가 되어 누군가를 사랑하고 싶고, 한 곳에 소속이 되고 싶은 욕구인데 문제에서 보면 '타인과 거리를 유지하며 사생활을 즐긴다'는 것에서 소속감이랑 거리가 있지 않나 싶네요. 그래서 사회적 욕구 보단 자아실현의 욕구와 가까운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오류신고 반론] 정답 3번 구민사 2021년도 참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산업안전보건법상 중대재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망자가 2명 발생한 재해
2.
6개월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동시에 4명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2명 발생한 재해
4.
3개월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1명, 2개월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4명 발생한 재해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중대재해> 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직업성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해설작성자 : jyw3304]
5.
고무제 안전화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유해한 흠, 균열, 기포, 이물질 등이 없어야 한다.
2.
바닥, 발등, 발 뒤꿈치 등의 접착부분에 물이 들어오지 않아야 한다.
3.
에나멜 도포는 벗겨져야 하며, 건조가 완전하여야 한다.
4.
완성품의 성능은 압박감, 충격 등의 성능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보호구 구비조건 1. 착용이 간편할것 2. 작업에 방해가 안 되도록 할 것 3. 유해 위험 요소에 대한 방호성능이 충분히 있을 것 4. 재료의 품질이 양호 할 것 5. 구조 및 표면가공이 우수할 것 5. 외관이 보기 좋을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에나멜을 칠한 고무제 안전화는 에나멜이 벗겨지지 않아야 하며 건조가 완전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면지링]
6.
다음 중 학습정도(Level of learning)의 4단계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이해 → 적용 → 인지 → 지각
2.
인지 → 지각 → 이해 → 적용
3.
지각 → 인지 → 적용 → 이해
4.
적용 → 인지 → 지각 → 이해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학습정도의 4단계> 인지→지각→이해→적용 [해설작성자 : jyw3304]
* 지각과 인지의 차이 - 지각 : 감각적 정보의 초기 처리 과정 '감각을 느껴서 아는 것' - 인지 : 지각한 것을 인식하고 이해한 뒤 판단하는 총체적인 정신적 과정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기사합격!!!]
7.
인간의 동작특성 중 판단과정의 착오요인이 아닌 것은?
1.
합리화
2.
정서불안정
3.
작업조건불량
4.
정보부족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판단과정 착오요인] 1)능력부족 2)정보부족 3)합리화 4)환경조건 불비
[인지과정 착오요인] 1)생리.심리적 능력의 한계 2)정보량 저장의 한계 3)감각 차단 현상 4)정서 불안정
[조치과정 착오요인] 1)잘못된 정보의 입수 2)합리적 조치의 미숙
따라서, 2번 정서불안정은 인지과정 착오에 해당. [해설작성자 : jyw3304]
8.
무재해 운동의 3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무의 원칙
2.
참가의 원칙
3.
대책선정의 원칙
4.
선취의 원칙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무재해운동 3원칙> 1.무의 원칙 :재해+잠재요인을 사전에 발견,파악,해결함으로 근원적 산업재해 "제거" 2.선취의 원칙 :작업장의 위험요인을 미리 발견,파악,해결하여 재해를 "예방" 3.참가의 원칙 :잠재적 위험요인을 발견,해결하기 위해 전원이 각각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위험을 "해결" [해설작성자 : jyw3304]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9.
리더쉽의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해설> 1. 지식 × 기능 = 능력 2. 태도 × 상황 = 동기유발 3. 인간의 성과 × 물질의 성과 = 경영의 성과 4. 능력 × 동기유발 = 인간의 성과 [해설작성자 : jyw3304]
14.
직계=참모식 조직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2.
생산조직과는 별도의 조직과 기능을 갖고 활동한다.
3.
안전계획, 평가 및 조사는 스탭에서, 생산기술의 안전대책은 라인에서 실시한다.
4.
안전업무가 표준화되어 직장에 정착하기 쉽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직계-참모식 조직 (line-staff형 조직의 특징) 1)line+staff형의 장점을 취한 절충식 조직형태. 2)안전계획,평가 및 조사는 스탭에서, 생산기술의 안전대책은 라인에서 실시. 3)안전스탭은 안전에 관한 기획,입안,조사,검토 및 연구를 한다. 4)라인의 관리,감독자에게도 안전에 관한 책임과 권한이 부여된다. 5)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용한다. [해설작성자 : jyw3304]
작업준비의 불충분 - 작업관리상 원인 안전장치의 기능 제거 - 작업관리상 원인 안전교육의 부족 - 교육적 원인 구조재료의 부적당 - 기술적 원인 [해설작성자 : 루피]
19.
안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점검 대상
2.
점검 부분
3.
점검 방법
4.
점검 목적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체크리스트에 포함해야 할 사항> ① 점검 부분 ② 점검 방법 ③ 점검 항목 ④ 판정 기준 ⑤ 점검 시기 ⑥ 판정 ⑦ 조치 [해설작성자 : amigo13]
+ 점검대상 [해설작성자 : 점검 대상빠짐 ]
20.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교육 중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 내용이 아닌 것은?
1.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2.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3.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4.
표준안전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채용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내용> 1)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동선에 관한 사항 2)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3)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4)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5)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6)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jyw3304]
표준안전작업방법에 관한 사항은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신육체적 작업에 대한 개략적 휴식시간의 산출공식으로 맞는 것은? (단, R은 휴식시간(분), E는 작업의 에너지소비율 (kcal/분)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휴식시간의 산출공식 R = 60 x E - 4 / E - 1.5 R = 휴식시간 E = 1분당 작업의 평균에너지 x 산소소비량 60(분) = 총작업시간 1.5(kcal/분) = 휴식시간중의 에너지 소비량 4(kcal/분) = 작업에 대한 평균 에너지 값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기초대사를 포함한 평균에너지:54kcal/분 기초대사를 제외한 경우:4kcal/분 [해설작성자 : 안전손]
23.
FT도에 사용하는 기호에서 3개의 입력현상 중 임의의 시간에 2개가 발생하면 출력이 생기는 기호의 명칭은?
1.
억제 게이트
2.
조합 AND 게이트
3.
배타적 OR 게이트
4.
우선적 AND 게이트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우선적 AND 게이트 : 입력사상 중 어떤 사상이 다른 사상보다 앞에 일어났을 때 출력사상이 발생한다. 조합 AND게이트 : 3개 이상의 입력사상 중 어느 것이나 2개가 일어나면 출력이 발생한다. 배타적 OR게이트 : OR게이트인데 2개 또는 그 이상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출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wany]
24.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의자의 좌면높이는 어떤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5% 오금높이
2.
50% 오금높이
3.
75% 오금높이
4.
95% 오금높이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의자 자판의 높이 ㆍ자판 앞부분이 대퇴를 압박하지 않도록 오금높이보다 높지 않아야한다 ㆍ치수는 5% 오금높이로한다 [해설작성자 : 서누아범]
25.
인간공학의 궁극적인 목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경제성 향상
2.
인간 능력의 극대화
3.
설비의 가동율 향상
4.
안전성 및 효율성 향상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안전이 최고 [해설작성자 : 안조]
26.
위험 및 운전성 검토(HAZOP)에서 사용되는 가이드 워드 중에서 성질상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은?
1.
Part of
2.
More less
3.
No/Not
4.
Other than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NO 또는 NOT : 설계 의도의 완전한 부정을 의미 2. AS Well AS : 성질상의 증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계의도와 운전조건 등 부가적인 행위와 함께 일어나는 것을 의미 3. PART OF : 성질상의 감소, 성취나 성취되지 않음을 나타냄 4. MORE LESS : 양의 증가 또는 양의 감소로 양과 성질을 함께 나타냄 5. OTHER THAN : 완전한 대체를 의미 6. REVERSE : 설계의도와 논리적인 역을 의미 [해설작성자 : KKANG]
27.
시스템 안전분석 방법 중 예비위험분석(PHA) 단계에서 식별하는 4가지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위기상태
2.
무시가능상태
3.
파국적상태
4.
예비조처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PHA 카테고리 분류 1. 파국적 : 사망, 시스템손상 2. 위기적 : 심각한 상해, 시스템 중대 손상 3. 한계적 : 경미한 상해, 시스템 성능 저하 4. 무 시 : 경미한 상해 및 시스템 저하 없음
28.
첨단 경보기시스템의 고장율은 0이다. 경계의 효과로 조작자 오류율은 0.01t/hr 이며, 인간의 실수율은 균질(homogeneous)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 시스템의 스위치 조작자는 1시간마다 스위치를 작동해야 하는데 인간오류확률(HEP: Human Error Probability)이 0.001 인 경우에 2시간에서 6시간 사이에 인간-기계 시스템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실내에서 사용하는 습구흑구온도(WBGT: Wet Bulb Globe Temperature) 지수는? (단, NWB 는 자연습구, GT 는 흑구온도, DB 는 건구온도이다.)
1.
WBGT = 0.6NWB + 0.4GT
2.
WBGT = 0.7NWB + 0.3GT
3.
WBGT = 0.6NWB + 0.3GT + 0.1DB
4.
WBGT = 0.7NWB + 0.2GT + 0.1DB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① 태양직사광선이 있을 때 WGI = 0.7 Tw + 0.2Tg + 0.1Ta
② 실내 또는 태양직사광선이 없는 실외 WGI = 0.7 Tw + 0.3Tg
30.
FTA 에서 특정 조합의 기본사상들이 동시에 결함을 발생하였을 때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cut set
2.
erroe set
3.
path set
4.
success set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Cut set : FTA 에서 특정 조합의 기본사상들이 동시에 결함을 발생하였을 때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 [해설작성자 : Ging]
31.
실험실 환경에서 수행하는 인간공학 연구의 장ㆍ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것은?
1.
변수의 통제가 용이하다.
2.
주위 환경의 간섭에 영향 받기 쉽다.
3.
실험 참가자의 안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4.
피실험자의 자연스러운 반응을 기대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실험실 / 현장 1. 변수형태 : 쉽다(용이)ㅣ 어렵다 2. 현 실 성 : 낮다 ㅣ 높다 3. 동기부여 : 높다 ㅣ 낮다 4. 안 전 성 : 높다 ㅣ 낮다 [해설작성자 : KKANG]
32.
다음의 그림과 같이 FTA 로 분석된 시스템에서 현재 모든 기본사상에 대한 부품이 고장난 상태이다. 부품 X1부터 부품 X5 까지 순서대로 복구한다면 어느 부품을 수리 완료하는 순간부터 시스템은 정상가동이 되겠는가?
1.
X1
2.
X2
3.
X3
4.
X4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T 바로 아래 and가 동작하려면 그 밑에 있는 or이 다 동작해야 한다. 그래서 숫자 순서대로 복구를 한다면 x3이 수리 됐을때 or 3개가 다 동작하므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처음엔 and 게이트로 왼쪽, 가운데, 오른쪽 모두 정상화 되어야 시스템이 정상가동함 * 각각은 or 게이트로 1개만 정상화 되어도 됨 수리 시작 1) x1 수리 → 가운데와 오른쪽 정상화(or 게이트니깐 x1이 수리되면 x1 사용하는 곳은 다 정상화) 2) x2 수리 → 변화 없음 (or 게이트니깐 x2이 수리되면 x2 사용하는 곳은 다 정상화) 3) x3 수리 → 왼쪽 정상화 고로 x4, x5 수리 전에 x3가 수리된 시점에서 시스템 정상 가동 [해설작성자 : 다시 공부하자]
가장 상위 게이트가 AND 게이트잖아요 하위 OR 게이트 3개가 모두 정상화 되어야지만 AND 게이트가 활성화됩니다. OR게이트가 각각 [X3,X5], [X1,X4], [X1,X2,X3]이므로, X1, X2를 거쳐 X3가 복구 됐을 때 OR 게이트가 전부 정상화 되니 상위의 AND 게이트도 정상가동 되겠지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특정한 목적을 위해 시각적 암호, 부호 및 기호를 의도적으로 사용할 때에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인지 및 인식의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목표와 관련하여 작동을 계획해야 하는데 특수하고 친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며, 부적절한 분석이나 의사결정을 잘못하여 발생하는 오류는?
1.
기능에 기초한 행동(Skill-based Behavior)
2.
규칙에 기초한 행동(Rule-based Behavior)
3.
사고에 기초한 행동(Accident-based Behavior)
4.
지식에 기초한 행동(Knowledge-based Behavior)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부적절한 분석<<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가지고 분석함으로써 발생되는 부분 [해설작성자 : 분석하자분석하자]
37.
기계설비가 설계 사양대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적정 윤활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적량의 규정
2.
주유방법의 통일화
3.
올바른 윤활법의 채용
4.
윤활기간의 올바른 준수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윤활의 4원칙 1. 기계가 참으로 필요로 하는 윤활유 선정 2. 적량을 규정 3. 윤활시기 준수 4. 바른 윤활법 채택하고, 따른다.
주유하는 방법은 상관 없으나 윤활제의 종류가 다양하면 문제가됩니다. [해설작성자 : 으라차차]
38.
정보의 촉각적 암호화 방법으로만 구성된 것은?
1.
점자, 진동, 온도
2.
초인종, 점멸등, 점자
3.
신호등, 경보음, 점멸등
4.
연기, 온도, 모스(Morse)부호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조종장치를 촉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암호화 1. 표면 촉감을 사용하는 경우 - 점자, 진동, 온도 2. 형상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경우 3. 크기를 구별하여 사용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ysys9004]
39.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방법 중 공장의 입지조건이나 공장 내 배치에 관한 사항은 어느 단계에서 하는가?
1.
제1단계 : 관계자료의 작성 준비
2.
제2단계 : 정성적 평가
3.
제3단계 : 정량적 평가
4.
제4단계 : 안전대책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정성적 평가 a. 설계 관계 : 입지 조건, 공장내 배치, 건조물, 소방설비 b. 운전 관계 : 원재료-중간체 제품, 공정, 수송-저장 등, 공정기기
2. 정량적 평가 물질, 화학설비의 용량, 온도, 압력, 조작 [해설작성자 : ysys9004]
안전성평가 6단계 1.관계자료의 정비검토 2.정성적 평가 3.정량적 평가 4.안전대책 수립 5.재해사례에 의한 평가 6.FTA에 의한 재평가 [해설작성자 : 안전손]
40.
다음 중 성격이 다른 정보의 제어 유형은?
1.
action
2.
selection
3.
setting
4.
data entry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정보처리 단계 ⁍ 초기단계 : setting ⁍ 처리단계 : action 행동, selection 선별, data entry 입력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크레인의 방호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권과방지장치
2.
과부하방지장치
3.
자동보수장치
4.
비상정지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다음 각 호의 양중기에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및 제동장치, 그 밖의 방호장치(승강기의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조속기, 출입문 인터 록 등을 말한다.)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미리 조정해 두어야 한다. 1. 크레인 2. 이동식 크레인 3.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4. 간이리프트(자동차정비용 리프트는 제외한다.) 5. 곤돌라 6. 승강기 [해설작성자 : ysys9004]
<문제 해설> *기계 고장률의 기본 모형 1. 초기고장 : 불량제조, 생산과정에서의 품질관리 미비, 설계미숙 등으로 일어나는 고장 2. 우발고장 : 초기고장시간을 지나 마모고장기간에 이르기 전의 시기에 우발적으로 일어나는 고장 예) 순간적 외력에 의한 파손 3. 마모고장 : 피로, 마모, 열화, 노화현상 등에 의해 시간과 더불어 고장이 커지는 고장 [해설작성자 : ysys9004]
45.
와이어로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소선
2.
클립
3.
스트랜드
4.
심강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와이어로프의 구성 1. 소선(wire) 2. 가닥(strand) 3. 심(core) 또는 심강 [해설작성자 : 우신형님]
클립은 와이어로프 고정 기구!!
타워크레인 와이어로프를 클립, 샤클등의 고정기구 사용하여 고정시켜 풀리지 아니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46.
이상온도, 이상기압, 과부하 등 기계의 부하가 안전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안전상태가 되도록 조정하거나 기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방호장치는?
1.
감지형 방호장치
2.
접근거부형 방호장치
3.
위치제한형 방호장치
4.
접근방호형 방호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위치제한형 : 작업자의 신체부위가 위험한계 밖에 있도록 기계의 조작장치를 위험한 작업점에서 안전거리 이상 떨어지게 하거나 조작장치를 양손(양수)으로 동시 조작하게 함으로써 위험한계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방호장치 2. 접근거부형 : 작업자의 신체부위가 위험한계내로 접근하였을 때 기계적인 작용에 의하여 접근을 못하도록 저지하는 방호장치 3. 접근반응형 : 작업자의 신체부위가 위험한계 또는 그 인접한 거리내로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여 그 즉시 기계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경보 등을 발하는 방호장치 4. 포집형 : 연삭기 덮개나 반발예방장치 등과 같이 위험장소에 설치하여 위험원이 비산하거나 튀는 것을 포집하여 작업자로부터 위험원을 차단하는 방호장치 5. 감지형 : 이상온도, 이상기압, 과부하 등 기계의 부하가 안전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안전상태가 되도록 조정하거나 기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방호장치 [해설작성자 : ysys9004]
47.
연삭용 숫돌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조직
2.
입자
3.
결합제
4.
기공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연삭숫돌의 3요소 1. 입자(Abrasive) : 공작물을 깎아내는 경도가 높은 광물질 결정체 2. 결합제(Bond) : 입자를 고정시킴 3. 기공(Pore) : 절삭칩이 빠져나가는 길을 의미, 연삭열을 억제시킴 [해설작성자 : 기사콜렉터입니다]
암기법 : 숫돌 입자를 결합할 때, 기공이 있어야 열이 빠져나간다.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기사합격!!!]
48.
산업용 로봇에 사용되는 안전 매트의 종류 및 일반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전매트의 종류는 연결사용 가능여부에 따라 단일 감지기와 복합 감지기가 있다.
2.
단선경보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3.
감응시간을 조절하는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4.
감응도 조절장치가 있는 경우 봉인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감응시간을 임의 조절 불가 [해설작성자 : 준범2]
안전매트의 일반구조 1. 단선경보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2. 감응시간을 조절하는 장치는 부착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3. 감응도 조절장치가 있는 경우 봉인되어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초랭구]
회전중인 연삭숫돌이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시 덮개를 설치하여야 할 연삭숫돌의 최소 지름은?
1.
지름이 5cm 이상인 것
2.
지름이 10cm 이상인 것
3.
지름이 15cm 이상인 것
4.
지름이 20cm 이상인 것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연삭기 안전수칙 1. 직경이 5cm 이상인 숫돌에 덮개 설치 2. 작업시작 전 1분, 숫돌 교체 후 3분 이상 시운전 3. 작업시작 전에 결함 유무를 확인 4. 최고 사용회전속도를 초과 금지 5. 측면사용 연삭숫돌외의 연삭숫돌은 측면 사용금지 6. 연삭분 비산을 막기 위한 투명비산방지판 사용 7. 작업대와 숫돌과의 간격을 3mm이하로 유지할 것 8. 덮개와 숫돌과의 간격은 3-10mm정도 유지할 것 [해설작성자 : 휘바]
52.
동력프레스기의 No hand Die 방식의 안전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안전금형을 부착한 프레스
2.
양수조작식 방호방치의 설치
3.
안전울을 부착한 프레스
4.
전용프레스의 도입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No hand in die - 본질적 안전화 방식 : 안전울 부착프레스, 안전금형 부착프레스, 전용 프레스 도입, 자동프레스 도입 Hand in die - 프레스기의 종류, 압류능력, 매분행정수, 행정길이 및 작업방법에 따른 방호장치 : 가드식 방호장치,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수인식 방호장치 - 프레스기의 정지 성능에 상응하는 방호장치 :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감응식 방호장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No hand in die는 ~~프레스로 끝나고 Hand in die는 ~~식장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박리대전-밀착된 물체가 떨어지면서 자유전자의 이동으로 발생한다. 충돌대전-입자와 다른 고체와의 충돌과 급속한 분리에 의해 발생한다. 분출대전-기체,액체,분체류가 단면적이 작은 분출구를 통과할 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62.
분진폭발 방지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장 등은 분진이 퇴적하지 않는 형상으로 한다.
2.
분진 취급 장치에는 유효한 집진 장치를 설치한다.
3.
분체 프로세스의 장치는 밀폐화하고 누설이 없도록 한다.
4.
분진 폭발의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는 감독자를 상주 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감독자를 상주시킨다고해서 분진폭발이 방지되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으닝]
폭발방지도 안될 뿐더러 잘못하면 감독자가 다칩니다. [해설작성자 : 인간이중요하다며]
63.
피부의 전기저항 연구에 의하면 인체의 피부 중 1~2mm2 정도의 적은 부분은 전기 자극에 의해 신경이 이상적으로 흥분하여 다량의 피부지방이 분비되기 때문에 그 부분의 전기저항이 1/10 정도로 적어지는 피전점(皮電点)이 존재한다고 한다. 이러한 피전점이 존재하는 부분은?
1.
머리
2.
손등
3.
손바닥
4.
발바닥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피전점이 존재하는 곳 1. 손등 2. 턱 3. 볼 4. 정강이 [해설작성자 : KKANG]
64.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경우 공기 중에 생성되는 것은?
1.
O2
2.
O3
3.
N2
4.
N3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일상생활에서 코로나는 송전선 근처에서 볼 수 있으며 청각적 잡음과 전자적 잡음을 생성한다. 또한 전력 손실을 발생하고, 대기 입자와 반응하여 오존과 NOx 화합물을 생성한다. 이에 송전선이 지나가는 지역의 사람들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고 주장되고 있으나, 실제 코로나의 발생은 전력기기가 집중적으로 설치된 변전소에 비해 그 크기가 매우 미미하다. 또한 송전선은 그 높이가 대부분 지상 15m 이상에 설치되며 건축물과 상당한 거리를 두므로 송전선에 의한 코로나가 주변 거주인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입증된 바 없다. 또한 송전 설비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해 코로나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설계 시공된다. 코로나에 의한 전자적 잡음은 라디오나 TV의 수신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ysys9004]
65.
고압 및 특고압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의 설치장소로 잘못된 곳은?
1.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2.
발전소, 변전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3.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저압측
4.
특고압 가공전선로로부터 공급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피뢰기의 설치장소(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 중) 1.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입입구 및 인출구 2.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고압측(문제에는 저압측이라 나와서 3번이 정답) 3. 고압 또는 특고압의 가공전선으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4.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손로가 접속되는 곳 5. 고압 가공전선으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전전력의 용량이 500kW이상의 수용장소의 인입구 6. 배선 전로 차단기, 개폐기의 전원측 및 부하측 7. 콘덴서의 전원측 [해설작성자 : 어메이징]
문제에 피뢰기 나왔을때 저압 나오면 그게 틀린거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66.
전기설비의 방폭구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근본 방폭구조
2.
압력 방폭구조
3.
안전증 방폭구조
4.
본질안전 방폭구조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전기설비의 방폭구조 1. 내압 방폭구조 : 방폭함 내부의 폭발이 외부의 가연성물질을 점화시키지 않도록 안전간극을 사용한 구조 2. 압력 방폭구조 : 불활성가스(질소)를 사용하여 가연성가스가 방폭함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한 구조 3. 유입 방폭구조 : 기름속에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묻어둔 구조 4. 안전증 방폭구조 : 안전도를 증가시켜 점화원의 발생확률을 낮춘 구조 5. 몰드 방폭구조 : 콤파운드를 사용하여 가스침입 방지 6. 본질안전 방폭구조 : 발생되는 스파크나 불꽃이 가스를 점화시킬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 구조 7. 비점화 방폭구조 : 정상적인 상태에서 가스를 점화시키지 않도록 한 구조 8. 충전 방폭구조 : 방폭함 내부에 충전물을 채워 가연성가스가 들어오지 못하게 한 구조 [해설작성자 : 휘바]
67.
대지를 접지로 이용하는 이유 중 가장 옳은 것은?
1.
대지는 토양의 주성분이 규소(SiO2)이므로 저항이 영(0)에 가깝다.
2.
대지는 토양의 주성분인 산화알미늄(Al2O3)이므로 저항이 영(0)에 가깝다.
3.
대지는 철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를 잘 흘릴 수 있다.
4.
대지는 넓어서 무수한 전류통로가 있기 때문에 저항이 영(0)에 가깝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저항은 병렬접속시 가장 작은 저항보다 작은 값을 가집니다. 대지는 접지극만 봐도 무수히 많은 전기접속 통로가 있고, 대지와 접지극은 연결된 선로로 보아서 병렬취급합니다. 회로적으로만 보아도 무수히 많은 병렬저항접속으로 인해 저항이 0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대략난감넌귤]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 등의 섬유에 정전기 대전방지 성능이 특히 효과가 있고, 섬유에의 균일 부착성과 열 안전성이 양호한 외부용 일시성 대전방지제로 옳은 것은?
1.
양ion계 활성제
2.
음ion계 활성제
3.
비ion계 활성제
4.
양성ion계 활성제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음이온계 활성계 ① 값이 싸고 무독성이다. ② 섬유의 균일 부착성과 열안정성이 양호하다. ③ 섬유의 원사 등에 사용된다. 2. 양이온계 활성계 ① 대전방지 성능이 뛰어나다. ② 비교적 고가이고 피부에 장해를 주며 섬유에 사용할 때에 , 는 염색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한다. ③ 내열성은 떨어지나 유연성이 뛰어나며 아크릴 섬유용으로 널리 쓰인다. 3. 비이온계 활성계 ① 단독사용으로는 효과가 적지만 열안전성이 우수하다. ② 음이온계나 양이온계 또는 무기염과 병용해서 사용할 때에 는 대전방지 효과가 뛰어나다. 4. 양성이온계 활성계 ① 대전방지성능은 양이온계와 비슷한 것으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② 베타인계는 그 효과가 매우 높다. ③ 다른 이온계 활성제와 병용도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youngtae13]
70.
200 A의 전류가 흐르는 단상 전로의 한 선에서 누전되는 최소 전류(mA)의 기준은?
1.
100
2.
200
3.
10
4.
20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누전전류는 공급전류의 1/2000 배이다. [해설작성자 : lms]
누설전류 I = 1/2000 * I = 1/2000 x 200 = 0.1A -> 단위변환 100mA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71.
반도체 취급 시 정전기로 인한 재해 방지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자 정전화 착용
2.
작업자 제전복 착용
3.
부도체 작업대 접지 실시
4.
작업장 도전성 매트 사용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정전기 위험 방지조치 1. 정전기용 안전화 착용 2. 제전복 착용 3. 정전기 제전용구 착용 4. 작업장 바닥 등에 도전성을 갖추도록 하는 등의 조치 [해설작성자 : 초랭구]
부도체는 말그대로 전기가 안통함 접지할 이유없음 [해설작성자 : 쉽게쉽게]
72.
50kW, 60Hz 3상 유도전동기가 380 V 전원에 접속된 경우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 인가? (단, 역률은 80%이다.)
1.
82.24
2.
94.96
3.
116.30
4.
164.47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W = 루트3 *V*I 50000W = 1.732* 380 * I I = 50000/(1.732*380) / 역률 I = 50000/(1.732*380) / 0.8 = 94.96A [해설작성자 : 333]
P=루트3 * V * I * 역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W(부하) = 루트(N상) X V X I 루트3은 1.732 문제에서 3상이라서 루트3 여기서 나온 I를 2000으로 나눠주면 누전전류의 한계를 알수있고 이문제에서는 역률로 나눠주면 정답을 구할 수 있다.
루트3 X 380 X I = 50000 I = 50000/(루트3 X 380) = 75.967 75.967 / 역률 = 75.967/0.8 = 94.958 = 94.96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73.
방폭지역에 전기기기를 설치할 때 그 위치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운전ㆍ조작ㆍ조정이 편리한 위치
2.
수분이나 습기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
3.
정비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는 위치
4.
부식성 가스발산구 주변 검지가 용이한 위치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부식성 가스발산구의 주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김경태]
74.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전폐구조로 하며 접합면에는 일정치 이상의 깊이를 갖는 패킹을 사용하여 분진이 용기 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 방폭 구조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보통방진 방폭구조
2.
분진특수 방폭구조
3.
특수방진 방폭구조
4.
밀폐방진 방폭구조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특수방폭구조(S)-내압,유압,압력,안전증,본질안전 이외의 방폭구조로서폭발성가스 또는 증기에 점화 또는 위험분위기로 인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시험, 기타에 의하여 확인된 구조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 특수방진방폭구조 : 전폐구조로서 틈새깊이를 일정치 이상으로 하거나 또는 접합면에 일정치 이상의 깊이가 있는 패킹을 사용하여 분진이 용기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한 구조 - 보통방진방폭구조 : 전폐구조로서 틈새깊이를 일정치 이상으로 하거나 또는 접합면에 패킹을 사용하여 분진이 용기 내부로 침입하기 어렵게 한 구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통반진 방폭구조의 진화형이 특수방진 방폭구조임 패킹나오면 이 둘을 유의할 것. [해설작성자 : 황병만]
<문제 해설> 스파크>단락>누전>접속부과열>절연열화,절연파괴>과전류 [해설작성자 : 도움이 될까]
78.
그림과 같은 전기설비에서 누전사고가 발생 하여 인체가 전기설비의 외함에 접촉하였을 때 인체통과 전류는 약 몇 mA 인가?
1.
43.25
2.
51.24
3.
58.36
4.
61.68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I = V/(R2+((R인+R3)/(R인+R3))) x R3/(R인+R3) R인 : 인체저항 [해설작성자 : 호놀룰루]
직병렬로 생각 하시면 됩니다 R2는 직렬, 인체 저항과 R3 병렬 전체 전류 : 전압/합성 저항 >> V / (R2+((R3*R인)/(R3+R인))) 220/20+(80*3000)/(80+3000) >>> 2.247
인체 저항에 흐르는 전류 전체 전류*R3/R인+R3 2.247*80/3000+80 >>> 0.5836A = 58.36mA [해설작성자 : 이링]
V / (R2+((R인 x R3)/(R인 + R3))) x R3 / (R인+R3) 반론에 틀린게 있어서 수정해드립니다 위 식대로 하면 A 단위가 나와서 mA로 변경하시면 3번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회로를 굳이 다시 그려서 총전압에서 분배하는 저같은 분들을 위해 다시 정리하면
숫자 표기의 편의상 인체저항을 R1, 인체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I1이라고 할 때 (I1 × R1) + {(I1 × R1) × (R2 ÷ R3)} = V 입니다.
여기서 I1을 구하는 방정식을 역으로 세우면 3000 × I1 + (3000 ×I1 × 20 ÷ 80) = 220 → I1 = 220 ÷ (3000 × 1.25)가 되므로 비로소 위 해설들과 동일한 공식과 0.05866... (A) = 58.66... (mA)라는 숫자가 나오니, 제일 가까운 58.36mA를 고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집에서는 일반물리학 공부가 안 돼]
4와 10은 6으로부터 각각 2와 4만큼 떨어져있다. 농도비가 2:4일 때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바꾸면 1:2이고, 질량비는 농도비를 뒤집어준다. 따라서 2:1이다. 계산하면 전체 질량이 100kg이므로 4%는 100*(2/3) = 66.6... 10%는 33.3... 이 된다. 따라서 3번 [해설작성자 : 빠꼼이충]
84.
일산화탄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색ㆍ무취의 기체이다.
2.
염소와는 촉매 존재하에 반응하여 포스겐이 된다.
3.
인체 내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운반기능을 저하시킨다.
4.
불연성가스로서, 허용농도가 10ppm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포스겐 : COCl2 [해설작성자 : 뀨뀨꺄꺆]
일산화탄소는 가연성가스로서, 독성허용농도는 8시간 기준 20ppm, 24시간 기준 10ppm 입니다 [해설작성자 : ljh]
일산화 탄소 특징 무색 무취의 기체 염소와 촉매 존재하에 반응하여 포스겐이 된다 인체 내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운반기능을 저하시킨다 독성가스이고 질식성이며 허용농도는 50ppm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특수화학설비에 설치하는 계측장치 원재료 공급의 긴급차단장치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예비동력원 온도계 유량계 압력계 등의 계측장치 [해설작성자 : 우정짱짱걸]
물이랑 반응하면 폭발하는 성질가지고 작업중이였으면 다 죽겠죠 [해설작성자 : 황병만]
87.
다음 중 냉각소화에 해당하는 것은?
1.
튀김 기름이 인화되었을 때 싱싱한 야채를 넣어 소화한다.
2.
가연성 기체의 분출 화재시 주 밸브를 닫아서 연료 공급을 차단한다.
3.
금속화재의 경우 불활성 물질로 가연물을 덮어 미연소 부분과 분리한다.
4.
촛불을 입으로 불어서 끈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냉각소화 2.제거소화 3.질식소화 4.제거소화 [해설작성자 : 남돌]
식용류 화재시 주수소화를 금지하지만 아주작은 입자의 물분무형식의 소화는 가능함 미립자의 물이 식용류와 만나면서 냉각을하여 기름이 고체화 됨으로써 고체화된 기름이 식용류를 덮어 질식효과가 생김(싱싱한 야채속의 수분이 식용류를 냉각시킴) [해설작성자 : 인생한방]
88.
다음 중 Flashover의 방지(지연)대책으로 가장 적정한 것은?
1.
출입구 개방전 외부 공기 유입
2.
실내의 가열
3.
가연성 건축자재 사용
4.
개구부 제한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flash over 특징 화재로 인해 실내온도 급격히 상승해 화재가 순간적으로 실내 전체로 확산되어 연소되는 현상 화재 발생 후 5-6분 경에 발생하며 발생시점은 성장기-최성기(성장기에서 최성기로 넘어가는 분기점)이다 그 때의 실내온도는 800-900이다 플래쉬오버에 영향을 미치는 것 개구부: 구멍의 크기 내장재료 :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경도와는 상관없음 화원의 크기 : 불이 처음 붙어을 때의 크기 실의 내표면적 [해설작성자 : 우정짱짱걸]
5.기둥이 타이 플레이트형 구조물 6.단면 구조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경우 ( 암기 내용 : 높이 20M / ( 폭:높이 ) 1:4 / 철골량 50Kg/m2 / 타이플레이트 / 이음부 현장제작 ) [해설작성자 : 허찬]
이음부가 현장용접인 구조물은 확인하여야 하지만 공장에서 이어온거는 확인 안해두 됨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1. 이음부가 현장 용접인 구조물 2. 높이 20m 이상인 구조물 3. 기둥이 타이플레이트형인 구조물 4. 구조물의 폭과 높이의 비가 1:4 이상인 구조물 5. 단위 면적당 철골량이 50kg/m2 이하인 구조물 [해설작성자 : 간장공장장 좋아]
105.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할 수 있는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안전ㆍ보건에 관한 협의체 구성 및 운영
2.
공사의 진척 정도에 따른 사용기준
3.
사업의 규모별 사용방법 및 구체적인 내용
4.
사업의 종류별 사용방법 및 구체적인 내용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한 기준(산업안전보건법 제 72조)
1. 사업의 규모별, 종류별 계상 기준 2. 건설공사의 진척 정도에 따른 사용비율 등 기준 [해설작성자 : 기사콜렉터입니다]
106.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사용되는 권상용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 5이상 [해설작성자 : 우정짱짱걸]
107.
철골보 인양 시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양 와이어로프의 매달기 각도는 양변 60°를 기준으로 한다.
2.
크램프로 부재를 체결할 때는 크램프의 정격용량 이상 매달지 않아야 한다.
3.
크램프는 부재를 수평으로 하는 한 곳의 위치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4.
인양 와이어로프는 후크의 중심에 걸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크램프는 부재를 수평으로 하는 두 군데 이상 사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멋진 승빈 아빠]
108.
시스템 동바리를 조립하는 경우 수직재와 받침철물 연결부의 겹침길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1/2 이상
2.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1/3 이상
3.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1/4 이상
4.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1/5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수직재와 받침철물 연결부의 겹침길이 기준 :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1/3 이상 이다. [해설작성자 : ^~^]
109.
토질시험 중 액체 상태의 흙이 건조되어 가면서 약성, 소성, 반고체, 고체 상태의 경계선과 관련된 시험의 명칭은?
1.
아터버그 한계시험
2.
압밀 시험
3.
삼축압축시험
4.
투수시험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터버그 한계시험 : 함수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흙의 특성을 구분하기 위해 적용되는 함수비를 기준으로 한 값 1. 액성한계 : 유동체와 소성체의 경계 함수비 2. 소성한계 : 소성체와 반고체의 경계 함수비 3. 유동한계 : 반고체와 고체의 경계 함수비 [해설작성자 : 초랭구]
압밀시험 : 디스크모양의 흙에 위,아래로 흙을 첨가하여 변형의 크기를 조사하여, 자연상태 흙에 대한 과거와 장래의 변형을 예측 3축 압축시험 : 원통모양의 흙을 고무막으로 싸고 주위에서 액압을 추어 위,아래로 힘을 가함 투수시험 : 흙 속의 물이 통과되기 쉬운 정도를 조사 [해설작성자 : 초랭구]
110.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해야 할 대상 공사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 건설등의 공사
2.
최대지간 길이가 50m이상인 교량건설등 공사
3.
다목적댐ㆍ발전용 댐 및 저수용량 2천만톤이상의 용수전용댐, 지방상수도 전용 댐 건설 등의 공사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에 관한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ㆍ변위 및 지반의 침하 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2.
작업 중에는 거푸집동바리등의 변형ㆍ변위 및 침하 유무 등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자를 배치하여 이상이 있으면 작업을 빠른 시간 내 우선 완료하고 근로자를 대피시킬 것
3.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거푸집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충분한 보강조치를 할 것
4.
콘크리트 타설하는 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골고루 분산하여 타설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 이상 발견 시 작업을 빠르게 중지시킴 [해설작성자 : day]
113.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하고자 할 때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2.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경로
3.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4.
차량계 건설기계의 유지보수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차량계 건설기계 작업계획 내용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경로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해설작성자 : 우정짱짱걸]
114.
기계가 위치한 지면보다 높은 장소의 땅을 굴착하는데 적합하며 산지에서의 토공사 및 암반으로부터의 점토질까지 굴착할 수 있는 건설장비의 명칭은?
1.
파워쇼벨
2.
불도저
3.
파일드라이버
4.
크레인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파워쇼벨 가. 굳은 점토 등 지반면보다 높은 곳의 땅파기에 적합하다. 나. 앞으로 흙을 긁어서 굴착하는 방식이다. 다 쇼벨계 굴착기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기계가 서 있는 지면보다 높은 곳을 파는 데 가장 좋으므로 산의 절상 등에도 적합하고, 부(Boom)이 단단하여 굳은 지반의 굴착에도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뚱치]
지반보다 높은 장소 굴착하는건 파워쇼벨이라고 외우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오전3시45분]
115.
지표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파내려간 후 구조물을 축조하고 되메운 후 지표면을 원상태로 복구시키는 공법은?
1.
NATM 공법
2.
개착식 터널공법
3.
TBN 공법
4.
침매공법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NATM 공법 : 암반을 천공하고 화약을 충전하여 발파 한 후 스틸리브 및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고 숏크리트를 타설 개착식 터널공법 : 지표면 아래로부터 일정깊이까지 개착하여 터널본체를 완성한 후 매몰 TBN 공법 : TUNNEL BORING MACHINE의 회전 CUTTER에 의해 터널 전단면을 절삭 또는 파쇄하는 공법 침매공법 : 해저 또는 수면하에 터널을 굴착하는 공법. 지상에서 터널박스를 제작하여 물에띄워 운반한 후 소정의 위치에서 침하 [해설작성자 : 초랭구]
TBM 공법 : 폭약을 사용하지 않고 터널 보링머신의 회전에 의해 터널 전단면을 굴착하는 공법으로 암반터널에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혼자서]
116.
단관비계를 조립하는 경우 벽이음 및 버팀을 설치할 때의 수평방향 조립간격 기준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