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뱀장어는 크게 Anguilla와 Japonica로 나누어진다. - Anguilla는 원산지가 유럽, 북미이며, 눈이 크고 굵기에 비해 길이가 짧다. - Japonica는 원산지가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 등에 서식하여 극동산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6.
엽색체공학기법으로 생산된 우량형질 개체의 해외 유출 방지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기술은?
1.
불임화
2.
기형방지
3.
성장증대
4.
내병성 강화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염색체 공학을 이용한 배수체 불임화 기술로 재생산 및 육종기술 유출을 방지함
7.
현재 인공종묘생산에 치어기의 먹이로 기수산 로티퍼를 사용하는 어종은?
1.
연어
2.
은어
3.
송어
4.
메기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수산 로티퍼를 부화 후 1~2일부터 100일간 먹이며, 성장함에 따라 물벼룩, 노른자, 알테미아, 배합사료 등을 공급하다가 120~150일 후 0.5g이 되면서 부터는 배합사료만을 공급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8.
넙치 사육에서 수온에 따른 내용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10℃ 이하 – 폐사
2.
15 ~ 20℃ - 치어사육의 적수온
3.
20 ~ 25℃ - 식욕감퇴
4.
30℃ 이상 – 산란
정답 : [
2
] 정답률 : 88%
9.
우리나라에 이스라엘 잉어(향어)가 도입된 년도는?
1.
1955년
2.
1963년
3.
1973년
4.
1982년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외래종 도입순서 - 1955년 틸라피아(태국) - 1963년 초어, 백련어(일본) - 1965년 무지개송어(미국) - 1972년 채널메기(미국) - 1973년 향어(이스라엘) [해설작성자 : 도리콩]
10.
배합사료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리와 공급이 쉽고, 자동 사료 공급기의 사용으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2.
상온(20 ~ 25℃)에서 1년 이상의 장기 저장이 가능하다.
3.
사료 공급량과 투여 방법을 조절함으로 생산량을 쉽게 조정해 나갈 수 있다.
4.
생사료에 비하여 사료의 공급꽈 가격이 안정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인공배합사료의 장점 - 관리와 공급이 쉽고, 자동사료공급기의 사용으로 인건빌르 절감 - 사료에 따라 상온(20 ~ 25℃)에서 3개월 정도 저장가능 - 사료공급과 가격이 안정적임 - 사료공급량과 투여방법 조절로 생산량의 조절 가능 - 어류의 사료 공급량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질병발생의 억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중 실뱀장어의 소하가 가장 많을 때는?
1.
대조 시의 일몰 때부터 2 ~ 3시간 이내에 만조가 될 때
2.
저녁 때(밤)의 소조 시
3.
낮부터 계속 비가 오는 날
4.
북동풍이 불 때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실뱀장어의 소하가 가장 많을 때는 대조시 일몰 때부터 2~3시간 이내에 만조가 될 때 입니다.
12.
산란기 잉어 수컷의 성징이 아닌 것은?
1.
체표가 거칠어진다.
2.
가슴지느러미 가장자리 큰 줄기에 돌기가 많아진다.
3.
꼬리지느러미의 크기가 작아진다.
4.
몸이 단단해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산란기 잉어의 암수 구별 - 암컷: 배가 불러오고, 몸 표면이 부드러워진다. 특히 항문근처가 부드럽게 부풀어 있고, 배를 약간만 눌러도 알이 쉽게 흘러나온다 - 수컷: 몸이 단단하고, 몸 표면이 거칠어진다. 특히 몸 전체의 촉감이 거칠거칠하며, 가슴지느러미 안쪽상부와 아가미뚜껑 위에 좁쌀 같은 추성(돌기)이 많이 솟아 있어 이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조피볼락의 자어 사육시설 관리에 있어 자어의 안정을 유도하기 위한 수조의 표층 조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
<문제 해설> 정답 2번 (먹이붙임이 쉬운 큰 종묘를 선택한다) * 방어 종묘 구입 시 유의할 점 - 둥글둥글하게 살이 쪄 있을 것 - 어체 크기가 고른 것 - 기생충의 기생이 없는 것 - 몸 빛깔은 황록색을 띄고 있는 것 - 다른 개체와 뗴를 지어서 정상적인 유영을 하고 있는 것 - 운반하기 편하게 종묘의 크기가 8~30g 정도 되는 것 [해설작성자 : zdthmlp2]
18.
로티퍼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원인생물이 아닌 것은?
1.
에어로모나스 속
2.
슈도모나스 속
3.
유플로테스 속
4.
우로네마 속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슈도모나스 속은 로티퍼의 증식을 높입니다 [해설작성자 : zdthmlp2]
19.
돌돔 자치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온 21 ~ 22℃에서 수정 후 약 29 ~ 30 시간만에 부화한다.
2.
부화 후 40일까지 효모와 클로렐라를 먹인다.
3.
돌돔 난의 크기는 약 0.77 ~ 0.98mm 이다.
4.
수온 20℃에서 부화 후 3일이 지나면 난황을 거의 흡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부화 후 40일까지 효모와 클로렐라를 먹인다
* 돌돔 자-치어 사육 - 투명한 구형의 분리부성란, 유구 1개를 가짐, 크기는 0.77~0.98mm - 21~22도에서 29~30시간 만에 부화, 20도에서 부화 후 3일이 지나면 난황을 거의 흡수하고 입이 열림 - 부화 후 3~20일 : 빵 효모와 클로렐라로 영양강화된 로티퍼를 공급 - 부화 후 14~38일 : 알테미아 유생 - 부화 후 30일 : 배합사료 [해설작성자 : zdthmlp2]
20.
산란기간 중에 암컷이 1회만 산란하는 종은?
1.
참돔
2.
넙치
3.
금붕어
4.
자주복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산란기간 - 산란기가 연 중 1회로, 산란기간 중에 암컷이 1회만 방란 방정을 하는 종: 연어과 어류, 자주복, 문치가자미 등 - 1년에 1회의 산란기간 중에 반복해서 방란 방정을 하는 종: 참돔, 금붕어, 넙치, 놀래기, 붉바리, 자바리, 자리 등 - 연중 특정기간을 가지지 않고 방란 방정을 하는 종: 제브라피시, 구피, 가다랑어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2번
39.
양성과정 중 이동성이 가장 큰 이매패류는?
1.
대합
2.
고막
3.
우럭
4.
개량조개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대합은 이동력이 강하여 양식의 경우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참소라의 방류 양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성장하면서 차차 얕은 곳으로 이동한다.
2.
일반적으로 수온 13℃ 이하인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성장 휴지대가 만들어진다.
3.
적정 성장 수온이 장기간 유지되는 곳은 먹이조달이 충분하지 못해 피해야 한다.
4.
종묘의 방류량은 적어야 그 효과가 크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성장하면서 차차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3. 성장 수온기간이 길수록 좋다. 4. 종자의 방류량은 많아야 그 효과가 크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41.
다음 중 미역 초기배양에서 배우체의 비료주기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배우체가 건강할 경우에도 비료주기는 반드시 필요하다.
2.
비료는 해수 1L에 질산나트륨 0.02g, 제2인산나트륨 0.1g을 첨가한다,
3.
수조에 약품을 직접 넣거나 한꺼번에 너무 많이 주면 오히려 약해가 있다.
4.
물갈이 전에 약품을 처리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건강하면 필요 x 2. 질산 나트륨 0.1g, 제 2인산 나트륨 0.02g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미역종자 배양 중 조도와 물갈이가 충분하여 배우체가 건강할 경우에는 비료주기가 필요없다 2. 만일 배우체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 때 처리하게 된다면 물갈이 후 해수 1L에 질산나트륨 0.1g(요소를 사용할 경우에는 1/3의 양), 제2인산나트륨 0.02g을 첨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김의 조가비 사상체에 각포자낭 형성이 시작되는 시기는?
1.
3 ~ 4월
2.
5 ~ 6월
3.
7 ~ 8월
4.
9 ~ 10월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김의 각포자낭의 형성이 시작되는 시기는 5~6월이다. 사상체로부터 각포자가 방출되어 김발에 붙는 시기는 9월 하순~10월 초순이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43.
양식 김 자리바꿈의 주된 원인은?
1.
유아의 영양번식력 차이
2.
유성생식의 유무
3.
무성생식의 유무
4.
성엽의 생식기간 차이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자리바꿈의 정의와 원인 - 정의 : 어떤 특정 품종을 선택 양식할 떄 도중에 다른 품종으로 바뀌는 것 - 원인 : 품종 간의 영양번식력 차이에 의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다시마의 포자낭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자낭은 표층 세포에 형성된다.
2.
포자낭이 형성된 부분은 약간 함몰된다.
3.
포자낭반은 잎의 양면에 형성된다.
4.
포자낭반은 색이 짙어서 육안으로 식별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45.
자연산 유용 해조류의 증식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투석
2.
암반폭파
3.
객토
4.
갯닦기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갯닦기: 자연산 해조의 증식률을 돕기 위하여 포자 방출이 많은 시기에 앞서 갯바위닦기를 하여 해적이 될 수 있는 다른 해조류를 제거하는 방법 암반 폭파, 투석: 포자가 붙을 수 있는 새로운 착생면을 확대시켜 주는 방법 [해설작성자 : 도리콩]
46.
김 유리 사상체 배양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매년 과포자를 구할 필요가 없다.
2.
선발육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3.
배양을 위한 넓은 장소가 필요하다.
4.
규조 및 병의 침해가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순수품종유지 가능, 소량의 김엽체에서 많은양의 사상체를 육성 배양 가능, 지역별 어장에 적합한 품종 선택, 매년 과포자를 구할 필요없음, 종자소요량을 자유롭게 계획 생산 할 수 있음, 규조 및 병해 침범이 적고 채묘시기를 쉽게 조절. 3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호이산이]
47.
미역의 생활사에서 식용으로 하는 시기는?
1.
배우체
2.
포자체
3.
웅성체
4.
자성체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미역은 포자체 세대와 배우체 세대가 모양이 다른 이형 세대교번을 하는 1년생 해조류이며 우리가 식용으로 하는 시기는 포자체임
<문제 해설> 비중을 측정할 때에는 온도계를 사용하여 수온을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다음 중 물 속에 살고 있는 동물에게 강한 독성물질로 해를 끼치는 무기질소의 상태는?
1.
NH4+
2.
NH3
3.
NO2
4.
NO3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독성: NH3 > NO2 > NH4+ > NO3 [해설작성자 : 도리콩]
68.
정수시 양어지에 인위적으로 산소공급을 해야 할 때 하루 중 산소 공급이 가장 필요한 시간은?
1.
해지기 직전
2.
해가 진 직후
3.
해뜨기 직전
4.
해가 뜬 후 오전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문제는 용존 산소가 가장 적은 시간을 맞히는 게 목적으로 보입니다. 용존 산소가 가장 적은 시간대는 해산 식물이 광합성이 아닌 호흡을 지속한 해뜨기 직전이 맞습니다. 이후 해가 뜨면 광합성으로 다시 용존 산소가 늘어나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낮엔 식물의 광합성 때문에 용존산소량이 올라갑니다(pH도 같이 상승). 밤에는 반대로 식물 때문에 CO2가 늘어나 용존산소가 줄어듭니다. 때문에 해뜨기 직전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정수용 여과재인 활성탄의 주 기능은?
1.
이온교환
2.
흡착
3.
침전
4.
응집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흡착을 이용한 여과방식에는 활성탄 흡착과 거품분리가 있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70.
양식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의 일반적인 특징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연중 수온이 고르다.
2.
용존산소가 풍부하다.
3.
화학적 오염의 우려가 적다.
4.
해적 생물의 유입이 적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지하수의 특징 - 유속이 느리다: 자정속도가 느리다 - 수온이 연중 일정 - 염류들이 많이 용해(이산화탄소에 의해)-> 경도가 가장 높다 - 국지적인 환경조건의 영향이 크다 - 유기물의 분해가 미생물의 작용에 의한다 - 용존산소가 거의 없다 - 하천수의 DO는 전달현상에 의해 풍부하지만, 지하수는 거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수중의 질산화 반응에 관한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수질정화에서 주로 이용되는 원리이다,
2.
대표적 질산화 박테리아는 Nitrosomonas sp.와 Nitrobacter sp. 이다.
3.
질산 유기화합물이 암모니아로 바뀌는 과정이다.
4.
생물학적 여과에 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질산화 과정 암모니아성 질소가 호기성 조건에서 질산화미생물에 의해 아질산성 질소를 거쳐 질산성 질소로 변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해수의 질산염 측정 시 사용하는 환원제는?
1.
설파닐산
2.
아미노프톨술폰산
3.
카드뮴
4.
주석
정답 : [
3
] 정답률 : 79%
73.
윙클러법으로 용존산소 분석 시 사용되는 지시약의 주성분은?
1.
티오황산나트륨
2.
녹말
3.
탄산마그네슘
4.
염화망간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변법 1. 시료를 BOD병에 넣고 마개를 막는다. 2. MnSO4 용액과 KI-NaN3 용액을 1ml씩 넣는다.(철 이온이 포함된 시료는 황산을 첨가하기 전 KF 1ml를 넣는다) 3. 마개를 닫고 병을 수회 회전시켜 섞은 뒤 2분 이상 정치한다. 4. H2SO4 2ml를 넣고 흔든다. 5. 용액을 정확히 200ml 취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6. 0.025M-Na2S2O3 용액으로 엷은 황색이 될 때까지 적정한다. 7. '전분용액(녹말)'을 넣는다(황색 -> 청색) 8. 무색이 될 때까지 적정하여 Na2S2O3의 소비량을 읽는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74.
활성오니법 처리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사육조와 활성오니 반응조를 겸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2.
양어지 속에서 활성오니가 잘 성장하기 위해서는 태양 광선이 필요하다.
3.
수심이 깊어야 수량이 많아져서 질산화세균이 부유하는데 유리하다.
4.
활성오니 생물을 현탁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에어레이션을 쉬지 않고 계속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활성오니법에서는 이 '활성오니'와 그 생존에 필요한 '용존산소' 및 '미생물 대사의 기질' 3가지 요소가 최적 상태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75.
다음의 각 지점에서 채수를 하고자 한다. 채수 지점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곳은?
1.
1지점
2.
2 지점
3.
3지점
4.
4지점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하천본류와 하천지류가 합류하는 경우에는 합류 이전의 각 지점과 합류후 충분히 혼합된 지점에서 각각 채수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틸라피아 양식에서 수심이 70 ~ 100cm 또는 그 이상일 때의 바닥 경사율로 적합한 것은?
<문제 해설> 기존의 물이 pH가 1이 상승하면 수소이온농도가 10배 상승한 것이고, 반대로 1이 하강하면 10분의 1로 하강한 것이 된다. 따라서 pH 5는 pH 7보다 100배 산성이 강하고, pH 6은 pH 7보다 10배 산성이 강한 것이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닻벌레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감염어는 몸을 양식장 바닥이나 벽에 비비기 때문에 궤양이 생길 수 있다.
2.
암컷과 수컷이 교미한 후, 수컷만이 기생하며 암컷은 산란 후 죽는다.
3.
안테나가 변형된 집게를 사용하여 어류의 아가미에 기생한다.
4.
해산어의 근육에 닻벌레 몸의 앞부분을 침투시켜 기생하는 질병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3. 머리가 변형된 근육 및 아가미에 깊이 박혀 기생한다. 4. 담수어 근육에 몸의 앞부분을 침투시켜 기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침투한 충을 떼어내기 위해 몸을 양식장 벽이나 바닥에 비벼 궤양이 생기고, 2차 감염의 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신장과 간, 비장에 백점 및 백색 결절의 병소를 형성하는 질병이 아닌 것은?
1.
Bacterial Kidney Disease(BKD)
2.
Pseudotuberculosis
3.
Ichthyophonus 증
4.
Streptococcisis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Streptococcisis sp. 는 방어나, 넙치 에 감염되며 안구돌출, 안구 가장자리 출혈 등의 증상이 있다. [해설작성자 : mnu]
연쇄구균병 스트랩토코커스 속에 속하는 여러가지 균에 의한 감염증이다. 해부 시 유문수, 간, 비장, 신장, 창자 등 출혈이 관찰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넙치가 안구돌출과 아가미뚜껑 내부에 출혈을 보이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Myxobolus sp.의 기생
2.
Streptococcus sp.의 감염
3.
장내 흡충류의 기생
4.
Pseudodacylogyrus sp.의 기생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연쇄구균병 증상 - 체색 흑화, 안구출혈 및 돌출, 아가미뚜껑 내 출혈, 복수에 의한 복부충만 -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지느러미가 붉어지거나 표피가 벗겨지기도 하며 꼬리자루에 농창 및 궤양이 형성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84.
어류의 바이러스 감염증과 각각의 외관 증상 또는 병리학적 변화가 알맞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무지개송어의 전염성 췌장 괴사증 – 체색흑화, 복부 팽만, 흰색의 점액변
2.
넙치의 랍도바이러스감염증 – 근육 내 출혈, 복부 팽만
3.
잉어의 허피스바이러스성 유두종 – 만성, 양성의 표피세포 증생
4.
방어의 바이러스성 복수증 – 망막 및 신경세포의 괴사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넙치의 랍도바이러스는 10~16도에서 주로 발생하며 겨울철에 발생시 누적 폐사율이 증가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체표면의 출혈이다. [해설작성자 : 뭉어]
- 넙치의 랍도바이러스 감염증은 RNA바이러스에 속하는 랍도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다. 증상은 지느러미,체표에 출혈,복수가 고이거나 근육내 출혈, 아가미 빈혈,생신선 및 창자 출혈 등도 관찰된다. - 방어의 바이러스 복수증은 RNA바이러스인 버나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며, 증상은 복수가 고여 복부팽만, 체색흑화, 뇌와 척추 출혈 및 발작이 관찰된다. 어체의 성장에 따라 자연 소멸하는 경향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해설작성자 : 000]
85.
3대충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태생 흡충은?
1.
Gyrodactylus
2.
Bivagina
3.
Benedenia
4.
Heteraxine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Gyrodactylu :어류의 외부 기생충으로 담수산 온수성 어종의 피부나 지느러미에 주로 기생하며, 성충의 자궁 내에 있는 자충의 자궁 내에 다시 손자충이 들어있어 삼대충이라고도 불리는 단생충이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86.
무지개송어 등의 어류에서 척추만곡증이 나타나는 것은 어떤 영양소가 부족하여 일어나는 병인가?
1.
비타민 A
2.
비타민 B2
3.
비타민 C
4.
Fe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무지개송어에 비타민 C 결핍 시 척추만곡증, 성장이 억제되고 뼈가 굽어져 기형이 되며, 해부 시 각 장기에 출혈점과 장내 혈액이 고이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다음 중 김 양식기간에 발생하는 갯병으로 병원균에 의한 것은?
1.
흰갯병
2.
싹갯병
3.
붉은갯병
4.
암종병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조균류에 속하는 붉은갯병균에 의해 발병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에드워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넙치 및 뱀장어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타 어종에서도 드물게 관찰할 수 있다.
2.
원인세균은 Edwardsiella ictaluri 로 SS한천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특징적인 흑색집락을 형성한다.
3.
뱀장어에 개복하였을 때 신장 및 간장의 농양을 볼 수 있으며, 넙치에서는 복수저류에 의한 복부팽만과 탈장을 들 수 있다.
4.
어체를 개복하면 특징적인 악취가 나는데 이는 원인세균이 생성하는 황화수소(H2S)에 의한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에드워드병 뱀장어- 해부하면 내부에서 역겨운 냄새가 나며, 신장이나 간에 누런색 농양이 형성된다. 에드워드병 넙치- 외부증상으로는 몸이 검어지고, 뱃속에 복수가 차서 부풀러 올랐다가 심해지면 탈장현당이 일어난다. 내부증상으로는 초기에는 비장이나 신장이 부풀러 오르다가 병이 진행되면 간과 신장에 유백색의 농양이 형성된다. [해설작성자 : 000]
장내 세균과에 속하는 에드워드시엘라 트르다균에 의해 생기는 병으로 몸 표면에 편모를 가진 주모성 균으로 그람음성인 간균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무지개송어에서 전염성조혈기괴사증(IHN)이 주로 나타나는 시기는?
1.
부화후 ~ 8주된 치어
2.
6개월 정도의 치어
3.
1년어
4.
2년어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미국의 홍연어 양어장에서 처음 발병되었으며, 무지개송어 치어에 대한 피해가 크고 약 80% 이상의 폐사율을 보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기수지역의 뱀장어 양식장에서 잘 발생하며 온몸의 표면에 바늘로 찌른 것과 같은 점상의 출혈이 다수 관찰되는 질병의 원인균은?
1.
Edwardsiella ictaluri
2.
Pseudomonas anguilliseptica
3.
Pseudomonas fluorescens
4.
Aeromonas salmonicida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문제에서 설명하고 있는 병은 뱀장어 적점병인데 그의 원인균은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꿀]
<문제 해설> 감염된 물고기를 손으로 쥐면 피가 묻어나온다(출혈이 표피층에 나타나기 때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6.
뱀장어 기적병의 증상이 아닌 것은?
1.
죽은 어체를 모아서 보면 악취가 나고, 항문이 확대, 돌출되어 있고 그 가장자리가 종창되어 있다.
2.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복부 피부, 항문 등이 붉게 변한다.
3.
장에 박리성 카다르성염이 생긴다.
4.
간은 강한 울혈을 일으키고 암적색을 디며 간세포는 지방변성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기적병: 붉은 지느러미병 - Aeromonas hydrophila에 의한 질병 - 사료투여와 무관하게 수면 위로 떠오르거나 양어장 가장자리에서 힘없이 움직인다. -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복부피부, 항문 등이 붉은 색으로 변하고, 복부에 출혈반점이 나타난다. - 주로 소화기관 내로 병원균이 침입하여 증식하고 장 점액의 이상분비를 유도하며, 병원체에 의한 독소에 의하여 장염이 발생하고 전신으로 퍼지면서 패혈증으로 죽게 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문제 해설> 뱀장어는 크게 Anguilla와 Japonica로 나누어진다. - Anguilla는 원산지가 유럽, 북미이며, 눈이 크고 굵기에 비해 길이가 짧다. - Japonica는 원산지가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 등에 서식하여 극동산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6.
엽색체공학기법으로 생산된 우량형질 개체의 해외 유출 방지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기술은?
1.
불임화
2.
기형방지
3.
성장증대
4.
내병성 강화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염색체 공학을 이용한 배수체 불임화 기술로 재생산 및 육종기술 유출을 방지함
7.
현재 인공종묘생산에 치어기의 먹이로 기수산 로티퍼를 사용하는 어종은?
1.
연어
2.
은어
3.
송어
4.
메기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수산 로티퍼를 부화 후 1~2일부터 100일간 먹이며, 성장함에 따라 물벼룩, 노른자, 알테미아, 배합사료 등을 공급하다가 120~150일 후 0.5g이 되면서 부터는 배합사료만을 공급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8.
넙치 사육에서 수온에 따른 내용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10℃ 이하 – 폐사
2.
15 ~ 20℃ - 치어사육의 적수온
3.
20 ~ 25℃ - 식욕감퇴
4.
30℃ 이상 – 산란
정답 : [
2
] 정답률 : 88%
9.
우리나라에 이스라엘 잉어(향어)가 도입된 년도는?
1.
1955년
2.
1963년
3.
1973년
4.
1982년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외래종 도입순서 - 1955년 틸라피아(태국) - 1963년 초어, 백련어(일본) - 1965년 무지개송어(미국) - 1972년 채널메기(미국) - 1973년 향어(이스라엘) [해설작성자 : 도리콩]
10.
배합사료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리와 공급이 쉽고, 자동 사료 공급기의 사용으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2.
상온(20 ~ 25℃)에서 1년 이상의 장기 저장이 가능하다.
3.
사료 공급량과 투여 방법을 조절함으로 생산량을 쉽게 조정해 나갈 수 있다.
4.
생사료에 비하여 사료의 공급꽈 가격이 안정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인공배합사료의 장점 - 관리와 공급이 쉽고, 자동사료공급기의 사용으로 인건빌르 절감 - 사료에 따라 상온(20 ~ 25℃)에서 3개월 정도 저장가능 - 사료공급과 가격이 안정적임 - 사료공급량과 투여방법 조절로 생산량의 조절 가능 - 어류의 사료 공급량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질병발생의 억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중 실뱀장어의 소하가 가장 많을 때는?
1.
대조 시의 일몰 때부터 2 ~ 3시간 이내에 만조가 될 때
2.
저녁 때(밤)의 소조 시
3.
낮부터 계속 비가 오는 날
4.
북동풍이 불 때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실뱀장어의 소하가 가장 많을 때는 대조시 일몰 때부터 2~3시간 이내에 만조가 될 때 입니다.
12.
산란기 잉어 수컷의 성징이 아닌 것은?
1.
체표가 거칠어진다.
2.
가슴지느러미 가장자리 큰 줄기에 돌기가 많아진다.
3.
꼬리지느러미의 크기가 작아진다.
4.
몸이 단단해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산란기 잉어의 암수 구별 - 암컷: 배가 불러오고, 몸 표면이 부드러워진다. 특히 항문근처가 부드럽게 부풀어 있고, 배를 약간만 눌러도 알이 쉽게 흘러나온다 - 수컷: 몸이 단단하고, 몸 표면이 거칠어진다. 특히 몸 전체의 촉감이 거칠거칠하며, 가슴지느러미 안쪽상부와 아가미뚜껑 위에 좁쌀 같은 추성(돌기)이 많이 솟아 있어 이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조피볼락의 자어 사육시설 관리에 있어 자어의 안정을 유도하기 위한 수조의 표층 조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
<문제 해설> 정답 2번 (먹이붙임이 쉬운 큰 종묘를 선택한다) * 방어 종묘 구입 시 유의할 점 - 둥글둥글하게 살이 쪄 있을 것 - 어체 크기가 고른 것 - 기생충의 기생이 없는 것 - 몸 빛깔은 황록색을 띄고 있는 것 - 다른 개체와 뗴를 지어서 정상적인 유영을 하고 있는 것 - 운반하기 편하게 종묘의 크기가 8~30g 정도 되는 것 [해설작성자 : zdthmlp2]
18.
로티퍼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원인생물이 아닌 것은?
1.
에어로모나스 속
2.
슈도모나스 속
3.
유플로테스 속
4.
우로네마 속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슈도모나스 속은 로티퍼의 증식을 높입니다 [해설작성자 : zdthmlp2]
19.
돌돔 자치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온 21 ~ 22℃에서 수정 후 약 29 ~ 30 시간만에 부화한다.
2.
부화 후 40일까지 효모와 클로렐라를 먹인다.
3.
돌돔 난의 크기는 약 0.77 ~ 0.98mm 이다.
4.
수온 20℃에서 부화 후 3일이 지나면 난황을 거의 흡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부화 후 40일까지 효모와 클로렐라를 먹인다
* 돌돔 자-치어 사육 - 투명한 구형의 분리부성란, 유구 1개를 가짐, 크기는 0.77~0.98mm - 21~22도에서 29~30시간 만에 부화, 20도에서 부화 후 3일이 지나면 난황을 거의 흡수하고 입이 열림 - 부화 후 3~20일 : 빵 효모와 클로렐라로 영양강화된 로티퍼를 공급 - 부화 후 14~38일 : 알테미아 유생 - 부화 후 30일 : 배합사료 [해설작성자 : zdthmlp2]
20.
산란기간 중에 암컷이 1회만 산란하는 종은?
1.
참돔
2.
넙치
3.
금붕어
4.
자주복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산란기간 - 산란기가 연 중 1회로, 산란기간 중에 암컷이 1회만 방란 방정을 하는 종: 연어과 어류, 자주복, 문치가자미 등 - 1년에 1회의 산란기간 중에 반복해서 방란 방정을 하는 종: 참돔, 금붕어, 넙치, 놀래기, 붉바리, 자바리, 자리 등 - 연중 특정기간을 가지지 않고 방란 방정을 하는 종: 제브라피시, 구피, 가다랑어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2번
39.
양성과정 중 이동성이 가장 큰 이매패류는?
1.
대합
2.
고막
3.
우럭
4.
개량조개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대합은 이동력이 강하여 양식의 경우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참소라의 방류 양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성장하면서 차차 얕은 곳으로 이동한다.
2.
일반적으로 수온 13℃ 이하인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성장 휴지대가 만들어진다.
3.
적정 성장 수온이 장기간 유지되는 곳은 먹이조달이 충분하지 못해 피해야 한다.
4.
종묘의 방류량은 적어야 그 효과가 크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성장하면서 차차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3. 성장 수온기간이 길수록 좋다. 4. 종자의 방류량은 많아야 그 효과가 크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41.
다음 중 미역 초기배양에서 배우체의 비료주기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배우체가 건강할 경우에도 비료주기는 반드시 필요하다.
2.
비료는 해수 1L에 질산나트륨 0.02g, 제2인산나트륨 0.1g을 첨가한다,
3.
수조에 약품을 직접 넣거나 한꺼번에 너무 많이 주면 오히려 약해가 있다.
4.
물갈이 전에 약품을 처리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건강하면 필요 x 2. 질산 나트륨 0.1g, 제 2인산 나트륨 0.02g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미역종자 배양 중 조도와 물갈이가 충분하여 배우체가 건강할 경우에는 비료주기가 필요없다 2. 만일 배우체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 때 처리하게 된다면 물갈이 후 해수 1L에 질산나트륨 0.1g(요소를 사용할 경우에는 1/3의 양), 제2인산나트륨 0.02g을 첨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김의 조가비 사상체에 각포자낭 형성이 시작되는 시기는?
1.
3 ~ 4월
2.
5 ~ 6월
3.
7 ~ 8월
4.
9 ~ 10월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김의 각포자낭의 형성이 시작되는 시기는 5~6월이다. 사상체로부터 각포자가 방출되어 김발에 붙는 시기는 9월 하순~10월 초순이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43.
양식 김 자리바꿈의 주된 원인은?
1.
유아의 영양번식력 차이
2.
유성생식의 유무
3.
무성생식의 유무
4.
성엽의 생식기간 차이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자리바꿈의 정의와 원인 - 정의 : 어떤 특정 품종을 선택 양식할 떄 도중에 다른 품종으로 바뀌는 것 - 원인 : 품종 간의 영양번식력 차이에 의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다시마의 포자낭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자낭은 표층 세포에 형성된다.
2.
포자낭이 형성된 부분은 약간 함몰된다.
3.
포자낭반은 잎의 양면에 형성된다.
4.
포자낭반은 색이 짙어서 육안으로 식별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45.
자연산 유용 해조류의 증식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투석
2.
암반폭파
3.
객토
4.
갯닦기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갯닦기: 자연산 해조의 증식률을 돕기 위하여 포자 방출이 많은 시기에 앞서 갯바위닦기를 하여 해적이 될 수 있는 다른 해조류를 제거하는 방법 암반 폭파, 투석: 포자가 붙을 수 있는 새로운 착생면을 확대시켜 주는 방법 [해설작성자 : 도리콩]
46.
김 유리 사상체 배양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매년 과포자를 구할 필요가 없다.
2.
선발육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3.
배양을 위한 넓은 장소가 필요하다.
4.
규조 및 병의 침해가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순수품종유지 가능, 소량의 김엽체에서 많은양의 사상체를 육성 배양 가능, 지역별 어장에 적합한 품종 선택, 매년 과포자를 구할 필요없음, 종자소요량을 자유롭게 계획 생산 할 수 있음, 규조 및 병해 침범이 적고 채묘시기를 쉽게 조절. 3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호이산이]
47.
미역의 생활사에서 식용으로 하는 시기는?
1.
배우체
2.
포자체
3.
웅성체
4.
자성체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미역은 포자체 세대와 배우체 세대가 모양이 다른 이형 세대교번을 하는 1년생 해조류이며 우리가 식용으로 하는 시기는 포자체임
<문제 해설> 비중을 측정할 때에는 온도계를 사용하여 수온을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다음 중 물 속에 살고 있는 동물에게 강한 독성물질로 해를 끼치는 무기질소의 상태는?
1.
NH4+
2.
NH3
3.
NO2
4.
NO3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독성: NH3 > NO2 > NH4+ > NO3 [해설작성자 : 도리콩]
68.
정수시 양어지에 인위적으로 산소공급을 해야 할 때 하루 중 산소 공급이 가장 필요한 시간은?
1.
해지기 직전
2.
해가 진 직후
3.
해뜨기 직전
4.
해가 뜬 후 오전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문제는 용존 산소가 가장 적은 시간을 맞히는 게 목적으로 보입니다. 용존 산소가 가장 적은 시간대는 해산 식물이 광합성이 아닌 호흡을 지속한 해뜨기 직전이 맞습니다. 이후 해가 뜨면 광합성으로 다시 용존 산소가 늘어나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낮엔 식물의 광합성 때문에 용존산소량이 올라갑니다(pH도 같이 상승). 밤에는 반대로 식물 때문에 CO2가 늘어나 용존산소가 줄어듭니다. 때문에 해뜨기 직전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정수용 여과재인 활성탄의 주 기능은?
1.
이온교환
2.
흡착
3.
침전
4.
응집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흡착을 이용한 여과방식에는 활성탄 흡착과 거품분리가 있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70.
양식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의 일반적인 특징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연중 수온이 고르다.
2.
용존산소가 풍부하다.
3.
화학적 오염의 우려가 적다.
4.
해적 생물의 유입이 적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지하수의 특징 - 유속이 느리다: 자정속도가 느리다 - 수온이 연중 일정 - 염류들이 많이 용해(이산화탄소에 의해)-> 경도가 가장 높다 - 국지적인 환경조건의 영향이 크다 - 유기물의 분해가 미생물의 작용에 의한다 - 용존산소가 거의 없다 - 하천수의 DO는 전달현상에 의해 풍부하지만, 지하수는 거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수중의 질산화 반응에 관한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수질정화에서 주로 이용되는 원리이다,
2.
대표적 질산화 박테리아는 Nitrosomonas sp.와 Nitrobacter sp. 이다.
3.
질산 유기화합물이 암모니아로 바뀌는 과정이다.
4.
생물학적 여과에 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질산화 과정 암모니아성 질소가 호기성 조건에서 질산화미생물에 의해 아질산성 질소를 거쳐 질산성 질소로 변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해수의 질산염 측정 시 사용하는 환원제는?
1.
설파닐산
2.
아미노프톨술폰산
3.
카드뮴
4.
주석
정답 : [
3
] 정답률 : 79%
73.
윙클러법으로 용존산소 분석 시 사용되는 지시약의 주성분은?
1.
티오황산나트륨
2.
녹말
3.
탄산마그네슘
4.
염화망간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변법 1. 시료를 BOD병에 넣고 마개를 막는다. 2. MnSO4 용액과 KI-NaN3 용액을 1ml씩 넣는다.(철 이온이 포함된 시료는 황산을 첨가하기 전 KF 1ml를 넣는다) 3. 마개를 닫고 병을 수회 회전시켜 섞은 뒤 2분 이상 정치한다. 4. H2SO4 2ml를 넣고 흔든다. 5. 용액을 정확히 200ml 취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6. 0.025M-Na2S2O3 용액으로 엷은 황색이 될 때까지 적정한다. 7. '전분용액(녹말)'을 넣는다(황색 -> 청색) 8. 무색이 될 때까지 적정하여 Na2S2O3의 소비량을 읽는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74.
활성오니법 처리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사육조와 활성오니 반응조를 겸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2.
양어지 속에서 활성오니가 잘 성장하기 위해서는 태양 광선이 필요하다.
3.
수심이 깊어야 수량이 많아져서 질산화세균이 부유하는데 유리하다.
4.
활성오니 생물을 현탁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에어레이션을 쉬지 않고 계속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활성오니법에서는 이 '활성오니'와 그 생존에 필요한 '용존산소' 및 '미생물 대사의 기질' 3가지 요소가 최적 상태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75.
다음의 각 지점에서 채수를 하고자 한다. 채수 지점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곳은?
1.
1지점
2.
2 지점
3.
3지점
4.
4지점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하천본류와 하천지류가 합류하는 경우에는 합류 이전의 각 지점과 합류후 충분히 혼합된 지점에서 각각 채수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틸라피아 양식에서 수심이 70 ~ 100cm 또는 그 이상일 때의 바닥 경사율로 적합한 것은?
<문제 해설> 기존의 물이 pH가 1이 상승하면 수소이온농도가 10배 상승한 것이고, 반대로 1이 하강하면 10분의 1로 하강한 것이 된다. 따라서 pH 5는 pH 7보다 100배 산성이 강하고, pH 6은 pH 7보다 10배 산성이 강한 것이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닻벌레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감염어는 몸을 양식장 바닥이나 벽에 비비기 때문에 궤양이 생길 수 있다.
2.
암컷과 수컷이 교미한 후, 수컷만이 기생하며 암컷은 산란 후 죽는다.
3.
안테나가 변형된 집게를 사용하여 어류의 아가미에 기생한다.
4.
해산어의 근육에 닻벌레 몸의 앞부분을 침투시켜 기생하는 질병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3. 머리가 변형된 근육 및 아가미에 깊이 박혀 기생한다. 4. 담수어 근육에 몸의 앞부분을 침투시켜 기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침투한 충을 떼어내기 위해 몸을 양식장 벽이나 바닥에 비벼 궤양이 생기고, 2차 감염의 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신장과 간, 비장에 백점 및 백색 결절의 병소를 형성하는 질병이 아닌 것은?
1.
Bacterial Kidney Disease(BKD)
2.
Pseudotuberculosis
3.
Ichthyophonus 증
4.
Streptococcisis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Streptococcisis sp. 는 방어나, 넙치 에 감염되며 안구돌출, 안구 가장자리 출혈 등의 증상이 있다. [해설작성자 : mnu]
연쇄구균병 스트랩토코커스 속에 속하는 여러가지 균에 의한 감염증이다. 해부 시 유문수, 간, 비장, 신장, 창자 등 출혈이 관찰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넙치가 안구돌출과 아가미뚜껑 내부에 출혈을 보이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Myxobolus sp.의 기생
2.
Streptococcus sp.의 감염
3.
장내 흡충류의 기생
4.
Pseudodacylogyrus sp.의 기생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연쇄구균병 증상 - 체색 흑화, 안구출혈 및 돌출, 아가미뚜껑 내 출혈, 복수에 의한 복부충만 -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지느러미가 붉어지거나 표피가 벗겨지기도 하며 꼬리자루에 농창 및 궤양이 형성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84.
어류의 바이러스 감염증과 각각의 외관 증상 또는 병리학적 변화가 알맞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무지개송어의 전염성 췌장 괴사증 – 체색흑화, 복부 팽만, 흰색의 점액변
2.
넙치의 랍도바이러스감염증 – 근육 내 출혈, 복부 팽만
3.
잉어의 허피스바이러스성 유두종 – 만성, 양성의 표피세포 증생
4.
방어의 바이러스성 복수증 – 망막 및 신경세포의 괴사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넙치의 랍도바이러스는 10~16도에서 주로 발생하며 겨울철에 발생시 누적 폐사율이 증가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체표면의 출혈이다. [해설작성자 : 뭉어]
- 넙치의 랍도바이러스 감염증은 RNA바이러스에 속하는 랍도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다. 증상은 지느러미,체표에 출혈,복수가 고이거나 근육내 출혈, 아가미 빈혈,생신선 및 창자 출혈 등도 관찰된다. - 방어의 바이러스 복수증은 RNA바이러스인 버나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며, 증상은 복수가 고여 복부팽만, 체색흑화, 뇌와 척추 출혈 및 발작이 관찰된다. 어체의 성장에 따라 자연 소멸하는 경향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해설작성자 : 000]
85.
3대충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태생 흡충은?
1.
Gyrodactylus
2.
Bivagina
3.
Benedenia
4.
Heteraxine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Gyrodactylu :어류의 외부 기생충으로 담수산 온수성 어종의 피부나 지느러미에 주로 기생하며, 성충의 자궁 내에 있는 자충의 자궁 내에 다시 손자충이 들어있어 삼대충이라고도 불리는 단생충이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86.
무지개송어 등의 어류에서 척추만곡증이 나타나는 것은 어떤 영양소가 부족하여 일어나는 병인가?
1.
비타민 A
2.
비타민 B2
3.
비타민 C
4.
Fe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무지개송어에 비타민 C 결핍 시 척추만곡증, 성장이 억제되고 뼈가 굽어져 기형이 되며, 해부 시 각 장기에 출혈점과 장내 혈액이 고이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다음 중 김 양식기간에 발생하는 갯병으로 병원균에 의한 것은?
1.
흰갯병
2.
싹갯병
3.
붉은갯병
4.
암종병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조균류에 속하는 붉은갯병균에 의해 발병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에드워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넙치 및 뱀장어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타 어종에서도 드물게 관찰할 수 있다.
2.
원인세균은 Edwardsiella ictaluri 로 SS한천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특징적인 흑색집락을 형성한다.
3.
뱀장어에 개복하였을 때 신장 및 간장의 농양을 볼 수 있으며, 넙치에서는 복수저류에 의한 복부팽만과 탈장을 들 수 있다.
4.
어체를 개복하면 특징적인 악취가 나는데 이는 원인세균이 생성하는 황화수소(H2S)에 의한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에드워드병 뱀장어- 해부하면 내부에서 역겨운 냄새가 나며, 신장이나 간에 누런색 농양이 형성된다. 에드워드병 넙치- 외부증상으로는 몸이 검어지고, 뱃속에 복수가 차서 부풀러 올랐다가 심해지면 탈장현당이 일어난다. 내부증상으로는 초기에는 비장이나 신장이 부풀러 오르다가 병이 진행되면 간과 신장에 유백색의 농양이 형성된다. [해설작성자 : 000]
장내 세균과에 속하는 에드워드시엘라 트르다균에 의해 생기는 병으로 몸 표면에 편모를 가진 주모성 균으로 그람음성인 간균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무지개송어에서 전염성조혈기괴사증(IHN)이 주로 나타나는 시기는?
1.
부화후 ~ 8주된 치어
2.
6개월 정도의 치어
3.
1년어
4.
2년어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미국의 홍연어 양어장에서 처음 발병되었으며, 무지개송어 치어에 대한 피해가 크고 약 80% 이상의 폐사율을 보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기수지역의 뱀장어 양식장에서 잘 발생하며 온몸의 표면에 바늘로 찌른 것과 같은 점상의 출혈이 다수 관찰되는 질병의 원인균은?
1.
Edwardsiella ictaluri
2.
Pseudomonas anguilliseptica
3.
Pseudomonas fluorescens
4.
Aeromonas salmonicida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문제에서 설명하고 있는 병은 뱀장어 적점병인데 그의 원인균은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꿀]
<문제 해설> 감염된 물고기를 손으로 쥐면 피가 묻어나온다(출혈이 표피층에 나타나기 때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6.
뱀장어 기적병의 증상이 아닌 것은?
1.
죽은 어체를 모아서 보면 악취가 나고, 항문이 확대, 돌출되어 있고 그 가장자리가 종창되어 있다.
2.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복부 피부, 항문 등이 붉게 변한다.
3.
장에 박리성 카다르성염이 생긴다.
4.
간은 강한 울혈을 일으키고 암적색을 디며 간세포는 지방변성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기적병: 붉은 지느러미병 - Aeromonas hydrophila에 의한 질병 - 사료투여와 무관하게 수면 위로 떠오르거나 양어장 가장자리에서 힘없이 움직인다. -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복부피부, 항문 등이 붉은 색으로 변하고, 복부에 출혈반점이 나타난다. - 주로 소화기관 내로 병원균이 침입하여 증식하고 장 점액의 이상분비를 유도하며, 병원체에 의한 독소에 의하여 장염이 발생하고 전신으로 퍼지면서 패혈증으로 죽게 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