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가능성은 근본적 질적특성의 하나로 정보이용자가 항목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질적특성이다.
3.
재무정보에 예측가치, 확인가치 또는 이 둘 모두가 있다면그 재무정보는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4.
적시성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수 있도록 의사결정자에게 제때에 이용가능하게 하는 근본적 질적 특성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재무정보의 근본적인 질적특성은 목적적합성,표현충실성이 있다. 2. 비교가능성은 (보강적 질적 특성)의 하나로 정보이용자가 항목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질적특성이다. 4. 적시성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수 있도록 의사결정자에게 제때에 이용가능하게 하는 (보강적 질적 특성)을 말한다.
*정리 근본적 질적 특성: 목적적합성(예측가치, 피드백가치=확인가치, 중요성), 표현충실성(완전한서술, 중립적서술, 오류가 없는 서술) 보강적 질적 특성: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적시성, 이해가능성 [해설작성자 : 날 응원해라]
2.
다음은 회계순환과정 중 결산에 대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한 회계기간 동안의 재무성과와 재무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장부의 기록을 계산, 정리하여 마감하는 절차를 결산이라 한다.
2.
결산의 절차는 예비절차, 본절차, 결산보고서 작성 절차 순으로 진행된다.
3.
포괄손익계산서는 현금주의 회계에 따라 작성되어 보고된다.
4.
결산수정분개 이전에 수정전 시산표를 작성하고 결산수정분개 및 전기 이후에는 수정 후 시산표를 작성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포괄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 회계에 따라 작성되어 보고된다.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 합격하자]
3.
다음 중 현금흐름표 작성시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자수취
2.
단기매매금융자산의 처분
3.
유형자산의 처분
4.
매출채권의 현금회수액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3. 유형자산의 처분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아닌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에 속한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재화와 용역의 제공,판매 및 구입, 로열티 수수료 중개료 및 기타수익, 법인세의 환급 및 납부, 단기매매증권의 처분 및 취득, 기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의 유입, 종업원과 관련된 현금의 유출 [해설작성자 : 날 응원해라]
전기 말에 상품재고액 \560,000을 \650,000으로 잘못 계상한 경우, 당기의 매출원가와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단, 재고자산 평가는 실지재고조사법을 적용 한다.)
1.
(매출원가) 과대, (당기순이익) 과소
2.
(매출원가) 과대, (당기순이익) 과대
3.
(매출원가) 과소, (당기순이익) 과소
4.
(매출원가) 과소, (당기순이익) 과대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상품재고액을 실제보다 과대계상 될 경우에는 그만큼 남아있는 재고가 많게 계상 될 수록 매출원가 또한 과대계상이 되고 매출원가가 과대계상이 되면 [순매출액-매출원가=매출이익]이므로 매출원가가 클수록 당기순이익(매출이익포함)은 순매출액에서 빼는 값이 커지기 때문에 당기순이익은 과소계상이 된다. [해설작성자 : 세상에서 제일 귀엽고 깜찍한 하욘 곤듀!!]
6.
다음 결산수정분개 항목 중 당기순손익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감가상각비 계상
2.
선급보험료 계상
3.
소모품의 미사용액 계상
4.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계상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은 당기순손익이 아니라 총포괄이익에 영향을 줌 [해설작성자 : 파카]
<문제 해설> 비제조 원가의 뜻은 제조 활동과는 직접적인 관련 없이, 제품 판매 및 관리 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이다. 외주가공비, 주요재료비, 공장근로자임금 은 제품의 제조활동과 관련이 있고, 대손상각비는 판관비(판매비와관리비) 이기 때문에 4번 대손상각비가 비제조원가해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대손상각비는 판매관리비에 속하는 항목입니다. [해설작성자 : 똥꼬맘]
24.
재료의 출고 때 개별작업 또는 제품의 직접재료비가 추적 가능한 경우에는 어떤 계정에 대체하는가?
1.
재공품
2.
제조간접비
3.
보조재료비
4.
간접재료비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재료의 출고 때 추적가능한경우엔 재공품에 대채함. [해설작성자 : 코로나때문에 시험 미뤄짐;]
다음은 부문별 원가계산 자료이다. 보조부문비를 단계배부법으로 배부할 때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조부문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부문에 용역을 제공하는 순서대로 보조부문비를 배부하여 단계적으로 보조부문비의 배부가 완결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2.
가장 많은 수의 부문에 용역을 제공하는 보조부문의 배열을 우→좌로 설정하여야 한다.
3.
보조부문의 배부순서에 따라 배부액이 달라질 수 있다.
4.
D부문부터 배부한 경우 모든 보조부문비를 배부 후의 B제조부문 합계액은 ₩152,875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D부터 단계배부하면 A B C 차례로 배부되는 금액은 70,000*40/100, 70,000*30/100 70,000*30/100 그리고 C를 배부해야 하는데 C는 D에게배부할 수 없다. 단계적으로 하는 배부법이니까 그럼 c는 d에게 배부받은 21,000원을 포함시켜 총 141,000원을 a와 b에게 배부해야한다 그럼 b는 141,000*30/80을 배분받게 된다. B는 총 d에게서 21,000 c에게서 52,875 ㅣ배부받아서 제조부문 합계액은 총 173,875원이다 [해설작성자 : 전산회계운용사 화이팅이다]
27.
다음 중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무회계는 목적적합성을 강조하고, 관리회계는 검증가능성을 강조한다.
2.
재무회계는 외부보고 목적을 강조한 반면, 관리회계는 내부보고 목적을 강조한다.
3.
재무회계는 기업 전반에 초점을 맞춘 반면, 관리회계는 조직의 부문에 초점을 둔다.
4.
재무회계는 과거지향적이며, 관리회계는 미래지향적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재무회계는 객관성을 강조하고, 관리회계는 목적적합성을 강조한다.
28.
원가배분은 일반적으로 3단계 과정을 거친다. 다음 중원가배분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가장 적절히 나열한 것은?
1.
(나)→(다)→(가)
2.
(가)→(나)→(다)
3.
(다)→(나)→(가)
4.
(나)→(가)→(다)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직접원가를 원가대상에 추적 → 한 원가부문에서 다른 원가부문으로 원가를 배분 → 간접원가를 제품에 배분 ★암기하기☆ [해설작성자 : 런쥔이와 혜린이]
29.
제조부문비 제품별 배부액 총액 ₩42,000을 직접원가법으로 계산할 때, A제품에 배부되는 제조부문비 총액은 얼마인가?
1.
₩8,200
2.
₩11,600
3.
₩17,400
4.
₩42,000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직접원가에 따라 배분하니, 직접 원가비 70,000원을 기준으로 배분 절단부문비 배부율 28,000/70,000 = 0.4 조립부문비 배부율 14,000/70,000 = 0.2
(주)상공화학은 동일공정에서 결합제품 A와 B를 생산하고 있다. 다음 자료에 의하여 연산품 A의 단위당 제조원가를 계산한 금액으로 옳은 것은? (단, 결합제품 A와 B에 투입된 결합원가는 ₩24,000이며 결합원가는 상대적 순실현가치를 기준으로 배부하고 있다.)
1.
₩82
2.
₩84
3.
₩92
4.
₩95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순실현가치는 추가가공비를 빼고 계산해야합니다. 즉 A는 최종판매가치인 20,000에서 추가가공비 2,000원을 제외시킨 18,000원이 판매가치고 B는 따로 추가가공비가 없으니 42,000원이 판매가치입니다. A B 판매가치를 더하면 총합은 60,000원이고 A는 18,000/60,000 B는 42,000/60,000이 됩니다. 여기에 결합원가 24,000원을 배분해주면 A ) 24,000*18,000/60,000 = 7,200 B ) 24,000*42,000/60,000 = 16,800 그러면 총원가는 A 7,200 + 2,000 (추가가공비) = 9,200원 총 100개의 생산량이 있었으니 나누면 92원~! [해설작성자 : 헤니 화이팅]
비교가능성은 근본적 질적특성의 하나로 정보이용자가 항목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질적특성이다.
3.
재무정보에 예측가치, 확인가치 또는 이 둘 모두가 있다면그 재무정보는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4.
적시성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수 있도록 의사결정자에게 제때에 이용가능하게 하는 근본적 질적 특성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재무정보의 근본적인 질적특성은 목적적합성,표현충실성이 있다. 2. 비교가능성은 (보강적 질적 특성)의 하나로 정보이용자가 항목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질적특성이다. 4. 적시성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수 있도록 의사결정자에게 제때에 이용가능하게 하는 (보강적 질적 특성)을 말한다.
*정리 근본적 질적 특성: 목적적합성(예측가치, 피드백가치=확인가치, 중요성), 표현충실성(완전한서술, 중립적서술, 오류가 없는 서술) 보강적 질적 특성: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적시성, 이해가능성 [해설작성자 : 날 응원해라]
2.
다음은 회계순환과정 중 결산에 대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한 회계기간 동안의 재무성과와 재무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장부의 기록을 계산, 정리하여 마감하는 절차를 결산이라 한다.
2.
결산의 절차는 예비절차, 본절차, 결산보고서 작성 절차 순으로 진행된다.
3.
포괄손익계산서는 현금주의 회계에 따라 작성되어 보고된다.
4.
결산수정분개 이전에 수정전 시산표를 작성하고 결산수정분개 및 전기 이후에는 수정 후 시산표를 작성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포괄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 회계에 따라 작성되어 보고된다.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 합격하자]
3.
다음 중 현금흐름표 작성시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자수취
2.
단기매매금융자산의 처분
3.
유형자산의 처분
4.
매출채권의 현금회수액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3. 유형자산의 처분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아닌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에 속한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재화와 용역의 제공,판매 및 구입, 로열티 수수료 중개료 및 기타수익, 법인세의 환급 및 납부, 단기매매증권의 처분 및 취득, 기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의 유입, 종업원과 관련된 현금의 유출 [해설작성자 : 날 응원해라]
전기 말에 상품재고액 \560,000을 \650,000으로 잘못 계상한 경우, 당기의 매출원가와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단, 재고자산 평가는 실지재고조사법을 적용 한다.)
1.
(매출원가) 과대, (당기순이익) 과소
2.
(매출원가) 과대, (당기순이익) 과대
3.
(매출원가) 과소, (당기순이익) 과소
4.
(매출원가) 과소, (당기순이익) 과대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상품재고액을 실제보다 과대계상 될 경우에는 그만큼 남아있는 재고가 많게 계상 될 수록 매출원가 또한 과대계상이 되고 매출원가가 과대계상이 되면 [순매출액-매출원가=매출이익]이므로 매출원가가 클수록 당기순이익(매출이익포함)은 순매출액에서 빼는 값이 커지기 때문에 당기순이익은 과소계상이 된다. [해설작성자 : 세상에서 제일 귀엽고 깜찍한 하욘 곤듀!!]
6.
다음 결산수정분개 항목 중 당기순손익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감가상각비 계상
2.
선급보험료 계상
3.
소모품의 미사용액 계상
4.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계상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은 당기순손익이 아니라 총포괄이익에 영향을 줌 [해설작성자 : 파카]
<문제 해설> 비제조 원가의 뜻은 제조 활동과는 직접적인 관련 없이, 제품 판매 및 관리 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이다. 외주가공비, 주요재료비, 공장근로자임금 은 제품의 제조활동과 관련이 있고, 대손상각비는 판관비(판매비와관리비) 이기 때문에 4번 대손상각비가 비제조원가해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대손상각비는 판매관리비에 속하는 항목입니다. [해설작성자 : 똥꼬맘]
24.
재료의 출고 때 개별작업 또는 제품의 직접재료비가 추적 가능한 경우에는 어떤 계정에 대체하는가?
1.
재공품
2.
제조간접비
3.
보조재료비
4.
간접재료비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재료의 출고 때 추적가능한경우엔 재공품에 대채함. [해설작성자 : 코로나때문에 시험 미뤄짐;]
다음은 부문별 원가계산 자료이다. 보조부문비를 단계배부법으로 배부할 때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조부문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부문에 용역을 제공하는 순서대로 보조부문비를 배부하여 단계적으로 보조부문비의 배부가 완결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2.
가장 많은 수의 부문에 용역을 제공하는 보조부문의 배열을 우→좌로 설정하여야 한다.
3.
보조부문의 배부순서에 따라 배부액이 달라질 수 있다.
4.
D부문부터 배부한 경우 모든 보조부문비를 배부 후의 B제조부문 합계액은 ₩152,875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D부터 단계배부하면 A B C 차례로 배부되는 금액은 70,000*40/100, 70,000*30/100 70,000*30/100 그리고 C를 배부해야 하는데 C는 D에게배부할 수 없다. 단계적으로 하는 배부법이니까 그럼 c는 d에게 배부받은 21,000원을 포함시켜 총 141,000원을 a와 b에게 배부해야한다 그럼 b는 141,000*30/80을 배분받게 된다. B는 총 d에게서 21,000 c에게서 52,875 ㅣ배부받아서 제조부문 합계액은 총 173,875원이다 [해설작성자 : 전산회계운용사 화이팅이다]
27.
다음 중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무회계는 목적적합성을 강조하고, 관리회계는 검증가능성을 강조한다.
2.
재무회계는 외부보고 목적을 강조한 반면, 관리회계는 내부보고 목적을 강조한다.
3.
재무회계는 기업 전반에 초점을 맞춘 반면, 관리회계는 조직의 부문에 초점을 둔다.
4.
재무회계는 과거지향적이며, 관리회계는 미래지향적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재무회계는 객관성을 강조하고, 관리회계는 목적적합성을 강조한다.
28.
원가배분은 일반적으로 3단계 과정을 거친다. 다음 중원가배분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가장 적절히 나열한 것은?
1.
(나)→(다)→(가)
2.
(가)→(나)→(다)
3.
(다)→(나)→(가)
4.
(나)→(가)→(다)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직접원가를 원가대상에 추적 → 한 원가부문에서 다른 원가부문으로 원가를 배분 → 간접원가를 제품에 배분 ★암기하기☆ [해설작성자 : 런쥔이와 혜린이]
29.
제조부문비 제품별 배부액 총액 ₩42,000을 직접원가법으로 계산할 때, A제품에 배부되는 제조부문비 총액은 얼마인가?
1.
₩8,200
2.
₩11,600
3.
₩17,400
4.
₩42,000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직접원가에 따라 배분하니, 직접 원가비 70,000원을 기준으로 배분 절단부문비 배부율 28,000/70,000 = 0.4 조립부문비 배부율 14,000/70,000 = 0.2
(주)상공화학은 동일공정에서 결합제품 A와 B를 생산하고 있다. 다음 자료에 의하여 연산품 A의 단위당 제조원가를 계산한 금액으로 옳은 것은? (단, 결합제품 A와 B에 투입된 결합원가는 ₩24,000이며 결합원가는 상대적 순실현가치를 기준으로 배부하고 있다.)
1.
₩82
2.
₩84
3.
₩92
4.
₩95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순실현가치는 추가가공비를 빼고 계산해야합니다. 즉 A는 최종판매가치인 20,000에서 추가가공비 2,000원을 제외시킨 18,000원이 판매가치고 B는 따로 추가가공비가 없으니 42,000원이 판매가치입니다. A B 판매가치를 더하면 총합은 60,000원이고 A는 18,000/60,000 B는 42,000/60,000이 됩니다. 여기에 결합원가 24,000원을 배분해주면 A ) 24,000*18,000/60,000 = 7,200 B ) 24,000*42,000/60,000 = 16,800 그러면 총원가는 A 7,200 + 2,000 (추가가공비) = 9,200원 총 100개의 생산량이 있었으니 나누면 92원~! [해설작성자 : 헤니 화이팅]